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 광역급행 | |
일반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 | |
마을 | ||
''' {{{#ddd,#44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urrentcolor" ''' |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1. 노선 정보
| |||||
기점 | 경기도 군포시 부곡동(군포공영차고지) | 종점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갯마을앞) | ||
종점행 | 첫차 | 04:30 | 기점행 | 첫차 | 05:10 |
막차 | 23:00 | 막차 | 00:00 | ||
평일배차 | 7~10분 | 주말배차 | 8~12분 | ||
운수사명 | 보영운수 | 인가대수 | 25대 | ||
노선 | 군포공영차고지 - 산본역 - 금정역 - 만안구청 - 래미안메가트리아 - 비산사거리.이마트 - 인덕원역 - 정부과천청사 - 관문사거리 - 사당역 - 이수역 - 정금마을 - 갯마을앞 |
2. 개요
보영운수에서 운행하는 군포(산본)와 서울(사당)을 잇는 시내버스 노선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산본신도시 첫 입주때 개통했는데, 당시 11-1번(2019년 7월 1일 폐선)에서 군포시 기점을 분리해서 개통했는지, 자체적으로 개통했는지는 불명.
- 산본8단지 종점(현 군포중앙도서관)에서 군포공영차고지로 이주하면서 소방서사거리~종점 구간이 변경된 것 외에는 노선변경이 거의 없었다.
- 2002년 하반기 뒷면 행선판에 군포시 표기가 군포 산본으로 변경되었다.
- 2007년에 2대가 증차됐다.
- 2018년 9월 1일에 3대가 감차됐고, 2018년 12월 3일에 1대가 또 감차됐다. 운수종사자 부족문제도 있고, 과천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 개통으로 소요시간이 줄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 2021년 3월 6일 917번에서 운행되던 차량 1대가 이 노선으로 넘어오면서 차량대수가 더 늘게되었다. 총 인가댓수는 25대.
4. 특징
- 2003년 6월에 우신버스의 908번 심야좌석이 도시형으로 형간전환하면서 두 노선 간 경쟁관계가 형성되었다.
골라타는 재미[1] 이는 908번이 4425번으로 변경된 이후에도 마찬가지였으며, 당시엔 산본시장사거리부터 사당역, 나아가 이수역까지 완전히 겹쳤기 때문에 서로 앞지르기를 하며 승객을 실어나르는 풍경을 볼 수 있었다. 이런 경쟁관계는 수도권 통합 환승제가 시행되면서 서서히 주춤해지다가, 4425번이 541번으로 개편되면서 강남 방면으로 운행구간이 바뀌어 끝났다.그래도 금정역부터 과천까지의 경쟁은 여전하다
- 11-5번과 기종점이 동일하다. 11-2번이 산본 1~3단지와 신환아파트, 비산동을 경유하는 반면에, 11-5번은 산본 8~13단지와 호계사거리, 범계역을 경유한다. 두 노선은 금정역에서 헤어졌다가 관양사거리에서 다시 만난다. 즉, 11-2번이 금정역~안양우체국~관양사거리 구간은 일직선이기 때문에 주로 골목길을 많이 도는 11-5번에 비해 군포 시내를 빨리 빠져나오게 된다. 즉 11번대 버스에서 군포에서 사당을 좀 더 빠르게 가기 위해서는 11-2번을 타는 것을 추천한다.
물론 진리는 과천선(4호선)이다. 그거 말고도 540번타는 게 더 빠르다출퇴근시간때에는 관악대로에서 서있는다11-2번의 경로는 ┌ 모양으로 꺾여 있지만 540번은 직선으로 연결하기 때문이다. 또한 관악대로는 차량이 많아서 은근히 버스가 속도를 못 내지만, 흥안대로는 큰 정체는 적은 도로이다.
- 산본과 사당을 잇는 첫 번째 주자라는 상징이 있어서인지 11번대 노선 중 새 차를 가장 먼저 받는 노선이었으며, 이는 1990년대부터 이어져왔다. 당시 11-2번, 11-5번, 11-6번(2006년 폐선) 중 처음으로 냉방버스를 운행하였고, 천연가스버스도 가장 먼저 받았으며[2], GBUS 브랜드 도색이 처음으로 적용된 신차[3]도 가장 먼저 도입되었다. 하지만 현재는 보영운수가 노선을 크게 가리지 않고 새 차를 골고루 투입하기 때문에 이러한 경향은 사라졌다.
- 갯마을 막차시간이 인가보다 다소 늦은 0:00~0:10에 출발한다. 경기도 심야버스노선 추가 대상에 선정되면서 1회 연장한 것으로 추정된다. 동사 11-5번도 마찬가지.
- 11번대 안양시 시내버스 노선 중에서 가장 마지막에 문서가 생성되었다.
- 거리비례제 적용노선이므로 현금으로 승차시 목적지를 말해야 한다.
5. 연계 철도역
- 수도권 전철 1호선: 금정역, 명학역
- 서울 지하철 2호선: 사당역
- 수도권 전철 4호선: 수리산역, 산본역, 금정역, 인덕원역, 정부과천청사역, 과천역, 남태령역, 사당역, 총신대입구역
- 서울 지하철 7호선: 이수역
6. 둘러보기
| |||
일반시내 | 1-1 | 103 | 11-2 |
11-5 | 9(-3) | 777 | |
간선 | 502 | 540 | |
지선 | 5530과천시 미경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