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광역급행 | |
<colcolor=#fff> 직행좌석 | ||
일반 | ||
마을 |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1.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기도 파주시 맥금동(장터고개.맥금동영업소) | 종점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대현동(신촌기차역) | ||
종점행 | 첫차 | 05:00 | 기점행 | 첫차 | 06:50 |
막차 | 21:20 | 막차 | 23:20 | ||
평일배차 | 25~50분 | 주말배차 | 25~65분 | ||
운수사명 | 신성교통 | 인가대수 | 25대[1] | ||
노선 | 장터고개.맥금동영업소 - 금촌농협 - 금촌역 - 금촌로터리 - 당하리 - 가람마을4단지 - 운정행복센터 - 야당역.한빛마을5.9단지 - 탄현역 - 구일산 - 동국대병원사거리 - 식사동 - 고양시청 - 원당역 - 원흥역 - 삼송지구 - 삼송역 - 구파발역 - 연신내역 - 불광역 - 녹번역 - 홍은동현대아파트 - 서대문구청 - 연대앞 - 세브란스병원 - 신촌기차역 |
2. 개요
신성교통에서 운행하는 노선. 운행거리는 약 93km다.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전신은 명성운수와 서부여객에서 공동 배차로 운행하던 999번 좌석버스였다. 동일 구간을 오가는 99번 시내버스도 있었으나 1996년 쯤에 폐선되었고, 이후 명성운수 운행분은 불광동으로 단축된 후 95번 시내입석버스로 전환되었다가 폐선되었다.
- 2000년 쯤에 번호가 567번으로 바뀌었다.
- 2001년 여름에 운수업체가 신성교통으로 바뀌었다. 회사에서도 기대가 컸는지 11월 쯤에 차량이 전부 2001년식 새차로 바뀌었다.
- 2003년 11월 5일에 좌석버스에서 일반시내버스로 전환되었다. 그 과정에서 기존 차량들은 770, 773번으로 넘어가고 새로 시내버스 사양의 차량으로 교체되었다.[2]
- 2005년 5월 1일에 신촌기차역 회차에서 명물거리 경유로 바뀌었다.
- 2010년에 다시 신촌기차역 회차로 환원되었다.
- 2016년 8월 8일부터 장안미래아파트 경유에서 금촌역, 금촌농협 경유로 변경되었다. 관련 게시물 이로써 금촌에서 출발하는 노선 중 775번만이 금촌역 미경유 노선으로 남게 되었다.
- 2017년 12월 29일에 신성교통으로 이관되었다.
- 2020년 12월 21일, 회차구간이었던 이대후문, 이대부중고 구간이 폐지되었다. 이로 인해 경의선 신촌역에서 회차 후 이대후문을 경유하지 않고 연세대앞으로 바로 돌아나간다.
- 2021년 6월 15일부로 코로나19 구조조정으로 인한 금촌차고지 폐쇄로 인하여 금촌까지 운행하지 않고 교하차고지로 노선이 단축될 예정이었으나[3] 철회되고, 대신 금촌1동(금촌농협) 시종착으로 바뀌었다.
- 2021년 12월 1일에 맥금동차고지로 연장되었다. 관련 게시물
4. 특징
- 이 노선은 배차가 수시로 변하니 불광역 ~ 연대정문 구간은 7720번을 타면 된다. 다만 연대정문 이후에는 72번처럼 현대백화점을 경유하는 7720번과 달리 본 노선은 77번처럼 회차하는 등 운행 구간이 다르다.
- 서대문구 홍은동, 연희동 안쪽으로 들어가는 유일한 경기도 버스다. 또한, 통일로를 경유하는 경기도 버스 중 유일하게 신성교통 소속이다.[4] 홍은동과 연희동, 신촌 사이에서 타는 사람이 아예 없으면 세게 밟는 편이라 정원여중입구부터 연희IC 사이를 랩타임 5분에 컷하는 경우도 있다.[5] 단, 반대 방향의 경우는 홍은네거리 정체로 상당히 오래 걸릴 수 있으니 주의. 이는 7720번도 마찬가지다.
- 2014년 8월 9일부터 7733번이 일산을 안 가고 완전히 다른 노선으로 변경되어, 구일산에서 은평구 북부로 오는 시내버스 노선은 이 노선뿐이다. 엄밀히 따지자면 광역버스도 시내버스이므로 9703번도 있지만 요금이 비싸다.
- 거리비례제 적용노선이므로 현금으로 승차시 목적지를 말해야 한다.
- 막차가 기점에서 약간 빠른 편이다. 21:20에 아동동에서 출발하지만, 금촌에서 구일산으로 내려오는지라 탄현 부근에는 22시경에 통과한다. 장거리 노선이라 과속만 안하면 심야 이용도 가능하다.
- 2017년 9월 2일, 2017년 11월 18일[6] MBC 세모방에서 이경규, 박명수, 주상욱, 차오루 등이 G BUS TV의 어디까지 가세요를 촬영하기 위해 567번 버스를 탑승했다. 규칙상 567번만 이용해야 하기 때문인지 동일노선 간 환승할인이 안 된다. 하지만 정작 제작진과의 미팅에서는 대기 중인 333번 안에서 했다.
- 코로나19로 인한 운전기사 부족으로 인해 배차간격이 꽤 길어졌다. 이용시 버스위치정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5. 연계 철도역
수도권 전철 3호선: 원당역, 원흥역, 삼송역, 구파발역, 연신내역, 불광역, 녹번역
서울 지하철 6호선: 연신내역, 불광역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금촌역[7], 야당역[8], 탄현역, 신촌역
[1] 코로나19로 인한 운전기사 부족으로 인해 실제로는 10대로 운행한다.[2] 기존 차량은 770, 773번에서 다시 90, 92, 919번으로 넘어갔다가 대다수가 제일여객 9711/9712번을 거쳐 04년 가을부터 9703번에서 대차되는 시점까지 다니다가 2010~2011년을 끝으로 퇴역했다.[3] 단축되는 구간은 150번을 투입할 예정이었으나 이 역시 철회되었다.[4] 원래는 909번을 포함하여 여러 노선들이 신성교통 노선이었으나, 경영위기로 일부 노선이 신일여객, 서울여객 등으로 넘어가면서 유일하게 남게 되었다. 567번을 제외하면 통일로 상에 남은 신성계열은 제일여객 노선이 전부.[5] 맥금동 연장 이후, 90번과 150번 등지에서 저상버스가 대거 넘어왔는데 그 여파로 운행속도가 매우 빨라졌다. 21시 이후에는 원당역에서 불광역까지 평소보다 10분 단축하는 경우도 잦다.[6] 원래는 2017년 9월 9일에 후속편이 방송되어야 하는데, 11월 18일에 방송된 이유는 2017년 공영방송 총파업으로 인해 2달 동안 결방되었기 때문이다.[7] 전에는 금촌역까지 내려가지 않고 바로 위 사거리에서 우회전하여 차고지로 들어갔으나 바뀌었다.[8] 야당역.한빛마을5.9단지 정류장 하차 후 도보로 약 12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