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711B번에 대한 내용은 서울 버스 9711B 문서
참고하십시오.{{{#!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f72f08><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 |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b4513; font-size: 14px" | ||||||||
<colbgcolor=#f72f08><colcolor=#fff> 4권역 | 9401 | 9403 | 9404 | 9408 | 9409 | |||
7권역 | 9701 | 9703 | 9707 | 9711 | 9714 |
|
1.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정발산동(일산동부경찰서) | 종점 |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동(시민의숲.양재꽃시장) | ||
종점 행 | 첫차 | 04:50 | 기점 행 | 첫차 | 06:30 |
막차 | 23:30 | 막차 | 01:00 | ||
평일배차 | 9~18분 | 주말배차 | 12~22분 | ||
운수사명 | 서울매일버스 | 인가대수 | 24대(예비 1대)[1] | ||
노선 | 일산동부경찰서 - 일산동구청 - 마두역 - 백석역 - 행신초등학교 - 서정마을 - 항공대입구 - 덕은교.은평차고지 - DMC첨단산업센터 - 상암DMC홍보관.YTN.Jtbc.tvN.MBC - 월드컵경기장 - (→ 강변북로 → 한남대교 →/← 성산대교 ← 올림픽대로 ←) - 신사역 - 논현역 - 신논현역 - 강남역 - 양재역 - 시민의숲.양재꽃시장 |
2. 개요
서울매일버스에서 운행하는 광역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90.5km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디지털미디어시티 입주가 시작되면서 2006년 7월 20일에 서부면허시험장, 난지천공원 대신 디지털미디어시티 경유로 바뀌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08년 12월 20일에 평일 출퇴근 시간대에만 3회씩 운행하는 급행버스가 신설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같은 날 9702번 인가 8대를 그대로 흡수하여 18대로 증차되었다.
- 2010년 11월 29일 M7412번이 개통되면서 출퇴근 급행형 버스의 수요가 줄어 출근 시간에만 3회 운행하게 되었다.
- 2012년 6월 8일에 평일 출근 급행버스의 운행이 중단되었으며, 사실상 폐지되었다.
- 2014년 7월 16일에 9711B번이 신설되면서, 9711A번으로 A가 붙게 되었다. 9401번 및 9401B번의 사례와는 대조적이다.
- 하지만 9711B번이 수요가 없어서 2014년 9월에 9711B번에서 5대[3]를 가져와 증차시켰다. 이때 평일 한정으로 제일여객과의 공동배차가 시작되었다.
- 2017년 5월 1일에 신성교통 운행분이 성남교통 계열사인 서울운수로 넘어갔다.
- 제일여객의 경영 개선을 위한 감차 신청에 따라 2017년 6월 30일에 제일여객 운행분 2대가 유상감차되어 서울운수 단독 운행으로 바뀌었으며, 평일 운행횟수도 4회 줄었다. 제일여객 감차 공문(부분공개) 9711A 운행계통 변경 공문
- 2018년 8월 1일에 일산차고지를 킨텍스로 이전함에 따라 9703번과 함께 '탄현역 - 송산동행정복지센터 - 일산차고지.이마트' 구간이 '탄현역 - 고양대로 - 킨텍스제2전시장'으로 변경, 연장되었다. 단, 연장 구간상의 중간 정류장(성저초교, 고양종합운동장 등)은 모두 무정차 통과한다. 아직 고양시와 협의가 안 된 것으로 추정. 동시에 9703번에서 2대가 넘어왔다. 관련 공지사항 이렇게 노선이 연장되면서 노선 길이가 왕복 99.7km, 사실상 100km에 달하게 되었다. 706번의 녹번동 단축 이후 반 년만에 다시 100km급 노선이 부활한 셈.
- 2018년 9월 10일부터 예비차 1대가 감차되어 9703번으로 이동했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첫차 시각이 04:50으로 10분 앞당겨지고, 1일 운행횟수는 평일 기준 3회 줄었다. 다만 배차간격에 생기는 변화는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인다.관련 공문
- 2019년 12월(일자 미상) 일산 방면 노선 인가가 기존의 한남대교 - 강변북로에서 올림픽대로 - 성산대교로 변경되었다.
- 2020년 6월 26일을 기해 평일 배차간격은 13~17분에서 10~20분으로, 토요일/공휴일 배차간격은 17~22분에서 14~24분으로 조정되었다.(단, 운행횟수는 변동 없음) 관련 공문
- 2020년 10월 신수교통으로 양도되었다.
- 2021년 3월 27일자로 노선번호가 9711번으로 환원되었다.
- 2021년 8월 1일부터 9703번과 함께 킨텍스제2전시장 - 신성교통차고지 구간이 단축되었다. 다시 말해 사실상 2018년 7월까지의 노선으로 환원된 것. 다만 운행 거리가 줄어듦에도 인가 운행소요시간은 평일에 한해 265분에서 262분으로 축소되고 토요일/공휴일의 경우는 전혀 축소되지 않았으며, 1일 총 운행횟수 증회 및 배차간격 축소 조치 역시 일체 없었다. 공문 내용에 9703번과는 다르게 임시 단축이라는 표현이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머지 않은 시점에 추가적인 노선 조정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고,관련 공문 임시 경로 운행 기간은 8월 31일까지였지만, 고양시와 협의를 통해 9월 26일까지 연장되었다.관련 공문[4]
- 2021년 10월 1일에 근로여건 개선을 위해 '철산아파트.탄현역앞 - 탄현큰마을 - 홀트학교 - 중산마을 - 신일중학교 - 일산동부경찰서' 구간. 즉, 탄현, 중산 구간이 완전히 단축되었다. 본래는 노선 직선화와 동시에 대화역, 주엽역 등을 정차할 예정이었으나, 고양시가 부동의하여 공차회송 간 정류장은 무정차 통과한다. 이번 노선조정으로 운행시간이 265분에서 230분으로 줄어들고 정상차량의 대당 운행횟수도 증가하게 되고, 운행 거리도 줄게되어, 일 운행 횟수가 전 요일 75회/61회/61회 에서 86회/70회/70회로 각각 11회/9회/9회씩 증회되었다. 또한, 이번 운행노선 변경 및 운행계통 변경으로 전 요일에서 배차간격이 평일 10~20분/토, 공휴일 14~24분에서 평일 9~18분/토, 공휴일 12~22분으로 줄어들었다.관련 공문
4. 특징
- 강남대로 구간에서는 신논현역 - 강남역 구간 한정으로 가로변 정류장에 선다. 그러다가 일산 방면은 논현역부터, 양재시민의숲 방면은 래미안아파트.파이낸셜뉴스부터 다시 중앙차로로 들어간다.
- 양재시민의숲 방면으로 운행할 시, 논현역에 하차하는 사람이 없으면 아예 신사역에서 바로 중앙차로를 나가고 신논현역으로 바로 가는 경우도 존재한다. 해당 구간에서는 입석노선들이 절찬리에 운행중이므로 요금이 비싸며 양재까지밖에 가지 못하는 좌석버스를 이용할 승객은 없기 때문이다.
- 강변북로/올림픽대로의 교통 상황에 따라 신사역 - 서울월드컵경기장 남측까지 15분에서 50분정도 걸린다. 강남대로와 중앙로를 중앙차로로 다니므로 일산에서 9700번, M7412번과 함께 강남을 갈 때 빠른 방법 중 하나이다. 다만 앞의 두 노선과 다르게 상암동을 경유하므로 9700번보다는 7~10분, M7412번보다는 15~20분 가량 더 걸린다. 다만 간혹 자유로JC(M7412번)/북로JC(9700번)~성산대교 사이의 자유로/강변북로 구간에 헬게이트가 열리는 날이라면 이 노선이 오히려 빠를 때도 있다. 특히 눈이 오는 날이나 목~금요일 저녁 시간.
- 특히 상암동에서는 지하철보다 빠르게 강남으로 갈 수 있는 노선이기 때문에 상암동 아파트단지와 디지털미디어시티 수요도 많다. 만약 신사역 또는 도산대로 주변을 간다면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과 수도권 전철 3호선을 타는 방법과 비교해 도로 상황을 따져봐야겠지만, 신논현역, 강남역 방향은 그냥 이게 더 빠르다. 9700번, M7412번보다 요금도 싸다 보니 NH 때의 이용률은 앞의 두 노선을 압도한다.[5]
- 상암동, DMC에서는 거의 유일하게 제 기능을 하는[6] 심야버스다. 막차가 상암DMC홍보관 기준 강남 방향은 00:20경, 일산 방향은 01:35경에 지나가므로 심야 시간에 상암동을 빠져나가려 할 때, 특히 일산 방면으로 돌아갈 때 안심하고 탈 수 있는 수단이다.
- 심야에 신논현역에서 능곡으로 가야 할 때, 당산 방면 9호선 막차[7]를 놓쳤다면 이 버스를 타고 서정마을 또는 소만마을 정류장에서 707번으로 갈아타거나[8][9], 능곡 북부 지역의 경우 고양경찰서 중앙차로 정류장에서 내려 조금만 걸어가면 된다.
- 원래는 양 방향 모두 강변북로 경유였지만 강변북로가 대책없는 상황에 빠졌을 때는 올림픽대로를 이용하기도 했는데, 지금은 아예 이쪽이 정식 코스로 바뀌었다. 올림픽대로로 올 때는 한남대교 남단에서 올림픽대로를 타서 노들로의 성산대교 램프로 빠지는 것이 정석이지만, 노들로 정체가 심할 경우 올림픽대로에서 한강공원을 경유, 성산대교를 넘어 바로 상암동으로 들어갈 때도 있다. 가끔은 아예 양화대교를 타고 강변북로로 건너갈 때도 있는 편. 특히 이 구간은 올림픽대로와 강변북로가 강을 따라 건설되어 있고, 강변북로쪽에 내부순환로와 직결되는 거대한 나들목이 있기 때문에 야경이 상당히 아름답다.
- 노선 길이가 서울특별시 광역버스뿐 아니라 서울특별시 전체 시내버스, 그리고 서울특별시의 모든 버스들 중에서도 1위이다. 이전 최장거리 노선이던 706번이 84km까지 단축됐기 때문. 참고로 706번의 전신이던 舊 9711번 광역버스가 서울 면허 최장거리 노선이었기 때문에 결국 9711이라는 버스 번호는 최장 노선 타이틀을 세 번이나 획득한 셈이다.[10]
- 서울매일버스(안양교통) 입장에서는 1997년에 703번 좌석버스가 일반으로 형간전환된 이후 24년 만에 운행하는 좌석버스이다.
- 운행사가 꽤 많이 바뀐 편인데, 신성교통 → 서울운수[11] → 신수교통 → 서울매일버스까지 단순 법인으로만 따지면 5개사를 거쳐온 것이다. 이는 서울특별시에서도 손꼽히는 운행사 변경 사례이다.
- 신성교통 시절까지는 과속과 난폭운전이 심했다.[12] 그러나 서울운수로 바뀌고 60에 리밋이 걸리면서 폭주본능은 사라진 대신 난폭운전이 더 심해졌다.
- 여느 장거리 노선이 그렇듯 이 노선도 근로여건이 좋지는 않다. 한 기사는 "이 노선 15년하면 병원가야 한다."라고 말했을 정도. 회차지에는 고깃집 화장실을 이용하고 있고, 강변북로가 막히면 진입 전 마포농수산물시장에서 볼일을 본다.[13] 승객이 많을 경우 이것도 불가능해서 아예 기저귀를 차기도 한다. 기사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2021년 10월 1일에 탄현 구간을 단축했다.
- 원래는 aT센터교차로에서 유턴해야 하지만, 시민의숲삼거리에서 직진신호에 걸리면 가끔 불법유턴을 한다.
4.1. 기타 사건사고
2015년 11월 22일에 대곡역에서 사고가 났다. 9701번이 추월하다가 중심을 잃고 마주오던 9711A번을 덮쳐 발생한 사고로, 1명이 숨지고 17명이 다쳤다. 관련 기사4.2.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광역버스 9711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3년 | 5,111명 | - |
2014년 | 4,912명 | ▽ 199 |
2015년 | 4,772명 | ▽ 140 |
2016년 | 4,803명 | △ 31 |
2017년 | 4,947명 | △ 144 |
2018년 | 4,272명 | ▽ 675 |
2019년 | 4,127명 | ▽ 145 |
2020년 | 3,223명 | ▽ 904 |
2021년 | 2,967명 | ▽ 256 |
※ 하차 인원 미포함 |
4.3. 노선
서울특별시 광역버스 9711번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시민의숲.양재꽃시장 22297 · 22296 | |||||
교육개발원입구 22002 | ↓ | ↑ | 교육개발원입구 22001 | |||
양재역.서초문화예술회관 22004 | 양재역.서초문화예술회관 22003 | |||||
뱅뱅사거리 22006 | ↓ | ↑ | 뱅뱅사거리 22005 | |||
래미안아파트.파이낸셜뉴스 22008 | 래미안아파트.파이낸셜뉴스 22007 | |||||
신분당선강남역 22010 | ↓ | ↑ | 강남역티월드 22654 | |||
신논현역 23641 | 강남역 22173 | |||||
신논현역.구교보타워사거리 23286 | ↓ | ↑ | 신논현역.구교보타워사거리 22172 | |||
논현역 22014 | 논현역 22013 | |||||
신사역 22016 | ↓ | ↑ | 신사역.푸른저축은행 22015 | |||
올림픽대로 미정차 | 한남대교 미정차 | |||||
성산대교 미정차 | ↓ | ↑ | 강변북로 미정차 | |||
월드컵경기장남측.월드컵공원 14104 | 마포농수산물시장.월드컵공원 14103 | |||||
월드컵경기장서측.문화비축기지 14105 | ↓ | ↑ | 월드컵경기장서측.문화비축기지 14106 | |||
월드컵경기장북측 14274 | - | |||||
상암휴먼시아아파트 14164 | 상암휴먼시아아파트 14165 | |||||
상암초등학교 14167 | ↓ | ↑ | 상암초등학교 14166 | |||
상암DMC홍보관.YTN 14286 | 상암DMC홍보관.YTN 14287 | |||||
누리꿈스퀘어.MBC 14307 | ↓ | ↑ | 월드컵파크5단지 14289 | |||
월드컵파크5단지.상암중고등학교입구 14288 | 상암고등학교 14291 | |||||
DMC첨단산업센터 14111 | ↓ | ↑ | DMC첨단산업센터 14112 | |||
덕은교.은평차고지앞 12314 | 덕은교.은평차고지앞 12315 | |||||
항공대입구 35622 | ↓ | ↑ | 항공대입구 35623 | |||
서정마을 35627 | 서정마을 35632 | |||||
소만마을 35008 | ↓ | ↑ | 소만마을 35007 | |||
행신동 35633 | 행신동 35634 | |||||
행신초등학교 35626 | ↓ | ↑ | 행신초등학교 35637 | |||
고양경찰서 35635 | 고양경찰서 35636 | |||||
백석동.요진와이시티 36667 | ↓ | ↑ | 백석동.요진와이시티 36666 | |||
안산공원 36682 | 백석역 36683 | |||||
마두역 36685 | ↓ | ↑ | 마두역 36686 | |||
일산동구청 36694 | 일산동구청 36695 | |||||
일산동부경찰서 36665 · 36664 |
5. 연계 철도역
서울 지하철 2호선: 강남역
수도권 전철 3호선: 정발산역, 마두역, 백석역, 신사역, 양재역
서울 지하철 6호선: 월드컵경기장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
서울 지하철 7호선: 논현역
서울 지하철 9호선: 신논현역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
신분당선: 신사역, 논현역, 신논현역, 강남역, 양재역, 양재시민의숲역
인천국제공항철도: 디지털미디어시티역
6. 둘러보기
| |||
M7412 | 9600 | 9700양재 | 9711양재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1, 2권역 | 의정부, 구리, 남양주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의정부시 | |
수락리버 | ||
구리/남양주 | 201구리 202담터 1155담터 | |
수락리버: 수락리버시티아파트 지역만 정차, 담터: 남양주방면 담터고개(구리시 소재)만 정차, 서울방면 담터고개는 서울시 소재.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3, 4권역 | 하남, 성남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성남시 | |
하남시 | 341초이 370초이 3217위례 | |
초이: 초이동 / 위례: 하남시위례도서관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4, 5권역 | 과천, 안양, 군포, 의왕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과천/안양/군포/의왕 | |
과천/안양/군포 | ||
안양/군포 | ||
안양시 | 152교대 6515교대 500석수 5618석수 | |
과천시 | 서초08잔디 서초20잔디 | |
교대: 경인교육대후문만 정차 / 잔디: 잔디마을만 정차 / 의왕시 경유 노선은 군포시 한솔테크노타운만 정차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5, 6권역 | 광명, 부천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광명시 | |
철산리버 | ||
부천시 | ||
철산리버: 철산리버빌아파트 정류장만 정차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7권역 | 고양, 양주, 파주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고양시 | |
동산동 | ||
덕은동 | ||
대덕동 | ||
파주/양주 | 704송추 773교하 774파주읍 9714교하 | |
동산동: 한국지역난방공사(舊 동산동) 정류장만 정차 / 덕은동: 덕은동종점 정류장만 정차 / 대덕동: 대덕동행정복지센터 정류장만 정차 |
[1] 토요일 / 공휴일 17대 운행[2] 정확히는 9702번 8대, 9709번 2대.[3] 신성교통 3대, 제일여객 2대[4] 추가 노선 조정은 탄현 구간 철수 후 직선화 추진이었던 것으로 밝혀졌다.#[5] 9700번의 배차간격이 길기 때문에 행신동에서 강남에 갈 때는 이 버스를 자주 타게 되며, 행신-일산 간의 구간수요도 주워먹고 있다. 일부 정류장을 정차하지 않아 빠르기 때문. 단, 상암동을 경유하기 때문에 9700번보다 시간이 더 걸린다.[6] 상암동을 경유하는 대부분의 노선들이 근처의 상암공영차고지나 은평공영차고지, 혹은 신촌교통 덕은동 차고지가 기점이다 보니 도심 혹은 강남 방향 막차가 꽤 이른 편이다.[7] 당산역 - 830, 1500번, 9707번 환승 루트[8] 707번이 760번으로 바뀌며 이 방법은 더이상 통하지 않는다.[9] 현재는 강남역에서 01:00까지 N64번을 타고 영등포시장에서 9707번 막차를 타야한다[10] 서울 광역버스 중 최단거리 노선은 9404번, 서울 전체 시내버스 최단거리 노선은 5621번이고 서울특별시의 모든 버스들 중 최단거리 노선은 성동06번이다.[11] 여기에 2014년 9월부터 2017년 6월까지 평일 한정으로 제일여객과 공동배차를 하기도 했다.[12] 강변북로, 올림픽대로, 대곡에서 기본으로 100km/h, 최고 120km/h까지 폭주한 적도 있었다.[13] 대표적인 장거리 일반버스인 773번은 교하방향으로 가는 도중 백석도서관에 잠시 정차해서 기사가 볼일을 본 후 운행을 재개하는 경우가 간혹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