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2f08; font-size:14px" | |||||
{{{#!wiki style="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6px"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A] | 107[A] | 108[A] | 109 | |
110 | 120 | 121 | 130 | 140[B] | |
141 | 142 | 143 | 144 | 145 | |
146 | 147 | 148 | 150[B] | 151 | |
152[A] | 153 | 160[B] | 162 | 171 | |
172 | 173 | ||||
[A] 경기도 진입 노선 / [B] 주간선 노선 | |||||
[[틀:서울 1권역 지선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13px" |
| ||||||||||||||||||||||||||||||||||||||||||||||||||||||||||||||||||||||||||||||||||||||||||||||||||||||||||||||
{{{#!folding [ 사진 모음 펼치기 · 접기 ] | | | ||||||||||||||||||||||||||||||||||||||||||||||||||||||||||||||||||||||||||||||||||||||||||||||||||||||||||||
개편전 12-1번 운행 당시 모습.[1]출처 | 2003년식 BS106 차량. 2013년에 NEW BS106으로 교체되었다.[2] | |||||||||||||||||||||||||||||||||||||||||||||||||||||||||||||||||||||||||||||||||||||||||||||||||||||||||||||
| | |||||||||||||||||||||||||||||||||||||||||||||||||||||||||||||||||||||||||||||||||||||||||||||||||||||||||||||
구형 BS110CN 차량. 2018년 1월에 NEW BS110으로 대차되었다. | BS106 F/L. 2019년식 NEW BS110으로 대차되었다가 01A번으로 이동했다. | |||||||||||||||||||||||||||||||||||||||||||||||||||||||||||||||||||||||||||||||||||||||||||||||||||||||||||||
| | |||||||||||||||||||||||||||||||||||||||||||||||||||||||||||||||||||||||||||||||||||||||||||||||||||||||||||||
NEW BS106. | NEW BS110 | }}} |
1. 노선 정보
| |||||
기점 | 경기도 의정부시 민락동(민락동차고지) | 종점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5·6가동(동대문) | ||
종점 행 | 첫차 | 04:00 | 기점 행 | 첫차 | 05:45~50 |
막차 | 22:20 | 막차 | 00:00~05 | ||
평일배차 | 7~11분 | 주말배차 | 토요일 10~13분 / 공휴일 11~15분 | ||
운수사명 | 대원여객 (민락동영업소) | 인가대수 | 32대(예비 1대)[3] | ||
노선 | 민락동차고지 - 용암마을15·16단지 - 송양초교 - 송양고 - 송산주공2·3·5·6단지 - 어룡역 - 송산주공7단지 - 민락초교 - 산들마을4단지 - 민락주공2단지 - 송산1동주민센터 - 영석고 - 신곡지하차도 - 장암주공2단지 - 도봉차량기지 - 도봉산역 - 방학역 - 수유역 - 미아사거리역 - 길음뉴타운 - 삼선교·한성대입구역 → 혜화동로터리 → 창경궁·서울대학교병원 → 이화동·이화장 → 동대문 → 종로5가·효제동 → 혜화역 → 삼선교·한성대입구 → 이후 역순 |
2. 개요
대원여객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65.1km다.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구 12-1번 도시형버스(민락동 - 종로5가)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가 107번으로 바뀌었다.
- 2005년 3월 1일 1152번 지선버스가 수유역에서 노원역으로 단축되는 과정에서 증차가 이뤄졌다.
- 낙양동 차고지 이전 및 민락2지구 교통편 마련을 위해 2012년 12월 12일에 노선이 연장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당시엔 민락동 상가지구와 부용마을3단지 쪽 도로가 개통되지 않아 이마트 의정부점으로 우회하였다.
- 도로가 완공되면서 민락동 상가지구/부용마을3단지 경유로 변경되었다.
- 굴곡 완화를 이유로 2016년 8월 22일부터 부용마을아파트정문, 송산초교를 거치지 않고 송양고에서 송산주공아파트 2.3.5.6단지로 바로 간다. 관련 공문
- 2017년 12월 31일 종로 중앙버스전용차로의 완공으로 기존 종로6가(종로5가역 4번 출구) 정류소가 폐쇄되면서 무정차 통과한다.
- 2018년 1월 1일에 106번에서 감차된 차량 중 3대가 투입되었고 막차의 차고지 도착시간을 앞당기기 위해 막차시간이 40분 당겨졌다. 관련 공문 [4] 그런데,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 기간 동안 저상버스 4대와 운전 기사까지 지원을 가면서, 연초에 증차했던 의미가 한 동안 사라지다시피했다.
- 2020년 1월 29일에 정규차 4대와 예비차 1대가 감차되었으며, 감차된 차량들은 모두 같은 날 신설된 01번으로 이동되었다. 이에 따라 운행 댓수가 평일의 경우 4대,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각각 3대씩 줄었고,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의 경우 16회,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각각 12회씩 감회되었으며 전일에 걸쳐서 최소 배차간격은 1분씩, 최대 배차간격은 2분씩 늘어났다.관련 공문1관련 공문2
4. 특징
- 일반버스 24대, 저상버스 8대를 투입하여 운행한다.
- 동사의 106, 107, 108의 3노선 중 유일한 저상버스 보유 노선이었다[5]. 의정부시 동부의 인구를 서울특별시로 수송하는 주력 노선으로 출퇴근 시간에 의정부-도봉산역 구간의 승객 수는 지옥철을 방불케 한다.[6]
- 강북구-성북구 구간을 지나가는 버스들이 다들 그렇듯이 서울 지하철 4호선 노선과 정확히 일치하며 출퇴근 시간의 수요를 많이 분담하고 있지만..여전히 4호선은 콩나물 시루 신세를 면하지 못한다.
- 민락동 주민들이 보기에는 10-1번, 10-2번, 10-3번과 경쟁하는 노선이기도 하다. 둘 다 민락동에서 도봉산역을 가는 데 유용한 버스이기 때문이다. 차이점은 크게 2가지. 이 노선은 도봉산역을 넘어 동대문까지 가지만, 10-1번/10-2번/10-3번은 도봉산역까지만 간다. 저 셋은 애초에 민락동 출퇴근 수요를 처리할 목적으로만 만들어졌기 때문. 대신 민락동에서 도봉산역까지 걸리는 시간은 의정부 10-1번이 빠른데(2지구에서는 10-2), 이는 10-1번이 신평화로를 이용해 민락동에서 장암동까지 다이렉트로 가는 반면, 이 노선은 용현동도 들르고 신곡동도 들르고 하기 때문이다. 또 하나의 큰 차이점은, 10-1번이 107번보다 훨씬 일찍 끊긴다. 0:00 즈음이면 도봉산역을 민락동 방향 막차가 지나간다.
- 저상버스 중 이 노선에 BS120CN이 있었는데, 메트로버스 260번에 마지막으로 남아 있던 3대와 동일 연식이었다. 05년 여름에 들여온 차량이었으니... 일부는 다른 노선으로 이동하기도 했으나, 이들 차량은 모두 2014~2015년 사이에 전멸했고, 일반버스로 대차되었다.
물론 메트로버스에 있는 3대와 같은 연식이라 믿기 어려운 외관을 자랑했었다. 녹이 많다든지, 출입문의 형태가 150, 160번의 BS120CN에서 보던 것과 같다든지..게다가 2006~2007년식 BS110CN도 꽤 있었는데, 다 트레이드되고 BS106 일반버스 비중이 높아져 저상버스 비율이 8대로 크게 줄었다. 이후 서울시 저상버스 의무정책으로 2019년 말에는 이 노선의 저상버스가 12대까지 늘었으나, 녹색순환버스 정책에 따라 신설된 01번으로 저상버스 4대가 차출됨에 따라 2020년 2월 현재는 다시 8대만 운행 중이다.
4.1. 일평균 승차인원
| ||
<rowcolor=#fefefe>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5년 | 16,249명 | - |
2016년 | 15,414명 | ▽ 835 |
2017년 | 15,231명 | ▽ 183 |
2018년 | 15,692명 | △ 461 |
2019년 | 16,305명 | △ 613 |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는 서울 열린데이터광장이고 2015년 이후의 자료만 제공하고 있다.
5. 연계 철도역
수도권 전철 1호선 : 도봉산역, 도봉역, 방학역, 동대문역, 종로5가역
수도권 전철 4호선 : 쌍문역, 수유역, 미아역, 미아사거리역, 길음역, 성신여대입구역, 한성대입구역, 동대문역, 혜화역
서울 지하철 7호선 : 도봉산역
의정부 경전철 : 어룡역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 성신여대입구역
[1] 2005년에 BS120CN으로 대차되었고, 2006년 이후 시기 미상으로 면허가 서울 70사 2803으로 바뀌었다.(같은 시기 출고한 동종 차량 중 유독 이 차량만 신형 번호판이었던 이유이다.) 이후 2014년에 다시 대차되어 341번에서 운행 중.[2] KD 운송그룹에서는 대원여객 외에도 경기고속, 대원고속에서도 제법 흔하게 볼 수 있는 옵션이었는데 당시에는 이런 2/3 개폐창을 가진 차량에 좌석시트가 박혀있는 일은 흔했다.[3] 토요일 25대 / 공휴일 21대 운행[4] 실은 이미 2016년 2월 말에도 비슷한 이유를 들어 막차를 40분 앞당기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당시 서울시에서 검토 결과 부적절하다면서 무산시켰었다. 출처[5] 현재는 108번에도 저상버스가 투입되었다[6] 그리하여, 10-1번, 10-2번이 신설되었다. 그리고 도봉산역만을 가기 위해서라면 10번을 이용 할 수도 있다.[7] 즉 평일 기준으로, 서울 지하철 7호선 막전차를 타고 도봉산역에 내릴 경우 막차 시간이 간당간당 해질 수 있으니 버스정보 어플 확인 필수. 평일의 7호선 막차 시간대라면 막전차부터는 수락산역에 하차하여 민락2지구 방향으로는 3600번을, 장암동/신곡동 방향으로 가려면 3100번/3200번/3500번/3600번 등을 타는 게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