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2f08; font-size:14px" | |||||
{{{#!wiki style="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6px" | 0017 | 1014 | 1017 | 1020 | 1111 |
1113 | 1114[B] | 1115 | 1116 | 1119 | |
1120 | 1122 | 1124[B] | 1126 | 1127 | |
1128 | 1129[B] | 1130[B] | 1131 | 1132 | |
1133 | 1135 | 1136[B] | 1137 | 1138 | |
1139 | 1140 | 1141 | 1142 | 1143[A] | |
1144 | 1154[A] | 1155[A] | 1156[A] | 1162[B] | |
1164[B] | 1165 | 1167 | 1213 | 1218 | |
1221 | 1222 | 1224 | 1226 | 1227 | |
1711 | 8112 | ||||
[A] 경기도 진입 노선 / [B] 차등요금 적용 노선 | |||||
[[틀:서울 1권역 간선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13px"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1px;margin-top:-6px;margin-bottom:-15px" | 최종 행선지 | 버스 번호 |
덕정동차고지 | 108 | |
녹양역 | 106 | |
민락동차고지 | 107 | |
수락리버시티 | 1143 | |
신곡동 | 1154 | |
타 지역 경유 시내버스 목록 |
| |
2013년식 NSAC 저상버스. | 2015년식 블루시티 저상버스. |
1. 노선 정보
| |||||
| |||||
기점 | 서울특별시 노원구 하계1동(한성여객종점) | 종점 | 경기도 의정부시 신곡2동(신성벽산아파트) | ||
종점 행 | 첫차 | 04:30 | 기점 행 | 첫차 | 05:10 |
막차 | 23:20 | 막차 | 00:00 | ||
평일배차 | 10~16분 | 주말배차 | 10~17분 | ||
운수사명 | 한성여객 | 인가대수 | 12대(예비 1대)[1] | ||
노선 | 한성여객종점 - 용동초등학교 - 하계현대아파트 - 상계중학교 - 노원역 - 도봉면허시험장 - 상계주공7·9·10단지 - 상계주공11·12단지·마들역 - 수락산역 - 장암역·석림사입구 - 장암주공5단지 - (→ 서해아파트 →/← 동신·현대·한일·삼익아파트 ← 신곡1동행정복지센터·신곡1동우체국 ←) - 의암교회 - 추동아파트 → 신성벽산아파트 → 신명아파트·백병원 → 신동초등학교·신동아파밀리에아파트 → 추동아파트 → 이후 역순 |
2. 개요
한성여객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27.64km다.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구 20-3번 도시형버스(상계주공7단지 - 신곡동)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하계동종점까지 연장되었고, 번호도 1154번으로 변경되었다.
- 2005년 4월 28일에 '노원경찰서 - 용동초교 - 공릉길' 구간으로 변경되었다.
- 2008년 12월 20일에 1153번을 흡수하면서 하계동 방향은 신곡1동주민센터, 신곡1동 동신/한일/삼익아파트를 경유하게 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관련 기사 동시에 1대가 증차되었다.
- 2011년 5월 10일부로 1대가 감차되었다. 감차분은 다음 날 연장된 1143번에 투입되었다.
- 2019년 5월 13일을 기해 동년 9월 30일까지, 하절기 감압충전 및 차내 냉방 실시에 의한 가스충전 횟수 증가에 따라 대당 1일 운행횟수를 일시적으로 감축 운영했다. 이에 따라 해당 기간동안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각각 2회씩 감회 운영되었으며, 본래 16분인 평일 최대 배차간격이 17분으로 조정되었고, 토요일 및 공휴일에도 최소/최대 배차간격이 각각 평일과 같은 수준인 10분/17분으로 운영되었다. 하절기 한시적 운행계통 변경 공문 배차간격 재조정 및 소급 적용 공문
- 2019년 12월 30일을 기해 본래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91분/97분/87분이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103분/104분/97분으로 늘고 정상운행차량과 단축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모두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의 경우 4회,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각각 2회씩 감회되었다. 또한 이번 운행계통 변경과 함께 각각 토요일 10~18분/공휴일 12~18분이던 토요일/공휴일 배차간격이 10~17분으로 통일되었다.관련 공문1관련 공문2
4. 특징
- 2019년 10월 예비차 포함 100% 저상화가 완료되었다,
- 서울 시내버스 중 KD 운송그룹 계열이 아닌 유일한 의정부방면 서울시내버스 노선이다(지선버스로도 유일). 과거에는 1153, 1155번도 있었으나 1153은 2008년 하반기 개편을 거치면서 폐선되었고, 1155는 2012년에 청학리로 단축되었다.[2][3]
- 또한 시내 및 강남에서 N13번, N61번 버스를 타고 도봉면허시험장에서 4시 40분경까지 기다려 이 버스의 첫차를 타면 마들역, 수락산역, 장암동, 신곡동을 환승해서 갈 수 있다.[4]
- 여담으로 서울 노원구에 진입하는 대부분의 경기도 일반시내버스들은 노원역에서 끊어지는 가운데, 이 노선은 서울이 기점인 버스라 노원역 이남 지역도 운행한다.
- 舊 1152번과는 노원역 - 장암역 구간이 동일하지만 회차지인 신곡동에서 서울로 가는 역할을 맡고 있으며, 남쪽 방향으로는 노원역에서 돌렸던 것과는 달리 노원역을 거쳐 하계동까지 운행한다.[5]
- 예전에는 대원운수 - 경기고속 - 평안운수에서 운행하던 12-3번, 명진여객의 72-1번과 신곡동 구간까지 비슷한 덕분에 거의 1대 1대 1의 경쟁관계였다. 물론 댓수는 72-1번이 가장 많았고 1154번 중간이었지만 거리는 12-3번이 짧아서 셋 다 배차간격도 비슷했다. 그러다가 12-3번이 녹양동으로 연장되면서 신곡동은 1154번과 72-1번으로 분산되었고 지금은 12-3번이 신곡동을 아예 안 가는 노선이 되면서 경쟁관계는 72-1번과 이어가고 있다.
- 상당히 스피드가 있는 노선이며, 동일로 신호대기 시간 때문에 빠르게 운전하는 기사님들이 많이 계신다. 특히 블루시티 차량의 경우, 밤 11시가 넘으면 동일로에서 질주를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동일로 외 구간에서는 정상 속도로 달리는 경우가 많다. 출퇴근 시간과 첫/막차시간에는 모든 구간에서 속도를 낸다.
4.1. 일평균 승차인원
1154번을 이용하는 일일 승객 수이다. 하차인원은 포함하지 않는다.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54번 |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6,328명 | 6,268명 | 6,172명 | 6,273명 | 6,398명 |
- 출처는 서울 열린데이터광장이며 2015년 이후의 자료만 제공하고 있다.
5. 연계 철도역
수도권 전철 4호선 : 노원역
서울 지하철 7호선 : 노원역, 마들역, 수락산역, 장암역
의정부 경전철 : 동오역[6]
[1] 토요일 10대 / 공휴일 9대 운행[2] 이로 인해 한성여객 노선 중 유일하게 경기도까지 들어가는 노선이다. 1143번은 수락리버시티 까지 들어가서 경기도를 경유하나 그냥 스치는 정도니 제외한다.[3] 다만 1155번은 행선판에 붙여진 공식적인 기점은 석계역이었지만, 실질적 기점은 청학리였고, 2012년 단축과 함께 청학리 출발로 행선판도 교체되었다.[4] 두 노선은 상계주공7단지 차고지가 노원측 차량의 운행종료지점이므로 도봉면허시험장에서 하차해야만 한다.[5] 반대로 개편 전에는 1152가 12-5로 다니면서 동대문까지 내려갔고, 구 1153, 1154(720-1, 20-3)이 7단지에서 끊겼다.[6] 은하수아파트, 신곡2동주민센터 하차 도보 3분 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