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4 18:30:42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수도권 전철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
5호선 6호선 7호선 8호선
9호선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인천 1호선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인천 2호선
]]
경강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경의·중앙선
]]
경춘선 공항철도 서해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인·분당선
]]
신분당선 신림선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우이신설선
]]
[[용인 에버라인|
용인 에버라인
]]
GTX-A
미개통 전철 노선 보기
}}}}}}}}} ||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수도권광역급행철도에이선​(운정~서울) 운정중앙역 ~ 서울역
(33.7km)
명칭 미고시미개통 서울역 ~ 수서역
(16.3km)
수도권광역급행철도에이선​(수서~동탄)[a] 수서역 ~ 동탄역
(34.9km)
[a]: 85.84%의 구간을 수서평택고속선과 공유함.
역 목록 | 역사 | 연장 | 문제점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c1d1f>파일:GreatTraineXpress_A.svg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首都圈 廣域急行鐵道 A線
GTX Line A
}}}
파일:GTX-A 19편성.jpg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A000호대 전동차
노선도
[ 펼치기 · 접기 ]
파일: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노선도(2024_12).svg
노선 정보
분류 간선철도
일반철도[1]
고속철도(수서평택고속선 공유 구간)
광역철도
지정구간
전구간(광역급행철도)
차량 분류 중전철(광역급행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구성 노선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운정중앙~서울역)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수서~동탄)[2]
기점 운정중앙역 수서역
종점 서울역 동탄역
역 수[3] 5개 4개
상징색
자주색 (#9A6292)
개통일 2024년 3월 30일([age(2024-03-30)]주년)
소유기관 대한민국 정부[4]
국가철도공단에 소유권 행사 위임
운영기관 에스지레일(주)
운정중앙~삼성 구간 사업 시행
지티엑스에이운영(주)[5]
GTX-A 전 구간 열차 운영
운정중앙~구성 구간 역사 운영
운정중앙~수서분기 구간 시설물 유지보수
(주)에스알
동탄역 운영
한국철도공사
수서분기~동탄(수서평택고속선) 구간 시설물 유지보수
사용차량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A000호대 전동차
차량기지 운정차량사업소 SRT 수서역 정비시설
동탄역 임시 경정비시설[6]
노선 제원
노선연장[7] 33.7㎞
(운정중앙~서울역)
34.9㎞
(수서~동탄)
궤간 1,435㎜
선로구성 복선(운정중앙~수서분기)
단선병렬(수서분기~동탄)
급전방식 단상 교류 25,000V 60㎐ 가공전차선
신호장비 ERTMS Lv.1 (ATP)(운정중앙~수서분기)
TVM430-SEI (ATC)(수서분기~동탄)
최고속도 180㎞/h
영업속도 180㎞/h 운정중앙~수서 구간
170㎞/h 수서~동탄 구간[8][9]
표정속도 91.9㎞/h
운정중앙~서울역
93.7㎞/h
수서~동탄
지상구간 평택지제(예정)
통행방향 좌측통행
개통 연혁 2024. 03. 30. 수서동탄(구성 제외)
2024. 06. 29. 구성
2024. 12. 28. 운정중앙서울역
개통 예정 2026. 06. 서울역수서(삼성 제외)[10]
2028. 04. 삼성[11]
2030. 12. 창릉
미정. 동탄평택지제[12]
미정. 천안아산역[13]
국가철도 노선 정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norma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54A6><colcolor=#fff> 수도권광역급행철도에이선
首都圈廣域急行鐵道A線 | GTX Line A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이 위임)
운영기관 지티엑스에이운영(주)
노선번호 327
노선명 수도권광역급행철도에이선(운정~서울) 수도권광역급행철도에이선(수서~동탄)
종류 간선철도, 광역철도
광역전철
노선
전 구간
영업거리 68.6㎞
궤간 1,435㎜
역수 9개
기점[14] 운정중앙역 수서역
종점[15] 서울역 동탄역
급전방식 단상 교류 25,000V 60㎐ 가공전차선
신호장비 ATP(운정중앙~수서분기)
ATC(수서분기~동탄)
선로최고속도 180㎞/h
선로 수 2
개업일 2024년 3월 30일
운영노선 SRT (수서분기~동탄)[16]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

1. 개요2. 건설 목적3. 역사4. 역할5. 역 추가 및 연장 논의6. 열차 운행 및 배차간격7. 효과
7.1. 소요 시간 단축7.2. 2단계 구간(운정중앙역서울역)의 흥행
7.2.1. KINTEX, 고양종합운동장 접근성 개선7.2.2. 7권역(고양시, 파주시) 주요 버스 노선에 대한 타격7.2.3. 서울 지하철 3호선 수송량 감소
7.3. 혼잡 구간
8. 문제점9. 역 목록10. 환승역11. 소재지12. 차량기지13. 차량14. 주행 영상15. 운임16. 사건 사고17. 역별 승하차 통계18. 기타
18.1. 역내 시설 및 안내
19. 관련 문서20. 둘러보기

1. 개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공식 홍보 영상 국토교통부 채널 개통 전 홍보 영상[17]
<keepall>
빛나는 여정의 시작
빛처럼 빠른 속도로
수도권에 별자리를 새기다

개통 캐치프레이즈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의 첫 번째 노선으로, 노선색은 자주색.[18][19]

현재 운정중앙역~서울역 구간과, 수서역~동탄역 구간이 각각 따로 개통한 후 분리 운행하고 있다. 서울역~수서역 구간이 2026년에 개통되면 두 구간이 직결될 예정이지만 삼성역은 중간 미개통역으로 당분간 남아있을 예정이며[20] 2028년 4월에 삼성역[21], 2030년에 창릉역이 개통할 예정이다.

2. 건설 목적

  • 수도권 서북부(고양·파주) 지역의 강남 및 판교테크노밸리 접근성 극대화
    현재 일산신도시운정신도시 등에서 서울 강남으로 가려면 광역버스(9700번, M7412번, G7426번)를 타거나 서해선을 타고 김포공항역으로 가서 9호선 등으로 갈아타야 한다. 광역버스를 타면 강남역에서 일산까지 50분, 운정까지 1시간 정도 걸리고[22] 전철을 타면 신논현역에서 일산역까지 70분 정도 걸린다. 판교로 가려면 강남으로 가는 것보다 30~50분 더 걸린다.[23] GTX를 타면 삼성에서 대곡 20분, 킨텍스 25분, 운정 30분으로 소요시간이 절반 이상 줄어든다. 또한 수도권의 기업 밀집지구 중 하나인 판교테크노밸리의 접근성 또한 올라간다. 성남역에서 한 번만 갈아타거나 걸어가면 된다.

3.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역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역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역할

경기도 일산 및 파주 지역의 경우 3호선 배차는 경의중앙선보단 짧아도, 구파발행으로 인해서 일산 구간은 출퇴근시간에도 8~9분이라는 긴 배차를 가진 데다 크게 돌아가기 때문에 도심으로 가는 시간이 많이 걸리며, 경의·중앙선은 10분이 넘는 배차간격과 잦은 지연으로 도심으로의 이동이 불편하였다. 그러나 GTX-A는 선형도 매우 좋은데다 환승저항이라는 요소가 있음에도 도심으로의 접근 시간도 매우 빠르고, 배차간격이 RH 6~7분으로 짧은 데다가 열차 크기도 8량으로 최근 지어진 노선 중에서는 가장 큰 편이라 도심으로의 이동이 편리하다.

일산, 파주는 GTX-A 개통 전에는 철도교통이 그다지 안 좋았기 때문에[24] 이 지역 주민들은 대부분 버스교통에 대한 의존도가 상당했다. 문제는 광역버스는 입석이 불가능하기에 버스를 4~5대를 보내는 경우도 매우 흔한데다 설령 버스를 타도 자유로, 제2자유로, 강변북로라는 수도권에서도 가장 막히는 고속화도로를 지나야 해서 시간이 평상시보다 2~3배로 늘어나는 경우가 매우 흔하다. 그래서 운정<->서울역 개통 이후에, 3호선과 경의중앙선 이용객, 그리고 고양시와 파주시 광역버스 승객들이 상당수 GTX-A로 넘어오면서 이들 노선에 큰 타격을 입혔고, 완전 개통을 하게 되면 이 추세 또한 가파를 것으로 예상된다.
운정신도시, 일산신도시에서 서울 중심지인 서울역, 강남, 성남/용인을 거쳐 동탄신도시까지 이어지는 노선이다. 동탄, 운정, 고양시 일대에서 서울 사대문안과 강남 접근성을 더 좋게 할 목적으로, 그리고 대중 교통이 좋지 않았던 KINTEX의 접근성 개선도 고려해서 지어진 노선이다.

현재 북부 구간은 운정신도시, 일산신도시에서 서울 사대문안을, 남부 구간은 동탄신도시에서 강남 수서를 잇는다. 서울역-수서역 간이 직결되고 삼성역이 개통되고 나면 운정을 출발해 사대문안, 강남을 거쳐 판교, 동탄으로 갈 수 있어 경기 서북부 권역은(운정/일산) 강남, 경기 남부(판교, 용인, 동탄) 접근성이 대폭 개선되며, 반대로 경기 남부권은 도심 접근성이 좋아진다.

2024년 3월 30일 수서~동탄 구간 개통 이후 2024년 12월 28일에 운정중앙역~서울역 간이 2차로 개통하면서 운정신도시, 일산신도시 일대에서 서울 사대문안을 가장 빠르게 잇는 노선이 됐다. 현재는 북부 구간의 개통 여파가 더 큰 편인데, 개통 전에는 운정에서 숭례문을 오가던 M7111, M7154와 일산에서 서울을 잇는 M7731, 1000번은 입석 금지 때문에 여러 대를 보내야 했고, 대화역도 착석하기 위해 역주행하는 수요와 운정에서 오는 수요도 많았으며, 3호선과 경의·중앙선은 그야말로 지옥철을 방불케 했다.

하지만 2차 개통 이후 운정신도시의 야당역, 운정역3호선 대화역 이용객이 줄고, M7111, M7731과 1000번의 이용객도 상당히 줄었다. 특히 M7154는 심할 정도로 승객이 급감했다. GTX-A 북부 구간이 개통되면서 운정/일산↔도심행 광역버스는 타격을 크게 입었다.

KINTEX도 접근성이 개선되었다. 킨텍스역에서 열차를 타면 서울역까지 17분이면 가기에 KINTEX에서 서울을 가장 빠르게 잇는 노선이 됐다. 거기에 서울역은 일반 열차와 1, 4호선 환승역이라 지방이나 서울에서도 가기 편해지면서[25] 행사 방문객이 개통 전에 비하면 계속해서 늘고 있다. 앞으로 킨텍스 행사 때마다는 열차가 평일보다 더 혼잡해질 지도 모른다.

운정↔동탄 전 구간 운행 시에는 운정/일산에서 강남, 판교, 동탄을 빠르게 잇고 경기 동남부권에서 서울 도심을 가장 빠르게 잇는 노선이 된다.

5. 역 추가 및 연장 논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연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연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연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열차 운행 및 배차간격

열차 운행 및 역사, 시설물 관리는 서울교통공사의 자회사인 지티엑스에이운영에서 담당하고 있다.

1차 개통 구간인 수서역~동탄역 구간은 운정차량사업소와 연결되지 않았고 수서평택고속선이랑 선로공유를 하는지라 SRT 시간표의 영향을 받아 배차간격이 6~37분으로 매우 불규칙하다. 그래서 퇴근시간대에 37분 배차간격이 있다.[26] # 선행대피 스케줄은 따로 없어 수서에서 동탄까지 21분 소요된다. # 다만 SRT 열차가 지연될 경우에는 대피하는 경우가 있다. 2024년 12월 28일 북부 구간의 개통으로 수서↔동탄 간 열차도 8회 증편되어 배차간격이 소폭 단축되었다.

2차 개통 구간인 운정중앙역~서울역 구간은 다른 열차와 선로공유를 하지 않는 전용구간이라 RH 6분 15초, 평시에 8~10분 간격으로 운행한다.[27]

개통 당시에 계획상 6~7분 첨두배차가 갑작스럽게 일괄 10분 간격으로 늘어나 운정, 일산 지역에서의 반발이 있었다. 이후 국토교통부에서 안정화를 위해 임시로 배차간격을 늘린다고 해명했고, 안정화 완료 시 원상 복귀하겠다고 밝혔다. 이후 시운전을 거쳐 안정화 후 2025년 3월 1일부터 열차를 추가 투입해 첨두 6분 15초, 평시 8~10분에 한 대 꼴로 운행 중이다. 다만, 첨두시간대에는 지연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28]

수서↔동탄, 운정↔서울역 모두 첫차가 5시 반에 출발하며, 막차는 기종점역에서 자정을 넘긴 시각에 출발해 새벽 1시에 운행이 종료된다.

최소 2026년 상반기까지 수서역~동탄역 구간과 운정중앙역~서울역 구간은 서로 직결되지 않고 나뉘어 운행한다. 만약 서울역에서 수서역으로 가려면, 1호선을 타고 종로3가역에서 3호선으로 환승하거나, 4호선을 타고 충무로역에서 3호선으로 갈아타야 한다. 또 401번 등의 버스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서울역에서 성남역의 경우는 9401번을 타고 갈 수 있다.

직결 시에는 열차 운영계획상 수서-동탄 간은 첨두 배차가 8분, 평시 15분으로 단축된다. 그리고 운정↔수서 간은 RH 6분 15초, NH 10분으로 운행되기에 현행 운정-서울역 간 배차간격과 동일하다. 현재로서는 2026년 6월에 서울-수서 간을 직결할 계획이다.[29]

7. 효과

7.1. 소요 시간 단축

GTX A선의 시간 단축 효과 (1단계 개통구간)
<rowcolor=#ffffff> 출발지 도착지 이동수단 이동경로 소요시간 시간비교
분당신도시 이매역 수서역 기존 전철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승차 → 수서역 하차 16분 +10분
성남역 GTX-A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GTX 승차 → 수서역 하차 6분 -
판교신도시 화랑공원 수서역 광역버스 승차 → 수서역 하차 22분 +16분
판교역 기존 전철 1안: 파일:GyeonggangLine_icon.svg 경강선 승차 → 이매역에서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으로 환승 → 수서역 하차 19분[30] +13분
2안: 파일:SinbundangLine_icon.svg 신분당선 승차 → 양재역에서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으로 환승 → 수서역 하차 28분 +22분
성남역 GTX-A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GTX 승차 → 수서역 하차 6분 -
용인시 구성역 수서역 기존 전철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승차 → 수서역 하차 36분 +21분
GTX-A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GTX 승차 → 수서역 하차 15분 -
동탄신도시 동탄역 성남역 광역버스 탑승 → 판교역동편 하차 42분 +28분
GTX-A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GTX 승차 → 성남역 하차 14분 -
GTX A선의 시간 단축 효과 (2단계 개통구간)
<rowcolor=#ffffff> 출발지 도착지 이동수단 이동경로 소요시간 시간비교
운정신도시 새암공원 서울역 광역버스 탑승 → 숭례문 하차 54분 +32분
야당역 기존 전철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급행 승차 → 서울역 하차 40분 +18분
운정중앙역 GTX-A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GTX 승차 → 서울역 하차 22분 -
일산신도시 대화역 서울역 광역버스 탑승 → 숭례문 하차 65분 +48분
기존 전철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탑승 → 대곡역에서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급행으로 환승 → 서울역 하차 41분 +24분
킨텍스역 GTX-A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GTX 승차 → 서울역 하차 17분 -
고양시 대곡역 연신내역 기존 전철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탑승 → 연신내역 하차 20분 +14분
GTX-A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GTX 승차 → 연신내역 하차 6분 -
서울역 기존 전철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급행 승차 → 서울역 하차 25분 +13분
GTX-A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GTX 승차 → 서울역 하차 12분 -
서울 은평구 연신내역 서울역 시내버스 탑승 → 서울역 하차 28분 +23분
기존 전철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탑승 → 종로3가역에서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으로 환승 → 서울역 하차 26분 +21분
GTX-A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GTX 승차 → 서울역 하차 5분 -

현재는 2024년 12월 28일에 개통한 운정중앙역↔서울역 구간의 효과가 더 큰데, 운정신도시와 일산 쪽에서는 도심의 중심지인 서울역과 바로 연결되고 GTX만 운행하는 단독구간이라 RH 배차간격이 6분 15초, 평시 8~10분 간격으로 짧기 때문이다.

수서↔동탄 구간은 SRT와 선로 공유를 하고, 선로가 운정기지와 연결되지 않아 배차 간격이 불규칙하고 길며 강남 외곽인 수서역이 종착지라 연계가 애매해서 수요가 비교적 낮다. 현재로서는 배차 짧고 중심지인 강남대로로 들어가는 강남행 광역버스를 타는 게 더 빠르며,[31][32] 동탄역의 시내버스 연계가 그리 좋지 않은 것도 한몫한다. 추후 한강 이북 구간과의 직결이 완료되고 삼성역도 개통되어야 수서-동탄 구간의 이용객도 한강 이북 구간만큼의 증가세를 기대할 수 있을 전망이다.

7.2. 2단계 구간(운정중앙역서울역)의 흥행

GTX-A 개통 전 일산↔도심행 광역버스는 연대앞까지 버스전용차로를 타서 어느 정도 정시성이 보장되었다. 이후부터는 정체에 갇히고 돌아오는 방향은 독립문부터 이대까지 정체에 갇힌다.[33] 그리고 중앙로 고양 BRT가 포화되어 시간이 오래 걸렸다.

운정신도시에서 자유로/강변북로를 타는 버스도 상황은 마찬가지로, 도심행 광역버스인 M7111은 신성교통의 경영난으로 배차 간격이 불규칙하고, M7154는 준공영 전환 이후에도 배차 간격이 30분 이상이며 출퇴근 때에는 서울 시내, 제2자유로의 정체에 갇혀 시간이 꽤 걸린 점을 감안하면, GTX-A 체감 단축시간이 꽤나 크다.

고양, 파주에서 서울로 향하는 전철 노선이 두 개가 있지만, 일산신도시를 지나가는 3호선은 원당으로 돌아가고, 구파발행이 중간에 끼어 배차 간격이 짧진 않으며[34], 운정신도시와 구일산 지역을 지나가는 경의·중앙선은 서울을 빠르게 이어 주지만 선로용량 포화로 덕소, 용문, 지평행 열차는 평시 배차 간격이 15~20분, 서울역 지선은 30~1시간에 한 대일 정도로 배차간격이 상당히 길어 이용에 불편함을 겪었다.

GTX-A 개통으로 운정신도시와 일산, 킨텍스 지구 일대에서 서울 도심을 가장 빠르게 잇는 노선이 되었다. 비록 운정3지구 일부단지와 킨텍스 일대를 제외하고는 대곡역에서 환승이 필요하지만, 그래도 서울 가는 시간이 대폭 줄었다. 특히 능곡 이북의 경의선 연선에서 서울역으로 가는 경우 대곡역에서 GTX-A로 환승하여도 기존보다 소요시간이 상당히 줄어들게 되어[35], 열차가 드물게 다니는 행신역의 의존도가 컸던 KTX 접근성이 좋아졌다. 운정신도시와 일산/고양 지역은 배차간격이 적당한 급행 지하철이 하나 생긴 셈이다. [36]

덕분에 교통 혁명노선, 갓티엑스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다. 개통 후에 1000번, M7111번, M7119번, M7154번, M7731번 등 여러 광역버스들의 출/퇴근 수요에 타격을 입혔고,[37] 제2자유로, 자유로 이용 자차 수요도 흡수했다. 운정의 또 다른 전철 노선인 경의중앙선의 운정역, 야당역에서도 GTX 개통 여파로 이용객이 1,000여 명 정도 빠져나가 경의·중앙선의 혼잡도를 조금 분산시켰다.

추후 서울 시내 구간이 연결되어 동탄으로 직결되면 수서역에서 SRT를 이용할 수 있어 고속열차와의 연계가 향상되고, 삼성역 개통 시에는 고양/일산, 운정 일대에서 강남을 가장 빨리 잇는 노선이 되며, 운정과 고양시의 강남 접근성이 대폭 개선될 전망이다.

김포시도 어느 정도 혜택을 봤다. 킨텍스역이 김포 도심과 멀리 떨어져 있지 않아 김포 골드라인 이용객을 분담할 수 있다. 2024년 12월 28일에 북부 구간이 개통되어 운행 중이며, 이에 맞춰서 김포시에서는 킨텍스역을 연계해주는 33번33-2번 버스 노선을 개통했다. 또한 요금이 비싸도 이전 역이 운정중앙역 하나뿐인 GTX-A는 김포 구도심에서는 타기 어려운 김포 골드라인보다는 낫다. GTX 서울역은 공항철도 서울역보다 입지가 좋고, 배차간격은 공항철도보다 GTX가 조금 긴 정도이므로 공항철도보다 크게 불편한 점도 없다.

7.2.1. KINTEX, 고양종합운동장 접근성 개선

Q(기자). 교통혁명이라 불리는 GTX-A 노선이 서울역까지 개통했다. 효과를 실감하는지.
A(이재율 킨텍스 대표). 글로벌 유명 게임회사의 국내 전시회 공모에서 교통 불편 때문에 탈락했다. 올해 2회 행사에 입찰했는데 한국지사는 GTX-A 개통으로 교통이 개선됐다는 걸 인정했지만 본사가 거절했다. 본사 관계자를 출장 오게 해 서울역에서 GTX를 태워줬는데 16분 만에 킨텍스역에 도착하자 깜짝 놀라더라. 이틀 후에 계약을 체결했다. 또 다른 실례로 GTX 개통 후 열린 마이펫페어 전시회를 분석해 보니 지난해 대비 관람객 수는 5% 늘었는데 주차 입차량은 오히려 14% 감소했다.
킨텍스, 세계가 주목하는 마이스 기업으로 도약한다 (경기일보, 2025년 3월 6일)[38]
굳이 이번 플레이엑스포가 아니더라도 킨텍스에선 각종 행사가 워낙 자주 열리니 'GTX-A'라는 존재에 대해 엎드려 절을 해야 할 수준이다. 서울역에서 킨텍스역까지 단 16분 만에 가는 것에 대한 놀라움은 직접 타봐야 더 크게 체감이 된다. 이하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심지어 환승이나 착석 가능 여부 등을 비롯해 거의 모든 이용 경험 전반이, 지금까지의 대중교통 이용과 비교해보면 '완벽'에 가깝다 평가할 만하다.
- 김승준, 디스이즈게임, [PlayX4 2025] 채워지지 않는 완벽함 'GTX-A'는 무엇을 바꿨나


육인수 국토교통부 철도국 광역급행철도건설과 팀장이 설명하는 GTX-A 노선 특징.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이용객이 고양종합운동장KINTEX 행사에 따라 이용객이 는다고 밝히고 있다.

고양시에 있는 KINTEX 행사 관객 수용도 아주 큰 효과를 보고 있다.

개통 전 KINTEX로 오려면 신촌 일대나 합정역으로 와서 M7731번을 이용하거나 3호선을 1시간 이상 걸려 대화역까지 와야 했다. 그마저도 M7731번은 수요 감당을 위해 합정-킨텍스 간 단축 계통 운행과 법을 어겨가며 입석 탑승까지 불사하였음에도 과수요에 시달렸고, GTX-A선 개통 직전 대광위 이관된 후에는 입석금지까지 시행되면서 버스를 몇 대씩 보내는 일이 허다했다. 또한 대화역에서는 킨텍스가 꽤나 떨어져 있고 보이지 않아서 체감 접근성이 더욱 떨어졌다.

그러나 GTX-A 개통으로 서울역에서 KINTEX를 17분 만에 갈 수 있고, 킨텍스역이 킨텍스 바로 코앞에[39] 들어서면서 KINTEX 접근성도 더욱 개선되었다. 동시에 M7731번과 3호선 대화역 이용 수요를 상당히 흡수했다.

KINTEX 측에서는 GTX-A 개통 후 시너지를 끌어올리기 위해 2025년 하반기에 메인 게이트를 킨텍스역 방향으로 옮기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고양종합운동장도 GTX-A 수혜를 입었다. 고양종합운동장에서 시행하는 축구 경기나 콘서트의 흥행 수치가 더욱 높아졌다. 무엇보다 서울월드컵경기장이 잔디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탓에 그라운드석을 판매하는 공연은 대관 불가 방침을 내렸고 잠실 주경기장의 공사 등으로 고양종합운동장 주경기장 문서에 나오듯 개최 수요를 짊어지고 있는데 GTX-A 덕에 차질이 거의 없는 만큼, 흥행은 둘째치고 앞으로도 유사시 중요 행사가 지속해서 고양에서라도 이루어질 안전판 역할을 할 수 있다. 고양시에서도 이에 맞추어 대규모 공연 및 경기가 있을 시 킨텍스역과 경기장을 연계해주는 셔틀 형태의 98-1번 버스를 신설하였다.

7.2.2. 7권역(고양시, 파주시) 주요 버스 노선에 대한 타격

개통 후 7권역↔도심 간 광역버스 노선에 엄청난 타격을 줘 대부분이 노선 조정 및 폐선에 이르는 상황을 맞이할 수 있다.

파주시의 주요 광역버스 노선인 M7111번은 2024년 12월 GTX 개통 이전 일평균 1,600명 가량이 승하차했는데, 개통 이후인 2025년 2월 기준 일평균 1,128명으로 30% 정도 줄었다. G7111번은 더 심해서 GTX 개통 이전 일평균 460명 가량이 이용하던 노선이 2025년 2월 기준 일평균 190명 수준으로 이용객이 60% 가량 급감하였고, M7154번 역시 GTX 개통 이전 일평균 860명 수준에서 2025년 2월 일평균 329명으로 이용객이 61%나 급감했다. 이렇듯 파주 ↔ 서울 도심지역 간 광역버스들은 GTX 개통 여파로 타격을 크게 입었다.[40]

고양시고양 버스 1000도 GTX 개통 이전 일평균 10,500명 수준에서 GTX 개통 이후 일평균 9,275명으로 12% 가량 이용객 감소가 나타났고, 광역급행버스 M7731도 GTX 개통 이전 일평균 5,500명 수준(2023년)에서 GTX 개통 이후 일평균 4,173명으로 23% 가량 이용객이 감소했다. 2024년 12월 2025년 2월 광역급행버스 M7119(고양시 식사동서울역) 노선은 통계로는 20% 이상 급감한 걸로 나온다. 특히 고양 버스 1000은 일산신도시 구간에서 이용객이 줄었다.[41] 결국 능곡역-서울역을 오가는 광역급행버스 M7129는 2025년 2월 25일에 완전히 폐선이 되고 말았다..

GTX-A선이 삼성역(영동대로 복합환승센터), 수서역, 성남역, 구성역, 동탄역까지 완전 개통할 경우 서울 9711번, M7412번, 9600번, 9700번, G7426번 등의 파주/일산 ↔ 강남 간 버스들은 심각한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GTX-A 완전 개통 시 경기순환버스8109번(일산-분당)의 경우 분당-일산 직통 수요는 사실상 소멸되어 일산-양주[42], 별내-일산, 성남-구리[43] 등의 구간 수요만 남을 것으로 예측된다.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정체로 일산-분당 간 편도 2시간이 넘는데 GTX를 타면 킨텍스역-성남역 구간의 소요시간이 편도 35분으로 대폭 줄어들기 때문이다. 다만 독점 구간인 일산-구리, 성남-양주(의정부) 수요의 추이에 따라 노선의 존폐 여부가 갈릴 것이다.

공항버스 5600의 경우도 운정에서는 사실상 없는 노선 취급이다. GTX-A 이후 서울역에서 공항철도를 타는 것이 훨씬 간격도 짧고 소요시간도 빠른 편이라, 운정-인천공항 간 사실상 표준적인 경로로 굳어버렸다.

7.2.3. 서울 지하철 3호선 수송량 감소

서울특별시의회서울교통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서울 지하철 3호선[44]의 수송량이 감소하였다고 한다. 승객 일부가 3호선의 급행 격으로 본 노선을 타게 된 것이다. #

7.3. 혼잡 구간

북부 구간은 출퇴근 시간 배차간격이 6분 15초, 평시 배차간격이 8~10분으로 단축된 이후 열차 내부 혼잡도는 아주 여유로운 편이다. GTX 열차 내부에 혼잡도를 실시간 표출하는 화면이 있는데 사람이 아주 많이 탄다 싶어도 '여유'에서 바뀌지를 않는다. 수치상 혼잡도는 100%에도 미달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서울역에서 엘리베이터 부족 문제로 역 내부가 혼잡하다.
  • 운정중앙역: 종점이라 착석이 보장되는 유일한 역이며 시내버스, 자가용, 자전거 등으로 운정신도시 일대에서 몰려든다. 여기서 타면 대부분 서울역까지 간다.
  • 고양시 구간(킨텍스역, 대곡역): 킨텍스역에서는 거의 내리지 않고 타기만 하며 대곡역에서도 3호선과 경의선 타고 온 사람들이 많이 탄다. 출근시간대 서울역행은 거의 앉을 자리가 없어 서서 가야 한다. 간혹 대곡역에서 서해선으로 갈아타기 위해 하차하는 경우도 있으며, 킨텍스역은 KINTEX 전시 행사가 있으면 거꾸로 서울에서 올라온 방문객들로 터져나가며, 고양종합운동장에서 공연이 있을 때에도 마찬가지로 터져나간다.
  • 연신내역: 3호선 도심 구간이나 신사동 및 양재동 구간, 6호선 상암동 및 이태원 일대로 가기 위해 일부 하차하나 택시보다 빨리 서울역이나 명동, 용산구 신용산역 및 삼각지 일대로 가기 위해 더 많이 승차한다. 혼잡도는 100%를 훌쩍 넘겨 손잡이를 잡지 않고 입석으로 타야 한다.
  • 서울역: 북부 구간 종착역으로 거의 모든 승객이 아침에 하차하는 역이다. 역 자체는 넓지만 지하 깊이 있는 대심도 노선의 특성상 고속 엘리베이터가 2대 있다. 1호선은 에스컬레이터를 타도 5분 이내에 환승이 가능하지만 주말, 공휴일에도 공항철도 직통열차나 기차를 타러 가는 사람들이 엄청나게 많기 때문에 혼잡도는 별 차이가 없다.

아직 서울역까지만 개통했음에도 인기도가 높은 교통혁명적인 철도 노선이다. 향후 수서~동탄 구간과 직결되면 평시에도 자리가 다 차고, 출근시간대에는 한두 대 보내고 타야 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심지어 주말에도 킨텍스에서 행사를 하거나 운정신도시에서 일반철도를 이용하기 위해 이 노선을 자주 타서 붐빈다. 남부 수서<->동탄 간도 연계 교통 강화로 인해 이용객이 점차 늘고 있다.

수서↔동탄 간은 수서평택고속선 선로공용 구간이다. 그래서 상위 등급의 열차인 SRT에 우선권이 있어 배차간격이 길고 불규칙하지만 연계 교통 강화 등으로 인해 개통 초반에 비해 승객들이 늘고 있다. 추후 서울역↔수서 간 직결 시 동탄까지 가는 열차 운행 횟수가 현행 60회에서 100회로 늘어날 예정이라 배차 간격이 첨두 8분, 평시 15분 정도로 단축된다. 강북 중심지인 서울역으로 직결되고 삼성역까지 개통하면 남부 구간도 수요 증가를 기대해볼 수 있다.[45][46][47]
  • 동탄역: 남부 구간에서 제일 이용객이 많다. 대부분 강남으로 출근하는 사람들이 많이 타며, 연계 대중교통 강화로 승차 인원이 개통 초에 비해 점점 늘고 있다. 여기서 타면 대부분 수서역까지 가며, 구성역, 성남역에서 SRT를 타기 위해 내려오는 수요도 소수 있다.
  • 구성역: 2024년 6월 30일에 개통했으며, 강남으로 출퇴근하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SRT를 타기 위해 동탄역이나 수서역으로 가는 수요도 있다.
  • 성남역: 남부 구간에서 제일 이용객이 적다. 경강선과의 환승 위주로 이용하며, 판교테크노밸리 출퇴근 수요가 소수 있지만, 판교와는 애매하게 멀고 경강선, GTX 배차가 모두 좋지 않기 때문에 제일 이용객이 저조하다. 물론 서울역 까지 직결되면 GTX 배차가 좋아져서 이용객이 늘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48] 다만 앞에서 서술한 대로 경강선 배차가 좋지 않은 문제가 있어서 GTX 배차가 좋아져도 경강선 배차 때문에 계속 문제가 있을 것이다. GTX-A가 완전개통하면 출근시간 동탄행 열차에 남은 사람들마저 이 역에서 대거 빠질 가능성이 높다.
  • 수서역: 남부 구간의 종착역. 수인·분당선3호선이 만나는 환승역이라, 출퇴근 승객들은 수인/분당선이나 3호선으로 갈아타서 강남을 오간다.[49] 수서역이 강남구 외곽이라 접근성이 살짝 떨어지기 때문이다. 남부 구간에서 두 번째로 이용객이 많다. GTX-A가 완전개통되면 출근시간 동탄행 열차는 수서역부터는 착석이 가능할 전망이지만, 성남역으로 판교신도시 출퇴근 수요 때문에 어느 정도 입석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하지는 못한다.

8. 문제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문제점 및 논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문제점 및 논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문제점 및 논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역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역 목록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역 목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역 목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9a6292>
(북부 구간)
>
(중부 구간)
> >
>
중부(연결) 구간은 현재 공사 중이며, 삼성역은 추후에 따로 개통하기 전까지 통과합니다.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10. 환승역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환승역 일람
<rowcolor=#fff> 역 번호 역명 환승 노선
X103 대곡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파일:SeohaeLine_icon.svg 서해선
X105 연신내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파일:Seoulmetro6_icon.svg 6호선
X106 서울역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파일:Seoulmetro4_icon.svg 4호선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파일:AREX_icon.svg 공항철도
X108 수서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X109 성남 파일:GyeonggangLine_icon.svg 경강선
X110 구성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11. 소재지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운영사 및 소재지 일람
<rowcolor=#fff> 운영사 소재지 구간 구별 역 갯수
북부 구간
지티엑스에이운영(주) 경기도 파주시 운정중앙역 1
고양시 일산서구 킨텍스역 1
덕양구 대곡역 1
서울특별시 은평구 연신내역 1
중구 서울역 1
남부 구간
지티엑스에이운영(주)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역 1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성남역 1
용인시 기흥구 구성역 1
화성시 동탄역 1

12. 차량기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운정차량사업소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운정차량사업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운정차량사업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차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차량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차량#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차량#|]]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전동차
지티엑스에이운영 A000호대 (현황)

14. 주행 영상

수서역 동탄역 주행 영상(2024년 3월 19일 촬영)[50] 서울역 → 운정중앙역 주행영상

15. 운임

<rowcolor=#fff> 도착역
출발역 운정중앙 킨텍스 대곡 창릉 연신내 서울역 삼성 수서 성남 구성 동탄
운정중앙 3,200 3,450 - 3,950 4,450
킨텍스 3,200 3,200 - 3,700 4,200
대곡 3,450 3,200 3,200 3,700
창릉 - - - - -
연신내 3,950 3,700 3,200 - 3,200
서울역 4,450 4,200 3,700 - 3,200
삼성
수서 3,450 3,950 4,450
성남 3,450 3,450 3,950
구성 3,950 3,450 3,450
동탄 4,450 3,950 3,450
운임 할인: 청소년 10% / 어린이 50% / 장애인·유공자 50%[51] / 경로 30% 할인 | 주말 10%[52]
상기 운임은 평일 성인 기준

기존 전철보다 훨씬 빠르기에 요금이 비싸게 책정되었다.[53]

기본 요금(10km까지)만 3,200원이며,[54] 거리요금은 5km당 250원씩[55] 붙어 운정중앙역↔서울역, 수서역↔동탄역은 각각 4,450원이다. 단, 승차 태그 후 동일 역에서 하차 태그 시 별도부과 요금 1,650원은 부과되지 않는다.

GTX-A선 개찰구로 승차하면 먼저 환승할인 적용 기본요금 1,550원만 지불되고, 하차할 때 별도부과 기본요금 1,650원과 거리요금이 함께 지불되는 방식이다.

또한 이 노선은 다른 수도권 전철 노선과 달리 노인, 장애인, 국가유공자도 무임승차 대상이 아니다.[56] 노인들은 부산김해경전철 이후 13년 만의 완전 유임 노선이며 수도권 전철에서는 1974년 8월 15일 서울 지하철 1호선 개통 이후 50년 만에 수도권 전철 중에 최초의 유임승차 노선이며 장애인도 1993년 이후 31년만에 수도권 전철 중에 최초의 유임노선 이다.[57] 운임 할인은 다음과 같다. # 할인체계가 일반 여객열차와 유사하나 특이점은 중증장애인 보호자에게 제공되는 할인도 없다는 점이다.#

주말은 별도부과 기본요금에서 10%가 할인된다. # 총 요금(환승할인 적용 기본운임(1550) + 별도 기본운임(1650) + 환승할인 적용 구간요금 + 별도 구간요금)의 10%를 별도 운임에서 빼준다. 그 덕분에 장애인이나 유공자인 경우에는 주말 요금 할인이 별도부과 기본요금 정액인 50원으로 제한이 된다. 주말 할인은 토, 일에만 적용되며 법정공휴일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노선은 ABC 공통으로 역세권KINTEX, 서울역북부역세권개발사업에 따른 컨벤션센터, COEX, SETEC, 성남전시컨벤션센터(A선), 창동역 서울아레나, 양재역 aT센터, 수원역 수원메쎄(C선), 송도컨벤시아, 부천종합운동장, 여의도역, 용산국제업무지구(B선) 등 대규모 MICE 시설을 끼고 가는 경우가 많아 주말에 행사가 많은 MICE 산업 지원 차원에서 주말요금을 10% 할인하는 정책적 선택을 했다.
<rowcolor=#fff> 운임할인
어린이 50% 장애인 50%
청소년 10% 유공자 50%
경로 30% 주말 최대 10%[58]

다만 이 노선도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도의 적용을 받아 환승할인이 적용된다.[59] SRT와 다르게 수도권 전철 3호선-GTX-A선-경기도 시내버스 순으로 타면 최대 요금은 4,450원 정도다.[60][61] 또한 한 번 만에 환승이 되는 환승게이트가 없고, GTX 하차태그 후 타 대중교통 승차태그 시에 환승할인이 적용되는 소프트 환승 구조이다.[62] 도보로 인근 전철역까지 이동하여 승차 태그를 해도 30분 이내에만 태그하면 환승이 적용된다[63].

서울교통공사의 자회사인 지티엑스에이운영에서 운영하다 보니 서울 지하철처럼 하차 후 10분 이내 재승차가 가능하다. 다만, 재승차 유효 시간이 서울 지하철처럼 15분이 아닌 10분 이내로 되어있다.

또한 SRT의 경우 동탄-수서간 거리 운임[64]이 4,500원인데, 이는 GTX-A의 동일구간 운임보다 50원 비싸다. 즉 SRT를 이용하려면 하행 승차권 매진이 아닌 이상, 굳이 GTX-A를 타고 동탄에서 SRT로 갈아타는 것이 큰 이득은 아니다. 이 노선은 오히려 SRT의 수요 분산 목적으로 보는 것이 옳다. 당장 GTX-A 개통을 앞두고 주중 아침의 동탄 →︎ 수서 SRT 출근열차 1편성이 폐지된 것만 보아도 알 수 있다.

지하철 정기권, 기후동행카드는 이 노선을 이용할 수 없지만[65], K-패스 등의 환급 방식의 할인은 적용된다.[66]

2024년 6월 1일부터 별도의 1회용 교통카드를 시행한다.[67] 기존 지하철 노선과 마찬가지로 교통카드 요금에 100원이 추가되고 어린이 운임은 있으나 청소년은 일반 운임으로 적용되며 경로, 장애인, 유공자는 신분증을 지참하면 요금할인을 받을 수 있다. 또한 기존 수도권 전철용 1회용 교통카드 같이 500원 보증금제도 시행한다. 다만, GTX 전용 1회권으로 나오기 때문에 타 노선에서는 사용할 수 없고, 환승할인도 적용되지 않는다. 사용하는 방법 또한 보증금 환급기는 따로 없고 발매기에 환급 기능이 들어있다. 그리고 주말에만 10% 할인이 적용되기 때문에, 주말에 발매한 1회용 교통카드를 평일에 사용할 경우 하차 시 추가운임이 부과될 수 있다.

그래서인지, 부산김해경전철과 마찬가지로 노인 승객들이 거의 없어 보다 편하고 쾌적한 이용이 가능해졌다고 한다. 루리웹, 디씨인사이드

16. 사건 사고

2025년 6월 4일, 서울역에서 신호장애 발생으로 인해 상선 승강장을 쓰지 못하게 되면서 운정중앙역 방향 열차가 크게 지연되었다. 이 때문에 서울역에서 오리카에시 운행을 했고, 하필 신호장애가 퇴근시간대에 나버린지라 서울역 혼잡도가 매우 심했다.

17. 역별 승하차 통계

2024년 기준 일평균 승하차 순위이다.
  1. 환승역 승하차량은 다른 노선의 승하차량을 제외한 수치이다.[68]
  2. 수서, 성남, 동탄역은 개통일인 3월 30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277일간의 집계를 반영하였다.
  3. 구성역은 개통일인 6월 29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186일간의 집계를 반영하였다.
  4. 운정중앙~서울역 구간은 개통일인 12월 28일부터 31일까지의 4일간의 집계를 반영하였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노선 총합
역수 구간 역당 일평균 이용객 일평균 승하차량 2024년 승하차량 최다 이용역 최저 이용역
9개 운정중앙 ↔ 동탄 11,871명 106,835명[69] 6,098,680명 서울역 성남
일일 이용객 수
역수 구간 5만명 이상 2만명~5만명 1만명~2만명 5천명~1만명 5천명 이하
9개 운정중앙 ↔ 동탄 없음 1개역
(역별 순위 1위)
3개역
(역별 순위 2~4위)
3개역
(역별 순위 5~7위)
2개역
(역별 순위 8~9위)
||<-4><tablebordercolor=#9a6292><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f2023><bgcolor=#9a6292>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
역별 순위[70]
순위 역명 일평균 승하차량 2024년 승하차량
1위 서울역 35,595명 142,378명
2위 운정중앙 17,172명 68,686명
3위 킨텍스 11,484명 45,935명
4위 대곡 10,637명 42,548명
5위 연신내 9,856명 39,422명
6위 동탄 8,341명 2,310,545명
7위 수서 7,631명 2,113,692명
8위 구성 3,957명 735,975명
9위 성남 2,164명 599,499명

18. 기타

  • 수도권 전철에서 현재 유일하게 중간에 노선이 끊어져서 분리 운행을 하는 상태이다. 역대 대한민국 전철 중에서는 수도권 5호선, 수도권 7호선에 이은 세 번째 사례이다.[71]
  • 2025년 기준 GTX-A선 북부구간에서는 평일 이용객보다 주말 이용객이 더 많은 상황이다. 국토교통부의 집계에 따르면, 평일 이용객은 일평균 35,227명인 반면, 주말 일평균 이용객은 38,975명으로 나타나 주말 이용객이 평일 이용객에 비해 10.6% 더 많다. 기사 주말 이용객이 더 많은 이유는 KINTEX 전시장에서 있는 각종 행사를 참관하는 이용객이나, 서울 도심지에서 치러지는 각종 공연같은 이벤트에 참가하기 위해 고양시, 파주시, 은평구 지역에서 GTX 이용객이 몰리는 이유 등으로 추정된다.
    • 2025년 5월 13일 뉴스1 보도에 따르면, GTX-A 북부구간 주중 이용객은 국토교통부 예측 대비 98.1%, 주말 이용객은 국토교통부 예측 대비 126.9%로 주말 이용객 비율이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2025년 5월 19일 뉴스1 보도에 따르면, GTX-A 북부구간 역대 최고 이용객 수치는 2025년 5월 3일 75,666명으로 나왔고, 2위 수치가 2025년 4월 25일에 73,793명이었다. 실제로 GTX-A는 토요일 이용객과 금요일 이용객이 가장 많이 집계가 되고 있다. 고양종합운동장 콘서트, KINTEX 행사, 고양아람누리 콘서트, 고양어울림누리 콘서트 등 킨텍스역, 대곡역에서 연계가 되는 문화 시설(공연장, 전시장)이 많기 때문이다. 고양시가 1992년 시 승격 이후 2025년 지금까지 문화 시설 확충에 심혈을 기울인 것이 GTX와 시너지 효과가 나고 있다.
  • 완전 개통 이전까지는 원래 목적과 달리[72] 기존 전철 노선들의 수요가 일시적으로 더욱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는 출처 불명의 주장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 남부 구간: 수서역이 종착역인 기간에는 수인·분당선 수요가 많이 늘 가능성이 있는데 3호선보다 강남 이곳저곳을 오가기 편리하기 때문이다. 특히 선릉역은 엄청나게 혼잡해질 것이다. 또한 A선 연선에서 성수동이나 건대입구, 한양대 등을 오가는 수요 역시 수인·분당선에 더 몰릴 것이다. 이런 수요는 GTX A선이 서울역까지 이어지고 C선이 개통됨에 따라 점차 줄어들 것이다. 3호선은 오금역이 종점이라 그리 많이 탄 상태도 아니고, 10량 편성이라 이런 우려가 비교적 적다. 실제로 3호선 상행선은 양재역 이전에는 1기 지하철 치고는 아주 한산하다. 3호선이 하남으로 연장되면 3호선도 이용객이 늘어날 여지가 있다.
    • 북부 구간: 4호선에 영향이 집중될 전망이다. A선 북부 민자 구간의 종점은 서울역인데 여기서 강남으로 가려면 4호선을 경유하는 것이 가장 빠르고 편리하기 때문이다. 4호선의 서울역 이남 구간은 출근시간대에도 자리가 자주 보일 정도로 한적한 구간이라 큰 문제는 없다. 하지만 진짜 목적지인 강남 주요 지역으로 가기 위해 동작역에서 9호선, 이수역에서 7호선, 사당역에서 2호선으로 갈아타야 하는데 여기는 지금도 포화 상태이거나 그도 넘어선 지옥[73]이라 꽤나 열차 이용에 불편할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서울역-수서 구간이 연결되어도 당장은 목적지가 용인, 성남, 이천, 여주 구간이거나 수서역 부근의 가락시장이나 문정 법조단지 정도라면 이용이 편리해지겠지만 테헤란로를 위시한 대부분의 강남 지역에서 이용하기에는 삼성역이 개통하기 전까지는 여전히 어려움이 따를 전망이다. 수서역에서 다시 거슬러 올라가느니[74] 서울역에서 4호선 경로를 쓸 가능성이 아주 높기 때문이다. [75]
    • 통계 분석 결과 수도권 전철 3호선의 수요가 다소 감소하였으며, 운영 수입이 연간 9억원 감소될 것이라고 한다. #
  • 9호선을 이용한다면 거리상 최단거리이나 막장환승인 동작역 환승 대신 1호선을 타고 노량진역에서 급행열차로 갈아타는 것도 방법이다. 여기는 개념환승에 가깝다. 9호선의 혼잡도 역시 마찬가지다.
    • 전국에서 유일하게 지상 구간이 없는 교류 철도이다.[76] 신분당선이 과거에 그랬지만 광교역 개통 이후 옛말이 되었다.
    • 2026년까지는 서울-수서 구간이 연결되지 않았기 때문에 한번에 가려면 1호선 타고 종로3가 환승, 4호선 타고 충무로 환승, 버스로 가려면 401, 402번을 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킨텍스나 운정에서 동탄으로 가려면 GTX간 환승을 해야겠지만 분당으로 가려면 서울역-사당역-강남역 또는 서울역-충무로역-양재역/신사역으로 이동한 다음 신분당선을 이용하는 편이 낫다.
  • 구성역이 개통한 이후로 용인에서 동탄역으로 가서 SRT를 이용하기가 편리해졌다. GTX-A 개통 이전에는 동탄역에서 용인까지 가는 교통편이 빈약했었다.
  • 2010년 수도권 전철 경춘선 개통 이후 14년 만에 새로 개통한 8량짜리 노선이 되었다. 다만, 철도 노선이 지어지고 기존 노선과 직결되어 연장과 비슷하게 된 사례는 있는데 하남선은 8량으로 2020년에 서울 지하철 5호선과 직결되었으며 진접선10량으로 2022년에 서울 지하철 4호선과 직결되었다.
  • 한강하저터널로 통과한다. 5호선여의나루~마포광나루~천호, 수인·분당선서울숲~압구정로데오, 서해선능곡~김포공항, 8호선장자호수공원~암사역사공원 구간에 이은 6번째 한강 하저터널이며, 노선으로서는 5번째다. 해당 구간은 서울역~삼성 구간이다.
  • 구성역 개통 이전 성남역부터 동탄역 사이의 거리는 22.1km로 인천국제공항철도청라국제도시역부터 영종역 사이의 거리인 10.3km보다 더 길었고 수도권 전철 1호선 평택역부터 성환역 사이의 거리인 9.4km보다 더 길었다. 시간표상 소요시간은 약 14분이었다.[77] 구성역 개통 이후로도 여전히 성남 - 구성 구간과 구성 - 동탄 구간은 각각 11.0km, 11.1km로 청라국제도시 - 영종보다 더 길다. 대경선 개통으로 왜관역서대구역 사이의 거리가 23.3km가 되어서 이 타이틀은 깨지게 되었다.
  • GTX-A의 환승역은 환승할인을 이용한 간접환승 방식이라서 15분 재승차 제도 이용이 불가능한 역인 경우에도 환승 횟수 2회 차감으로 재승차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성역의 수인분당선 게이트에서 내렸는데 다시 수인·분당선을 타야 할 경우, 30분 내에 GTX-A 게이트에서 승차 태그를 하고 다시 하차 태그 후 수인·분당선 게이트로 찍으면 환승 횟수 2회 차감으로 재승차가 가능하다. 반대로 GTX-A 게이트에서 내렸는데 10분이 지나서 재승차가 불가능한 경우에도 30분 내로 타 노선의 게이트로 승차+하차를 하고 GTX-A 게이트로 찍으면 환승 횟수 2회 차감으로 재승차가 가능하다.
  • 지금까지 계획이 수립된 다른 GTX 노선에 비해 기존 노선과 선로를 공유하는 비중이 매우 적고 신설 구간이 대부분이다.
  • 현재 수도권 전철 노선 중 전체 역 대비 환승역 비율이 66.7%로 가장 높다. 동남권, 대구권 등 다른 지역의 광역전철/도시철도 노선을 다 포함해도 1위이다. 사실상 환승을 위해 태어난 노선이다.[78]
  • 북서와 남동을 연결하는 수도권 전철 3호선과 얼핏 운행 경로가 비슷한데 급행도 없이 구불구불 돌아나가는 3호선 대비 훨씬 경쟁력 있는 급행 역할도 수행한다. 북부, 남부 구간이 모두 개통되고 상호 직결만 이루어지지 않은 시점을 기준으로, 킨텍스역~서울역 이동은 대화역~종로3가역 이동보다 훨씬 빠르며, 연신내역에서 서울역으로 갈 때에도 시내버스나 도시철도 환승보다 이 노선이 압도적으로 빠르고 쾌적하다. 특히나 완전 개통이 되면 더욱 이 점이 빛을 발할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대화역과 킨텍스역이 그리 멀지 않은 거리에 있음을 고려하면 대곡~수서 구간이 아닌 사실상 수도권 전철 3호선 전 구간의 급행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79]
  • 서울역을 착발하는 경의선 전철과도 경로가 유사하다. 배차간격은 GTX가 더 조밀하지만, 환승 난이도나 요금은 경의·중앙선 서울역행이 훨씬 유리하다. 대곡역을 기준으로, 서울역행 경의·중앙선이 10분 내로 도착하거나 다음 GTX보다는 빨리 역에 도착하면 무조건 경의·중앙선 전철을 타는 것이 유리하나, 10분 내로 오지 않는다면 GTX의 배차간격이 10분이므로 요금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GTX를 타는 것이 유리하다. 출퇴근 시간대에는 서울역행 전철도 꽤 자주 다니지만 평시에는 거의 오지 않으니, 주말에는 그냥 GTX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편리하다.
  • 이 노선이 개통하면서 KINTEX에도 직접 연계되는 철도 교통이 생겼다. 이제 EXCO에만 철도 노선이 생겨 연계된다면, 수도권과 광역시에서 철도와 연계되지 않는 전시장은 사라지게 된다.[80] 아울러 광역급행버스 M7731 등 킨텍스 수요를 주요 수입원으로 삼았던 여러 광역버스들의 미래도 주목받고 있다.
  • 파주의 운정중앙역은 서울역에서 20분대 초반에 닿는 역들 중 가장 서울특별시와 멀리 떨어진 지역이다. 어느 정도냐면 비슷한 소요시간으로 서울역에서 미아역, 선바위역, 외대앞역, 구로역, 행신역, 김포공항역[81]에 닿을 수 있다.[82]
  • GTX-A는 1인 승무로 운행되고 있다.
  • 내부에 철로 순찰 및 위기상황시 대피를 유도하는 인공지능 로봇이 있다고 한다. #
  • 최초 개통 당시 역 개수는 수서역, 성남역, 동탄역의 3개로, 이는 역대 수도권 전철은 물론 전국의 도시철도/광역전철 노선 중 역 개수가 가장 적은 기록이다. 종전에는 서울 6호선, 신분당선, 공항철도,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가 개통 당시 6개로 최소였으나 그 기록을 경신했다.[83]
  • 5호선과 노선색이 비슷하다. GTX-A가 약간 더 붉은 편이다. 노선도에 5호선과 교차하는 부분[84]이 생기는데, 이를 대비한 것인지는 몰라도 대부분 노선도에서 GTX-A 선에 GTX 글자를 써 놓거나 GTX-A를 더 얇게 표기하는 식으로 구분하는 편이다.
  • 열차가 연신내역에서 출발한 후 150km/h대까지 가속하다가 100km/h 이하로 내려와 속도를 유지하다가 다시 170km/h대까지 가속하며 이후 감속해 대곡역에 도착하는데, 중간에 창릉역을 지나간다.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는 미리 시공을 해 놨기에 열차 창문 바깥으로 스크린도어와 승강장이 스쳐지나간다. 참고로 창릉역(예정) 일대에 주박기지 등은 건설된 바가 없으며, 대곡역에서 연신내역으로 가는 열차도 이와 같이 운행한다.
  • 북부 구간(운정중앙~서울역)이 남부 구간(수서~동탄)보다 역 개수는 하나 더 많지만 전체 거리는 약간 더 짧으며, 소요시간은 둘이 거의 같다. 또한 북부 구간에서 가장 이용객이 적은 역이 남부 구간에서 가장 이용객이 많은 역보다 이용객이 많을 정도로 북부와 남부의 수요 차이가 확연히 드러난다. 물론 북부 구간이 배차간격이 더 짧은 점도 있다.
  • 북부 구간(운정중앙~서울역)의 선불교통카드는 GTX-A 로고와 열차 그림이 있는 티머니 교통카드이지만 남부 구간(수서~동탄)의 선불교통카드는 기본적인 모양의 티머니 교통카드가 판매되고 있다. 청소년 또는 어린이 교통카드 구매 시에는 티머니 홈페이지에서 할인 등록을 해야 한다.
    [북부어른][북부청소년][북부어린이]
    [남부어른][남부청소년]
  • 옥수역 환승통로 지하에 환풍구와 함께 대피터널이 들어선다. 하저터널 직전이며, 서울~삼성 간 거리가 길어서 설치한 것이다. 이곳 참조.
  • 아셀라 익스프레스와 평균속도가 16.3 km/h 정도 차이가 난다. GTX-A의 경우 지하철이기 때문에 고속철도와 16.3km/h 밖에 나지 않는 것이면 사실상 GTX-A가 더 빠른 셈이다.[90]

18.1. 역내 시설 및 안내

파일:킨텍스역 역명판.jpg 파일:구성역 GTX A 역명판.jpg
* 북부 구간과 남부 구간의 안내방송, 시설물 모양, 디자인 등 레이아웃이 많이 다르다. 우선 안내 표지 사인도 서체나 글자 배치 등 미묘하게 다른 부분이 보이며, 심지어는 역명판까지 모두 남부와 북부 구간이 큰 차이를 보인다. 특히 북부 구간의 말풍선에서 따온 듯한 역명판은 개통 전부터 철도 동호인 등 몇몇 사람들에게 이목을 끌어 트위치 역명판이나 카톡 역명판 같다는 반응도 있다. 폴사인마저 남부는 막대 끝에 살짝 삐친 포인트만 줬는데 북부는 말풍선 모양이 큼지막하게 달린 가분수인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안내방송도 꽤 다른 것으로 보인다. 북부 구간은 TTS, 남부 구간은 성우가 녹음한 방송이다.
* 해당 디자인은 전 구간 개통 시에도 통일되지 않을 예정이다. 이는 재정구간(삼성-동탄 광역급행철도, 국가철도공단 시행)과 민자구간(일산-삼성 광역급행철도, SG레일 시행)[91]의 구분을 위해 적용한 디자인으로, 삼성역(영동대로 복합환승센터)은 서울특별시청에서 별도 시행하는 사업인 만큼 서울특별시 디자인 가이드라인이 적용될 예정이다. 즉 GTX-A선은 역명판 디자인이 3가지(운정중앙-서울역 / 삼성역 / 수서역-동탄역)라는 뜻이다. 열차 내 안내방송마저 통일이 되지 않을 경우, 편성별로 다른 안내방송을 들을 수 있게 된다.[92]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선도 재정구간(용산-상봉 광역급행철도, 국가철도공단 시행)과 민자구간(송도용산 광역급행철도, 상봉마석 광역급행철도, 수도권광역급행철도비노선주식회사 시행)으로 분리되어 있다. 다만 여기는 한국철도공사에서 운영할 예정이라 민자구간/재정구간 모두 코레일 디자인 양식으로 통일할 가능성이 높다.
* 김포공항역 플랫폼 부착형 노선도에서 노선명을 수도권광역급행철도에이로 안내하고 영문으로 GTX-A라고 표기하였다. #
* GTX-A선의 역번호는 X101~X111이다. 이를 통해 B선은 200번대, C선은 300번대의 역번호를 가짐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열차 번호는 맨 앞머리에 X를 붙여 X0001로 시작할 예정이다.(안내방송에 대해서는 안내방송/열차 등의 문서를 참고)
* 역사내 안내표지에는 GTX-A가 아니라 "GTX(개행하고)A"로 쓴다. (성남역의 예시)
* 대곡역 2층 환승통로 내부 화장실을 제외하면 개찰구 안에 화장실이 있는 역이 없다. 모든 환승역이 간접환승이므로 타 노선의 화장실을 이용하려 해도 무조건 개찰구 밖으로 나가야 한다.
* 대곡역 환승 안내방송에서 서해선을 '서해철도선', 'Seohae railroad'라고 부른다.
* GTX-A선에는 부산 도시철도와 유사한 출입문 개폐음이 들린다. # 또한 스크린도어의 개폐음은 서울교통공사와 동일하다.[북부구간][남부구간] 때마침 GTX-A선은 서울교통공사의 자회사가 운영해 분류상 서울 지하철이 아닐 뿐 사실상 서울교통공사와 관련이 깊은 노선이다.
* 깊이가 깊이이다 보니 150m/min의 고속 엘리베이터가 여러 대 설치되어 있으며, 운정↔서울역 간은 민간투자사업 구간이라 중소기업자간 경쟁제품에서 제외[95]되어 대기업에서 입찰 참가가 가능하여, 티케이엘리베이터가 아주 오랜만에 설치업체로 선정되며 운정중앙역과 킨텍스역을 제외한 모든 역에 티케이엘리베이터에서 만든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다.[96][97]
* 운정중앙역 ~ 연신내역 구간은 역 구조가 거의 비슷하다.
* 대곡역의 1~5번 출구, 서울역의 15번 출구 및 KTX/일반열차 1~3번 출구, 구성역의 1~3번 출구는 GTX-A 게이트와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 출구로 GTX-A를 이용하게 되면 환승 횟수가 불필요하게 1회 차감되거나 다시 밖으로 나가서 다른 출구로 들어가야 한다. 또한 서울역의 경의·중앙선 1번 출구는 아예 GTX-A와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 환승 횟수 차감 없이 타려면 대곡역은 6~8번 출구, 서울역은 지하철 1~14번 출구, 구성역은 4~5번 출구를 이용해야 한다.[98] 나머지 환승역들은 모든 출구가 다 GTX-A 게이트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어느 출구로 들어가도 상관 없다. 한편 모든 환승역에서 GTX-A 출구는 다른 노선 게이트와 직접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노선을 이용할 경우에는 GTX-A 출구로 들어가도 상관 없다.
* 대곡역과 서울역에서는 KTX/일반열차와 GTX-A 간 환승 시 역 내부 통로로만 이동하면 반드시 다른 노선 게이트를 거쳐 가야 하는 구조라서, 환승 횟수가 불필요하게 1회 차감된다. 환승 횟수를 차감시키지 않으려면 역 밖으로 나가서 KTX/일반열차 쪽 출구로 들어가는 식으로 환승해야 한다. 수서역과 동탄역에서 SRT와의 환승은 역 내부 통로를 이용해도 GTX-A 게이트와 바로 연결되므로 상관 없다.

19. 관련 문서

20. 둘러보기

파일:GTX 로고.svg파일:GTX 로고 화이트.svg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wiki style="margin: 0 -10px -11px; min-height: 26px"
{{{#!wiki style="margin: -16px -1px -16px"
A선부분개통 B선건설 중 C선설계 중 D선계획 중
E선추진 중 F선추진 중 G선추진 중 H선추진 중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속철도
준고속철도
간선철도
지선철도
전용철도
운행 예정
}}}}}}}}} ||



[1] 고속철도수서평택고속선과 중복 고시되어 있다.[2] 수서역 이후 수서분기부터 동탄역까지 수서평택고속선선로공유한다.[3] 전 구간 개통 시 11개.[4] 운정중앙~삼성 구간 수익형 민자사업으로 건설. (삼성~동탄 구간 제외)[5] 당초 GTX 운영사 선정 당시 주식회사 SR도 참가하였고 원래는 서울교통공사와 SR이 공동 운영할 계획이었지만 결과적으로 서울교통공사의 자회사(지티엑스에이운영)가 통합 운영하는 것으로 정해졌다. 다만 동탄역의 경우는 기존 SRT 정차역의 시설을 GTX도 공용해서 그런지 SR이 운영한다. 제11대 서울특별시의회 의안번호 제1206호 "GTX-A선 운영자회사 설립(출자) 동의안" 참고.[6] 2026년까지 남측과 북측 구간이 분리 운행되는 바람에 임시 경정비시설을 동탄역 남측에 설치할 예정이다. #[7] 전 구간 개통 시 84.9km로 늘어난다.[8] 수서분기-수서ATP를 사용하나 170km 속도가 나온다. TVM430 수서평택고속선의 신호방식(70 → 130 → 170 → 230...) 특성과 성남~동탄 구간의 경부고속도로를 따라가는 선형 문제로 170km/h 속도제한이 있기 때문이다.[9] TVM은 제한속도에서 5km/h 이상 초과 시 비상제동이 체결되기에 170km/h를 살짝 넘기는 경우도 존재한다.[10] 국토교통부가 2026년 6월에 서울역수서 구간 삼성역 무정차 통과를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11] 국토교통부가 2호선 환승통로만 만들어 놓고서 임시개통을 할 수 있다고 밝혀서, 2028년 전에 임시 개통될 가능성도 있다. #[12] 현재 계획중이다.[13] 천안아산역은 일반,고속철도 정차역이라 아산역으로 변경될 가능성이 높다.[14] 2026년 12월 서울역~수서역 구간이 개통 시 운정중앙역이 기점이 된다.[15] 2026년 12월 서울역~수서역 구간이 개통 시 동탄역이 종점이 된다.[16] 수서분기~동탄 구간은 수서평택고속선과 공용구간으로 지정되어 있다. 수인선, 안산선 한대앞~오이도 구간과 같은 맥락.[17] 영상은 유튜버 역쟁이TV가 만들었다.[18] 수도권 전철 5호선보라색 보다 붉은기가 조금 더 있는 자주색이다.[19] 정확히는 탁한 라일락색에 가깝다.[20] 파일:gtx_a_route_map.jpg[21] 국가철도공단에서 터널 공사 여건만 되면 2호선과의 환승통로만 만들어놓고 2027년 즈음 임시 개통을 할 수도 있다고 해서 일정이 당겨질 수도 있다.[22] 강변북로, 자유로올림픽대로, 강남대로의 엄청난 교통체증을 감안하면 출퇴근시간에는 최소 30분을 더해야 한다.[23] 통근 거리가 너무 길어 수도권 서북부 지역 거주민 중 기업에 입사 지원을 할 때 판교보다는 서울 도심, 여의도, 디지털미디어시티 등으로 지원한다. 아무리 멀어도 강남까지는 출퇴근할 만한데 판교는 멀기 때문이다.[24] 서해선은 김포공항만 지나기에, 일산에서 강남으로 가는 사람들이 주로 쓴다.[25] 소요시간이 최소 20~30분은 단축됐다.[26] 수서역 기준으로 18시 51분 다음 열차가 19시 28분에 있다. 이 시간대에 수서역에서 SRT가 19시 (부산행), 19시 8분 (여수행), 19시 15분 (부산행), 19시 24분 (진주행) 이렇게 4편이 연달아 출발하기에 중간에 GTX를 끼워넣기가 힘들다. 그래서 12월 28일부터 적용되는 증편 시간표에도 이 매우 긴 배차간격은 그대로이다.[27] 2025년 3월 1일부터 시행.[28] 역간 거리가 6~9km로 길고, GTX는 180km/h로 운행해 일반 지하철보다 속도가 훨씬 빠르다. 따라서 출발 후 가속 시 앞 열차와의 거리가 일반 지하철보다 빨리 좁혀져, 만약 앞차가 승하차 지연이나 스크린도어 고장, 열차 고장 등으로 출발이 늦어지면 앞차는 속도를 최대한 내서 지연회복을 하고 열차 간 간격을 벌려야 하기에, 출/퇴근 혼잡 시간대에는 영업 최고속도에 가까운 시속 177~180km/h까지 밟는다.[29] 수서역 밑으로는 수서평택고속선 공용 구간이기에, 선로용량 포화 및 경합을 줄이기 위해 일부 열차는 운정중앙역에서 수서역까지만 운행할 예정이다.[30] 성남역이 존재하지 않던 시절 기준[31] 경부고속도로 버스전용차선을 타서 정시성이 어느 정도 보장된다.[32] 동탄-성남 간 이동도 GTX가 개통되었음에도 동탄-판교를 오가는 6003번은 증차, 6011번6012번이 신설되었다는 것이 동탄의 GTX 의존도가 낮다는 것을 보여준다.[33] 이 쪽은 버스전용차로 개통으로 조금 나아졌다.[34] 경의·중앙선보다는 짧지만, 8~15분 정도다.[35] 능곡역은 경의중앙선 뿐만 아니라 서해선으로도 대곡역으로 접근이 가능하다.[36] 성남/분당, 용인, 수원에서 서울 강남을 가장 빨리 가는 지하철인 신분당선과 비슷하다.[37] 그나마 1000번은 줄어든 일산 출퇴근 수요를 대곡역으로 가기 불편한 행신동에서 채우고 있다.[38] 해외의 유명 게임 회사를 유치하기 위해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GTX-A) 시승을 시켜줬다고 한 부분이 있는데, 해당 기업의 정체는 2025 PlayX4에서 닌텐도로 밝혀졌으며 스위치2 체험회가 개최되었다. 보도[39] 역이 원시티 쪽 지하에 지어지면서 거리가 살짝 멀어졌다. 약 380m 정도 떨어져 있다. 지하 연결통로는 없지만 출구로 나오면 바로 보인다.[40] M7154는 파주여객으로 이관되고 준공영 전환 후에도 여전히 긴 배차간격이, M7111은 신성교통의 경영난으로 인한 불규칙한 배차 간격이 큰 원인이다. 그리고 제2자유로의 정체와 경복궁-광화문 일대, 독립문고가차도의 정체도 한몫한다. 특히 운정에서는 신성교통의 경영난으로 인한 길고 불규칙한 배차간격에 학을 뗀 사람들이 상당수인데, 운정중앙역이 개통하자마자 이용객 상당수가 GTX-A로 넘어가버렸다.[41] 1000번 버스 전체 이용객은 줄었지만 대신 고양경찰서(화정, 능곡), 행신동에서 늘어났다. 일산 수요 못지않게 행신동 수요도 상당하고, 행신동에서는 대곡역으로 역주행을 해야 하기 때문에 광역버스가 낫다.[42] 2024년 3800번이 개통되어 (특히 양주요금소 수요가 대부분 일산-의정부 간 이동을 위한 환승 수요임을 고려하면) 수요가 줄었다. 8109번과 달리 화정, 원당, 삼송을 경유하기에 일산-양주 간 소요시간이 좀 더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지만, 대신 배차간격이 좀 더 짧고 양주요금소에서 환승할 필요 없이 일산-의정부를 한번에 오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43] 2024년 수도권 전철 8호선(별내선)이 연장 개통되어 수인분당선-복정역-8호선 경로로 좀 더 빠르게 이동이 가능해졌다. 구리 시내나 남양주(별내, 다산 등)가 출발/목적지라면 고속도로에 있는 구리남양주/불암산 요금소가 아닌 시내 한복판에 있는 장자호수공원역~별내역 구간의 역들이 훨씬 편하며, 두 전철노선 모두 8109번보다 배차간격이 짧은 것도 장점.[44] 본인 관할 지역에 대한 통계만 제출했다.[45] 운정, 일산↔강남, 판교 간 출퇴근 수요가 나올 가능성이 매우 높아 신규 수요 창출도 기대할 만하다.[46] 서울역까지 직결되면 삼성역 미정차 상태여도 신분당선급으로 수요가 늘 가능성이 높다. 신분당선 수요가 출퇴근 시간대가 아니여도 이용객이 많은데 GTX-A도 서울역까지 직결되면 신분당선처럼 출퇴근 시간대가 아니여도 입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47] 삼성역까지 개통하면 평시에도 혼잡도가 상당할 가능성이 높은데, 그 이유는 코엑스와 킨텍스에서 하는 수많은 행사들 때문에 이곳으로 사람들이 몰릴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또한, GTX-A의 개통으로 의외의 수혜를 보는 것이 잠실 돔구장인데(그리고 잠실 돔 완공되기 전에는 야구 경기를 잠실주경기장을 사용할 예정인데 잠실주경기장 역시 삼성역에서 멀지 않기에 이용객이 엄청 많을것으로 추측된다.), 삼성역까지 완전 개통하면 운정, 일산, 용인, 동탄에서 잠실 돔구장으로 가는 것이 기존보다 훨씬 편리해지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서 야구 경기시간이랑 겹치는 시간은 물론이고, 특히 퇴근시간이랑 야구 경기시간이랑 겹치는 17시~19시에 삼성역 승강장은 매우 혼잡할 가능성이 높고, 열차도 양방향 모두 미어터질 가능성이 높다.[48] 경강선이 지나는 여주시, 이천시, 광주시 등에서 서울 접근성이 좋아지기에 늘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49] 강남으로는 3호선보다 수인분당선을 더 많이 이용한다.[50] 정식 개통 이전에 촬영되었으며 시승 목적으로 탑승했기에 전 구간을 담은 영상이 아니다.[51] 어린이와 같은 50% 할인이지만, 주말 한정으로 어린이 요금보다 약간 비싸다.[52] 전체 요금의 10%를 별도운임에서 빼준다.[53] 다만 신분당선의 구간요금제보다는 훨씬 낫다는 반응이 많은데, 별도 요금이 구간요금제인 신분당선과 달리 거리비례라 더 합리적이고, 운행 속도는 2배 가량 빠르기 때문이다.[54] 환승할인 적용 기본요금 1,550원 + 별도부과 기본요금 1,650원[55] 환승할인 적용 구간요금 100원 + 별도부과 구간요금 150원[56] 부산김해경전철과 유사하다. 또한 2007년 개통 초기의 공항철도 현재 공항철도 직통 열차, 2012년 개통 초기의 의정부경전철의 독립운임과 유사하다.[57] 공항철도와 의정부 경전철은 앞서 설명했듯 초창기에는 무임이 없었다가 나중에 추가됐고, 신분당선도 비슷하게 노인, 장애인, 유공자의 무임 대상이 됐다.[58] 전체 요금의 10%를 별도운임에서 빼준다.[59] 환승할인 적용 기본요금은 1,550원으로 적용이 된다. 별도부과 기본요금은 환승 시 지불한 금액에 포함되지 않고 계산한다.[60] 거리비례 요금이 더 적용되지만 도곡이나 매봉에서 3호선을 탄다면 추가운임은 없다. GTX 이용 후 기본요금이 다른 광역버스 등으로 환승하면 별도부과운임을 제외한 기본요금 1,550원만 환승처리되며, 반대로 광역버스 이용 후 GTX로 환승하면 별도부과운임+거리요금을 하차할 때 지불한다. 별도운임은 환승할인에서 제외되기 때문이다.[61] 극단적으로 GTX에서 경기순환버스로 환승하면 기본요금만 4,700원이 된다. 별도부과 운임 탓에 GTX에서 광역버스로 갈아타면 요금이 뻥튀기되니 주의가 필요하다.[62] 물론 아예 지상 또는 대합실로 나왔다 들어가도 환승이 된다. 수도권 구간 내의 타 민자노선, 즉 서울 지하철 9호선이나 신분당선, 인천국제공항철도는 수도권 전철 운임구역 내에 민자구간 운임구역이 2중으로 들어 있어 한 번의 게이트를 거쳐 환승이 가능했지만 GTX는 그렇지 않다. 일본의 지하철과 사철 간 환승 시 요금 시스템을 생각하면 편하다. 오히려 동해선 광역전철과 유사하게 운임구역 자체가 겹치지 않으며 외부구역으로 나갔다가 환승해야 한다.[63] 참고로 장애인 할인의 경우, 버스-지하철-GTX로는 환승이 적용되지 않으며, 버스를 타고 1500원이 찍힌 이후 그대로 수서역에서 GTX 출입구로 환승하게 되면 환승처리가 되어 50원만 추가로 차감된다. 이 상태로 구성역까지 이동하게 되면 350원이 추가된다.[64] 신규 탑승이 아닌, 임률에 의한 차액을 말한다. 동탄 ~ 수서 간에만 이동할 경우에는 SRT가 7400원, GTX가 4450원이므로 당연히 GTX를 이용하는 것이 훨씬 이득이다. (과거 동탄 →︎ 수서 SRT 출근열차는 4500원에 운행하였으나 폐지되었다.)[65] 기후동행카드는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면 서울특별시 관내에서만 적용됨이 원칙이다.[66] 개통 초기엔 출퇴근자의 이용 수단 관성으로 주말에 비해 주중 이용객이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2024년 기준으로 공식적인 정기권 도입 발표가 아직 나오지는 않은 상태이다. 그러나 시간 절약 등 타 교통수단 대비 이점이 있어 장기적으로는 주중의 수요 역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추후 수도권 거리비례 체계에 편입되거나 GTX 전용 정기권이 도입될 가능성이 높다. 전자의 방식으로 적용할 경우 구간 분할이 20단계를 초과한 체계로 확장되겠으며 후자의 방식으로 적용할 경우 인천국제공항철도의 독립운임-거리비례 구간을 연계할 때와 유사하게 승하차시 각각 2번 이상 태그하는 방식으로 전산 처리를 할 것이다.[67] 이전에는 교통카드가 있어야 GTX를 이용할 수 있었다. 그래서 역사 내에서 교통카드를 발매했다. (카드값은 3,000원) 현금 없는 버스가 아닌, 현금 없는 GTX였던 셈이다. 일부 이용자들의 1회용 승차권 도입 요구가 있었던 듯하다.[68] 다만 환승객 수는 포함된다. 타 노선과 다른 부분. 예를 들어 서울역의 순수 GTX 승하차 수는 알 수 없고 1, 4호선 및 공항철도와의 환승객 수+승하차객 수를 모두 합한 값만 알 수 있다. 이는 이 노선이 간접환승 노선이기 때문이다. 비슷한 사례로 1,3,4호선을 제외한 순수 노선과 <---> 광역전철 노선과 의정부, 용인 부산의 동해선 광역전철과 대구의 대경선이 있다.[69] 각 역의 일평균 승하차량 합계 기준. 2024년 전체 승하차량에 영업일(277)을 나눌 시 22,017명.[70] 일평균 승하차량 기준[71] 다른 노선이었다가 나중에 직결된 사례는 제외.[72] 기존 광역전철 노선의 혼잡도를 줄이고 훨씬 빠른 속도로 경기도 주거지와 서울 중심지를 연결하는 것이 건설 목적이다.[73] 특히 사당역에서 강남 들어가는 2호선 구간은 대한민국 최악의 지옥철로 악명 높다.[74] 수서역까지 가서 다시 선릉역이나 교대역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에만 10분 넘게 허비한다. 그 소요시간이면 서울역에서 4호선을 타고 벌써 동작대교를 건너고 있을 것이다.[75] 다만 7호선 라인(특히 논현역강남구청역 구간)으로 가려면 삼성역도 불편하다. 광역급행철도의 불가피한 단점이다. 그런데 7호선 라인이 불편한거지 서술한 강남구청역이나 수인·분당선 서울 구간 역들은 수서역에서 수인·분당선으로 환승해서 가면되기에 7호선 구간만 접근성이 불편한 편이다.[76] 2029년 동탄인덕원선이 개통하면 유일은 아니게 된다.[77] 운행계통상 역대 가장 긴 무정차 거리는 과거 1호선 경부선 주말 급행 시절 수원 - 평택 구간 33.5km였다. 시간표상 소요시간은 약 21분이다. 그러나 현재 공항철도 직통열차가 인천공항1터미널 - 서울역 사이를 모두 무정차 통과하므로써 약 58km의 역대급 무정차 거리를 갱신했다.[78] 추후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이 일산까지 연장된다면 킨텍스역이, 창릉역 개통 후 고양은평선이 완공된 이후엔 창릉역이, 수도권 전철 1호선 연장과 동탄인덕원선이 완공된다면 동탄역이 환승역이 되면서 운정중앙역을 제외한 전체역이 다 환승역이 되게 된다.[79] 사실상 3호선 전구간 급행화를 GTX-A로 대체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80] 대구 도시철도 4호선은 2030년에나 개통할 예정이다.[81] 이곳은 서울역에서 20분대 초반에 갈 수 있는 역들 중 운정중앙역에 이어 두 번째로 멀다.[82] 다만 대심도기에 나머지 구간들이 이동이 운정중앙역-서울역 이동보다 훨씬 수월하다. 물론 이는 당연한 것으로 비교적 노력이 필요해도 파주 - 서울역 20분이 가능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83] 노선 자체가 아닌 운행계통으로 따지면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임진강역도라산역 셔틀이 모두 개통 당시 역이 2개였어서 역 개수가 가장 적은 운행계통은 아니었다. 도라산역 셔틀은 DMZ-Train으로 변경되었고 임진강 셔틀은 운천역이 추가되면서 구성역 개통 전까지는 임진강역 셔틀과 함께 역 수가 가장 적은 운행계통이었다.[84] 실측지도상 광화문역 일대이다.[북부어른] 출처: #파일:GTX A 북부 어른.jpg[북부청소년] 파일:GTXA 북부 청소년.jpg[북부어린이] 파일:GTXA 북부 어린이.jpg[남부어른] 출처: #파일:GTXA 남부 어른.jpg[남부청소년] 출처: #파일:GTXA 남부 청소년.jpg[90] 아셀라의 경우 노후화된 선로를 화물열차들과 함께 이용하기 때문에 더 느릴 수밖에 없다. 아벨리아 리버티의 경우 아직 도입 중이기에 제외한다.[91] GTX-A 민자구간 정식 사업명칭(대한민국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사용명칭)이 일산-삼성 광역급행철도다. 운정중앙역-킨텍스역 구간은 파주시 전액부담 수탁공사 사업(파주일산 광역급행철도 연장사업)이다.[92] A01편성과 A16~A20편성은 성우 안내방송, A02~A15편성은 TTS 안내방송이 들리게 된다.[북부구간] '승강장 안전문이 열립니다.', '승강장 안전문이 닫힙니다.'[남부구간] '안전문이 열립니다. 발빠짐 주의! X3', '띠롱 X5 안전문이 닫힙니다. 한걸음 물러나 주시기 바랍니다.'[95] 재정구간인 수서~동탄 구간은 120m/min 이상의 엘리베이터의 경우에는 중소기업자간 경쟁제품에서 제외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중소업체에서 제작한 120m/min 미만의 저속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다.[96] MHC2 제어반이 탑재된 무기계실 MRL 모델인 META-L이 설치되었다.[97] 운정중앙역, 킨텍스역은 현대엘리베이터 제어반을 쓴 삼정엘리베이터 사용[98] 단, 서울역에서 15번 출구 및 KTX/일반열차 3번 출구 인근에서 GTX-A를 탈 경우, 일단 해당 출구로 들어가서 KTX/일반열차 대합실을 가로질러 KTX/일반열차 2번 출구로 나간 후 지하철 1번 출구로 들어가는 것이 최선이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수도권 광역급행철도|수도권 광역급행철도]]}}}{{{#!if external != "o"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수도권 광역급행철도?uuid=9f38fbb9-f3a7-4e83-8404-a0b2aec741f9|r247]]}}}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수도권 광역급행철도?uuid=9f38fbb9-f3a7-4e83-8404-a0b2aec741f9#s-3.1|3.1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수도권 광역급행철도?from=247|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수도권 광역급행철도|수도권 광역급행철도]]}}}{{{#!if external != "o"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수도권 광역급행철도?uuid=9f38fbb9-f3a7-4e83-8404-a0b2aec741f9|r247]]}}}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수도권 광역급행철도?uuid=9f38fbb9-f3a7-4e83-8404-a0b2aec741f9#s-3.1|3.1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수도권 광역급행철도?from=247|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