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0" | <tablebordercolor=#004989>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광역급행 | ||
직행좌석 | |||
좌석 | P-BRT | ||
일반 | 시내버스 맞춤형버스 공공버스(시군간) | ||
똑버스 | |||
마을 | 파프리카 | ||
{{{#!wiki style="margin:-10px auto" | <tablebordercolor=#0085ca><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 경기도 | }}} |
[[틀:경기도의 공항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b4513; font-size: 14px"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85ca><colcolor=#fff> 고양시 | ||
광명시 | |||
김포시 | |||
남양주시 | |||
부천시 | |||
수원시 | |||
안산시 | |||
파주시 | |||
평택시 | |||
포천시 |
| |
101번 | 202번 |
1. 개요
파주교통에서 운행하는 일반좌석버스 노선이다.2.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마지리(적성전통시장) | 종점 | 경기도 파주시 동패동(운정중앙역) | ||
종점행 | 첫차 | 04:30 | 기점행 | 첫차 | ??:?? |
막차 | 22:30 | 막차 | ??:?? | ||
평일배차 | 30~45분[1] | 주말배차 | 40~50분[2] | ||
운수사명 | 파주교통 | 인가대수 | 5대[3] | ||
노선 | 적성전통시장 - 파평행정복지센터 - 문산역 - 월롱역 - 금촌역 - 운정중앙역 |
| |||||
| |||||
기점 | 경기도 파주시 법원읍 대능리(법원리우체국) | 종점 | 경기도 파주시 동패동(운정중앙역) | ||
종점행 | 첫차 | 04:30 | 기점행 | 첫차 | ??:?? |
막차 | 22:30 | 막차 | ??:?? | ||
평일배차 | 30~40분[4] | 주말배차 | 45~50분[5] | ||
운수사명 | 파주교통 | 인가대수 | 4대[6] | ||
노선 | 법원리우체국 - 연풍리 - 광탄삼거리 - 운정중앙역 |
3. 역사
4. 특징
- 전체 정류장이 편도로 202번은 4개, 101번은 6개뿐인 파주형 급행버스로 개통된 노선이다.
- 101번의 경우 사실상 7700번, 7701번의 상시운행 버전의 노선이며 차이점이라면 감악산출렁다리로 가지 않고 기점이 적성전통시장에서 운행이 시작되며 종점이 운정중앙역으로 연장된 것이다. 또한 파평면에 정차하며 두지리를 경유하지 않는다.
- 101번을 이용할 경우 문산에서 적성까지 92번보다 빠르게 이동할 수 있고, 202번을 이용할 경우 운정에서 광탄, 법원까지 10번보다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8] 하지만 고양시 일산신도시로는 진입하지 않으므로 금촌, 교하, 운정 등지에서 다른 노선으로 환승이 필요하다.
- 경기도 일반좌석버스 도색을 사용하지 않는다. 파주형 급행버스(PBRT) 자체도색이다. 파주시의 통학순환버스 도색과도 비슷한 모습이다.
- 773번(73번)이 일반시내버스로 형간전환된 이후, 12년만에 개통한 파주시 면허 일반좌석버스이다.
- 101번 버스를 타고 운정중앙역, 금촌역, 문산역에서 감악산출렁다리로 가려면 무조건 적성전통시장에서 하차 후 의정부 버스 25-1로 환승해서 감악산출렁다리 정류장에 하차해야한다.[9]
- 아직은 초창기라서 그런지 공기수송 중이지만, 101번의 경우 운정 쪽 수요보다 문산 ~ 적성 구간의 수요가 더 많다.
- 101번은 옛 7700, 7701번과 마찬가지로 민통선에 딱 붙어가는 구간이 있다. 다만 그 길이는 짧은 편이다.
- 202번은 경의중앙선과의 연계가 없으며 금촌 지역을 무정차한다는 점으로 인해 101번보다도 더한 공기수송이 예상된다. 서울로 갈 때는 774번 등 가성비가 좋은 이동수단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202번이 운정중앙역과 법원읍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인 광탄면, 파주읍에서 정차 위치가 둘 다 상당히 애매하다. 멀리 애매한 곳까지 걸어가서 202번 탈 바에 가까운 정류장에서 774번 타는 게 낫다. 그나마 일산 쪽이 목적지라면 이 노선을 타고 GTX나 67번, 80번 등을 이용하는 게 효율이 좋은 편이다. 202번의 운정 구간 수요가 영 안 나올 경우 금촌지구교차로 진출 후 금릉역 앞에서의 유턴회차를 통한 금릉역 경유 정도는 생각해볼 만하다.
- GTX-A와의 연계 노선으로서의 단점은 큰 요금저항이다. 이 노선의 기본요금은 성인 카드기준 2,450원이나 GTX의 기본요금은 환승할인 적용 기본요금 1,550원에 별도 기본요금 1,650원이므로 GTX로 환승 시 기본요금만 4,100원이라는 계산이 나온다. 거기에 거리비례요금이 붙으면 실제 요금은 눈덩이처럼 불어난다.
- 특히 101번의 경우 경의중앙선을 타고 대곡역에서 환승하는 것과 시간 차이가 거의 없으면서 요금만 천원 이상 비싸다. 그나마 적성면, 파평면에서는 이 노선이 바로 들어오면 좋지만 대기가 너무 길다면 타 노선을 통해 경의중앙선을 경유하는 게 좋다. 일산으로 갈 때도 운정중앙역에서 시내버스를 이용하는 게 소요시간 차이는 나지만 훨씬 싸다. 그나마 101, 202번이 다니는 어느 지역에서건 킨텍스를 1환승으로 갈 수 있다는 메리트는 있다.
4.1. 시간표
4.1.1. 101번
| ||||||
구분 | 1 | 2 | 3 | 4 | 5 | 6 |
1 | 4:30 | 7:25 | 10:20 | 13:20 | 16:30 | 19:30 |
2 | 5:10 | 7:55 | 10:55 | 14:00 | 17:00 | 20:15 |
3 | 5:50 | 8:30 | 11:30 | 14:40 | 17:30 | 21:00 |
4 | 6:25 | 9:05 | 12:05 | 15:20 | 18:10 | 21:45 |
5 | 6:55 | 9:45 | 12:40 | 16:00 | 18:50 | 22:30 |
| ||||||
구분 | 1 | 2 | 3 | 4 | 5 | 6 |
1 | 04:30 | 07:50 | 11:00 | 13:40 | 16:40 | 20:00 |
2 | 05:20 | 08:40 | 11:40 | 14:20 | 17:30 | 20:50 |
3 | 06:10 | 09:30 | 12:20 | 15:00 | 18:20 | 21:40 |
4 | 07:00 | 10:15 | 13:00 | 15:50 | 19:10 | 22:30 |
4.1.2. 202번
| ||||||||
구분 | 1 | 2 | 3 | 4 | 5 | 6 | 7 | 8 |
1 | 04:30 | 06:50 | 08:50 | 11:15 | 13:55 | 16:25 | 18:25 | 20:30 |
2 | 05:05 | 07:20 | 09:25 | 11:55 | 14:35 | 16:55 | 18:55 | 21:10 |
3 | 05:40 | 07:50 | 10:00 | 12:35 | 15:15 | 17:25 | 19:25 | 21:50 |
4 | 06:15 | 08:20 | 10:35 | 13:15 | 15:55 | 17:55 | 19:55 | 22:30 |
| ||||||||
구분 | 1 | 2 | 3 | 4 | 5 | 6 | 7 | 8 |
1 | 04:30 | 07:00 | 09:25 | 11:40 | 13:55 | 16:10 | 18:25 | 20:50 |
2 | 05:20 | 07:50 | 10:10 | 12:25 | 14:40 | 16:55 | 19:10 | 21:40 |
3 | 06:10 | 08:40 | 10:55 | 13:10 | 15:25 | 17:40 | 20:00 | 22:30 |
4.2. 노선
|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운정중앙역 50180 | |||||
↓ | ↑ | 다율교차로(경유) 미정차 | ||||
금촌역 30270 | 금촌역 30265 | |||||
월롱역 31173 | ↓ | ↑ | 월롱역 31171 | |||
문산역 30339 | 문산역 30338 | |||||
파평행정복지센터 31225 | ↓ | ↑ | 파평행정복지센터 31224 | |||
적성전통시장 50032 | 적성전통시장 30750 |
|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운정중앙역 50180 | |||||
↓ | ↑ | 다율교차로(경유) 미정차 | ||||
광탄삼거리 31238 | 광탄삼거리 30864 | |||||
연풍삼거리 30527 | ↓ | ↑ | 연풍리 30525 | |||
법원리우체국 30586 | 법원리우체국 3058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