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5bb025> | }}} |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투어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 1014 | 1017 | 1020 | 1111 | 1112 |
1113 | 1114[a] | 1115 | 1116 | 1119 | |
1120 | 1122 | 1124[a] | 1126 | 1127 | |
1128 | 1129[a] | 1130[a] | 1131 | 1132 | |
1133 | 1135 | 1136[a] | 1137 | 1138 | |
1139 | 1140 | 1141 | 1142 | 1143 | |
1144 | 1154 | 1155 | 1162[a] | 1164[a] | |
1165 | 1167 | 1213 | 1218 | 1221 | |
1222 | 1224 | 1226 | 1227 | 1711 | |
[a] 차등요금 적용 노선 | |||||
[[틀:서울 0권역 지선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12px" |
1. 개요
진아교통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18.6km다.전체 정류장 목록2. 노선 정보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222번 | |||||
| |||||
기점 | 서울특별시 노원구 월계동(월계동진아교통) | 종점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제기동(벽산아파트) | ||
종점 행 | 첫차 | 04:00 | 기점 행 | 첫차 | 04:33 |
막차 | 23:20 | 막차 | 23:53 | ||
평일배차 | 9~12분 | 주말배차 | 토요일 9~13분 / 공휴일 9~15분 | ||
운수사명 | 진아교통 | 인가대수 | 11대(예비 1대)[1] | ||
노선 | 월계동진아교통 - 월계미륭아파트 - 석계역 - 석관동주민센터 - 돌곶이역 - 석관시장 - 한국예술종합학교 - 의릉입구 - 한국외국어대학교 - 경희중고등학교 - 회기시장 - 청량리역 환승센터 → 경동시장앞 → 제기동천주교회 → 벽산아파트 → 고려대학교 → 고려대역 → 홍파초등학교 → 제기동주민센터.서울약령시앞 → 이후 역순 |
3. 역사
- 구 38번 도시형버스(월계동 - 동부이촌동) 노선이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고려대 - 동부이촌동' 구간을 단축하고[2] '회기시장 - 청량리역' 구간을 경희대학교 경유로 변경하였고, 번호도 1222번으로 바뀌었다.
- 2004년 7월 29일에 회기로 대신 이문로 경유로 변경되었고, 용두동사거리와 신설동역 회차로 바뀌었다.
- 2005년 2월 3일에 제기동 종합복지관 구간을 고려대학교 경유로 변경했다.
- 2005년 5월 4일에 안암동로터리로 단축, 환원되었다.
- 2020년 6월 1일을 기해 9~13분이던 평일 배차간격은 9~12분으로, 11~13분이던 토요일/공휴일 배차간격은 토요일 9~13분/공휴일 10~12분으로 줄었다. (단, 전일에 걸쳐 운행횟수에는 변동 없음.) 관련 공문1, 관련 공문2
- 2024년 7월 1일을 기해 기점 막차시각이 23:20으로 기존 대비 10분 늦춰졌고,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72분/69분/69분에서 85분/80분/78분으로 늘고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었다. 이에 따라 토요일/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는 99회에서 94회로 5회 감회되었으나,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는 기존 단축운행차량 1대가 정상운행차량으로 전환되면서 변동 없이 105회로 유지되었다. 관련 공문
4. 특징
- 147번의 돌곶이역(정류장은 고대앞방향 운행시 한정)~청량리역 구간을 보조하는 노선이다.
- 청량리~고려대 간 이동 시 가장 효율적인 노선이기도 하다. 이 노선 외에 청량리~고려대를 잇는 노선은 121번, 1213번, 1227번, 3216번이 있지만, 121번, 1213번은 정문이 아닌 고려대삼거리에 정차하기 때문에 접근성이 떨어지고 1227번, 3216번은 청량리에서 고려대로 올 때는 괜찮지만 그 반대의 경우 떡전교사거리를 지나 서울시립대~신답역~동대문구청까지 찍고서야 청량리역으로 가기 때문에 고대 정문에서 청량리역으로 갈 때는 사실상 1222번이 필수. 게다가 1227번은 청량리역 환승센터 5번 정류장에 정차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노선들이 정차하는 4번 정류장과 거리가 있다.
- 석관동과 월계3동을 잇는 유일한 노선이다. 함께 석관동-월계3동을 이어주던 1215번이 2012년에 폐선되면서 존재감이 더욱 커진 편.
- 제기동주민센터-제기동천주교회-벽산아파트 구간은 단독 구간이다.[3]
- 석계역/돌곶이역 - 고려대역 구간을 이용하고자 할 경우 서울 지하철 6호선을 이용하면 된다. 이 노선은 돌곶이역에서 빠져서 이문동, 외대, 청량리, 제기동을 거쳐 크게 우회하기 때문이다. 석계역/돌곶이역 - 고려대역 구간을 이동하고자 한다면 173번을 또는 돌곶이역 - 고려대역 구간을 이동하고자 한다면 1111번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 행선판은 경동시장~제기동주민센터 ~ 제기동천주교회 ~ 벽산아파트 정류소에서 변경한다. 특이하게도 양 방향 모두 정차하는 정류소가 없음에도 행선판을 사용 중에 있는데, 노원역 경유 이전의 147번도 행선판을 사용한 것으로 보아 그냥 진아교통에서 자체적으로 사용하는 듯하다.
월계동진아교통 방향 벽산아파트 방향 월계동이마트방향 고대앞방향 - 진아교통 소속 노선중 석계역을 지날때 하나의 정류장에 양방향이 정차하는게 아닌 노선이다.
4.1. 시간표
- 2024년 7월 1일 운행계통 변경 이전의 시간표이므로 참고용으로만 이용할 것.
4.2.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222번 | ||
<rowcolor=#ffffff>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3년 | 5,372명 | - |
2014년 | 5,161명 | ▽ 211 |
2015년 | 4,805명 | ▽ 356 |
2016년 | 4,569명 | ▽ 236 |
2017년 | 4,457명 | ▽ 112 |
2018년 | 4,393명 | ▽ 64 |
2019년 | 4,452명 | △ 59 |
2020년 | 3,252명 | ▽ 1,200 |
2021년 | 3,217명 | ▽ 35 |
2022년 | 3,668명 | △ 451 |
2023년 | 3,958명 | △ 290 |
2024년 | 4,235명 | △ 277 |
※ 하차 인원 미포함 |
- 2013년부터 승차량이 지속적으로 하락 중인데, 이는 서울시 전체적으로 버스 수요가 줄고 있기도 하고 주 수요처인 이문로 일대가 이문휘경뉴타운 사업으로 인해 재개발에 들어간 터라 해당 구간에서 120, 147, 261번을 보조해주던 역할을 제대로 못하고 있는 등 여러 사정이 겹치면서 만들어진 결과다. 해당 구간의 재개발이 완료되는 이후의 수요 추이를 지켜봐야 할 듯.
4.3. 노선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222번 | ||||||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 고려대학교앞 06175 | ← | 우신향병원 06176 | |||
고려대역.고대앞삼거리 06174 | ↓ | ↑ | 벽산아파트 06299 | |||
홍파초등학교 06171 | 제기동천주교회 06300 | |||||
- | ↓ | ↑ | 제기동주민센터앞 06288 | |||
이상 회차 구간 | ||||||
제기동주민센터.서울약령시앞 06168 | 경동시장앞 06775 | |||||
청량리수산시장 06418 | ↓ | ↑ | - | |||
청량리역환승센터(2번승강장) 06018 | 청량리역환승센타(4번승강장) 06015 | |||||
- | ↓ | ↑ | 청량리미주아파트.동대문세무서 06021 | |||
서울성심병원 06114 | 떡전교사거리.동대문노인복지관 06014 | |||||
우산빌딩앞 06321 | ↓ | ↑ | 회기동현대아파트 06320 | |||
회기시장 06123 | 회기시장 06122 | |||||
경희중고 06125 | ↓ | ↑ | 경희중고 06124 | |||
외대앞 06127 | 외대앞 06126 | |||||
이문동교회 06129 | ↓ | ↑ | 이문동우체국 06128 | |||
의릉입구 06131 | 의릉입구 06130 | |||||
한국예술종합학교 08216 | ↓ | ↑ | 한국예술종합학교 08215 | |||
석관동새마을금고 08214 | 석관동새마을금고 08213 | |||||
석관시장 08212 | ↓ | ↑ | 석관시장 08211 | |||
돌곶이역 08141 | 돌곶이역 08209 | |||||
- | ↓ | ↑ | 장위동동원베네스트.온누리병원 08143 | |||
석관동주민센터 08144 | 석관동주민센터 08145 | |||||
석계역굴다리앞 08146 | ↓ | ↑ | 석계역1번출구.B 11481 | |||
석계역 08147 | 석계역2번출구 11284 | |||||
- | ↓ | ↑ | 한진한화그랑빌아파트 11312 | |||
- | 한진한화그랑빌아파트 11313 | |||||
한천초등학교 11315 | ↓ | ↑ | 한천초등학교 11314 | |||
월계미성아파트 11317 | 월계미성아파트 11464 | |||||
월계미륭아파트 11319 | ↓ | ↑ | 월계미륭아파트 11318 | |||
월계삼호아파트 11321 | 월계삼호아파트 11320 | |||||
월계삼호4차아파트 11323 | ↓ | ↑ | 월계삼호4차아파트 11322 | |||
월계동진아교통 11485 · 11486 |
5. 연계 철도역
- 수도권 전철 1호선: 석계역, 청량리역
- 서울 지하철 6호선: 석계역, 돌곶이역, 고려대역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청량리역
- 수도권 전철 경춘선: 청량리역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청량리역
- 일반 철도역: 청량리역(KTX, ITX-청춘, 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
[1] 매일 9대 운행[2] 현재 회차구간은 개편 전과 비슷하게 다녔는데, 월계동 방면만 고려대를 경유했으며, 이촌동 방면은 그대로 안암동로터리로 빠졌다. (지금과는 달리 현 2222번처럼 홍파초등학교 앞에서 좌회전하여 제기시장, 우신향병원을 경유해서 빠졌었다.)[3] 다만 단독 구간이면서 편도 운행하는 구간이라 노선과 반대 방향으로 가기 위해서는 걸어가는 수밖에 없다. 과거에는 일부 구간에 1215번, 2223번, 3200번이 있었지만, 1215번은 폐선되었고 2223번은 1212번과의 노선통합으로 2115번이 될 때 본 구간을 지나지 않게 바뀌었으며 3200번은 정차 정류소가 없어졌다.[4] 주로 경동시장(고려대 방면), 고려대(홍파초 방면), 홍파초등학교(경동시장 방면)에서 노인들이 번호를 헷갈려 잘못 탑승하는 경우가 있다. 1222번은 청량리 방면으로 좌회전, 2222번은 왕십리 방면으로 직진하므로 마지막 접점지인 홍파초등학교 정류소에서 갈아타야 하며, 이 정류소를 놓치면 골치 아파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