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1-26 17:57:26

화성 버스 330

{{{#!wiki style="margin:-10px auto"<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5200><tablewidth=310>
파일:화성시 CI_White.svg
}}}
{{{#!wiki style="color:#ff5200,#49aaff; 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15px"
<colcolor=#fff> 프리미엄
광역급행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직행좌석
좌석
일반
5-2조암
5-2동탄
11조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
'''
{{{#ddd,#44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urrentcolor"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화성시 마을버스 목록
}}}}}}}}} ||

파일:제부여객 330_1163.jp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5. 시간표6.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파일:화성시 CI_White.svg 화성시 일반시내버스 33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화성 330번 노선도.png
기점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장외리(장외리.오리골)종점경기도 군포시 금정동(금정역)
종점행첫차04:00기점행첫차05:50
막차21:30막차23:30
평일배차20~30분주말배차20~30분
운수사명제부여객인가대수10대(주말 9대)
노선장외리.오리골 - 제부도입구 - 서신 - 사강 - 마도 - 남양사거리 - 남양뉴타운 - 비봉 - 비봉택지 - 팔곡동 - 반월역 - 대야미삼거리 - 군포보건소 - 삼성마을5단지 - 군포국민체육센터 - 용호고등학교 - 군포시평생학습원 - 군포초등학교 - 당동우체국 - 군포역 - G샘병원 - 금정가구거리 - 금정역

===# 폐지된 노선 #===
파일:화성시 CI_White.svg 화성시 일반시내버스 330-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화성 330-1 노선도.png
기점경기도 군포시 금정동(금정역)종점경기도 화성시 마도면 쌍송리(마도산업단지)
종점행첫차06:30기점행첫차-[편도]
막차07:00막차 -[편도]
평일배차30분주말배차30분(토요일)/미운행(공휴일)
운수사명제부여객인가대수0대[3]
노선금정역 → 군포역 → 대야미삼거리 → 반월역 → 팔곡동 → 구포리 → 비봉 → 남양사거리 → 마도산업단지

2. 개요

제부여객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 전체 정류장 목록은 우측 링크를 참조. 왕복 운행거리는 약 93km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일제강점기 때 한국인 자본으로 세운 삼성여객에서 1917년 6월 13일에 개통한 노선이다. 당시 노선은 '마산포 - 사강 - 마도 - 남양 - 비봉 - 야목리 - 반월장 - 대야미 - 당리 - 구군포(구호계사거리)'로, 현재와 거의 유사한 시외완행버스로 개통하였다.[4] 오래된 자료 서적들에는 1930년대 이후로 운행하였다고 서술되어 있는데 1915년에 면허를 발급받았다고 한다.
  • 1986년 3월 30일에 시내좌석버스로 전환되었으며 이후 삼성여객 부도로 인해 제부여객이 이 노선을 가져와 운행 중이다.[5]
  • 2007년 10월 14일에 노선이 셋으로 분리되었다.
    • 30번 일반시내버스 : 천주교 남양성모성지 - 남양동 - 북양동 - 삼화리 - 비봉 - 야목 - 원리 - 송라리 - 도금단지 - 팔곡동 - 반월역 - 대야미역 - 군포역 → 산본시장 → 금정역 → 군포역 → 이후 역순
    • 30-1번 일반시내버스 : 화성시청 - 남양동 - 북양동 - 삼화리 - 비봉 - 야목 - 원리 - 송라리 - 도금단지 - 팔곡동 - 반월역 - 대야미역 - 군포역 → 산본시장 → 금정역 → 군포역 → 이후 역순
    • 1003번 일반좌석버스 : 제부도입구 - 서신 - 육일리 - 사강 - 마도 - 쌍송리 - 천주교 남양성모성지 - 남양동 - 북양동 - 삼화리 - 비봉 - 야목 - (39번 국도 직통) - 군포역 → 산본시장 → 금정역 → 군포역 → 이후 역순
  • 나름 효율적인 개선안이었지만 30번과 30-1번 경우는 배차간격이 매우 길었고(1~2대로 운행), 있던 승객들마저 다 떨어져 나가게 생겨 1주일도 못 가 다시 330번으로 통합되었다.
  • 2018년 8월 1일에 330번은 남양도서관, 동광뷰엘, LH4단지를 경유하게 되면서 동수원남양병원을 경유하지 않게 되었다.
  • 2018년 10월 1일에 일반시내버스로 전환되었다. 노선과 정류장은 기존과 동일하다. 관련 게시물
  • 2022년 5월 10일부터 금정역 회차 구간인 군포시청.산본역 구간을 경유하지 않고 금정역 양방향 경유로 변경되었으며, 이와 동시에 330-1번이 폐선되었다. 관련 게시물 동시에 수원 주박 차량이 없어지면서 첫, 막차 시간대도 바뀌었다.

4. 특징

  • 전 구간 완주 시 1시간 30분~2시간 정도 걸린다.
  • 1002번, 1004번과 함께 수도권에서 제부도로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몇 안되는 시내버스이다.[6] 그래서 얼핏 보면 제부도 관광 셔틀버스로 보기 쉽지만, 서해선 전철이 뚫리기 전까지는 화성시 서부에서 지하철을 타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이 지역들과 금정역 사이의 수요가 넘치는 판이다. 또한 8-1번 버스 이외에는 자주 다니는 버스 노선이 없는 안산시 반월동 내부의 수요도 많이 있다. 저녁 시간대에는 반월동 구간에서 가축수송을 하기에 이른다.
  • 일반좌석 시절, 군포시내에서는 47번 국도상에 있는 지하차도 3곳을 모두 경유해, 금정-대야미간 소요시간이 수도권 전철 4호선과 엇비슷할 정도였다. 이는 과거 일반좌석도 급행으로 운행하던 시절의 잔재다. 시내일반과 더불어 일반좌석도 도로에 있는 모든 정류장에 정차하는 게 원칙[7]인 지금에도 과거 급행으로 운행하던 노선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었다. 일반시내버스로 전환된 직후에도 지하차도를 경유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모든 정류장 정차로 바뀌었다.
  • 제부도 입구에서 내려주긴 하지만, 여기서 바닷길 입구까지는 걸어서 5분 거리다. 혹은 H50번을 타고 섬으로 들어가도 된다.[8] 약 2.5km의 바닷길을 걸어갈 자신이 있다면 이 노선을 이용해 제부도로 들어가 보는 것도 꽤나 괜찮은 당일치기 관광거리가 된다.
    • 다만 물때를 잘 맞춰야 하는데, 이 물때 시간표는 제부도 내 펜션들이라면 홈페이지에 다 적어놓고 있으며, 실시간 정보는 국토부에서 운영하는 바다갈라짐앱(안드로이드)과 화성시에서 운영하는 '화성바다' 어플(아이폰) (안드로이드)를 이용하면 된다. 따라서 잘 찾아보고 때를 맞춰 가도록 하자.
  • 제부도의 영문 엘이디가 zebudo로 표출이 되는데 정작 앞면에 부착된 띠모양 주요 정류소가 써있는 스티킹에는 Jebudo라고 나와있다.
  • 제부도로 가는 길이 막힐 경우에는 차고지까지 바로가서 승객을 모두 내려준 다음 차고지에서 막 나오는 차에 태우기도 한다.
  • 거리비례제 적용노선이므로 현금으로 승차시 목적지를 말해야 한다.
  • 화성시에서 첫차가 4시로 가장 빠른 노선이다.
===# 330-1번(폐선)의 특징 #===
  • 평일 한정으로 1일 2회, 금정역에서 오전 6시 반, 7시에 출발했다.
  • 운행 시 330번 차량에 마도산업단지 행선판을 놓고 운행했다.
  • 330번과 달리 남양도서관, 동광뷰엘, LH4단지 정류장을 경유하지 않는 것으로 인가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경유하여 운행했다.

5. 시간표


2022년 2월 기준 임시 시간표

6. 연계 철도역


==# 둘러보기 #==
파일:안산시 CI.svg 안산 - 화성간 버스
새솔동
송산신도시
중앙역 행 원시역 행 상록수 행
10 13, H130 16
123-1
시화,대부도
7000A[X]
김포공항
3102
의왕,강남
99-1 (고잔동, 중앙동, 부곡동, 상록수)
탄도
전곡항, 어촌민속박물관
대부도 내부 남양, 수원역 제부도, 서신
737 1004-1 H51
팔곡동
- 비봉
상록수역, 남양 금정역, 남양, 제부도 반월동, 발안, 향남
310 330 H340
[X] 코로나19로 인해 운행중단

파일:화성시 CI.svg 남양읍, 제부도 경유 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color=#ff5e00> 동탄 방면
1000제부도
마도, 향남
13-2향남
50-2마도
H50-7마도
H53매향
H106조암
남양읍
H50제부도 내부
기타 방면
310안산
330제부도-금정
1002제부도-사당
1008사당
G1003서초,양재
}}}}}}}}} ||


[편도] 편도로만 운행[편도] 편도로만 운행[3] 330번 차량으로 운행[4] 당시엔 시내버스 개념이 따로 없었다.[5] 삼성여객에서 가져온게 아니라 삼성여객 후신이 제부여객이다.[6] 수도권에서 자가용으로 제부도에 접근하려면 평택시흥고속도로송산마도IC를 이용하는 것이 그나마 가장 나은 방법이지만, 이 방법도 사강~제부도 구간은 이 노선과 완벽히 같은 경로를 따라가야 한다.[7] 운행경로가 고속화도로나 우회국도일 수는 있지만 그런 경우에도 해당 도로상에 정류장이 있으면 모두 정차해야 한다. 고양 버스 830등의 경우만 봐도 그렇다.[8] 제부도입구 정류장에서 내리면 마을버스 표지판이 있다. 지정된 정류장은 없고, 목적지나 펜션명을 말하면 거기서 내려주는 식.[9] 대야미삼거리 하차 후 도보[10] 야목리 하차 후 도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