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 |
진접선 | 진접 ~ 당고개 (14.5km, 16.57%) |
서울 지하철 4호선 | 당고개 ~ 남태령 (31.7km, 36.29%) |
과천선 | 남태령 ~ 금정 (14.4km, 16.80%) |
안산선 | 금정 ~ 오이도 (26.0km, 30.34%) |
사건 사고 | 역 목록 | 연장 |
| <tablealign=center> | 서울 지하철 4호선 서울 地下鐵 4號線 Seoul Subway Line 4 | }}} | |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 ||||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 ||||
노선 정보 | ||||
분류 | 도시철도 | |||
기점 | 당고개역 | |||
종점 | 남태령역[A] | |||
역 수 | 26개 | |||
개업일 | 1985년 4월 20일 | |||
소유자 | | |||
운영자 | | |||
사용차량 |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 |||
차량기지 | 창동차량사업소 | |||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 31.7㎞ | |||
궤간 | 1,435㎜ | |||
선로구성 | 복선 | |||
사용전류 | 직류 1,500V 가공전차선[2] | |||
신호방식 | US&S[3] ATC | |||
표정속도 | 35.9㎞/h | |||
통행방향 | 우측통행 | |||
개통 연혁 | 1985. 04. 20. 상계 ↔ 한성대입구 1985. 10. 18. 한성대입구 ↔ 사당 1993. 04. 21. 당고개 ↔ 상계 1994. 04. 01. 사당 ↔ 남태령 |
[clearfix]
1. 개요
서울 지하철의 한 노선으로 서울특별시 노원구 당고개역에서부터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태령역까지의 노선이다. 노선색은 ● 하늘색으로 나와 있지만 파란색이다.[4] 개통 직후 당시 뉴스2. 역사
2.1. 상계 - 사당 구간
경복궁역(당시 중앙청역)에서 열린 서울 지하철 3호선, 서울 지하철 4호선 전 구간 개통식. 개통 당시 뉴스
4호선 수유 - 도심 구간은 1960년대 김현옥 서울시장의 지하철 계획에서도 있을 만큼 계획이 오래되었다. 이 구간은 양택식 시장의 서울지하철 계획에서도 3호선의 일부로 나타나 있었는데, 이 때의 노선은 3호선의 연신내 - 홍제 - 독립문 - 서울역 구간에 현재의 4호선 수유 - 서울역 구간을 포개놓은 것 같은 U자 선형이었다.
1970년대 중후반 서울시장을 역임한 구자춘은 기존 양택식 시장의 2 - 5호선 계획을 파기하고 새로이 2호선, 3호선, 4호선을 계획했는데, 이 때의 3호선과 4호선은 불광동 ~ 서울역 ~ 사당, 4호선은 미아동 ~ 동대문 ~ 보광동 ~ 영동을 잇는 형태였다. 이 노선은 지금 3호선과 4호선을 반씩 섞어놓은 듯한 형태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3호선과 4호선은 1977년경 계획이 수정되어 서울을 X자로 관통하는 현재 서울 지하철 3호선, 서울 지하철 4호선의 선형이 완성된다. 서울 지하철 2호선은 사대문안, 영등포, 강남을 잇는 순환선으로 계획되었지만, 당시 강남의 발전은 미진하였기 때문에 강남 - 영등포 구간은 도심 직통 노선의 보완 없이는 제 역할을 하기 힘들 것이라 생각되었고, 그렇기에 서울을 가로지르며 2호선과 접속하는 3호선과 4호선 건설은 빨리 추진될 필요가 있었다.
원래 계획에서는 충무로역 이후 용산 동부를 뚫어 바로 한강을 건너기로 되어 있었으나 실제 노선은 서울역을 지나 1호선과 평행하게 달린 후 한강대교 직전에서 이촌으로 방향을 틀고 있는데 이건 다름아닌 용산 미군기지 때문이었다. 또한 사당역에서 서울대공원을 지나 정부청사가 있는 과천시까지의 연장도 검토했으나 서울시 재정 부족으로 무산되었다.(후에 과천선으로 실현)
그러나 당시 중앙정부든 서울시든 빈약한 재정으로 인해 원하는 만큼 지하철을 짓기는 어려웠다. 이에 서울시는 서울 지하철 3호선, 서울 지하철 4호선을 민간투자사업으로 지으려고 했고, 여러 재벌들의 투자금을 끌어모아 1979년 3월에 (가칭)지하철건설주식회사를 출범시켰으며, 이 기업은 1980년 2월에 정식 사명을 서울지하철건설주식회사로 바꾸었다. 그리고 이 기업의 주도 하에 자금을 모아 서울 지하철 3호선과 4호선을 착공할 수 있었다. 그러나 당시의 경제위기와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3호선과 4호선의 공사비는 착공 당시 예상되었던 수준의 2배 이상으로 치솟았고, 서울지하철건설주식회사에 출자한 기업들은 추가 출자를 거부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이에 서울시는 지하철공채를 발행하여 부족한 지하철 건설 사업비를 메꾸는 대신, 민간투자사업 방식을 포기하고 서울시가 전액 출자하는 지방공기업 방식으로 지하철을 건설하고 운영하기로 하였다. 이에 따라 서울지하철건설주식회사는 해산되고, 이를 대신하는 형태로 1981년 9월 1일에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서울메트로)를 설립한다. 출처 이에 따라 1호선과 2호선을 서울특별시 지하철본부가 건설한 것과는 달리 3호선과 4호선은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가 직접 건설하고 운영하였다.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는 그 후 서울메트로로 사명을 개정하고,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와 통합해 서울교통공사가 된다.
이렇게 해서 4호선은 1980년에 착공되었으며, 1985년에는 노원구의 상계역-동작구의 사당역 사이의 건설이 완료되었다.
기존 1호선과 2호선이 개착식 공법을 많이 사용한 데 비해, 4호선 공사는 난공사 부분에서 NATM 공법 등 터널 공법이 많이 들어가 있다. 길음역~성신여대입구역[5] 사이와 동대문역 - 충무로역이 이에 해당한다. 또한 한강을 건너기 위해 도로-철도 병용 교량인 동작대교를 신설했으며, 동작역~이수역 사이에는 산이 가로막고 있어서 서울지하철 중 유일하게 일반철도처럼 산을 관통하는 터널을 건설하였다. 물론 터널통과 후 바로 지하구간으로 다시 내려간다.
2.2. 당고개 - 상계 구간
1989년에는 2기 지하철 계획의 일부로서, 산비탈에 있어 교통이 불편한 상계3동과 상계4동 주민들을 위해 상계역에서 끝나던 4호선을 당고개역까지 연장하였다. 이 구간은 1993년 4월에 개통되었다. 상계역이 종착역 시절엔 회차선용 선로전환기가 존재했었고 회차선 지나서 고가선로가 끊긴 상태였는데, 1989년 당고개 연장공사를 시작해 끊긴 고가선로를 연결하게 되었고 1993년 4월 당고개역이 개통되면서 상계역에 있었던 선로전환기를 철거하였다. 당고개역 인근은 산골짜기와 고개로 이루어진 험난한 지형이라서 박스터널을 건설하여 회차선 터널이 생겼다.[6]
2.3. 사당 - 남태령 구간
4호선 계획 초기 당시 고려했다가 무산된 사당 - 과천 구간은 평촌신도시와 산본신도시 개발이익금으로 과천선을 만들기로 하면서 실현되었다. 과천선은 철도청이 계획하고 시공한 것이지만, 이 중 서울시 구간에 속한 사당역에서 남태령역까지의 구간은 철도청이 1994년 과천선 개통 직전에 서울특별시에 양도했다. 따라서 이 구간 역시 서울 지하철 4호선으로 편입되었다.한편 4호선 서울 시내 구간의 이용객 증가와 과천선-안산선 직결로 인해 4호선의 승객은 더 늘어났고 혼잡도 심화되었다. 이에 따라 1991년에서 1995년 사이에 걸쳐 모든 차량이 6량 1편성에서 10량 1편성으로 증결되었다.
3. 역별 승하차 통계
2022년 기준 서울 지하철 4호선 일평균 승하차 순위이다. 환승역의 경우 4호선이 아닌 다른 노선의 승하차객은 제외한다.서울 지하철 4호선 | ||||||
노선 총합 | ||||||
역수 | 구간 | 역당 일평균 이용객 | 일평균 승하차량 | 2022년 승하차량 | 최다 이용역 | 최저 이용역 |
26개 | 당고개 ↔ 남태령 | 33,762명 | 877,801명 | 320,397,305명 | 혜화 | 남태령 |
일일 이용객 수 | ||||||
역수 | 구간 | 10만명 이상 | 5만명~10만명 | 2만명~5만명 | 1만명~2만명 | 1만명 이하 |
26개 | 당고개 ↔ 남태령 | 없음 | 3개역[7] | 18개역[8] | 3개역[9] | 2개역[10] |
서울 지하철 4호선 | |||
역별 순위 | |||
순위 | 역명 | 일평균 승하차량 | 2022년 승하차량 |
1위 | 혜화 | 63,728명 | 23,260,801명 |
2위 | 수유 | 61,631명 | 22,495,440명 |
3위 | 쌍문 | 50,127명 | 18,296,269명 |
4위 | 미아사거리 | 48,854명 | 17,831,551명 |
5위 | 창동[11][12] | 47,757명 | 17,431,220명 |
6위 | 충무로[13] | 47,057명 | 17,175,578명 |
7위 | 사당[14] | 44,678명 | 16,307,196명 |
8위 | 회현 | 44,577명 | 16,270,615명 |
9위 | 명동 | 41,501명 | 15,147,552명 |
10위 | 길음 | 37,535명 | 13,700,588명 |
11위 | 성신여대입구 | 37,275명 | 13,605,316명 |
12위 | 노원 | 37,075명 | 13,532,601명 |
13위 | 총신대입구(이수) | 35,730명 | 13,041,616명 |
14위 | 동대문 | 34,371명 | 12,545,484명 |
15위 | 상계 | 33,407명 | 12,193,274명 |
16위 | 신용산 | 31,334명 | 11,436,717명 |
17위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27,024명 | 9,863,784명 |
18위 | 서울역 | 26,619명 | 9,715,653명 |
19위 | 미아 | 26,574명 | 9,699,460명 |
20위 | 한성대입구 | 25,011명 | 9,129,125명 |
21위 | 숙대입구 | 24,647명 | 8,996,043명 |
22위 | 당고개 | 17,437명 | 6,364,185명 |
23위 | 이촌 | 16,980명 | 6,197,731명 |
24위 | 삼각지 | 10,639명 | 3,883,198명 |
25위 | 동작 | 3,996명 | 1,458,408명 |
26위 | 남태령 | 2,241명 | 817,900명 |
4. 기타
2011년 4월 4일 창동차량기지를 가져가는 조건으로 남양주시 진접읍으로 4호선 연장이 확정되었다. 광역철도 사업으로 지정되어 국비를 많이 받는 사업으로 선정되었다고. 운영권은 서울교통공사가 가져가는걸로 되어있다.서울의 대표적인 낙후 지역인 강북구는 경유하는 지하철 노선 수가 우이신설선이 개통되기 전까지는 제일 적었다. 그 전까지 4호선만이 강북구를 지났는데 그것도 역이 3개뿐이었고 수유동, 미아동만 거쳤으며 유동인구가 많은 곳만 경유했다. 우이신설선 개통 이후 서울에서 역 수가 제일 적은 지자체는 금천구가 되었다.[15]
4호선은 7호선과의 환승이 두번 가능한데, 둘 다 막장환승, 역명 논란 병림픽 등 나름 악연이 있다.
4호선 서울역은 지상 서울역은 물론 지하철 1호선 서울역과도 거리가 꽤 있어서인지, 90년대 초반까지 역명판이나 (4호선 단독) 노선도에는 역 이름이 "서울역(앞)"이라고 써있었다.
9호선과의 환승이 적다. 현재 4호선 - 9호선 간 환승역은 동작역이 유일하다.
2014년 4월,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가 시흥차량사업소로 공차 회송중 삼각지역 구배구간에서 탈선사고가 일어나는 바람에 서울역~사당역 구간의 운행이 중단되었다. 그것도 하필 가장 분주한 출근시간 대에 사고가 나서 상당히 혼잡했었다.
2015년 5월 8일 7시 16분, 당고개 방면 사당역 - 총신대입구역 사이에서 단전을 동반한 열차 고장으로 운행이 지연되었다. 이에 따라 출근길 승객들은 1시간 가까이 불이 꺼진 열차에서 대기하고 있는 등 불편을 겪었으며, 직장인은 물론이고 학생들 등교 시간하고도 겹치는 터라 버스정류장 및 주요 교통로는 가히 6호선의 2002 월드컵 수준의 인파가[16]몰려있는 상태가 되었다.
2016년 1월 6일 7시 23분, 한성대입구역에서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가 전기장치 절연력 저하로 인해 정전으로 멈춰버려서 한성대입구역~성신여대역 사이 철로가 헬게이트가 되고 말았다. 더 심각한 것은 안내방송조차도 작동이 되지 않아 결국 승객들이 알아서 내렸다는 것.
2020년 6월 11일 10시 43분, 상계역에 정차 중인 열차를 창동차량사업소로 회송 중인 열차가 차상신호장치 이상으로 뒤에서 들이받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노원역부터 당고개역 사이 양방향 구간에 대한 운행이 전면 중단되었다. 오후 4시3분 복구를 마치고 오후 4시18분부터 운행이 재개됐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
2021년 2월 10일 당고개역에서 장애인 승하차 시위로 인해 3시 17분부터 운행 지연되기도 했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본부가 4호선 혜화역 인근에 있다보니 4호선은 굉장히 자주 그들의 시위나 집회의 타겟이 되어왔고 지금도 수시로 피를 보고 있다.
서울 지하철 2호선과 마찬가지로 지상구간의 지하화 논의가 거론되는 서울 지하철 노선이다. 지상역도 서울 지하철 중에서 2호선 다음으로 많다.
체감상 반대편 횡단 불가능역이 많다고 느껴지기도 하는 노선이다. 상대식 승강장을 가진 역 중 환승역을 제외하면 반대편 횡단이 가능한 역은 쌍문역과 상계역 뿐이다.[17] 상계역 또한 동북선이 개통되면 환승역이 되므로 상대식 승강장을 가진 비환승역은 쌍문역을 제외하고 모두 횡단이 불가능하게 된다.
서울 지하철 4호선 역들 중에서는 유난히 대학 명칭이 붙은 역들이 많다. 이는 주변 대학에서 인지도를 올리기 위해 자기 대학명을 역명으로 해달라고 로비를 했기 때문. 성신여자대학교, 한성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총신대학교에서 역명을 자기 대학명으로 변경해달라는 요청이 들어왔는데, 1단계 개통 당시에는 성신여대와 숙대에 대해서만 이 요청을 받아들여 인근 역명을 바꾸었고[18], 한성대는 삼선교역의 병기역명으로 들어갔다. 그러나 한성대와 총신대에서 끊임없이 인근 역명을 변경해달라는 요청(+로비)를 계속했으며, 결국 관철되었다.(대신 역명판 교체 비용 등의 시설교체비용을 부담했다.) 이 때 본래 쓰려고 했던 역명의 흔적이 남은 것이 병기역명. 성신여대입구(돈암)역, 한성대입구(삼선교)역, 그리고 숙대입구(갈월)역. 그리고 총신대입구(이수)역은 이후에 개통한 7호선 남성역이 총신대에 훨씬 가까운데도 4-7호선 환승역에 학교 이름을 붙이려고 떼를 쓴 결과 결과적으로 4호선과 7호선의 역명이 다르게 되어 버렸다. 관련자료 기사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작 대학로에 있는 역에는 대학 이름이 부역명이라도 붙어있지 않다. [19]
서울 지하철 4호선 구간의 정차시간은 30초이고 운행시간은 53분이다. 과천안산선의 정차시간은 30초이고 운행시간은 58.5분이다.
아니나다를까 요즘 전장연들이 지하철 시위하는데 4호선이 주요 타깃으로 정했다.
5. 관련 문서
[A]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 중 1-15, 17-24, 26편성은 진접/당고개~사당간 4호선 구간만 반복하기 위해 도입된 직류전용 차량으로 남태령역 이남 구간으로는 운행이 불가능하다. 실제로는 남태령역까지 운행이 가능하나, 남태령역이 수요가 적어서 사당역에서 종착한다. 즉 직류전용 열차개통 상 실질적 종점은 사당역인 셈이다. 남태령행이 존재하긴 하지만 그날 막차로 운행하고 남태령역에 도착 후 운행을 종료한다.[2] 지상 : 카테너리가선, 지하 : 가공강체가선.[3] #, #, #, #[4] 열차 안에서 4호선으로 환승하는 안내방송에서 4호선을 하늘색을 의미하는 Sky Blue line 혹은 Light Blue라고 말하지 않고 청색을 의미하는 Blue line이라고 말한다. 참고로 1호선은 Dark Blue line이라고 말한다.[5] 이 구간은 미아리고개다.[6] 2022년 현재는 이 터널로 들어가면서 진접선이 시작되어 진접역까지 선로가 이어진다. 이 구간에서는 열차들이 느리게 운행하고 열차에서 덜컹덜컹 소리가 난다. 감성을 느낄수 있다나 뭐라나[7] 쌍문, 수유, 혜화[8] 상계, 노원, 창동, 미아, 미아사거리, 길음, 성신여대입구, 한성대입구, 동대문, 동대문역사문화공원, 충무로, 명동, 회현, 서울역, 숙대입구, 신용산, 이수, 사당[9] 당고개, 삼각지, 이촌[10] 동작, 남태령[11] 1호선과의 환승역이지만 출입구 게이트를 4호선이 독점하고 있기 때문에 경원선의 이용객이 전부 포함되어 있다.[12] 환승역 최고[13] 3호선과의 환승역이지만 출입구 게이트를 4호선이 독점하고 있기 때문에 3호선과 4호선의 이용객이 전부 포함되어 있다.[14] 순수 4호선 이용객 집계 환승역 최고[15] 금천구 내에는 역 수가 단 3개뿐으로 아직 삽도 안푼 신안산선이 개통되어도 구를 경유하는 전철(지하철) 역 수는 총 6개밖에 안 된다.[16] 1~4호선도 한번도 기록한 적이 없는 370%를 2002 월드컵때 그것도 6호선이 기록을 세웠다.[17] 과거에는 가능했지만 개찰구 위치변경등으로 횡단 불가능으로 많이 바뀌었다. 쌍문역은 또한 리모델링을 거치면서 다시 횡단이 가능해진 경우이다.[18] 이 둘은 그럴만한 이유가 있었던게 숙대입구역의 원래 역명이었던 '갈월'이라는 지명은 갑오개혁 이후 만들어진 지명인데 워낙 생소해서 지역 주민들조차 알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성신여대역 역시 주변이 돈암이라 많이 불리긴 했어도 주소가 행정구역 돈암동이 아니었다.[19] 2018년 들어서 서울대학교병원 이라는 병기 역명이 붙긴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