최근 수정 시각 : 2024-12-02 19:02:38

반월역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역명이 비슷한 대구도시철도 1호선 및 2호선의 환승역에 대한 내용은 반월당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반월역
파일:Seoulmetro4_icon.svg
역명 표기
안산선 반월
Banwol
半月 / [ruby(半月, ruby=パヌォル)]
4호선
주소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건건로 119-10 (건건동 산62-1)
관리역 등급
무배치간이역 (정왕그룹 소속 / KN 광역사업처)
(안산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서부본부)
운영 기관
안산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안산선 1988년 10월 25일
안산선
1988년 10월 25일
~2003년 4월 30일
4호선 1994년 4월 1일
역사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철도거리표
안산선
반 월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
3.1. 출구 정보
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연계 교통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nopad> 파일:반월역 스탬프.jpg
반월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반월역사를 형상화했다.
수도권 전철 4호선 447번.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건건로 119-10 (건건동 산62-1) 소재.

2. 역 정보

파일:2023반월역.jpg
현 역사 (1988년 준공)
파일:반월역 안내도(2022.12).png
역 안내도 (크게보기)
화성군 반월면 시가지에 세워진 역인 만큼, 시골역 풍경을 띠는 역이다. 그것도 역 건립 당시에는 반월면 시가지가 현재의 반월동주민센터나 반월초등학교가 있는 남쪽 부근에만 시가지만 있었고, 반월멱 앞에는 그야말로 아무것도 없었으나 2000년대 후반 건건동 e편한세상 아파트가 들어서면서 역세권이 형성되었고 2020년대에는 역 바로 앞에 상가들이 몇 채 들어섰다.

실외 지상역이라 하늘이 보이고, 주변에 바람을 막아줄 높은 건물이 e편한세상 아파트 외엔 별로 없는 데다 벽도 없어서 한겨울에는 찬바람이 그대로 들이쳐 플랫폼이 춥다. 추운 날엔 승객들은 개찰구 지나 일단 지하까지만 들어와서 에스컬레이터/계단 앞에 서서 추위를 피하다가 열차 오는 소리가 들리면 부지런히 플랫폼으로 올라가 탄다. 그나마 스크린도어 설치 후엔 좀 나아진 편. 참고로 이웃한 대야미역도 마찬가지로 지붕만 있는 역사이며 스크린도어만 있을 뿐 앞뒤 좌우가 건물 없이 뻥 뚫려 있어서 더 춥고, 그 다음 역 수리산역은 고층 아파트 단지에 둘러싸여 있고 역사도 강변역처럼 실내역에 가까운 구조라 안 춥다.

원래는 지금 반월역보다 더 반월면 구시가지와 가까운 반월중학교/경기모바일과학고등학교 뒤편에 반월역이 생길 예정이었고, 가칭은 도마교역 혹은 구반월역[1]이었다. 그러나 모종의 이유로 현재 부지에 역의 건설이 확정되고 명칭도 반월역이 되었다.[2] 그런데 그 모종의 이유가 현재 반월역 주차장 자리에 땅을 가진 어떤 높으신 분이 윗선과 쑥덕쑥덕하여 역 위치를 옮겨버렸다는 카더라가 있다. 이에 대해 당연히 반월면 주민들이 반발했지만 시대가 높으신 분이 결정하면 무조건 따라야 했던 시대라...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운용되는 역이지만, 승강장 양쪽 끝단에 대피선을 설치할 수 있는 부지를 개통 당시부터 마련해두었다. 그러나 대피선 없이도 충분히 운영이 가능해져 대피선 설치 계획은 없어지고 남는 대피선 부지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했다.

엘리베이터 옆에 스토리웨이 반월점이 위치해 있었지만 어느 순간부터 영업이 중단되더니 폐업 후 철거하였다.

3. 역 주변 정보

반월역 앞에는 2005년~2006년만 해도 아무것도 없었으며 역 건물도 다른 수도권 전철역에 비해 매우 단순하고 아담한 등, 수도권 내의 간이역으로서 철도 동호인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지금은 바로 앞에 e편한세상 아파트와 여러 상가가 들어서면서 전철 간이역으로서의 이미지는 다소 약해졌지만, 그래도 반월동 주민 이외 이용객은 거의 없는 역. 330번 버스 연선 주민들이 환승으로 이용하는 경우밖에 없다. 역 주변의 반월동 주택가를 제외하면 농지, 녹지 외에 볼것이 아무것도 없다. 직선 거리로는 반월호수가 멀지 않지만, 대야미역 쪽에서 접근이 훨씬 편하고 도로도 잘 나 있다.

이 역과 상록수역 중간에 경부고속선 선로, 서해안고속도로가 입체 교차하고 있으며 터널도 세 곳이나 있다. 고속철도를 달리는 KTX를 촬영할 수 있는 포인트가 반월역 근처에 있어서 철도 동호인과 사진 매니아들이 찾는 경우가 많다.

반월~상록수 구간은 4호선의 코레일 담당 구간 중에서 역간거리가 가장 긴 구간이다. 이 구간에 진입할 때에는 귀가 멍해지는 현상이 일어나기도 하는데, 이는 터널 진입 시 기압이 갑자기 변하기 때문이다.

2015년에 이 역에서 뮤직비디오를 촬영한 적이 있다. 거미-해줄 수 없는 일

반월역과 의왕역 사이 부지에 의왕군포안산신도시가 계획되면서[3] 신분당선 광교역 지선을 이 역까지 연장하는 안이 등장하였다. 성사된다면 수인분당선을 이용하지 않고도 의왕을 거쳐 북수원~용인 지역으로 바로 갈 수 있게 되며, 반월역 근방까지 신도시 구역으로 묶여 있는 만큼 추후 대규모 개발의 가능성이 높아졌다.

3.1. 출구 정보

파일:Seoulmetro4_icon.svg 반월역 출구 정보
1반월동행정복지센터
반월초등학교
반월119안전센터
안산장촌초등학교
안산시립반월도서관
경기모바일과학고등학교
안산반월지역아동센터
서해아파트
이편한세상아파트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a4e3><bgcolor=#00a4e3> 연도 || 파일:Seoulmetro4_icon.svg ||<bgcolor=#00a4e3>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88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1988년 10,430명
686명
1989년 815명
1990년 1,610명
1991년 2,341명
1992년 2,563명
1993년 2,618명
1994년 2,818명
1995년 3,267명
1996년 3,643명
1997년 4,190명
1998년 4,464명
1999년 4,748명
2000년 4,043명 비고
2001년 4,556명
2002년 5,252명
2003년 5,931명
2004년 5,208명 [4]
2005년 5,485명
2006년 6,299명
2007년 9,121명
2008년 9,649명
2009년 9,717명 }}}}}}}}}
2010년 9,795명
2011년 9,949명
2012년 10,197명
2013년 10,267명
2014년 10,430명
2015년 10,332명
2016년 10,055명
2017년 9,658명
2018년 9,252명
2019년 9,397명
2020년 7,121명
2021년 7,142명
2022년 7,760명
2023년 8,163명
출처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하루 4천 명이 이용하는 공기수송의 대명사 격인 역이었다. 그러나 주변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조금씩 이용객이 증가하다가, 2006년 9월 역 바로 앞에 건건e-편한세상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면서 이용객이 큰 폭으로 늘었다. 이 아파트의 입주 전엔 하루 5천 명 정도에 불과했는데, 아파트가 들어선 이후에는 9천 명대로 대폭 상승하였고, 이후로도 꾸준히 이용객이 늘어나 2012년에는 일평균 1만 명을 넘어섰다. 그러나 2014년을 기점으로 다시 하락세를 보여 2017년에는 6년 만에 하루 이용객이 1만 명 밑으로 내려가고 말았다.

5. 승강장

파일:반월역승강장2023.jpg
4호선 승강장
대야미
1 2
상록수
1 파일:Seoulmetro4_icon.svg 수도권 전철 4호선 중앙·안산·오이도 방면
2 사당·서울역·불암산 방면
2017년 12월 현재 스크린도어가 가동중이다.

이 역은 경사가 평지(0퍼밀)이다.

6. 연계 교통

승차위치 노선 경유지
반월역앞
(17310)
삼천리마을앞
회차 노선
8 →반월동→양촌마을→안골마을
22 →반월동→팔곡동→본오동→상록수역앞→한양대입구→고잔고→안산시외버스터미널→안산시청→단원구청→안산역→시화이마트→시화A→오이도차고지
90 →반월동→팔곡동→도금단지→두산인프라코어→사리역→태영A→상록수역
99 →반월동→팔곡동→본오동→상록수역앞→한양대입구→안산시외버스터미널→안산시청→원곡동→안산역→정왕동→오이도차고지
H340 →반월동→팔곡동→도금단지→야목→비봉→팔탄→향남
반월역앞
(17310)
서해아파트
방면
8-1 →반월동→양촌마을→사사동
66 →반월동→팔곡동→본오동→상록수역→일동→한대앞역→안산시외버스터미널→안산시청→원곡동→안산역→반월공단
330 →팔곡동→도금단지→야목→비봉→남양→마도→송산→서신→제부도입구
반월역
(17309)
건건로 건너편
삼천리마을/
대야미 방면
8-1 →삼천리마을
330 →대야미→군포역금정역

7.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4_icon.svg 수도권 전철 4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a4e3> 진접선 진접 - 오남 - 별내별가람 - 불암산
서울 지하철
4호선
불암산 - 상계 - 파일:Seoulmetro7_icon.svg 노원 - 파일:Seoulmetro1_icon.svg 창동 - 쌍문 - 수유 - 미아 - 미아사거리 - 길음 - 파일:UiLine_icon.svg 성신여대입구 - 한성대입구 - 혜화 - 파일:Seoulmetro1_icon.svg 동대문 - 파일:Seoulmetro2_icon.svg 파일:Seoulmetro5_icon.svg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파일:Seoulmetro3_icon.svg 충무로 - 명동 - 회현 -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GJLine_icon.svg 파일:AREX_icon.svg 서울역 - 숙대입구 - 파일:Seoulmetro6_icon.svg 삼각지 - 신용산 - 파일:GJLine_icon.svg 이촌 - 파일:Seoulmetro9_icon.svg 동작 - 파일:Seoulmetro7_icon.svg 총신대입구(이수) - 파일:Seoulmetro2_icon.svg 사당 - 남태령
과천선 남태령 - 선바위 - 경마공원 - 대공원 - 과천 - 정부과천청사 - 인덕원 - 평촌 - 범계 - 파일:Seoulmetro1_icon.svg 금정
안산선 파일:Seoulmetro1_icon.svg 금정 - 산본 - 수리산 - 대야미 - 반월 - 상록수 - 파일:SBLine_icon.svg 한대앞 - 파일:SBLine_icon.svg 중앙 - 파일:SBLine_icon.svg 고잔 - 파일:SBLine_icon.svg 파일:SeohaeLine_icon.svg 초지 - 파일:SBLine_icon.svg 안산 - 파일:SBLine_icon.svg 신길온천 - 파일:SBLine_icon.svg 정왕 - 파일:SBLine_icon.svg 오이도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안산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1] 현재의 안산선 중앙역에 반월역이라는 가칭이 쓰였기 때문에 이와 구별하기 위해 구반월역이라 하였다.[2] 도마교리는 당시 화성군 반월면 관할이었으나, 1994년 군포시에 편입되면서 법정동인 도마교동이 되었다. 그런데 이 당시 반월역 예정 부지가 위치한 곳은 면소재지인 건건리였는데 어쩐지 인근의 도마교리 이름을 따왔다.[3] 이미 해당 신도시 구역의 군포시 지역에는 부곡지구, 송정지구가 개발되었다.[4] 해당 연도까지 철도통계연보의 자료를 반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