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각지(전쟁기념관)역 | ||
진접 방면숙대입구 ← 1.2 ㎞ | 4호선 (428) | 오이도 방면신용산 0.7 ㎞ → |
응암순환효창공원앞 ← 1.2 ㎞ | 6호선 (628) | 신내 방면녹사평 1.1 ㎞ → |
역명 표기 | ||
4호선 | 삼각지 (전쟁기념관) Samgakji (War Memorial of Korea) 三角地(戦争記念館) / [ruby(三角地, ruby=サムガクチ)] | |
6호선 | ||
주소 | ||
4호선 |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지하180 (한강로1가 228-1) | ||
6호선 |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지하185 (한강로1가 228-1) | ||
소속 영업사업소 | ||
4호선 | 동작영업사업소 삼각지(4)역 | |
6호선 | 동작영업사업소 삼각지(6)역 | |
운영 기관 | ||
4호선 | 서울교통공사 | |
6호선 | ||
개업일 | ||
4호선 | 1985년 10월 18일 | |
6호선 | 2000년 12월 15일 | |
역사 구조 | ||
4호선 | 지하 2층 | |
6호선 | 지하 4층 | |
승강장 구조 | ||
4호선 |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1] | |
6호선 | 복선 섬식 승강장 |
[clearfix]
1. 개요
- 수도권 전철 4호선 428번[2].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지하180 (한강로1가 228-1) 소재.
- 서울 지하철 6호선 628번.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지하185 (한강로1가 228-1) 소재.
2. 역 정보
삼각지역 옛 역명판 |
6호선 대합실 |
4호선 삼각지역이 지어졌을 때는 삼각지 사거리 위에 고가차도가 있어서 사거리 아래가 아닌 그보다 약간 남쪽으로 내려간 위치에 지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4호선 시설물이 고가차도 일부 램프에 저촉되어 일부 램프를 철거하고 4호선을 지은 다음 다시 복구했다. 6호선은 고가차도를 철거하고 사거리 아래에 지어져서 6호선 환승이 힘들어졌다. 6호선 승강장-4호선 오이도행 승강장을 잇는 통로, 6호선 승강장-4호선 당고개행 승강장을 잇는 통로, 이렇게 2가지가 있다. 4호선에서 6호선으로 갈아탈 때와는 다르게 6호선에서 4호선으로 갈아탈 땐 길을 찾을 때 유의해야 한다. 이때 다른 통로로 가도 되긴 하지만, 계단으로 올라갔다가 반대편 승강장으로 내려가야 해서 약간 힘들어진다. 출퇴근 시간에는 환승통로에 있는 무빙워크가 작동한다.
과거 4호선은 상하행 간 횡단이 불가한 구조였으나, 6호선 개통으로 조금 우회하기는 하지만 6호선 승강장을 경유해 간접적인 횡단이 가능해졌고 최근 4호선 대합실의 게이트 배치를 바꾸어 직접적인 횡단도 가능해졌다. 대신 3, 4번 출구의 남부와 1, 2, 5, 6번 출구의 북부로 비운임구역이 쪼개졌다. 휠체어 등의 환승이 어려움을 감안한 조치로 보인다. 휠체어나 유모차 등은 6호선 승강장과 4호선 신용산 방면 환승통로 간 지장물 때문에 엘리베이터가 없어, 4호선 신용산 방면-6호선 환승시 4호선 숙대입구 방면 승강장을 경유하여 건너가야 했으나 최근에는 확장 공사를 통해 해당 환승통로가 6호선 효창공원앞 방면 대합실과 통합되어 현재는 6호선 효창공원앞 방면 승강장 끝에 위치한 엘리베이터만 타면 바로 4호선 신용산 방면 환승통로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횡단이 가능해지면서 원래 게이트 밖에 있던 4호선 쪽 화장실을 게이트 안쪽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4호선 대합실과 6호선 대합실은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만약 6호선 하차 후 1~3번 출구 쪽 동네를 가고 싶다면 14번 출구로, 4~6번 출구 쪽 동네를 가고 싶다면 7번 출구로 나가서 길 따라서 직진하면 된다. 반대로 4호선 하차 후 7~14번 출구 쪽 동네(교차로)로 가고 싶다면 1번 또는 6번 출구로 나가면 된다.
2022년 초 6호선 전동차 안내방송이 변경되었는데, 환승 안내를 더 자세히 송출하기 위해 1~4호선 안내방송 처럼 방향안내를 추가했다.
한때 6호선 삼각지역이 노르웨이 테마역으로 지정되어 피오르드나 오로라 등 노르웨이 관련 사진과 영상이 곳곳에 전시됐고 2012년을 마지막으로 끝났다.
2024년 3월 보도에 따르면 국방부가 전쟁기념관을 병기역명으로 하는 안건을 추진했고※ 결국 서울시 지명위원회를 통과하여 10월 31일에 고시되었다. # 서울교통공사 전동차 안내방송에서는 병기역명 (전쟁기념관)까지 방송하지만, 한국철도공사 전동차에서는 삼각지 역명만 방송한다.
2.1. 환승
환승 통로가 약간 길다. 환승 통로가 4호선 기준으로 끝쪽에 있으므로 잘못 내리면 엄청 많이 걸어야 한다. 하지만 환승 통로 쪽에서 내렸다면 그렇게 멀지는 않다. 6호선에서 4호선으로 갈아탈 때에는 4호선이 방향별로 구분되어 있으므로 방향을 잘 보고 갈아타야 한다. 통로가 아주 길지는 않아서 막장환승까지는 아니라는 의견도 있다.환승 거리가 긴 것과는 달리 4호선 출구와 6호선 출구는 꽤 가까이 있는데, 특히 4호선의 6번 출구와 6호선의 7번 출구, 4호선의 1번 출구와 6호선의 14번 출구는 완전 코앞에 있다. 하지만 들어갈 때 자신이 탈 노선과 가까운 출구로 들어가지 않으면 긴 환승 통로를 거쳐야 하므로 주의.
3. 역 주변 정보
1939년 삼각지로타리를 거쳐 1967년에 이 곳에 입체 교차로가 지어졌다.[5] 이 입체교차로는 전국 유일의 입체 회전교차로였다. 철거된 지금은 이런 식의 입체 회전교차로는 대한민국에서 찾아볼 수 없다.개통 전 1967년 | 1974년 | 1980년 | 철거 직전 1994년 |
다만 삼각지 고가차도를 완전히 없애버린 것도 아닌 것이, 이 고가차도가 경부선을 넘어가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통째로 없애기에는 무리가 있어 경부선을 넘는 과선교 부분을 남기고 삼각지 교차로로 내려오도록 1990년대에 고가도로 구조를 변경하였다. 실제로 고가도로 동쪽과 서쪽의 형태가 다르다. 이 고가차도는 왕복 2차로밖에 안 되기 때문에 러시아워 때는 헬게이트 구간이다. 이 고가차도를 통과하는 110번 A/B와 740번 버스는 이 곳에서의 교통 체증으로 배차간격이 꼬이는 경우가 잦다.
전쟁기념관, 용산소방서 등이 있으며, 역 주변에 대통령실, 국방부, 용산미군기지가 있는 관계로 하차 수요보다 환승 수요가 많다.
9, 10번 출구로 나가면 용산파크자이, 대우월드마크용산 등 고급 주상복합아파트 단지가 들어서 있다. 아파트 정문 로비 ~ 출구 기준 걸어서 30초 가량 소요된다. 다만 용산파크자이의 경우 준공연도가 2005년 12월인지라 아파트 지하와 바로 연결되어 있지는 않다.[6]
먹거리로는 대구탕 골목이 유명하다. 대구탕 외에도 차돌박이나 곱창 등 알게 모르게 맛집이 많다. 근처에 국방부, 합동참모본부, 서울지방보훈청 등 관공서가 많이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맛집이 많은 것도 그리 이상하지 않다.
4번 출구에 하비파크 모형점이 위치해 있다. 4번 출구에서 직진 후에 제비표 페인트 가게가 보이는 골목으로 우회전 하면 나온다.
현재 호반건설이 이곳 역세권에 청년주택[7]인 '용산 베르디움 프렌즈'가 완공되었으며, 2021년 입주를 시작했다.
근처 골목길에 '희림상사'라는 옷가게가 있는데 그 곳에서 한국철도공사의 제복을 구입할 수 있었으나 현역 코레일 수송원의 말에 따르면 현재의 신형 제복은 업체가 다르기 때문에 의미가 없어졌다는 듯하다.
3.1. 출구 정보
삼각지역 출구 정보 | |
4호선 삼각지역 대합실 이용 | |
1 | 국방부·합동참모본부 국방컨벤션 육군호텔 서울지방보훈청 전쟁기념관 |
2 | 삼각맨션 한강로1가 |
3 | 신용산역 방면 대한지방행정공제회 용산우체국 |
4 | 용산 방면 |
5 | 서울맹학교 용산소방서 |
6 | 서울용산초등학교 |
6호선 삼각지역 대합실 이용 | |
7 | 용산초등학교 |
8 | 원효로1동주민센터 |
9 | 용산파크자이 효창공원앞역 방면 |
10 | 용산파크자이 남영역 방면 서울시립청소년미디어센터 |
11 | 삼각지치안센터 전쟁기념관 북문 |
12 | 전쟁기념관 정문 녹사평역 방면 |
13 | 국방부·합동참모본부 국방컨벤션 육군호텔 서울지방보훈청 삼각지어린이공원 이태원 방면 |
14 | 한강로1가 |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293896><bgcolor=#00a4e3> 연도 || || ||<bgcolor=#00a4e3> 총합 ||<bgcolor=#00a4e3>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94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1994년 | 19,350명 | |||||||
1995년 | 20,280명 | ||||||||
1996년 | 18,582명 | ||||||||
1997년 | 17,886명 | ||||||||
1998년 | 16,257명 | ||||||||
1999년 | 자료없음 | ||||||||
2000년 | 12,672명 | 3,510명 | 16,182명 | [8] | |||||
2001년 | 11,734명 | 5,020명 | 16,754명 | 비고 | |||||
2002년 | 11,405명 | 5,975명 | 17,380명 | ||||||
2003년 | 10,986명 | 6,306명 | 17,292명 | ||||||
2004년 | 10,959명 | 6,831명 | 17,790명 | ||||||
2005년 | 12,137명 | 7,821명 | 19,958명 | ||||||
2006년 | 13,097명 | 9,002명 | 22,099명 | ||||||
2007년 | 11,833명 | 10,560명 | 22,393명 | ||||||
2008년 | 12,044명 | 11,919명 | 23,963명 | ||||||
2009년 | 12,663명 | 11,921명 | 24,584명 | }}}}}}}}} | |||||
2010년 | 13,097명 | 12,159명 | 25,256명 | ||||||
2011년 | 13,165명 | 12,608명 | 25,773명 | ||||||
2012년 | 12,570명 | 12,505명 | 25,075명 | ||||||
2013년 | 12,648명 | 12,618명 | 25,266명 | ||||||
2014년 | 13,027명 | 13,674명 | 26,701명 | ||||||
2015년 | 12,059명 | 13,744명 | 25,803명 | ||||||
2016년 | 11,358명 | 13,630명 | 24,988명 | ||||||
2017년 | 11,539명 | 13,605명 | 25,144명 | ||||||
2018년 | 11,002명 | 12,970명 | 23,972명 | ||||||
2019년 | 10,822명 | 12,844명 | 23,666명 | ||||||
2020년 | 7,846명 | 8,541명 | 16,387명 | ||||||
2021년 | 8,529명 | 9,332명 | 17,861명 | ||||||
2022년 | 10,639명 | 12,127명 | 22,766명 | ||||||
2023년 | 12,592명 | 13,490명 | 26,082명 | ||||||
2024년 | |||||||||
출처 | |||||||||
: 서울교통공사 자료실[9] |
- 비교적 이용률이 적은 6호선 측의 승객이 오히려 약간 더 많이 잡힌다. 4호선 승강장 및 출입구는 삼각지교차로에서 약 200m 남쪽에 위치한 반면에 6호선 승강장 및 출입구는 정확히 로터리 밑에 자리잡고 있는데다가, 4호선이 맡고 있는 남북축은 바로 위 한강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의 수많은 버스들과 분담하는 반면, 6호선이 맡고 있는 동서축은 중앙버스전용차로도 없고 버스노선도 몇 안 되기 때문에 6호선에 대한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더욱 높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 한강대로 상의 역인데도 서울역과 용산역 사이에 있어 상당히 중요한 입지이지만 역세권은 매우 협소하다. 그 이유로는 대로 동쪽엔 용산미군기지가 있고 대로 서쪽엔 경부선이 있어 시가지가 매우 좁게 조성되어 있기 때문이다만, 이런 단점에도 불구하고 두 노선 합산 총 26,082명(2023년 기준)이 타고 내리고 있다. 용산공원이 개발되면 이용객 수가 많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2023년에는 대통령실과 가장 가까운 역이라 그런지 수요가 크게 늘어났는데, 2014년 다음으로 수요가 많았다. 이 역 인근에서 집회도 잦고 출퇴근 인원도 늘어난 영향으로 보인다.
5. 승강장
5.1. 수도권 전철 4호선
4호선 역명판 |
4호선 승강장 |
숙대입구 ↑ | |||
하 | ㅣ | ㅣ | 상 |
↓ 신용산 |
상 | 수도권 전철 4호선 | 회현·명동·창동·진접 방면 |
하 | 이촌·동작·사당·오이도 방면 |
이 역은 신용산 방면으로 2퍼밀 하구배가 있다.
스크린도어 안내음이 상당히 낮은 톤이다.
4호선 노선 중 유일하게 부분별로 적벽돌 인테리어 디자인을 적용한 역사이기도 한다.
5.2. 서울 지하철 6호선
6호선 역명판 |
6호선 승강장 |
효창공원앞 ↑ | |||
ㅣ | 하 | 상 | ㅣ |
↓ 녹사평 |
상 | 서울 지하철 6호선 | 효창공원앞·합정·월드컵경기장·응암 방면 |
하 | 이태원·동묘앞·석계·신내 방면 |
6호선 삼각지역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이 역은 곡선으로 휘어있어서,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가 넓으니 내리고 탈 때 발빠짐에 주의해야 한다.
6. 연계 버스
6.1. 한강대로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삼각지역(03007) ||
간선 | |
심야 | |
공항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삼각지역(03008) ||
간선 | |
심야 | |
공항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삼각지역11번출구(03328) ||
간선 | |
마을 | |
심야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삼각지역(03567) ||
마을 |
6.2. 이태원로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전쟁기념관(03184) ||
간선 | |
마을 | |
심야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전쟁기념관(03185) ||
간선 | |
마을 | |
심야 |
7. 기타
- 평시에도 그렇지만 출근 시간 6호선 봉화산/신내행 열차는 이 역을 지나면서 승객이 많이 빠져나간다. 이 역부터 앉아서 갈 수 있으니 삼각지 서쪽 구간에 살고 있는 6호선 근처의 주민들은 참고하자. 합정역을 지나면 공간이 널널해지고, 공덕역을 지나면 자리가 생기며, 삼각지역이나 이태원역을 지나면 자리가 더 많이 생기고 신당역을 지나면 한산해진다. 하지만 6호선 이용객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라 예전만큼 한산하진 않고 동북구간이 대학교가 많은 만큼 통학생들이 많은지라 오히려 약수역, 신당역, 동묘앞역을 거치면서 통학생들이 많이 타는 편이다. 그래도 태릉입구역 지나면 거의 비어있긴 하지만 신내역이 개통한지라 많이 한산하지는 않다. 반대로 응암순환선 열차는 이 역을 지나면서 승객이 많아진다.
- 2022년 5월 10일부터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하면서 청와대 대신 국방부 건물을 집무실로 사용하게 되면서 종전 경복궁역이었던 국가원수 집무실과 가장 가까운 지하철역이라는 타이틀을 가지게 되었다. 다만 거주 역할을 하는 관저는 한강진역 근처에 있다.
- 돌아가는 삼각지를 부른 가수 배호에 대한 기억 공간이 역사 내부와 13, 14번 출구 앞 교통섬에 있다. 역사 안에는 벤치에 앉아 기타를 연주하는 배호의 모습과 그림으로 재현된 옛 삼각지 회전교차로가 전시돼 있고 교통섬에는 돌아가는 삼각지 노래비가 있다.
8. 사건 사고
8.1. 서울 지하철 삼각지역 근로자 감전사 사건
자세한 내용은 서울 지하철 삼각지역 근로자 감전사 사건 문서 참고하십시오.8.2.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지하철 운행방해 사태
2022년 초중반부터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지하철 운행방해 사태의 주요 타깃 중 하나가 되었다. 그 이유는 전장연 사무실이 4호선 혜화역 인근에 위치하고 있고 대통령실이 삼각지역과 가깝기 때문이다. 결국 전장연이 시위를 벌이고 있는 역을 무정차로 지나가라는 대통령 지시가 내려진 뒤로 첫 무정차 역이 삼각지역이 되었다. 2023년 1월 2일에는 오세훈 서울시장이 강경대응해 전장연 시위 참여자들의 승차를 서울교통공사와 경찰이 저지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찰과 하루종일 대치하고 있어 20시 50분경부터 지속적으로 무정차 통과했다. 1월 3일에는 시위 참가자들의 휠체어 돌진으로 인해 이 역의 역장이 부상을 입고 119에 실려가는 일도 있었다. 이 때 부상을 당한 삼각지역의 구기정 역장 역시 경증 장애인으로, 이 일로 전장연 측을 고소했다. #1 #2 2월 13일에는 승강장 바닥에 스티커를 덕지덕지 붙여 역장이 제지하자 박경석과 권달주가 미끄럼주의를 락카로 쓰려고 했지만 역무원들이 막으면서 난리가 아니었다. 결국 박경석과 권달주를 현장에서 고발했다. 승강장 바닥은 2월 14일에, 벽면은 2월 27일에 청소부를 불러 제거했으며 그 비용은 배상금으로 청구한 상태이다.9. 둘러보기
수도권 전철 4호선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a4e3> 진접선 | 진접 - 오남 - 별내별가람 - 불암산 |
서울 지하철 4호선 | 불암산 - 상계 - 노원 - 창동 - 쌍문 - 수유 - 미아 - 미아사거리 - 길음 - 성신여대입구 - 한성대입구 - 혜화 - 동대문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충무로 - 명동 - 회현 - 서울역 - 숙대입구 - 삼각지 - 신용산 - 이촌 - 동작 - 총신대입구(이수) - 사당 - 남태령 | |
과천선 | 남태령 - 선바위 - 경마공원 - 대공원 - 과천 - 정부과천청사 - 인덕원 - 평촌 - 범계 - 금정 | |
안산선 | 금정 - 산본 - 수리산 - 대야미 - 반월 - 상록수 - 한대앞 - 중앙 - 고잔 - 초지 - 안산 - 신길온천 - 정왕 - 오이도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cd7c2f> 응암순환선 | 응암 → 역촌 → 불광 → 독바위 → 연신내 → 구산 → |
일반 구간 | 응암 - 새절 - 증산 - 월드컵경기장 - 마포구청 - 망원 - 합정 - 상수 - 광흥창 - 대흥 - 효창공원앞 - 삼각지 - 녹사평 - 이태원 - 한강진 - 버티고개 - 약수 - 청구 - 신당 - 동묘앞 - 창신 - 보문 - 안암 - 고려대 - 월곡 - 상월곡 - 돌곶이 - 석계 - 태릉입구 - 화랑대 - 봉화산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1] 과거에는 게이트 배치 상 상하행 간 횡단이 불가하여 6호선 승강장까지 우회하여야만 했으나 구조 변경으로 상하행 간 횡단은 가능해졌다. 다만 이로 인해 4호선 대합실의 비운임구역은 남북으로 나뉘어 일부 출구간 횡단이 제한된다.[2] 개정 전 28번[*1] 4호선 횡단 가능 변경 및 3, 5, 6번 출구 엘리베이터 반영, 4호선 신용산 방면-6호선 환승통로 확장 미반영[*2] 4호선 횡단 가능 변경 및 3, 5, 6번 출구 엘리베이터 미반영, 4호선 신용산 방면-6호선 환승통로 확장 반영[5] 가수 배호의 대히트곡 '돌아가는 삼각지'가 이 삼각지 로타리와 관련이 깊다. 다만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과는 달리 이 입체 교차로에서 유래한 게 아니라 이것이 지어지기 1년 전에 이미 발매된 곡이다. 이미 지어지던 중이기 때문에 그것과 무관치 않을 지도 모른다. 거기다 첫 소절도 '삼각지 로타리에~'로 시작한다.[6] 본래 이곳은 상명초/상명여중(현 상명중)/상명여고(현 상명고)가 있던 곳이다. 해당 학교들은 모두 1994년 노원구 중계동으로 이전.[7] 서울시에서 청년층 주거대책으로 내세웠다. 만 19~39세 대학생/청년/신혼부부를 대상으로 주변 시세의 30~95%로 공급한다.[8] 6호선의 2000년 자료는 개통일인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1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9] 옛 자료 출처: 지하철 수송계획, 서울지하철경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