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상징명칭이 한성대인 대한민국 공군의 비행단}}}에 대한 내용은 [[제15특수임무비행단]]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제15특수임무비행단#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제15특수임무비행단#|]]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상징명칭이 한성대인 대한민국 공군의 비행단: }}}[[제15특수임무비행단]]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제15특수임무비행단#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제15특수임무비행단#|]]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학 정보 | ||
| 학부 | 대학원 | 캠퍼스 | |
| 상징 | 역사 | 사건 사고 | |
||<-4><tablewidth=100%><tablebgcolor=white,#191919><bgcolor=#004f9f>
학생 정보
||| 학사 제도 | 학교생활 | 커뮤니티 | 동아리 |
| 입학 | 기구/언론 | 출신 인물 |
| 기타 정보 | ||
| 교통 (셔틀버스) | 한성학원 | 설립자 |
| <colbgcolor=#0A4DA1> 한성대학교 漢城大學校 Hansung University | |||
| | |||
| <colcolor=#fff> 교육이념 | 진리 · 지선 | ||
| 상징 | <colbgcolor=#0A4DA1><colcolor=#fff> 슬로건 | 세계로 뻗어나가는 한성, 한성으로 모여드는 세계 | |
| 교수 | 거북 | ||
| 교목 | 삼학송 | ||
| 교색 | HSU SKY BLUE (#049EDB) HSU BLUE (#0A4DA1) HSU DARK BLUE (#032E6E) HSU GREY (#626466) | ||
| 국가 | | ||
| 지역 | 서울특별시 | ||
| 분류 | 사립대학, 4년제 종합대학 | ||
| 개교 | 1972년 12월 21일 ([age(1972-01-01)]주년) 한성여자대학 | ||
| 설립자 | 우촌 김의형 | ||
| 법인 | 학교법인 한성학원 | ||
| 이사장 | 제24대 문동후 | ||
| 총장 | 제11대 이창원 | ||
| 주소 | 낙산 | 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교로16길 116 (삼선동2가) | |
| 대학로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254 (명륜2가) | ||
| 조직 | 교육 | 단과대학 8개 일반대학원 1개 특수대학원 7개 | |
| 연구 | 부설연구소 33개 | ||
| 재학생 | 학부 | 7,011명(2025년)[1] | |
| 대학원 | 1,192명(2025년)[2] | ||
| 교직원 | 1,076명(2025년)[3] | ||
| 대학기관평가인증 인증대학(2025년) | |||
| 웹사이트 | |||
| 소셜 미디어 | |||
| {{{#!wiki style="margin: 0 -11px" {{{#fff {{{#!folding [ 지도 펼치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
| 낙산캠퍼스 | |||
| 대학로 에듀센터 | }}}}}}}}}}}} | ||
| |
| 한성대학교 캠퍼스 |
1. 개요
| 한성대학교 50주년 기념영상 |
당신의 무한한 가능성
한성대학교(漢城大學校, HANSUNG UNIVERSITY)는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위치한 사립 종합대학이다.교명 한성은 서울의 옛 이름으로, 건학정신인 한국정신 계승과 민족정신 고취의 의미를 담고 있다. 서울의 도심인 종로구와 바로 맞닿아 있고 대학로, 동대문을 비롯한 문화예술지역 및 유명 대학들에 둘러싸여있어 지리적 위치가 매우 훌륭한 편에 속한다. 전통적으로 예술, 디자인 분야에서 강세를 보이는 대학이다.
8개 단과대학, 일반대학원과 7개의 특수대학원이 개설되어 있고 33개의 부설연구소[4]를 운영하고 있다. 국문 약칭은 한성대, 영문 약칭은 HSU이며 FM구호는 불패한성(不敗漢城)이다.
2. 재단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성학원#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성학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tablewidth=100%><colbgcolor=#d95b29> 대학교 | |
| 고등학교 | ||
| 중학교 | }}}}}} |
3. 상징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성대학교/상징#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성대학교/상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 상징 | }}} | |||
| | | 진리 · 지선 眞理 · 至善 | 거북 · 삼학송 | |||
| | |
| <nopad> | |
| <colbgcolor=#f5f5f5> 상상부기 | <colbgcolor=#fff,#191919>상상관 공사 중 발견된 알에서 태어난 거북이. 20학번으로 입학했다. |
| 한성냥이 | 상상부기의 친구. 학교에 살았던 고양이가 모티브다. |
| 상찌 | 상상부기의 가방에서 나온 상추.[5] |
| 꼬꼬&꾸꾸 | 학교에 살고 있는 닭을 모티브로 한 캐릭터. 커플이다.[6] |
4. 설립자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의형#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의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역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성대학교/역사#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성대학교/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 역사 | }}} | ||
| 1972 | 1978 | 1993 | |||
| 한성여자대학 | 한성대학 | 한성대학교 | |||
중고교에 비해 대학 설립이 늦어지면서 서울 소재 4년제 종합대학 중 마지막으로 설립되었다. 서울 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도 비교적 최근에 설립된 축에 속하는데, 한성대학교 개교 이후에 설립된 대학으로는 아주대학교(1973), 인천대학교(1979), 한국공학대학교(1997) 등이 있다.
6. 캠퍼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성대학교/캠퍼스#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성대학교/캠퍼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nopad> |
| |
7. 학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성대학교/학부#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성대학교/학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 |
|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 예술학부 | 사회과학부 |
| 디자인대학 | IT공과대학 |
| 글로벌패션산업학부 · ICT디자인학부 · 뷰티디자인매니지먼트학과 | 컴퓨터공학부 · 기계전자공학부 · 산업시스템공학부 |
| 창의융합대학 | 미래플러스대학 |
| 상상력인재학부 · 문학문화콘텐츠학과 · AI응용학과 · 융합보안학과 · 미래모빌리티학과 | 융합행정학과 · 호텔외식경영학과 · 뷰티디자인학과 · 비즈니스컨설팅학과 · ICT융합디자인학과 · AI·소프트웨어학과 |
| 상상력교양대학 | 글로벌인재대학 |
| 기초교양학부 · 소양·핵심교양학부 · 자율교양학부 | 한국언어문화교육학과 · 글로벌K비즈니스학과 · 영상엔터테인먼트학과 · 패션뷰티크리에이션학과 · SW융합학과 · 글로벌벤처창업학과 |
8. 대학원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성대학교/대학원#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성대학교/대학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 일반대학원 | |||
| 인문사회계열 | 한국어교육학과 · 영어영문학과 · 영미문화학과 · 사학과 · 문헌정보학과 · 문화콘텐츠학과 · 경영학과 · 행정학과 · 무역학과 · 경제부동산학과 · 경제학과 | 공학계열 | 산업경영공학과 · 정보컴퓨터공학과 · 컴퓨터공학과 · 전자정보공학과 · IT융합공학과 · 융합보안학과 · 기계시스템공학과 · AI응용학과 |
| 예술계열 | 미디어디자인학과 · 회화과 · 의류패션산업학과 · 무용학과 | 협동과정 | 뉴미디어광고프로모션학과 · 지식서비스&컨설팅학과 · 스마트융합컨설팅학과 · 국제이주협력학과 |
| 경영대학원 | 행정대학원 | ||
| 경영학과 · 글로벌경영학과 · 호텔관광외식경영학과 | 행정학과 · 사회복지학과 · 마약알콜학과 · 사회안전학과 | ||
| 예술대학원 | 국방과학대학원 | ||
| 뷰티예술학과 · 뷰티산업융합학과 | 안보전략학과 · 안보정책학과 · 국방전력학과 | ||
| 지식서비스&컨설팅대학원 | 부동산대학원 | ||
| 지식서비스&컨설팅학과 · 스마트융합컨설팅학과 · 미래융합컨설팅학과 | 부동산개발·관리전공 · 부동산금융·자산관리전공 · 스마트부동산·프롭테크전공 · 글로벌부동산전공 | ||
| 교육대학원 | |||
| 유아교육전공 · 상담심리전공 · AI·SW융합교육전공 | |||
9. 학생기구 및 학내언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성대학교/학생기구 및 학내언론#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성대학교/학생기구 및 학내언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0. 주변 환경
10.1. 교통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성대학교/교통#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성대학교/교통#|]]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 지하철 | |
| 버스 | |
10.2. 상권
대학로(혜화역)와 가깝다. 한성대입구역에서 지하철이든 버스든 아무 노선이나 잡아타고 한 정거장만 가면 되고, 걸어서도 20분 정도면 충분히 간다. 혹은 학교 후문에서 낙산공원을 넘어가면 바로 혜화역이 나온다. 반대편으로 비슷한 거리에는 성북구 최대 번화가인 돈암동 로데오거리(성신여대 상권)가 있어 주변 인프라는 좋은 편이다.[9]| |
| 한성대입구역 사거리 |
한성대입구역에서 학교 반대방향에 있는 성북동은 서울의 대표적인 부촌으로, 고급 빌라와 대저택, 대사관 및 대사관저가 모여 있으며 여러 박물관, 미술관과 갤러리, 문화재 등이 모여있는 지역 특성상 고급 요정이나 특색있는 식당, 카페, 상점 등이 들어서 있고 외국 문화와 관련한 축제나 행사도 자주 개최된다. 이곳에 서울 3대 빵집 중 하나로 불리는 나폴레옹과자점 본점이 있다.
10.3. 지역 특징
학교가 위치한 삼선동 일대는 오래된 시가지이지만 우수한 입지로 인해 현재 학교 주변에서 재개발과 재건축 사업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때문에 지역 부동산 가격이 심상치 않게 올라가고 있다. 푸르지오, 힐스테이트, SK뷰에 이어 현재 5구역 롯데캐슬 건설이 확정되어 진행 중에 있다. 덕분에 캠퍼스 주변 도로 신설과 확장 등 환경 정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재개발 부지 일부를 확보하는데도 성공하여 캠퍼스 확장도 예정되어 있다.캠퍼스 바로 옆으로 서울 한양도성[11]과 낙산이 있어 고즈넉하고 운치있는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서울 대표 관광지 중 한 곳으로 성곽을 따라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으니 한 번 걸어보는 것도 좋다. 학교에서 성곽길을 따라 북쪽으로 가면 혜화문과 한성대입구역, 북악산이 나오고 남쪽으로 가면 낙산공원, 동대문, 청계천이 나온다.
시간이 날 때 학교 뒤편에 있는 낙산공원에 올라가 보기를 추천한다. 서울의 탁 트인 전경을 볼 수 있고 야경도 매우 훌륭하다. 또 10분 정도 거리에 대학로가 있어 데이트 코스로도 좋다.
| |
| 낙산에서 바라본 모습 |
이 사진과 똑같은 구도로 낮에 촬영하면 성곽 바로 좌측에 가톨릭대학교/성신교정, 사진 좌측 상단에 성균관대학교 수선관이 보인다. 주변 타 대학과 얼마나 가까운가를 보여주는 예. 같은 자리에서 각도를 우측으로 30도 정도 틀어서 촬영하면 성신여자대학교와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이 나온다. 사진 우상단 좀 밝은 빛이 보이는 방향으로 국민대학교와 서경대학교가 있으나 산에 막혀 볼 수 없다. 같은 자리에서 정 반대방향(남산방향)으로 앵글을 잡으면 동국대학교 학생회관이 보인다.
한성대입구역에서 볼 수 있는 성북천은 1960년대에 복개되어 그 위로 아파트와 도로가 들어섰으나 2010년 복원공사가 완료되었다. 특히 봄에는 하천변을 따라 벚꽃이 피는 지역 명소로 자리잡았다.
대학 밀집지역인 성북구에 위치해 있고 대학로도 가까이 있어 주변에 대학이 많다.[12] 주변 대학들과 미팅을 많이 하는 편인데, 이미 1980년대 학번부터 일부 동아리 및 학과를 중심으로 학교간 교류가 있었으며, 이로 인해 80년대 학번의 경우 결혼한 커플이 꽤 된다.
11. 학교생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성대학교/학교생활#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성대학교/학교생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2. 학풍
응용학문, 실용주의
응용학문과 실용학문에 관련된 전공이 많고 그에 대한 교육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예술, 디자인 분야가 강세인 편으로 무용, 패션, 디자인, 애니메이션 등 몇몇 분야는 대학서열과는 관계없이 입결이 인서울에서도 상위권에 위치하는 편이다. 전통 간판 학부인 만큼 체계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고 아웃풋도 좋은 편이며 학교차원에서 예술적 소양과 창의력, 상상력을 중시하고 있다.
인문사회계열에서는 부동산 분야가 유명하다. 학부과정에서 흔치 않은 전공 특성상 특성화 목적으로 신설, 운영되고 있고 국내 최초로 부동산대학원을 설립하는 등 부동산학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한편 최근 들어서는 이공계열 학과를 여럿 신설하고 지원을 늘리면서 이공계열 분야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중이다. IT시대에 맞춰 공대를 밀어주고 있어 IT계열이 강점인 학교로 뜨는 중이다.
학문융합, 자유전공
자유로운 전공선택의 기회를 제공하고 간학문적 접근을 중시한다. 전공트랙제도를 국내 최초로 도입하였고 입학 이후 여러 전공을 자유롭게 들어보고 2개의 전공을 선택할 수 있다. 제2전공은 계열 상관없이 모든 학부에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며 전공선택 이후에도 원한다면 재학 중에 변경이 가능, 전과도 어렵지 않다.
한국정신, 애국정신
광복 직후 1945년 10월 설립된 한성학원은 일제의 억압과 한반도로 쏟아져 들어오던 외래의 풍조에서 한국정신을 통해 한국의 인재를 양성하여 대한민국의 국가건설에 이바지하겠다는 목표 아래 학교를 설립하였다. 교명 역시 이러한 건학정신을 토대로 수도 서울의 옛 명칭 '한성'으로 결정되었다. 이러한 한국정신은 애국정신으로도 이어져 현재 한성대학교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대학 차원에서 매년 호국보훈 기념행사를 열어 나라사랑과 국가안보에 기여한 국가유공자와 순국선열, 참전용사를 기리고 감사를 전하고 있다.
13. 성과
13.1. 세계대학평가
| | |||||
| 2021 | 2022 | 2023 | 2024 | ||
| QS | 아시아 | 551-600위 | 551-600위 | 601-650위 | 701-750위 |
| 동아시아 | 314위 | 325위 | |||
| Webometrics | 세계 | 4210위 | 4193위[13] | ||
| 아시아 | 1732위 | 1716위 | |||
| 동아시아 | 815위 | 805위 | |||
13.2. 국책사업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91919,#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25 | [교육부] 2024년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계속지원대학) 선정 |
| [교육부] 2025 서울시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 선정 | ||
| [고용노동부 & 한국산업인력공단] K-Move스쿨(해외취업 연수사업) 선정 | ||
| [고용노동부] 2025년 졸업생 특화 프로그램 사업 운영 대학 선정,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거점형) 사업, 대학 재학생 맞춤형 고용서비스 사업 선정 | ||
| 2024 |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디지털+ 프로그램 선정 |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선정 | ||
| [문화체육관광부] 2024 아트코리아랩 대학연계 아트&테크 창업 활성화 지원사업 선정 | ||
| [서울시] 2023년 캠퍼스타운 사업 우수대학 선정 | ||
| 2023 | [서울시] 2024년 서울 캠퍼스타운 종합형(창업형) 신규 사업 선정 | |
|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 사업 선정 | ||
| 2022 | ‘메타버스 활용 창의교육 교수·학습 혁신 방안 실증화’ 대학 선정 | |
| 자주 도하 장비 M&S 인정 업무 대학 선정 | ||
|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신기술·신산업 분야 선정 | ||
| ‘자동차/모빌리티 AI역량+ 아카데미’ 운영대학 선정 | ||
| 메이커스페이스 구축·운영 사업 선정 | ||
| 디자인주도 다학제 교육과정지원 사업 선정 | ||
| 2021 | 혁신성장 청년인재 집중양성 사업 선정 | |
| 캠퍼스CEO 육성사업 운영대학 선정 | ||
| 취업연계중점대학 사업 3년 연속 선정 | ||
| 2020 | 한국도서관협회 '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 사업 선정 | |
| 2019 |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 지원사업' 선정 | |
| 서울산업진흥원 '2019년 기업수요 기반 맞춤형 기술인재 양성 프로그램 사업' 운영대학 선정 | ||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VR·AR 리터러시 투어 교육 사업' 선정 | ||
| 서울시 '2019년 대학-강소기업 연계형 청년일자리사업' 운영대학 선정 | ||
| 서울시 '2019년 서울시정 대학생 인턴사업 운영대학' 선정 | ||
| 2019년 취업연계중점대학사업 운영대학 선정 | ||
| 2019년 대학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LIFE 사업) 선정 | ||
| 중소벤처기업부 '2019년 맞춤형 기술파트너 지원 사업' 선정 | }}}}}}}}}}}} |
14. 학술정보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성대학교 학술정보관#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성대학교 학술정보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5. 학사제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성대학교/학사제도#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성대학교/학사제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6. 커뮤니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성대학교/커뮤니티#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성대학교/커뮤니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7. 동아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성대학교/동아리#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성대학교/동아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8. 여담
- 외국인 대상 언어교육센터를 운영 중이며, 덕분에 교내 특정 구역에서는 외국인들을 지겹게 만날 수 있다. 특히 일본인, 중국인, 몽골인, 베트남인이 많으며, 가끔 아랍계도 눈에 띄는 것으로 보아 꽤나 많은 외국인들이 다니고 있는 듯. 한국어 교실을 이용한 앰버서더 제도[14]를 운영 중인데, 실제로 대다수가 그냥 친구먹고 놀러다니는 게 고작이다. 사실 외국어를 배우는 가장 좋은 법은 친구 먹고 같이 수다떠는 거다. 문법시험이면 몰라도 실생활 어휘에는 가장 좋다. 10년 동안 영어 공부하고도 백지인 것보단 1년 동안 같이 노는 게 낫다.
- 드라마 '천원짜리 변호사', '첫사랑은 처음이라서', '세상 잘 사는 지은씨', '라이크(LIKE)', 예능 '홍김동전', 멜로망스의 초대 뮤직비디오, NMIXX의 Fe3O4: STICK OUT 스토리필름, 유튜브 프로그램 '쇼킹라이어', '전과자' 등이 캠퍼스에서 촬영되었다.
- 학교 바로 옆에 조선 말기 관아인 삼군부 총무당이 있어 캠퍼스 확장이 어렵다. 원래 광화문 앞에 있었던 것이지만 1930년 지금의 위치로 옮겨졌다. 한때 관계부처와 이전을 추진한 적 있으나 현실적인 여러 어려움들로 인해 실행되지 못하고 있다.
- 2016년부터 비교과포인트 800포인트를 필수로 채워야 한다. 8학기까지 못 채우면 졸업이 아닌 수료처리가 된다. 한 학기에 최대 200포인트까지 채울 수 있고 초과분은 최대 200포인트까지 이월 가능하다. 학기당 200포인트 모으는 건 귀찮아서 그렇지 쉽다.
- 학교 안 숲속에 닭이 살고 있다. 이름은 꼬꼬와 꾸꾸로 사람을 경계하지 않으며 어떻게 오게 되었는지는 알려진 바가 없다. 병아리까지 낳은 적 있으며 주인은 없으나 발견된 이후 집이 생긴 것으로 보아 학교에서 관리해주는 듯 하다. 아침에 울어대 기숙사생을 깨우는 주범이며 2021년 학교 마스코트로 제작되었다. #
- 공원형 캠퍼스로 교내 도로에 차량이 다니지 않는다. 응급차량이나 배달 같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면 정문과 후문은 차량 진입을 막고 있어 보행자만 출입 가능하다. 차량은 지하주차장으로 이어지는 중문으로만 통행할 수 있다.
19. 역대 총장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color: #0a4da1;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한성대학 학장 | |||||||
| 초대 김의형 | 제2대 이희순 | 제3대 김옥형 | 제4대 강병규 | |||||
| 제5대 홍순태 | 제6대 신영기 | 제7대 원형갑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한성대학교 총장 | ||||
| 초대 원형갑 | 제2대 이용남 | 제3대 이성근 | 제4대 한완상 | 제5대 윤경로 | ||||
| 제6대 정주택 | 제7대 강신일 | 제8대 정태원 | 제9대 이상한 | 제10·11대 이창원 | ||||
20. 출신 인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성대학교/출신 인물#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성대학교/출신 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1. 사건 사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성대학교/사건 사고#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성대학교/사건 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2. 입학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성대학교/입학#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성대학교/입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3. 관련 문서
- 한성대학교/상징
- 한성대학교/역사
- 한성대학교/캠퍼스
- 한성대학교/학부
- 한성대학교/학부/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 한성대학교/학부/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
- 한성대학교/학부/디자인대학
- 한성대학교/학부/IT공과대학
- 한성대학교/학부/창의융합대학
- 한성대학교/학부/미래플러스대학
- 한성대학교/학부/상상력교양대학
- 한성대학교/대학원
- 한성대학교/입학
- 한성대학교/학사제도
- 한성대학교/학교생활
- 한성대학교/커뮤니티
- 한성대학교/출신 인물
- 한성대학교/사건 사고
- 한성대학교/교통
- 한성대학교/동아리
- 한성대학교/학생기구 및 학내언론
- 한성대학교 학술정보관
- 한성학원
- 김의형
- 한성대입구역
24. 둘러보기
| | ||||||||||||||||||||||||||||||||||||||||||||||||||||||||||||||||||||||||||||||||||||||||||||||||||||||||||||||||||||||||||||||||||||||||||||||||||||||||||||||||||||||||||||||||||||||||||||||||||||||||||||||||||||||||||||||||||||||||||||||||||
| ||||||||||||||||||||||||||||||||||||||||||||||||||||||||||||||||||||||||||||||||||||||||||||||||||||||||||||||||||||||||||||||||||||||||||||||||||||||||||||||||||||||||||||||||||||||||||||||||||||||||||||||||||||||||||||||||||||||||||||||||||
[1] 휴학생 및 학위취득유예학생 미포함, 대학정보공시[2] 휴학생 미포함, 대학정보공시[3] 교원과 직원의 합, 대학정보공시[4] 미래한성연구원, 인문과학연구원, 사회과학연구원, 아트&디자인커뮤니케이션센터, 공학연구센터, 글로벌CT전략연구소, 민족문화연구소, 어학연구소, 한국어정보처리연구소, 국제협력연구소, 국제학연구원, 동아시아연구소, 미래경영연구소, 전쟁과평화연구소, 학생생활연구소, 안전과학기술연구소, 정보통신연구소, 메카트로닉스연구소, 정보처리연구소, GIS/ITS연구소, 국방M&S연구소, 시스템공학연구소, 상상교양연구소, 이민·다문화연구원, 지급결제&신기술연구원, 국방M&S인정기술연구원, ICT글로벌융합표준기술연구소, 메타지식연구소, 양자컴퓨터연구소, 창의교육거점센터, 산업안전보건전략정책연구원, 블록체인연구소, 미래경영연구원[5] 배고플 때 먹으려고 상추를 넣어다닌다고 한다..[6] 실제로 두 닭 사이에서 병아리가 태어났다.[7] 해방 이후의 우석대학교(서울)이며 현재 고려대학교 의과대학의 전신이다.[8] 現 한성여자중학교, 한성여자고등학교[9] 참고로 고려대 상권(참살이길)까지도 넉넉잡아 25분이면 걸어간다.[10] 학교로 가다 보면 우리게임장이라는 오락실을 찾을 수 있는데, 처음 보는 사람은 겉과 속의 갭차이에 당황하게 된다. 겉은 허름한 문구사같은데 속에 게임들이 즐비해있어서..[11] 성저십리 지역에서 사대문 안과 가장 가까운 대학이다.[12] 가톨릭대학교(성신교정), 고려대학교, 국민대학교, 서경대학교, 서울대학교(연건캠퍼스), 성균관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홍익대학교(대학로캠퍼스) 등[13] 3514위 성신여대, 4188위 덕성여대, 4277위 서울여대, 4397위 삼육대, 5072위 한국교원대, 5556위 동덕여대 등 랭크.[14] 학생들을 외국인 학생들과 1:1로 붙여 서로 외국어를 배우게 하는 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