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6px" | 직행좌석 | | | |||||||||
시내일반 | 1 | 1-1 | 1-5 | 1-6 | 1-7 | |||||||
3 | 5 | 7 | 8 | 10 | ||||||||
10-1 | 11 | 12-5 | 23 | | ||||||||
25-1 | 34 | 35 | 36 | 39 | ||||||||
39-4 | 72-1 | 111 | 133 | 360 | ||||||||
출퇴근형 | 10-3 | 1-1출근형 | 23-1통학 | 25-2 | ||||||||
마을 | 201 | 201-1 | 202 | 202-1 | 203 | |||||||
203-1 | 203-2 | 205 | 205-1 | 206 | ||||||||
206귀락 | 206-1 | 207 | 207-1 | 208 | ||||||||
208-1 | 208-2 | |||||||||||
의정부시 진입 관외버스 목록 | 경기도의 시내버스 목록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1px;margin-top:-6px;margin-bottom:-15px" | 직행좌석 | | | ||
일반시내 | 1-1 | 5 | 7 | 10 | |
10-1 | 10-2 | 10-3 | 12-5 | ||
34 | 36 | 39 | 39-4 | ||
72-1 | 111 | 133 | 360 | ||
타 지역 서울 경유 시내버스 목록 |
{{{#!folding [ 관련 사진 펼치기 · 접기 ] | | ||
구형 뉴 슈퍼 에어로시티. KD 인수 이전의 모습.[1] | 구형 뉴 슈퍼 에어로시티 좌석형. [2] |
| |
BS106. [3] | BS110CN F/L 초기형 |
| |
BS110CN F/L 후기형[4] | NEW BS106 좌석형[5] |
1. 노선 정보
| |||||
기점 | 경기도 의정부시 송산2동(의정부공영차고지) | 종점 |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2동(노원역.롯데백화점) | ||
종점행 | 첫차 | 04:45 | 기점행 | 첫차 | 05:30 |
막차 | 23:20 | 막차 | 00:10 | ||
평일배차 | 5~10분 | 주말배차 | 10~15분 | ||
운수사명 | 명진여객 | 인가대수 | 18대 | ||
노선 | 의정부공영차고지 - 산들마을4단지 - 산들마을1단지남문 - 송현고등학교 - 송산주공2.5.6단지 - 송산주공1.9단지 - 효자중.고등학교 - (→삼성래미안,진흥아파트→경기도청북부청사역→)/(←경기도청북부청사←) - 홈플러스 - 천보중학교 - 의정부우체국 - 신곡중학교 - 추동아파트 - 서해아파트 - 장암주공5단지 - 장암역 - 수락산역 - 마들역[6] → 상계주공7단지 → 상계초등학교[7] → 노원역 9번출구.롯데백화점 → 도봉면허시험장→ 이후 역순 |
2. 개요
의정부 시내버스 수요 TOP 4, 경기도 시내버스 순위 상위권 왕복 운행거리는 약 35.2km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72번의 지선으로 신설되었다. 이 때는 영종여객과 명진여객이 공동 배차로 운행했다.
- 영종여객이 2004년에 선진네트웍스 산하로 편입되며 명진여객 단독 운행으로 바뀌었다. 대신 138번 운행 분량이 포천교통으로 넘어갔다.
- 2016년 9월 5일에 민락동 방향 한정으로 경기도청북부청사를 재경유하게 되었다. 관련 게시물
- 2018년 3월 1일 ~ 6월 30일 동안은 경기도청북부청사 리모델링 공사로 인하여 하행 한정 홈플러스 → 북부청사 → 의정부세관 구간이 홈플러스 → 경기도청북부청사역 → 효자중,고등학교 → 의정부세관 구간으로 운행했었다.
4. 특징
- 의정부시와 노원역을 잇는 노선들 중 가장 존재감이 크다. 명진여객서 1-1과 더불어 대표적인 빗자루 노선일 정도다. 가장 존재감이 없는 노선은 12-3번이다.
- 장암역, 노원역, 수락산역에서 타고 내리는 승객이 많다.
- 일부 차량의 전광판이 특이하다. 가로로 길쭉한 하나짜리 전광판에 대머리 유리창용 전광판의 형태로 표출된다. 위의 마지막 사진이 그런 경우인데, 2017년 들어서는 다른 곳에서도 목격되는 모양.[8]
- 2017년 12월, 일부 차량 LED전광판이 새 전광판으로 교체되고 해당 차량들은 자막 폰트와 크기도 수정되었다.
- 거리비례제 적용노선이므로 현금승차시 목적지를 말해야 한다.
4.1. 차종
- 2008년에 Global 900 F/L CNG 차량을 투입했으나, 1주일도 채 지나지 않아 회사가 인수되면서 조기대차가 되지 않을까하는 추측이 오갔지만, 보조금 문제 때문에 계속 운행했다. 이후 10-1번으로 넘어갔다가 2012년 여름에 경기버스 소속으로 이관되었다. 면허 자체는 경기고속 출신 2009년식 로얄시티로 바뀌어 1-2번에서 다니고 있다. 현재는 모든 차량이 대형 차량(NEW BS106, BS110CN F/L)이나, 중형 차량이 임시로 투입되는 일이 간혹 있긴 하다. 뉴 슈퍼 에어로시티도 운행했으나 모두 대차되었다.
5. 연계 철도역
[1] 2006년 말에 출고된 경기도 일반시내버스 도색 시범적용 차량이었다. 현재는 NEW BS106으로 대차되어 111번에서 운행 중이다.[2] 현재는 2018년식 NEW BS106 CNG로 대차되었다.[3] 현재는 2017년식 NEW BS106 CNG로 대차되어 1-1번에서 운행 중이다.[4] 2017년 4월 중에 1-1번에 들어갔다가 다시 복귀한 차량이다.[5] 현재 해당 차량은 10-2번으로 넘어 갔다.[6] 노원역 방향은 상계주공11단지, 민락동 방향은 상계주공12단지 정류장 하차.[7] 상계초등학교로 갈 승객은 이곳이 아닌 한 정거장 전인 '온곡중학교.노원정보도서관' 정류장에서 하차하는 것이 더 빠르다.[8] 이 노선 말고도 남양주의 23번, 9번, 91번, 구리의 51번, 의정부의 25번 시리즈, 10번, 1-1번 등 여러 노선이 해당된다.[9] 앞에서도 서술했지만 상계주공11(12)단지 정류장에서 하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