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8 14:20:34

영남대학교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홍콩의 대학}}}에 대한 내용은 [[링난대학]]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링난대학#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링난대학#|]]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홍콩의 대학: }}}[[링난대학]]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링난대학#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링난대학#|]]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영남대학교 로고(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학교법인 영남학원
기본 정보 및 학교 생활
학부 대학원 박물관
교통 캠퍼스 기숙사
출신 인물 동아리 논란
기타 정보
야구부
}}}}}}}}} ||
<colcolor=#fff> 영남대학교
嶺南大學校
Yeungnam University
[1]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colbgcolor=#003e7e> 창학 정신 민족중흥의 새 역사창조
교훈 슬기·힘·정성
상징 천마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분류 4년제 사립대학
지역 경상북도 경산시 | 대구광역시 남구
개교 1947년 9월 22일 ([age(1947-09-22)]주년) 대구대학(최준[2]이병철)
1950년 4월 10일 청구대학(최해청)
1967년 12월 22일 영남대학교
설립자 박정희 (대한민국 제5-9대 대통령)
이사장 제19대 한재숙[3]
총장 제16-17대 최외출[4]
법인 학교법인 영남학원
대학병원 영남대학교병원
영남대학교영천병원
주소 <colbgcolor=#003e7e><colcolor=#fff> 경산 경상북도 경산시 대학로 280 (대동)[5]
대구 대구광역시 남구 현충로 170 (대명동)[6]
재학생
학부생
20,009명(2022년)[7]
대학원생
2,857명(2019년)
교원 872명(2019년)
면적 2,718,970㎡[8]
경영위기대학 대학기관평가인증 인증대학 (2024년)
웹사이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소셜 미디어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hite {{{#!folding [ 지도 펼치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산캠퍼스
대구캠퍼스
}}}}}}}}}}}} ||

1. 개요
1.1. 역사1.2. 연혁
2. 교가3. 조직4. 캠퍼스5. 학풍
5.1. 영남(대 인문)학파5.2. 슬로건과 Y형 인재
6. 동아리7. 재단8. 교통9. 학생 커뮤니티10. 출신 인물11. 논란 및 사건 사고12. 이모저모
12.1. 교내, 주변 시설12.2. 고양이12.3. 등록금이 비싼 학교?12.4. 마인크래프트 서버12.5. 동명의 학교12.6. 영호남 4개 사학 교류12.7. 교내 언론 기구12.8. 국내 최초 여성 행정고시 합격자 배출12.9. 글로컬대학 30 예비지정 선정 후 탈락
13. 관련 문서14. 둘러보기

1. 개요

연혁
영남대학교 홍보 영상 (2020)

경상북도 경산시, 대구광역시 남구에 위치한 4년제 사립 종합대학.

대학본부가 위치한 경산 캠퍼스는 경상북도 경산시 대학로 280(대동)에 위치하며, 의과대학과 영남대학교 의료원, 일부 대학원이 소재한 대구 캠퍼스는 대구광역시 남구 현충로 170 (대명동)에 위치하여 있다. 학교의 상징은 천마다.

대학교 교명은 대구경북의 영남()[9]에서 따왔다. 부산 울산 경남 부울경 동남권 메가시티 과는 다른 개념이다. 의과대학과 일부 대학원이 대구광역시 남구 위치해 있다.

1.1. 역사

영남대학교 영어 홍보 영상 (1993)
영남대학교 75년사
매일신문 '영남대 설립에 얽힌 이야기'
매일신문 '영남대 설립 이면사'
영남대학교의 전신은 한국의 명가로 유명한 경주의 만석꾼 경주 최씨 부잣집의 마지막 부자이자 독립운동가인 12대손 최준(·1884~1970)이 1947년에 설립한 대구대학(현재의 대구대학교와는 전혀 다른 곳이다[10])과, 야청() 최해청(·1905~1977)[11]이 1950년 지금의 노보텔 자리에 세운 청구대학[12] 참고로 최해청과 최준 둘 다 경주 최씨 집안이다.[13] 이 두 대학을 박정희 정권 시절 통합하여 만들어진 대학이 바로 지금의 영남대이다. 이때 영남대의 법인인 학교법인 영남학원 정관 1장 1조에 "이 법인은 대한민국의 교육이념과 교주 박정희 선생의 창학정신에 입각하여 교육을 실시함을 목적으로 한다."라고 써 놓았다. 박정희의 후에도 이 조항은 변경되지 않다가 현재는 결국 설립자 박정희로 변경되었다.[14]

대구대학의 설립자 최준 선생은 조선시대 무관 최진립 장군[15]의 후손으로, 12대에 걸쳐 내려온 어마어마한 부[16]를 쌓은 부농이었으며, 조선국권회복단과 대한광복회에 독립자금을 제공, 안희제의 백산상회를 통해 임시정부에도 독립자금을 제공했으며, 무장투쟁계의 총무도 맡는 등 부를 민족과 나라를 위해 쓴 독립운동가였는데, 해방 후 새 나라를 위해서는 인재의 교육이 절실함을 알고 자신도 대구대학을 설립하고 손수 운영했다.

대구대학은 1945년 10월 대구대학의 전신 경북종합대학 기성회가 조직되었고, 1947년 3월 경북종합대학이 가칭 대구문리과대학으로 개교하고, 1947년 9월 재단법인 대구대학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48년 9월, 교사를 대봉동 현 대구중학교 자리로 이전했으며, 1951년 4월 교사를 포정동 청구대학 구내로 이전, 향교재단과 합류하여 공동 운영했다. 1952년 5월 교사를 남산동 향교 구내로 이전했으나, 1954년 12월 대명동 신축 교사[17]로 이전했고, 1957년 6월 본관이 준공되었다.

하지만 대구대학은 1960년대에 재정난에 빠지게 된다. 사재를 거의 다 투자하는 식으로 학교를 운영했는데, 당시 5.16 군사정변으로 정권을 잡은 박정희 측은 대대적인 대학정비사업을 추진한다. 이때 대구대학 설립자 최준은 당시 학생을 그만 받든지[18], 과를 줄이든지, 소유 대학인 대구대학에 더 많은 투자를 하든지 하라는 통보를 받는다. 이에 결국 최준은 마치 고려대학교이용익 선생이 손병희에게 넘기듯 대구대학을 삼성그룹 이병철 회장에게 학교를 잘 운영하라는 일념하에 아무런 대가없이 학교 경영권을 넙죽 넘겨주었다. 이렇게 학교의 경영권은 삼성 이병철 회장에게로 넘어간다.

내막은 과거 대구대학 교수를 지냈던 신현확[19]이 시멘트 사업을 확장하면서 홍보 목적으로 고심하던 이병철 회장에게 대구대학의 인수를 제안하고 이병철 회장은 경주시로 내려가 인수를 요구한 것이다.

그러나 삼성그룹의 사카린 밀수 사건 때문에 이병철 삼성 회장이 퇴진하고 2년 뒤 현장에 복귀하는 조건으로 박정희 대통령에게 양도되었다. 정확히는 대구대를 넘기고 성균관대학교를 받는다는 조건으로 대구대학의 경영권을 이병철이 박정희 대통령에게 넘긴 것이다. 즉, 대구대학 재단의 소유권은 경주 최씨 일가 → 삼성그룹 이병철 前 회장 → 박정희 前 대통령으로 이어진다.[20] 이때 경주 최씨 집안 고택과 선산도 다 영남대 재단 소유가 되었다. 후일 영남대 재단에서 선산을 매각할 때, 경주 최씨 집안에서 조상들의 산소가 있는 선산을 매각가의 2배를 제시하면서 되사겠다고 했지만, 이미 다른 사람에게 팔아버린 뒤였다. 매각 주도자는 최태민의 의붓아들이자 최순실의 의붓오빠 조순제였고, 이로 인해 영남대의 많은 재산이 헐값에 팔려갔다고 한다. #

청구대학은 1948년 9월 최해청에 의해서 대구문리과전문학원 야간부로 종로에서 개교했으며, 1950년 3월 포정동으로 이전하고 4월 25일 재단법인 청구대학 설립, 청구대학으로 개편했다. 1955년 문화동 현 노보텔 자리로 이전하고 1963년 병설 공업고등전문학교를 설립했는데, 이것이 오늘날의 경일대학교의 전신이다.

1964년 효목동으로 본부를 이전했으나, 대학정비사업으로 한 차례 흔들린 끝에 붕괴 사고가 일어나고, 교직원 비리가 발견되자 이사회가 1967년은 청구대학이 학내외의 여러 가지 복잡한 사정 때문에 자력으로 존립하기 힘든 상황에 처한 시기였다. 이때 청구대학 교수로 있던 노산 이은상 선생이 그해 5월, 5대 대통령 임기를 마치고 6대 대통령에 연임된 박정희에게 “각하. 임기를 마치고 나면 마당 쓸 데가 있어야 하지 않겠습니까?”라고 진언했고, 이 의견이 받아들여져 영남대 탄생의 계기가 마련되었다고 전해진다.

경주 최부자집은 박정희에게 어떻게 몰락했나 이러한 우여곡절 끝에 청구대학과 대구대학 두 대학이 통합하여 1967년 12월, 현재의 영남대가 출범하게 된다.

영남대학교의 탄생 과정
파일:external/www.yu.ac.kr/about_01_e_img2.jpg
2대 이선근 총장[21]

위 이사진 구성으로 통합 영남대학교가 출범하였다. 1970년대 영남대는 이선근 박사(신간회 출신으로 문교부 장관, 영남대학교, 성균관대학교, 동국대학교 총장 역임. 문교부 장관 시절 현재 국사편찬위원회를 설립한 장본인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전신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원장을 지내기도 했다.)라는 카리스마 넘치는 총장 재임 시절(1969년 4월 ~ 1974년 2월)이 리즈 시절이었다. 박정희 대통령은 자신의 국사 가정교사였던 그에게 전폭적인 신임을 나타냈다. 이선근 총장의 승용차에는 ‘경북 1호’ 번호판이 부여되었고[22], 경북 각급 기관장들은 대통령과 직접 전화 통화를 하던 그 앞에서 90도로 머리를 조아려야 했을 정도이다. 학교가 뻗어나가는데에는 거칠 것이 없었다. 신생 대학에 불과했던 영남대학교가 아웃풋 좋은 대학으로 평가받는 명성은 대부분 이 시기에 만들어졌다.[23] 이러한 내력 덕분에 현재에도 대경권에선 아직 인식과 평판이 좋은 편이다.

그러나 1979년, 박정희 대통령 서거 후 학교 또한 혼란에 빠졌고, 이후 장녀 박근혜 前 대통령이 이사장으로 취임하였다. 이후 토지 이면 계약 등으로 국정조사를 받은 최소의 사립대학이 되기도 하였다. 한편으로는 비수도권 대학에서 충남대학교, 한남대학교, 전남대학교, 조선대학교, 부산대학교, 경북대학교와 함께 민주화 운동에 앞장섰던 대학이기도 하였다.

1990년대 총학생회가 1989년 임수경 방북 사건 등으로 논란이 되어오던 운동권 단체인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를 탈퇴하면서 기존 학내 운동권 세력과 총학생회와의 다툼이 있었다. 이후 2009년 박근혜 대통령의 추천이사 4명을 포함한 7인 이사회로 개편되면서 정상화되었다.

이 시기에 경제금융학부 교수이자 상경대학 학장을 역임하였던 이효수 박사가 총장이 되었고, 이때부터 영남대는 제2의 전성기를 누리게 된다. 지금의 Y형 인재상 제도도 이효수 총장 시기에 제정된 것이다[24]. 이 때문에 오늘도 수많은 영남대학교 학생들은 Y형 인재상을 타기 위해 경쟁을 하지만, Y형 인재상이 계명대학교의 K-STAR처럼 요건만 되면 '막 퍼주는' 게 아니라 단과대학과 대학본부의 승인을 거쳐서 선정될 정도로 깐깐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Y형 인재상을 타지 못하고 졸업한다. 기준도 엄격하고 심사도 아주 공정하다. Y형 인재상에 대하여는 문서 하단에 기술되어 있으니 참고하면 된다.

이효수 박사가 총장직에서 물러나고 2013년, 노석균 박사가 제14대 총장으로 취임하였다. 그러나 노석균 총장은 3년 뒤인 2016년 말, 임기 만료 100여 일을 앞두고 사퇴했다. 한국일보 기사를 참고하면 된다. 총장 관사 사용, 약학대학 신관 건축 등과 관련하여 교직원에게 내려지는 징계를 막지 못한 것과 내부 소통 문제가 주된 이유였다. 그는 총장 사퇴 이후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후임 총장인 서길수 박사와 영남학원에 고소를 수 차례나 했지만 죄다 기각당하였고, 2019년에 영남대를 떠났다.

영남대학교는 201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돈도 많았고, 그와 함께 학생들에게 돌아가는 혜택도 많았지만, 지금은 '돈 없는 가난한 학교'라는 자조가 학부생들 사이에서 떠돌 정도로 재정 상황이 상당히 열악해졌다. 오죽하면 '쓸데없이 넓은 땅 팔아서 차라리 학교 재정을 더 확충하면 어떻겠나?' 하고 한탄하는 재학생들도 있을 지경이다.

노석균이 사퇴한 후, 국제통상학부(現 무역학부)의 김진삼 부총장이 총장 직무 대행을 하였으며, 2017년 서길수 박사가 총장으로 정식 취임하였다. 서길수 총장은 재정이 어려워진 상황에서도 영남대의 경쟁력을 올리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덕분에 영남대는 「2020년 THE 세계대학 영향력 평가」에서 경북대학교와 함께 국내 공동 17위를 달성하였다. 서길수 총장은 2021년 최외출 박사에게 총장직을 이임하고 정년퇴임하였으며, 현재 최외출 총장이 영남대를 이끌어가고 있다.

1.2. 연혁

1967년 12월 22일 박정희에 의해서 대구대학과 청구대학을 통합해 학교법인 영남학원 설립, 영남대학교로 개편. 이사장 이동형 선생 취임
1968년 초대총장 신기석 박사 취임. 경산에 105만여평 학교 부지 마련
1969년 경산 캠퍼스 건립 기공식
1972년 대학교 본부 및 전체 기구를 경산 캠퍼스로 이전
1974년 중앙도서관 22층 준공
1975년 전자계산소 준공
1981년 박근혜 이사를 앞세워 영남대학교 정관 제1조를 '교주 박정희 선생의 창학 정신에 입각하여’라는 내용으로 개정했다.[15]
1983년 5월 영남대학병원 개원 (1986년 5월 영남대 의료원으로 승격)
1989년 박물관 신축 건물 개관
1996년 지역협력연구센터(RRC) 개설
2001년 경북지역 환경기술개발센터 개설, 영남대학교 i-Campus 정보인프라시스템 개통
2002년 최첨단 멀티미디어지원센터 개설, 인터넷 방송국 개국, 모바일 캠퍼스 구축
2003년 의과학 연구소 신설
2004년 영남대학교 UI 글씨체 개정
2005년 '독도연구소' 전국대학 최초설립, (2월) 중앙도서관 리노베이션 준공
2008년 향토생활관, 천마아트센터 개관
2009년 영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개원, 의학전문대학원 개원
2009년 영남대학교 재단정상화
2010년 의과대학 증/개축, 여성 ROTC 시범대학 선정
2011년 YU-EU센터 개원, 융복합연구클러스터(CRC)준공
2012년 영남대학교 정관에서 교주 박정희를 설립자 박정희로 변경
2012년 교육과학기술부, 한국장학재단 주관 "다문화 탈북학생 멘토링 사업" 영남권역거점대학 선정
2012년 교육과학기술부 ‘2012학년도 한국교육 선진화 선도대학(ACE)사업 1위’에 선정
2012년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주관 2단계 공학교육혁신센터 지원사업의 ‘공학교육 거점대학’에 선정
2012년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 주관 국가인적자원개발(HRD)컨소시엄 사업 ‘영남권 허브 대학’ 선정
2012년 상경관 및 공대IT관 증축, 전력용량증설, CRC신축 준공
2012년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주관 2단계 ‘공학교육혁신센터 지원사업’ 선정
2012년 봉화군과 향토생활관 협약 체결
2012년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 주관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 선정
2012년 영남대-금융 4개기관(한국자산관리공사, 미소금융중앙재단, 신용회복위원회, 신용보증재단 중앙회)간 협약 체결
2012년 고용노동부 주관 ‘창조캠퍼스’ 지원대학 2년 연속 선정
2012년 미국 Southern Oregon University와 상호학점교류에 관한 특별협정 체결을 통한 ‘1+3 글로벌 학위과정’ 개설
2012년 베트남국립대학-호치민(VNU-HCM)과 교류협력 체결
2012년 9월 19일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연장개통. (영남대역)
2013년 2월 1일 제14대 총장 노석균 교수(화학공학) 취임.
2013년 9월 10일 영남대학교 현재 UI 사용 개시
2013년 12월 27일 교육부, 한국대학교육협회 한국대학평가원 '2013 대학기관평가인증'획득
2014년 2월 4일 2012학년도 기준 학생 1인당 교육비투자 대구경북 종합사립대 1위(2013년 8월 대학알리미 기준)
2014년 2월 5일 영남대 의대, 한국의학교육평가원 ‘2013년 의학교육 평가인증’획득
2014년 2월 23일 캄보디아 교육부 '우수봉사단' 선정
2014년 3월 1일 정치행정대학 경찰행정학과 신설
2014년 4월 2일 시가총액 10대기업 임원배출 전국10위
2014년 4월 11일 '2014 대한민국 참교육대상'(‘글로벌혁신경영’ 부문) 수상
2014년 4월 29일 영남대학교병원 권역 호흡기 전문질환센터 개원
2014년 5월 7일 영남대 로스쿨, 제3회 변호사시험 합격률 전국2위
2014년 5월 14일 교육부,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선정 2013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전자공학과·정보통신공학과 최우수 선정
2014년 6월 20일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주관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대학 지원사업'선정
2014년 7월 8일 영남대 창업보육센터 준공식 개최
2014년 7월 14일 박정희정책새마을대학원이 박정희새마을대학원으로 명칭 변경
2014년 7월 29일 아이티 정부 공무원 '아이티 경제발전 전략 및 새마을운동' 연수
2014년 8월 12일 영남대 국립국제교육원 '정부초청 대학원 장학생 한국어연수기관' 선정
2014년 8월 28일 한중과학기술협력센터와 글로벌 산학협력 MOU 체결
2014년 8월 28일 동아일보 '2014 청년드림대학' 선정 결과 취업, 창업 지원역량 최우수 대학 선정
2014년 9월 1일 2014 중앙일보 대학평가 영남대 경영학부 '우수' 평가
2015년 교육부 대학구조개혁평가 최상위 A등급
2016년 제5회 변호사시험 합격률 100%, 2년 연속 전국 1위
2016년 교육부 프라임사업(산업연계교육활성화 선도대학) 대형 유형 선정(450억, 3년)
2017년 고용노동부 대학창조일자리센터 운영대학 선정
2017년 교육부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사업) 선정
교육부 2016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건축(시공) 분야 ‘최우수’ 대학
2017년 코스닥 상장법인 CEO 배출 ‘전국 6위’
신용보증기금과 전문 인력 교류 및 인재 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협약 체결
2017년 라이덴랭킹 국내 종합순위 15위, 수학·컴퓨터공학 분야 세계 37위 및 국내 1위
2017년 영남대-영남이공대 인적·물적 자원 공동활용 협약체결
2017년 베트남 호치민기술교육대와 자동차공학 인재 육성 MOU 체결
2017년 영남대 유새(YUSAE)팀, 2017 한국자동차공학회(KSAE) 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 바하(BAJA) 부문 1위
2017년 영남대 ‘신재생에너지 인력양성사업’, 산업통상자원부 및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주관 에너지인력양성사업 1단계(2015~2017) 평가에서 전체 90여 개 추진 과제 중 최우수과제로 선정
2017년 THE 세계대학평가 ‘국내 18위’
2017년 (재)대구경북디자인센터와 우수 창업인재 양성 및 지역 디자인 교육지원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 경산시와 지역사회 발전과 혁신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2017년 영남대 청정기술연구소 교육부 및 한국연구재단 주관 ‘이공분야 대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 1단계(2014년 9월~2017년 8월) 평가에서 최우수 등급 획득
2017년 DGIST와 기술수요 정보공유 플랫폼 구축을 위한 MOU 체결
2017년 영남대 기업가센터 베트남 호찌민기술대학교(HUTECH, Ho Chi Minh City University of Technology)와 현지 기업인 메콩링크(Mekong Link)와 글로벌 창업가 양성 및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3자간 업무협약 체결
2017년 영남대 천마인재학부 2017년 행정고시 합격자 3명(재경직 1명, 일반직 2명) 배출
2017년 생명·나노·로봇공학 등 중심 ‘청색기술 산학융합추진단’ 발족
2018년 드론·로봇·3D프린터 활용 제품제작 실습 ‘매이커스랩(Makers_Lab)’ 개소
2018년 영남대 국제학생회 창립
2018년 교육부 중앙교육연수원과 전문 인력, 시설, 교육 콘텐츠 등 인적·물적 자원의 교류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2018년 달성군과 도시디자인·경관 발전 위한 정책연구, 학술행사, 인적교류 등 공동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2018년 ‘강의실 PC - 학생 스마트폰’ 블루투스 통신을 활용한 ‘스마트출결시스템’ 자체 개발
2018년 영남대 공학교육혁신센터, 산업통산자원부 창의융합형공학인재양성지원사업 선정
2018년 영남대 레슬링부, 제36회 회장기 전국레슬링대회 단체 우승
2018년 대구FC엔젤클럽과 지역 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
2018년 대구가톨릭대학교, 대구대학교, 경산시와 ‘외국인 유학생과 함께하는 SNS통상프로그램 운영’ 협약 체결
2018년 필리핀 로스바뇨스대학교와 학술교류 협약 체결
2018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7년 산업계 관점 대학평가에서 정유석유화학 분야 ‘최우수’ 선정
2018년 영남대 법학전문대학원 변호사시험 누적 합격률 비수도권 1위
2018년 인도네시아 교육대학교와 교류 협약 체결
2018년 캄보디아 웨스턴턴대학교와 국제교류 협약 체결
2018년 라이덴랭킹(Leiden Ranking) 수학·컴퓨터공학 분야 세계 50위 및 국내 1위, 생명과학·지구과학 분야 국내 7위, 사회과학·인문학 분야 국내 15위, 자연과학/공학 분야 국내 19위
2018년 한국에너지공단과 학생 인턴십 및 취업 지원 등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2018년 산업통상자원부 고신뢰성 기계부품 설계 전문인력 양성 사업 선정 코스닥 CEO 배출 대학 순위 전국 7위, 비수도권 대학 1위(코스닥협회 2018년 코스닥 상장법인 사업보고서 기준)
2018년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한길산업과 지역 및 산업 발전을 위한 협약 체결
2018년 로봇관(지하1층, 지상3층, 연면적 3,462.71㎡), 자동차관(지상 3층, 3,934.89㎡) 개관
2018년 한국경제신문 및 글로벌리서치가 분석한 2018 이공계 대학 평가에서 전국 20위, 비수도권 종합사립대 1위
2018년 탄자니아·케냐·우간다 국제협력기구 르블락(LVRLACC, Lake Victoria Region Local Authorities & Counties Cooperation)과 국제개발 협력과 교류 증진을 위한 협약 체결
2018년 제23회 국제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개최 및 영남대 YUSAE팀 종합 우승
2018년 국내 500대 기업 CEO 배출대학 전국 8위, 비수도권 사립대학 1위(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 CEO 464명 분석 결과)
2018년 영남대 제52회 대통령기 전국대학야구대회 우승
2018년 교육부 2018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 ‘자율개선대학’ 선정
2018년 행정안전부 주관 카리브해 지역 4개국 9명 중견 공무원 대상 새마을연수 실시
2018년 지역 5개 대학(영남대, 대구가톨릭대, 대구한의대, 경일대, 대신대), 경상북도, 한국국학진흥원과 외국인 유학생 연수 프로그램 공동 운영을 위한 협약 체결
2018년 THE 세계대학순위 ‘국내 14위’
2018년 지역 4개 대학(영남대, 경북대, 안동대, 한동대) , 경북도의회와 교류·협력 증대를 위한 업무 협약 체결
2018년 약학대학 신축 기공식 개최(규모: 지하 1층, 지상 5층 연면적 9,429.21㎡ , 총 공사비: 145억 원, 2020년 5월 완공 예정)
2018년 러시아 국립 노보시비리스크 국가연구대학교(Novosibirsk State University) 및 국립 노보시비르스크 과학기술대학교(Novosibirsk State Technical University)와 국제교류협력을 위한 MOU 체결
2018년 의성군과 지역사회협력사업 공동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2018년 베트남 국립 호치민기술사범대학교(Ho Chi Minh City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와 교류 협약 체결
2018년 아프리카 3개국 국제협력기구인 ‘르블락’(LVRLACC, Lake Victoria Region Local Authorities & Counties Cooperation)과 ㈜메가젠임플란트(대표 박광범)와 국제개발협력사업 추진을 위한 3자간 업무협약 체결
2018년 영남대 레슬링부 제29회 추계전국대학레슬링대회 종합우승, 3년 연속 종합우승
2018년 주한 잠비아 대사관, GSDN과 잠비아 대학의 새마을경제개발학과 설립과 현지에서의 새마을운동 전파를 위한 3자간 업무 협약 체결
2018년 영남대 ‘대기측정·공기청정 기술’, ㈜굿에어와 기술이전 계약 체결
2018년 대경권 4개 기관(①영남대학교 경북빅데이터센터(경상북도 빅데이터센터), ②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 빅데이터센터(대구광역시 빅데이터센터), ③한국교통안전공단 교통빅데이터센터, ④대구경북연구원 공간빅데이터센터) 빅데이터산업 발전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2019년 유산(酉山) 민경갑(1933~2018) 화백의 그림에 노산(鷺山) 이은상(1903~1982) 시인이 지은 ‘낙동강’ 시를 일중(一中) 김충현(1921~2006) 서예가의 글씨로 마무리한 24m 대작 <낙동강천리도>(1970년) 복원
2019년 대구경북학연구소, 융합혁신전략연구소 신설
2019년 부속 외국어교육원을 기초교육대학 산하로 편입
2019년 의학전문대학원 및 임상약학대학원 폐원
2019년 영남대-이화여대-숙명여대-기술보증기금, 4개 기관 U-테크밸리 업무협약 체결
2019년 영남대-경산시, ‘고대 압독국 문화유산 연구ˑ활용 프로젝트’ 업무협약 체결
2019년 영남대 경북빅데이터센터-경산경찰서, 빅데이터 활용 업무협약 체결
2019년 영남대 레슬링부, 회장기전국레슬링대회 ‘2년 연속 종합우승’
2019년 영남대-GSDN-에티오피아 SNNPR 새마을개발 협력 MOU 체결
2019년 영남대 의대, 교수 국제학술지 게재실적 ‘전국 5위’
2019년 영남대 ‘세포 배양 기술’ ,(주)이셀과 기술이전 계약 체결
2019년 교육부 주관 ‘2018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바이오의약 분야 최우수대학 선정
2019년 제8회 변호사시험 영남대 로스쿨 합격률, 전국 2위
2019년 (주)한국호머 이종우 회장, 50억 상당 부동산 발전기금 기탁
2019년 영남대, 교육부 주관 ‘기초과학 연구역량 강화사업’ 선정
2019년 영남대병원, ‘라오스 공안부 현대식병원 건립사업’ 계약 체결 및 조인식 개최
2019년 영남대병원, 대구권 권역응급의료센터 선정
2019년 교육부 주관 ‘지역선도대학 육성사업’ 선정 500대 기업 CEO 배출 ‘전국 9위‘
2019년 대구시와 경상북도 주관 ‘휴스타(Hustar) 혁신아카데미’ 선정(미래자동차분야)
2019년 '경산시-지역 5개대학’(영남대,경일대,대구가톨릭대,대구대,대구한의대) 「일본 수출규제 대응 전담팀」 구성 협력 간담회, 영남대 레슬링부 제45회 대통령기 레슬링대회 ‘종합우승’
2019년 대구시와 경상북도 주관 ‘휴스타(HuStar) 혁신대학사업’ 선정(물분야)
2019년 학산배 전국장사씨름대회 단체전 ‘준우승’
2019년 영남대 기업가센터, 행정안전부,경북도,경산시 ‘경산시 청년연구인력 지원사업’ 추진
2019년 한국연구재단 주관 ‘지역혁신 선도연구센터’ 과제 선정(청색기술 기반 연구과제)
2019년 기계관 ‘삼익 THK 라운지’ 준공
THE 세계대학평가 ‘국내 17위’
2019년 영남대 의대, 교수 1인당 SCI급 논문 실적 ‘전국 3위’ ‘YU진로취업센터’ 개관
2019년 교육부, 인사혁신처 주관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3회 연속 인증, 영남대, 합천군, 한국원폭피해자협회, 한국원폭피해자협회 합천지부 ‘합천 원폭자료관 기록물 전산화’ 지역협력 협약 체결
2019년 영남대 ‘스마트 글라스 기술’, ㈜티엠비와 기술이전 계약 체결
2019년 제100회 전국체육대회 ‘金8, 銀1, 銅4’ 획득
2019년 영남대 로스쿨, ‘배기원도서관’ 개관
2019년 YU 산학협력 엑스포’ 개최
2019년 경상북도-영남대 컨소시엄, ‘지역선도대학 육성사업’ 협약
2019년 천하장사씨름대축제 대학부 단체전 ‘우승’
2019년 영남대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 준공식 개최
2019년 ‘영남대 생명응용과학대학-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 인재 육성 협약 체결
2019년 추계전국대학레슬링대회 4년 연속 ‘종합우승’
2019년 ‘미백 화장품 제조 기술’, ㈜위즈메디와 기술이전 계약체결, 유도부, 제주컵 국제유도대회 ‘금·은’ 획득
2019년 '천연물 의료소재 핵심연구 지원센터’ 개소
2019년 교육부 ‘2019 대학기관평가인증‘ 획득
2020년 영남대 의과대학 (재)한국의학교육평가원 ‘2019년도 의학교육 평가인증’ 통과 및 4년 인증 획득
2020년 영남대 의과대학–대구지식재산센터 지역 의료기술 성장 동력 발굴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MOU 체결
2020년 (재)환동해산업연구원와 해양바이오 전문가 양성을 위한 MOU 체결
2020년 캄보디아 왕립예술대학교(Royal University of Fine Arts)와 국제학술교류협정 체결
2020년 캄보디아 웨스턴대학과 2+2 새마을학 복수학위제 시행을 위한 합의각서(Memorandum of Agreement) 체결
2020년 'MW(메가와트)급 태양광 발전 R&BD 실증센터‘ 준공
2020년 도전학기제 시행, 스마트워터시스템융합전공(선발인원 40명) 신설
2020년 영남대 기업가센터, 2019 대학기업가센터 지원사업 성과평가 S등급 선정(2년 연속 최우수대학)
2020년 상경대학 항공운송학과(계약학과, 정원 20명) 신설
2020년 영남대병원, 미국 뉴스위크 ‘2020년 세계 최고 병원(World’s Best Hospitals 2020)’ 조사에서 영남권 1위 선정
2020년 영남대 경북빅데이터센터,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주관 ‘2020년 지역거점 AI 교육 운영 사업’ 선정
2020년 영남대 GTEP사업단, 산업통상자원부 및 한국무역협회 주관 지역특화청년무역전문가양성사업단(GTEP사업단) 성과평가에서 ‘전국 1위’ 선정
2020년 영남대 신소재공학부와 식품공학과, 교육부 및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주관 2019년 산업계 관점 대학평가에서 ‘최우수대학’ 선정
2020년 영남대 기업가센터, 교육부 ‘창업교육 거점대학’ 선정
2020년 영남대 로스쿨 제9회 변호사시험 합격률 전국 1위(로스쿨 9기 입학인원 기준)
2020년 독도자생식물원 기공식 개최
2020년 경산시와 ‘건강증진대학 만들기’ 사업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2020년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인력양성사업’ 선정(화학공학부 주관, ‘수소산업 융복합 인력양성’ 사업)
2020년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선정
2020년 경북 봉화군과 영농형 태양광 발전 보급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2020년 영남대 세포배양연구소, 2020년 한국연구재단 이공분야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 선정
2020년 교육부 및 한국연구재단 주관 ‘대학혁신지원사업’ 1차년도 연차평가 A등급 획득
2020년 교육부 및 한국연구재단 주관 ‘2020년 기초과학 연구역량 강화사업’ 선정
2020년 라이덴랭킹(Leiden Ranking) 종합 순위 국내 13위, 수학·컴퓨터공학(Mathematics & Computer science) 분야 국내 1위(6년 연속 국내 1위, 세계 78위), 생명과학·지구과학 분야 국내 9위, 자연과학/공학 분야 국내 24위
2020년 영남대학교 산학연협력 기술지주회사 설립 인가
2020년 교육부 및 한국연구재단 주관 '4단계 BK21(두뇌한국21)사업' 12개 연구단(팀) 예비선정
2020년 제25회 국제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 개최
2020년 영남대학교 디자인·미술 언택트 실기대회 개최
THE(Times Higher Education) 세계대학평가 ‘국내 17위’
2020년 한국조폐공사 화폐본부와 우수 인력 양성 및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2020년 육상부, 2020 예천전국대학·일반육상경기대회 ‘金1, 銀5’ 획득
2020년 교육부 및 한국연구재단 주관 '4단계 BK21(두뇌한국21)사업' 12개 연구단(팀) 최종선정
2020년 QS 아시아권 대학평가 ‘국내 26위’
2020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실 안전 유공 기관’ 선정
2021년 영남대병원 외과계 집중치료실 및 수술실 리모델링 개소식
2021년 제16대 총장 최외출 박사 취임
2021년 영남대 건축학부, 교육부 및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주관 2020년 산업계 관점 대학평가에서 '최우수학과' 선정(2020년, 2016년, 2012년 선정)
2021년 영남대-한국환경공단 대구경북환경본부, 대학교 연구실 화학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2021년 영남대-총학생회-교수회-직원노동조합-총동창회, 대학 생존위기 극복과 지속발전을 위한 공동협력선언식 개최
2021년 영남대-경상북도-(재)새마을세계화재단, 새마을운동 경험 공유를 위한 상호 업무협약 체결
2021년도 신·편입 유학생 멘토링교수단 위촉식 개최
2021년 영남대 로스쿨, 제10회 변호사시험 합격률 전국 2위(로스쿨 10기 입학인원 기준)
2021년 교육부 ‘2021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3개 강좌 신규 선정 (2021학년도 2학기, 총 11개 K-MOOC 강좌 교양 교과목 운영)
2021년 한국대학스포츠협의회 주관 ‘2021 대학운동부 평가 및 지원사업’ 선정(야구, 축구, 유도, 씨름, 레슬링, 육상)
2021년 영남대-(재)대구문화재단-(재)TBC문화재단, 지역 문화예술발전 및 다문화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상호 업무협약 체결
2021년 영남대-타지키스탄(Tajikistan) 산업신기술부, 글로벌 인재 양성을 위한 국제협약 체결
2021년 라이덴랭킹(Leiden Ranking) 종합 순위 국내 14위, 수학·컴퓨터공학(Mathematics & Computer science) 분야 국내 1위(7년 연속 국내 1위), 생명지구과학 분야 국내 8위, 자연과학/공학 분야 국내 23위
2021년 교육부 ‘2021년도 이공분야 대학중점연구소’ 선정(정보통신연구소·생활과학연구소)(2021학년도 기준, 총 7개 대학중점연구소 확보)
2021학년도 영남대학교 학부(과) 소개 영상 공모전 시상식 개최(64개 학부(과)/219개 팀/657명 참여, 출품작 공식 유튜브 채널 탑재)
2021년 영남대-(재)독도의용수비대기념사업회, 독도 영토주권 강화 교육 및 대외홍보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
2021년 영남대 산학협력단, 경상북도 도시재생지원센터 개소
2021년 영남대 건축학부, 국토교통부 주관 ‘2021년도 건축설계 인재육성사업’ 선정(국내 대학 최대 규모의 사업비 수주)
2021년 영남대 씨름부, 제58회 대통령기전국장사씨름대회·제50회 전국소년체육대회 ‘단체전 우승’ 및 '개인전 금1, 은1, 동2' 획득
2021년 영남대 출판부·교원 발간 도서 7종, 대한민국학술원 ‘2021년 우수학술도서’ 선정
2021년 영남대-한국교통대-한라대-홍익대 공학교육혁신센터, 디지털 트윈 기반, ‘2021 공동 융합 신기술 설계캠프 및 UCC 경진대회(자율주행자동차)’ 개최
2021년 '이종우 과학도서관‘ 증축 및 리노베이션 준공식
2021년 THE(Times Higher Education) 세계대학평가 ‘국내 18위’
2021년 교육부 대학기본역량진단 ‘일반재정지원대학’ 선정
2021년 영남대 씨름부, 제35회 전국 시도대항장사씨름대회 ‘금1 은2 동2’ 획득
2021년 "대학 현안 공유를 위한 정책설명회” 온라인 생중계 개최
2021년 영남대 산학협력단, 온라인 쇼핑몰 ‘영남상회(http://영남상회.com)’ 오픈
2021년 1000대 기업 CEO 배출 대학 ‘비수도권 사립대 1위, 전국 12위’
2021년 영남대-대구광역시, 2021년 휴스타(HuStar) 물산업 혁신대학 참여기업 박람회 개최
2022년 30대 그룹 계열사 최고경영자(CEO) 배출 대학 ‘비수도권 사립대 1위, 전국 9위’
2022학년도 입학식 개최
2022년 농림축산식품부 ‘2022년 고부가가치식품개발사업’ 선정
2022년 영남대-경북여성정책개발원, 여성전문인력 양성 및 양성평등 문화 확산을 위한 상호교류 협약 체결
2022년 NEW 비전선포식 개최
2022년 교육부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 3.0)’ 선정
2022년 교육부 ‘지자체-대학 협력 기반 지역혁신사업(RIS사업)’ 중심대학 선정
2022년 개교 75주년 기념 글로벌 포럼 개최(지구촌 공동 번영을 위한 교육의 역할)
2022년 개교 75주년 개교기념식 및 지역민과 함께하는 기념음악회 개최, 영남대학교 역사관 개관 및 개교 75주년 기념 사진전 개최, 개교 75주년 기념 전국 E-Sports 대회 개최, 개교 75주년 기념 글로벌 페스티벌(외국인 유학생 체육대회) 개최, 개교 75주년 기념 글로벌 한국어 말하기 대회 개최, 개교 75주년 기념 사랑의 헌혈 캠페인 개최, 개교 75주년 기념 천마가족 모교 방문 트레킹 대회 개최, 개교 75주년 기념 오페라 ‘라 보엠’ 개최, 개교 75주년 기념 고문헌전시회 개최, 개교 75주년 기념 디자인미술대학 교수전 개최, 개교 75주년 기념 천마 트레킹 & 플로깅 행사 개최
2022년 영남대 육상부, 제77회 전국대학육상경기선수권대회 ‘금2, 은1, 동2’ 획득
2022년 영남대-(주)포스코플랜텍, 산학협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
2022년 교육부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선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년도 기초연구실지원사업’ 선정, 독도자연생태온실 준공(전국 최초 독도자생식물 종자 생육 및 배양)
2022년 라이덴랭킹(Leiden Ranking) 종합 순위 국내 6위, 수학·컴퓨터공학(Mathematics & Computer science) 분야 국내 1위(8년 연속 국내 1위), 생명지구과학 분야 국내 7위, 자연과학/공학 분야 국내 16위
2022년 영남대 레슬링부, 제47회 KBS배 전국레슬링대회 ‘단체종합우승’ 및 ‘금1, 은4, 동5’ 획득
2022년 에티오피아 웨라베대학교(Werabe University)와 새마을경제개발학과 설립 및 새마을운동연구센터 개소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
2022년 100대 최고경영자(CEO) 배출 대학 ‘비수도권 사립대 1위, 전국 7위’
2022년 비즐리 UN WFP 사무총장 명예박사 학위 수여
2022년 영남대 출판부·교원 발간 도서 4종, 대한민국학술원 ‘2022년 우수학술도서’ 선정
2022년 말라위 농업부와 새마을운동을 통한 말라위 농업 발전과 농촌개발협력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2022년 영남대-경북대학교, 학술 교류 업무협약 체결
2022년 고용노동부 ‘제13회 Best of CHAMP Day 우수 사례 발표 경진대회’ 우수상 수상
2022년 영남대-LS e-Mobility Solutions, 인재양성을 위한 상호협력 업무협약 체결
2022년 제103회 전국체육대회 ‘金4·銀8·銅5’ 획득
THE 세계대학평가 ‘국내 16위’
2022년 'YU 사회공헌단’ 출범
2022년 '2023 중앙일보 대학평가 국제학술지' 논문당 피인용 순위 전국 2위
2022년 캄보디아 임차일리 부총리 명예박사 학위 수여
2022년 영남대-대구시행복진흥사회서비스원, 사회공헌 문화 확산 업무협약 체결
2023학년도 정시모집 5.96대 1, 역대 최고 경쟁률 기록
2023년 대기업 상장사 CEO 배출 대학 ‘10위’
2023년 영남대-한국재정정보원, 대구·경북 지역인재 육성 및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2023년 중소벤처기업부 ‘벤처스타트업 아카데미’ 사업 주관대학 선정
2023년 영남대-(재)수성미래교육재단, 지역 미래 교육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2023학년도 신입생 입학식 개최
2023년 의과대학 국제학술지 ‘JYMS(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스코퍼스 등재
2023년 '삼성전자 C-Lab Outside 경북·경북창조경제혁신센터 경산지점’ 개소
2023년 기부자 예우 공원 ‘천마아너스파크((Chunma Honors Park)’ 조성
2023년 산학협력단-대구 서구청-다이텍연구원, 첫걸음 과학기술인 인큐베이팅 센터 조성 및 인재육성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혐약 체결
2023년 영남대-헝가리 국가기록원, 국제 학술 교류를 위한 협약 체결
2023년 천마가족 모교방문 트레킹 대회 개최
2023년 씨름부, 제1회 대한체육회장기 전국장사씨름대회 ‘단체전 우승’ 및 ‘ 개인전 금1,은2,동1’ 획득
2023년 유도부, 제14회 청풍기전국유도대회 ‘단체전 우승’
2023년 교육부 ‘2023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3개 강좌 신규 선정, (2023학년도 1학기, 총 13개 K-MOOC 강좌 교양 교과목 운영)
2023년 영남대-한국항공우주산업(주), 항공우주산업분야 산학협력과 인재 육성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2023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3년 SW중심대학 지원사업’ 선정
2023년 씨름부, 제15회 대학장사씨름대회 ‘대학부 단체전 우승’
2023년 육상부, 제77회 전국대학대항육상경기대회 ‘여자대학부 종합우승’
2023년 라이덴랭킹(Leiden Ranking) 종합순위 국내 8위, 수학·컴퓨터(Mathematics & Computer science) 분야 국내 1위(9년 연속 국내 1위), 생명·지구과학 분야 국내 9위, 자연과학/공학 분야 국내 17위
2023년 영남대-베트남 국립 호치민기술대와 2+2 편입학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협약 체결
2023년 김용 전 세계은행 총재 명예박사 학위 수여
2023년 지역혁신사업(RIS사업) 연차평가 최고등급 ‘우수(A)’ 달성
2023년 영남대-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정보기술대학과 2+2 복수학위제 시행을 위한 협약 체결
2023년 유도부, 2023 하계 전국 남·여 대학유도연맹전 ‘단체적 우승’ 및 ‘개인전 금1,은1,동1’ 획득
2023년 최외출 총장, 캄보디아 정부 공인 웨스턴대 명예교육학박사 학위 취득
2024학년도 수시모집 경쟁률 전년대비 상승한 6.18대 1 기록
2023년 의과대학 국제학술지 ‘JYMS(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dence)’ ESCI 등재
2023년 '라이프로그용 멀티모달 언택트센싱 선도연구센터’ 개소
2023년 제104회 전국체육대회 ‘금4,은6,동9’ 획득
2023년 영남대-경북신용보증재단, 상호 교류 증진과 지역인재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2023년 로스쿨, 2024년 신규 검사임용시험 합격률 전국 1위(입학정원 대비 재학생 합격자 기준)
2023년 영남대-SK오션플랜트-영남이공대, 해상 풍력·미래 에너지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2023년 영남대-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지역사회 발전과 인재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2023년 'CSV·ESG 포터상 프로젝트 효과성 부문’ 수상
2023년 영남대-경북연구원, 상호 교류 증진과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2023년 영남대-한국부동산원, 지역사회 발전과 사회공헌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2023년 대학기관평가인증 ‘ALL PASS’ 획득
2024년 영남대-동북아시아지역자치단체연합, 국제사회 및 지역발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2024년 영남대-대구교통공사 지역사회 발전과 인재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2024년 고용노동부 ‘재학생 맞춤형 고용서비스’ 사업 선정
2024년 영남대-42경산, 소프트웨어 인재 양성과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2024년 영남대-국립금오공대, 양 대학 상호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2024년 영남대-경북교육청, 상호협력적 학교현장 실습학기제 운영 기반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2024년 영남대, 공공기관·대학 협력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다자간 업무협약 체결
2024년 영남대 동문 13명, 22대 국회 입성
2024년 영남대-국립금오공대, 글로컬대학30 예비지정 대학 선정
2024년 영남대-발레오SA, 상호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2024년 영남대 씨름부, 대한체육회장기 전국장사씨름대회 2연패 달성
2024년 영남대-호주 로열멜버른공과대학교, 교육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2024년 영남대-우즈베키스탄 투린폴리텍대, 교육 프로그램 및 2+2 공동 학위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2024년 개교 77주년 개교기념식 개최
2024년 개교 77주년 기념 글로벌 페스티벌(유학생 한마음 체육대회) 개최, 개교 77주년 기념 글로벌 페스티벌(Born to be a K-Pop Star) 개최, 개교 77주년 기념 글로벌 새마을 포럼 개최, 개교 77주년 기념 Can do spirit 함양 걷기 대회 개최, 개교 77주년 ‘육영수, 그 시절의 아카시아’ 뮤지컬 공연 개최, 개교 77주년 기념 ‘Global YU Culture Festival’ 개최, 개교 77주년 기념 새마을 정신 한국어말하기 대회 개최, 개교 77주년 기념 ‘트레킹 체육대회’ 개최
2024년 지방시대 대응 지역혁신 동반성장 포럼 개최
2024년 세계 혁신대학 랭킹 리더십 분야 국내 3위, 세계 35위, 사회적책임 분야 국내 3위, 세계 37위
2024년 교육부·한국연구재단 주관 ‘인문사회 융합인재양성사업’ 선정
2024년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영남대학교 천마아트센터에서 개최
2024년 교육부·한국산업기술진흥원 주관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원사업’ 및 ‘첨단산업 인재양성 부트캠프 사업’ 선정
2024년 라이덴랭킹 첫 ‘국내 TOP5’ 진입
2024년 산학협력단-경북권역재활병원, 경북권역재활병원과 지역 사회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2024년 과기정통부 주관 ‘차세대 반도체용 R&D 인프라 고도화 및 기초·원천 혁신 연구 사업‘ 선정
2024년 영남대-타지키스탄 농업부, 타지키스탄 농업 선진화를 위한 교육 및 기술개발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2024년 영남대-타지키스탄 보흐타르주립대학교, 교육 프로그램 운영 협력과 2+2 공동 학위 프로그램 운영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
2024년 영남대-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국제기술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2+2 공동운영과정 편입학 운영을 위한 양해각서 체결
2025학년도 수시모집 경쟁률 6.2대 1 기록
2024년 의과대학, ‘질병관리청장 표창’ 수상
2024년 U.S. News 세계 대학평가 국내 13위 기록
2024년 설립자 박정희 선생 동상 제막식 개최
2024년 최외출 총장, ‘2024 대한민국 CEO 명예의전당 글로벌 부문’ 수상
2024년 영남대-르완다대학교, 새마을학 공유 위한 양해각서 체결
2024년 지방시대 대응 지역혁신 동반성장 추계포럼 개최
2024년 영남대-동물세포실증지원센터, 첨단 바이오산업 인재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2024년 '천마지문 터널분수 광장’ 리모델링 준공
2024년 영남대-대구가정법원, 전문 인력 양성과 법률 문화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2024년 'CSV·ESG 포터상 프로젝트 상생성 부문’ 수상
2025학년도 정시모집 경쟁률 전년대비 상승한 5.28대 1 기록
2025년 'AI스마트교육센터' 개소
2025년 고용노동부 주관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사업’에서 8년 연속 ‘우수’ 등급 획득
2025년 영남대,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11년 연속 정부 인증
2025년 영남대학교-우즈베키스탄 제약기술대학교, 인적 교류 및 교육ㆍ연구 협력을 위해 양해각서 체결
2025년 영남대학교 2008년 대학정보공시제도 시행 이후, 17년만에 신입생 등록률 100% 달성
2025년 영남대 RISE 사업 7개 과제 선정, 경북권 최대 규모 525억 원 규모 사업비 확보
2025년 영남대 레슬링부, 제43회 회장기 전국레슬링대회 단체 종합우승 쾌거
2025년 영남대학교-몽골국립문화예술대학교, 음악 예술 교육의 발전과 공동 연구를 위해 교류 협약 체결
2025년 영남대 레슬링부, 헤럴드경제·코리아헤럴드배 전국레슬링대회 석권
2025년 영남대-한국행정연구원, 선진국 시대 국제개발협력사업 공동 기획 및 추진 위해 상호 교류 및 협력협약 체결
2025년 영남대-한국뇌연구원, 뇌과학 기반 협력 위한 업무협약
2025년 개교 78주년 개교기념식 개최
2025년 영남대, 대구ㆍ경북 최다 ‘2025 국가직 지역인재 7급’ 배출
2025년 영남대-한국경제인협회 국제경영원, 청년취업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
2025년 영남대, 교육부 ‘2025~2026년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선정

2. 교가

영남대학교 교가
보라 여기 신라의 옛땅 민족의 혼이 살아 뛰는 곳
금호강 기슭 달구벌 언덕 장엄하다 진리의 전당
어둠과 거짓 물리치려고
밝음과 참됨 가르치시네
너 슬기론 젊은 얼들아 너 억센 젊은 힘들아
새역사의 창조자되라 겨레를 위해 인류를 위해
아 조국과 함께 크는 영남대학교
아 정의의 샘터여 학문의 등대여
이은상 작사, 김동진 작곡

3. 조직

3.1. 학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영남대학교/학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영남대학교/학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영남대학교/학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대학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영남대학교/대학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영남대학교/대학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영남대학교/대학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캠퍼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영남대학교/캠퍼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영남대학교/캠퍼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영남대학교/캠퍼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1. 기숙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영남대학교/기숙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영남대학교/기숙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영남대학교/기숙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학풍

5.1. 영남(대 인문)학파

박정희에 의해 만들어졌음에도 과거에는 진보적이고 자유로운 학풍이 특징이었다. 창비 계열의 많은 진보적인 교수들이 있어서 영남학파 또는 영남대 인문학파라는 이름으로 불릴 정도였는데, 4.19 혁명을 경험한 서울대 문리대[25] 출신들의 취업 시기와 영남대의 교수 채용 시기가 맞아떨어졌고, (특히 박정희 사후에) 교수들이 재단의 눈치를 보지 않고 소신껏 활동할 수 있었던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

다음 교수들이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러나 현재 영남대 출신 국회의원들과 자치단체장들은 대부분 국민의힘 소속이다. 더불어민주당 소속은 장세용구미시장, 보수정당 출신 무소속이었다가 민주당에 입당한 권영세안동시장 등 몇 명이 채 되지 않는다.[26] 그나마 정치외교학과에는 학과 특성상 상대적으로 진보적인 교수들이 일부 있기는 하다.

5.2. 슬로건과 Y형 인재

파일:Y-Brand_01.gif
파일:슬로건_가로형-1.png
공식 슬로건 YU the Future
제13대 이효수 총장 취임 이후로 21세기 세계화와 지식기반사회에 부합하는 Y형 인재[27][28]를 길러내는 것을 대학의 목표로 삼고 있으며, "미래를 만드는 대학 YU, the Future"를 슬로건으로 하고 있다.[29] 특히 Y형 인재와 관련해서는 매년 전반기, 후반기가 끝나면 Y형 인재상이라고 하여 영남대 학생들 중 특출난 성과를 뽑낸 학생들에게 상장을 수여하는데, 자격 조건이 굉장히 까다로운데 해당 조건은 '1) 전국 규모 및 유사한 대회에서 1위로 수상한 학생, 2) 국제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한 학생, 3) 기타 해당부서에서 우수하다고 인정하여 추천한 자 중에서 학생포상규정 제5조 학생포상심사위원회에서 인정한 학생, 4) 단체인 경우 3명까지는 상장과 개별 부상을 수여하며, 4명 이상인 경우는 상패만 수여' 등으로 규정하고 있다. 수상 인원에 제한을 두진 않지만, 한 해에 대략 40~50명 정도의 학생들이 수상을 하는 것으로, 학교 측에서는 기사가 나오고 있다.

현재는 Y마일리지 장학금이 도입된 상태이다. 이 장학금은 학교에서 Y마일리지 점수가 가장 높은 순서대로 줄을 세워서 5개 등급으로 차등 지급해서 준다. 1등급은 학교 전체에서 Y마일리지가 가장 높은 1명에게 지급되며, 2등급은 소속 단과대학 전체에서 Y마일리지가 가장 높은 1명, 3등급은 소속 학부(과)에서 Y마일리지가 가장 높은 1명, 4등급은 소속 학부(과)에서 Y마일리지 점수가 상위 5% 이내인 사람 중에서 고득점자 순으로, 5등급은 소속 학부(과)에서 Y마일리지 점수가 상위 10% 이내인 사람 중에서 고득점자 순으로 지급된다. 4등급은 50만 원, 5등급은 30만 원이 장학금으로 지급된다. 이 장학금을 받으려면 1년에 한 번 시행되는 Y형 인재 정기진단 역량검사를 무조건 받아야 한다. 이 검사는 주로 하반기에 이루어진다. 이 검사를 받지 않으면 Y마일리지 점수가 학교 전체에서 가장 높은 사람이라도 지급 대상에서 제외된다. 그러니 정기진단 역량검사를 받는 것을 절대 잊어버리지 말 것을 명심하자. 정기진단 역량검사도 받아야 하지만 Y형 마일리지도 열심히 쌓아야 한다. Y형 마일리지를 쌓는 방법은 영남대학교에서 제공하는 비교과프로그램을 결석하지 않고 성실하게 참여, 수료하는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가장 쉽고 안전한 방법이다. 어울림에서 비교과 프로그램이 많이 제공되고 있으니 참고하기 바란다. 어울림에서 제공하는 비교과 프로그램은 결석에 대해서 기준이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으며, 기준 일수 이상 결석할 경우 절대 수료가 되지 않을 뿐 아니라 그 시점으로부터 6개월간 어울림을 통한 비교과 프로그램 신청 자체가 불가능함을 명심하자. 비교과 프로그램 외에도 국내 전국단위 및 국제 공모전에서 동상 이상 수상하거나, 공인회계사, 행정고시, 국립외교원 외교관후보자 시험, 세무사 시험에서 최종 합격하거나 CFP, CFA, 국제FRM 등 전문 자격증 시험에서 최종 합격하여 이를 URP에 등록하여 Y마일리지 점수를 얻는 방법도 존재한다. 국내 학술지나 외국 저널에 본인이 주저자로 작성한 논문을 URP에 등록하여 Y마일리지 점수를 얻는 방법도 있다. 단, 이 경우에는 주저자가 본인이어야 하면서도 동상 이상 수상을 해야 가능하다. 공과대학, 기계IT대학, 자연과학대학, 생활과학대학, 의과대학 학생들이 이렇게 해서 Y마일리지 점수를 얻어가는 경우가 적지 않다. Y마일리지 장학금은 보통 2월 하순에 지급되며, 2021년에는 2월 하순에 지급하였다. 2022년에는 교직원과 통화해본 결과 3월 2일 개강 이후에 지급된다고 한다.

6. 동아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영남대학교/동아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영남대학교/동아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영남대학교/동아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재단

주소
파일:A16miDu.jpg
재단은 학교법인 영남학원으로 영남대학교 본 캠퍼스는 경산에 있지만, 재단 사무처는 대구캠퍼스(대구광역시 남구 현충로 170)에 위치하고 있다. 영남학원은 영남대학교와 더불어 영남이공대학교를 산하에 두고 있다. 한재숙 영남대 명예교수가 제19대 이사장으로 선임됐고 2021년 제20대 이사장으로 재선임됐다. 임기는 2025년 7월 10일까지다.

사실 영남학원은 IMF 사태 이전에는 막대한 토지, 목장과 더불어 학교법인으로서는 드물게 종합금융회사인 영남종합금융을 소유하는 등 건실한 재단으로 이름이 높았다. 특히 영남종합금융은 서울과 구미에 지점을 두고, 1995년에 증권거래소에 상장까지 되어 유명세를 탔다. 그러나 다른 대부분의 금융사와 마찬가지로 IMF 사태의 여파로 유동성 부족에 시달리다가 공적자금까지 투입되었고, 하나로종합금융(現 우리종합금융)으로 통폐합되고 말았다.

8. 교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영남대학교/교통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영남대학교/교통#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영남대학교/교통#|]]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학생 커뮤니티

개인이 운영하는 웹페이지인 와이유키키#[30], 페이스북 영남대학교 대나무숲 #[31], 그리고 영남대학교 에브리타임[32]이 있다.

간편하고 시간표 기능까지 제공하는 에브리타임의 등장 때문에 와이유키키는 예전보다는 이용자 수가 적다.

10. 출신 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영남대학교/출신 인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영남대학교/출신 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영남대학교/출신 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논란 및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영남대학교/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영남대학교/논란 및 사건 사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영남대학교/논란 및 사건 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이모저모

12.1. 교내, 주변 시설

일단 많은 자취생이 사는 대학로가 횡단보도 건너서 있다. 양방향의 버스 정류장과 지하철 2호선 영남대역의 존재 덕분에 아침이면 정문 근처는 육상선수권대회를 방불케 하는 레이스가 펼쳐진다.

거대한 학교 정문 앞에는 자전거 보관소가 있는데 여기는 거의 빈 자리가 없고 정문 곳곳에는 불법 주차된 자전거, 전동 킥보드, 오토바이, 스쿠터 등이 매우 많아서 통행에 불편함을 준다.

캠퍼스가 광활하기 때문에 교내에서도 상기한 개인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학생을 쉽게 볼 수 있다. 다만 최근 들어 전동 킥보드 수가 상당히 많아지면서 안전 수칙 등에 관해 대나무숲이나 에브리타임에 간간히 불편, 항의, 증언이 올라온다.

눈이 오면 이 광활한 캠퍼스 전체를 제설하기 어렵다는 한계점 때문에 곳곳에 눈밭과 빙판이 생긴다. 미끄러우니 조심해서 다닐 필요가 있다. 교내 차량이 통행이 가능한 도로는 제설차로 제설하는 듯하니 인도로 걸어다닐 수 없을 정도로 미끄럽다면 차도 가장자리에서 걷도록 하자.

학생식당은 중앙도서관 옆 학생회관 건물과 과학도서관 옆에 두 곳이 있다. 중도학식은 2019년 2학기 때 업체가 변경된 적이 있으며, 지금은 '더큰'에서 운영하고 있다. 둘 다 맛과 가격은 그럭저럭. 다양한 대학교들의 학식을 먹어 봤는데 정말 평균 지점에 있는 수준이다. 중도학식에서 조금만 걸어가면 야구장 옆에 인문계식당 건물이라고 해서 양식점(1층)과 교직원식당(2층)이 있다. 교직원식당은 일반 학생도 이용 가능하다. 식단표는 오늘의 학식 게시판에서 확인 가능하며, 학식 사진은 영대의 먹거리 게시판에서 볼 수 있다. 사진은 주로 인문관 교직원 식당과 중도학식을 올리며 가끔 정문에 있는 식당도 올라오는 편이지만 빈도가 매우 적다.

교내에는 편의점이 세 지점 있는데, 사회과학관과 중앙도서관 사이 GS25[33]와 상경대학 안 GS25[34], 이종우과학도서관 앞 세븐일레븐이 있다. 캠퍼스 밖에 위치한 기숙사 부지 내부 세븐일레븐까지 포함한다면 총 4곳이다. 참고로 기숙사 가는 길 근처에 CU와 GS25가 있으며, 삼풍동 후문에도 GS25가 두 군데, CU가 한 군데, 세븐일레븐이 한 군데 있다.

일단 을 마시려면 꿀막을 먹자. 그리고 푸른영대라는 막걸리집이 유명한데, 본관 뒤의 구멍가게 같은 막걸리집으로, 흔히 '뒷푸영' 이라 불린다. 과거에는 정문 부근에 '앞푸영' 으로 불리던 푸른영대식당이 하나 더 있었으나 코로나 이후 사라졌다. 오칠구 야시장이라는 술집이 헌팅의 메카이자 숨겨진 안주 맛집으로 알려져 있다. '목향'이라는 술집도 유명한데, 고량주를 판매한다.

스시를 좋아한다면 '손시스시'와 '오아스시'를 추천한다. '손시스시'는 '오아스시'보다 좋아서 많은 학생들이 찾았으나, 2020년에는 장기간의 리모델링 공사 관계로 문을 열지 않았다. 2021년에 다시 영업하였다. 손시스시가 리모델링되는 기간에는 오아스시에서 사람들이 많이 찾았다. 오아스시는 와사비가 너무 맵다는 단점이 있다.

찜닭을 먹고 싶다면 금가찜닭이라는 곳이 가장 맛있다. 요새는 동궁찜닭이 가장 인기가 많은 편이다. 장군찜닭이란 곳도 있긴 한데 여긴 찜닭집 주제에 제육볶음이 가장 맛있으며, 흔히 장군제육, 줄여서 '장제'라고 불릴 정도다. 결국 2024년 무렵부터는 제육볶음도 같이 간판에 내걸고 있다.

햄버거는 버거시그널이 가장 맛있다. 쉐이크쉑과 비슷한 맛이다. 프랭크버거도 맛있게 잘 하는 편이니 햄버를 좋아한다면 버거시그널과 프랭크버거를 추천한다. 비교적 최근 생긴 영대 노브랜드 버거도 가성비 맛집으로 떠오르고 있으니 한번쯤 확인해보자. KFC도 국제교류센터 1층에 위치해 있어 접근성이 좋아 애용된다.[35]

그리고 술 진탕먹고 해장하고 싶으면 이마트24 골목길 안쪽 스타벅스 앞에 가x라는 해장국집이 있다. 영대에서 뼈해장국, 갈비탕을 먹고 싶다면 무조건 가x 밖에는 선택지가 없다고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거기서 한블록 더 건너서 가x밀면이라는 곳이 있는데, 역시 가성비 및 맛에서 재학생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 추천메뉴는 밀면 + 삼겹살이다.

어느 대학교가 안 그러겠느니만은 근처에 카페가 많은 편이다. 대부분의 메이저 커피숍과 중저가 브랜드뿐 아니라 개인이 운영하는 카페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그리고 여담이지만 학교 내부(중앙도서관 1층 로비, 천마아트센터)와 정문 횡단보도 맞은 편까지 스타벅스가 3개나 입점해 있다. 2014년 8월경 중앙도서관 1층 로비('영남대중앙도서관점')와 '천마아트센터'('영남대아트센터점')라는 공연장 건물에 입점을 허락하여 교내에 스타벅스가 두 개나 있는 특이한 사례를 만들었다.[36] 학교 소유 부지는 아니지만, 정문 바로 앞에 있는 '영남대점'(2013년 10월 오픈)까지 포함하면 학교 이름이 있는 매장이 3개가 된다. 2020년 하반기에 북부동주민센터 정류장에 스타벅스가 입점하였다. 이렇게 하여 영대 안팎에는 스벅이 네 지점이나 있게 되었다.

교내는 아니고 학교 밖 구역이지만 인근에서 가장 젊고 큰 유흥가인 오렌지 거리가 정문 건너편에 형성되어 있다. 오렌지거리는 많은 대학이 존재하는 대구, 경산권 대학의 대학가 중에서도 경북대학교 북문(소위 경대 북문), 계명대학교 성서캠퍼스 동문(소위 계대 동문)[37]과 함께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한다. 영대 뿐 아니라 대구가톨릭대, 대구대 등 타 대학생들의 모임이나 행사 역시 영대 정문 유흥가에서 열리는 경우가 꽤 잦은 편.

통계상으로 전국에서 가장 큰 규모의 원룸촌이 영남대학교를 낀 권역에 존재하는데, 서문 쪽의 기숙사 인근, 음대 근처의 출입구인 동문쪽에 있는 신대부적지구와 본관 뒤쪽의 원룸촌, 남쪽 테크노파크 인근 삼풍동 일대, 구 경산소방서 인근의 조영동 일대와 임당동 등등 원룸촌이 교정을 에워싸다시피 조성되어 있다. 지금도 오래 된 개인주택을 허물고 원룸을 올리는 공사현장이 제법 있다. 정문 쪽은 교통이 편리해 영남대학교 외의 대학교[38]에 재학 중인 학생들이 영남대 근방 원룸촌에서 자취하는 경우도 많다.

12.2. 고양이

영남대학교에서는 고양이들이 많이 서식한다. 중앙도서관-GS25 편의점, 사회과학대학, 과학도서관-자연계 식당, 예술대학, 자연과학대학, 약학대학 구관[39], 외국어교육원, 산학협력단을 비롯하여 교정 내 어디서든 고양이의 모습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먼저 중앙도서관-GS25 편의점-사회과학대학 사이에 있는 광장에는 노랑색 고양이(곽구)와 검은색 고양이(우족이)가 살고 있다. 두 고양이는 과거 GS25 편의점 부군에서 학생들의 사랑을 받고 자주 기웃거렸지만 현재는 돌보는 사람들이 있어 기웃거림이 덜해졌다. 곽구는 애교가 많고 사람들을 두려워하지 않으며, 최근에는 살이 많이 쪘으며 우족이는 털이 축축하게 젖어 있다.

다음으로 사회과학대학에는 '하트'라는 이름을 가진 흰색 고양이가 서식하는데, GS25 편의점에서 살고 있는 곽구와 마찬가지로 다정다감하고 사람들에게 애교도 잘 부린다. 하지만, 하트가 사회과학대학 앞 연못에 있는 물고기를 탐내기 때문에 그 연못을 개인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행정학과의 성도경 교수가 가끔씩 하트를 쫓아내기도 한다. 성도경 교수 본인도 하트가 연못에 살고 있는 물고기를 탐낸다는 사실과 하트가 학생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고 한다.

과학도서관-자연계식당[40] 사이에 있는 광장에는 삼색 고양이(공주), 치즈태비 고양이(쌀), 턱시도 고양이(보리)가 한 마리씩 서식한다. 공주가 쌀, 보리의 어미이다. 세 마리 모두 사람에게 굉장히 사교적인 성격으로 학생들이 바로 옆으로 지나가거나 다가와 쓰다듬어도 전혀 무서워하지 않아 과학도서관을 이용하는 학생과 직원들에게 귀여움을 한 몸에 받는다. 코로나 사태 이후 교정을 방문하는 학생의 수가 줄었음에도 광장 앞에서 사람들과 어울리는 세 고양이의 모습을 수시로 볼 수 있다.

예술대학에서는 회색 고양이(심바)[41]와 노랑색 고양이(항몽이)[42]가 서식한다.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애교를 부리기도 하고 경계를 하지 않는다. 예술대학의 항몽이는 중도 곽구보다 몸집이 크지만, 심바는 최근 덩치 면에서 곽구에게 따라잡히고 있다. 아무쪼록 심바와 항몽이 둘 다 미대생들과 미대 교수들이 돌봐주었지만 2023년 상반기에 항몽이가 들개의 습격으로 무지개다리를 건넜다.

외국어교육원-종합강의동-제2인문관 사이에 서식하는 고양이들은 사람들이 다가가려고 하면 잽싸게 피한다. 산학협력단에도 2마리의 고양이가 있는데[43], 그 고양이들도 마찬가지로 사람들이 다가가려고 하면 자리를 유유히 피한다. 다만, 산학협력단 쪽 고양이들은 외국어교육원 고양이에 비해서 사람에 대한 경계심이 그렇게 심하지는 않다.

중앙도서관 근처의 공원에 고양이 집과 먹이통이 설치되어 있다.

12.3. 등록금이 비싼 학교?

등록금이 비싸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2009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보자. 그 당시 2009년에 영남대 제2캠퍼스(대명동 캠퍼스)가 1위를 하게 되었는데, 이 경우 본교만 발표한게 아니라 각각 캠퍼스를 따로 등록금 발표를 했었기 때문에 비싸다고 알려진 의대나 이공계열만 있는 학교들의 캠퍼스같은 경우 최상위권에 올라가게 되었고, 반면에 실제 대학교 본교가 비싼 학교들은 은근슬쩍(?) 뒤로 밀려나게 되었다고 한다.

자칫 잘 모르는 사람들이 보면 저 대학교 본교가 비싸구나 라고 오해를 살 수밖에 없게 되었다. 그래서 비싼 의대만 위치해 있는 영남대 대명동 캠퍼스(제2캠퍼스)가 1위를 할 수밖에 없게 된 것이다. 이로 인해 영남대학교는 오해(?)를 받을 수밖에 없었다. 막상 2009년 전국의 의대 등록금 순위만 놓고 보면 영남대 의대는 9위라고 한다. 2013년 영남대 의대 등록금은 964만 원으로 전국 의대중에서 18위이다. 아무튼 이 때문에 대구 경북권 학생들이나 어른들은 이 통계를 보고 영남대가 등록금이 비싸다고 잘못 알려지게 됐으며 아직까지도 영남대 등록금이 톱10 안에 든다고 잘못된 사실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의외로 많다.

영남대 본교 경산캠퍼스 같은 경우 2013년 기준 대학알리미 사이트 자료를 확인해보면 1년간 평균 등록금이 730만 원으로 전체 대학교 중 69위에 랭크 되었으며 이 통계는 웬만한 서울 소재 사립대학보다는 등록금이 싸고 전국 사립대학 등록금 순위에서는 중위권에 위치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같은 대구, 경산 지역 대학교인 대구한의대학교 평균 등록금이 732만 원으로 68위, 계명대학교가 714만 원으로 84위, 대구가톨릭대학교가 710만 원으로 88위에 각각 랭크되었다. 또한 18대 대선 당시 문재인박근혜사학법과 영남대와 반값등록금을 거론하며 토론을 했었다. # 더군다나 박근혜는 영남대 이사장을 지냈던 이력이 있다.

12.4. 마인크래프트 서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영남대학교 마인크래프트 서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영남대학교 마인크래프트 서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영남대학교 마인크래프트 서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학교의 지원을 받는 마인크래프트 서버가 존재한다. 대학발 서버 중에서는 가장 체계적이고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 마인크래프트로 개최된 2022학년도 공식 입학식 행사는 인터넷에서 큰 화제가 되었다.

12.5. 동명의 학교

홍콩에 동명의 대학인 링난()대학교가 존재한다.링난대학교 홈페이지

2007년에 한국과 홍콩의 두 영남대가 자매결연을 맺기도 하였다. 관련 기사

광저우에도 동명의 링난대학교가 있었으나, 지금은 중산대학에 합병되었다.

12.6. 영호남 4개 사학 교류

영호남 4개 대학교 총장협의회
{{{#!wiki style="margin:0px -10px -4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영남(대구·경북) 영남(부산) 호남(광주) 호남(전북)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파일:동아대학교 UI.svg 파일:조선대학교 엠블럼.svg 파일:원광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 동아대학교 조선대학교 원광대학교
}}}}}}}}} ||

동아대학교, 조선대학교, 원광대학교와 함께 1998년부터 영, 호남 4대 사학으로서 정기학술제, 학생 나눔 봉사 활동, 공동 취업 캠프, 행정 워크숍 등 다양한 방법으로 상호 발전을 도모하며 교류하고 있다. #

수도권 집중이 심화되면서 과거에는 지방 4대 명문 사학으로 불렸던 것에 비해 현재는 상대적으로 쇠퇴하였다.

12.7. 교내 언론 기구

아래의 단체가 언론 3사다. 영대신문과 옵저버의 경우에는 발행된 신문이 교내 곳곳에 비치되어 쉽게 읽을 수 있다.

오전 8시와 오후 6시경 대부분 학생의 등, 하교 시간에는 교육방송국 UBS의 아나운서들이 학교 곳곳의 야외 스피커들을 통해 하루의 시작과 끝을 함께한다.

라디오 형식으로 멘트를 읽어 주고, 다양한 오디오 코너 진행과 음악도 튼다.
영남대학교 언론 기구
방송국 신문사 영자신문사
UBS 영대신문 Observer

12.8. 국내 최초 여성 행정고시 합격자 배출

이 대학의 행정학과를 졸업한 전재희보건복지부장관이 국내 최초로 행정고시에 합격한 여성이다.

전재희 장관은 1973년에 행시에 최종 합격하였다#.

12.9. 글로컬대학 30 예비지정 선정 후 탈락

2020년 최외출 총장 후보자의 공약 중 하나인 영남대-영남이공대 통합은 영남대의 최외출 총장, 영남이공대의 이재용 총장이 각각 새로 선출되고 영남대에 2021년 특임 부총장이 신설되며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2년간 아무 논의도 오가지 않다가 2023년 글로컬30 선정이라는 빅이슈를 앞에 두고 더 높은 가산점을 위해 같은 재단에 있는 영남이공대학교와 통합을 논의했고# 이공대와 동시에 글로컬대학 30을 신청했다.

2023년 예비지정에서 탈락한 두 학교는 2024년 1월 영남대와 이공대는 글로컬 대학 선포식에서 통합을 추진한다고 선포했다.# 이번에는 논의가 아닌 추진이라 두 대학간 통합은 사실상 시간문제로 여겨졌었다.

하지만 2024년 3월 6일, 복수의 언론 매체에서 영남이공대와의 통합이 무산, 대신 금오공대와 연합 모형으로 실무 단계서 논의 중이라는 기사#가 보도됐다. 보도에 따르면, 영남대 관계자는 "금오공대와 실무 차원에서 논의 중"이라고 금오공대와의 논의 사실을 밝히면서도, "기존 영남이공대와의 통합에서 방향을 튼 배경은 추후 공개할 것"이라며 기존 영남이공대와의 통합 선언을 번복한 이유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2024년 4월 16일, 교육부 글로컬대학 30 예비지정 결과 발표에 이름을 올리게 되었다. 상기처럼 영남대-국립금오공대의 국·사립 연합 형태로 신청, 글로컬대학 30에 예비지정 선정되었다. SW분야 인재 육성은 영남대, 반도체 인재 육성은 금오공대가 주력으로 맡는다는 게 글로컬대학 기획서의 주요 골자였지만 탈락하였다.

13. 관련 문서

14. 둘러보기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의 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각 대학의 제1캠퍼스(메인 종합 캠퍼스)는 캠퍼스를 표기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부터 "OO대학교(AA캠퍼스)"과 같이 표기함. 분교는 캠퍼스명 표시에서 OO대학교 AA캠퍼스로 괄호 없이 표시함.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fff,#191919>파일:경북대학교 엠블럼.svg 경북대학교(상주캠퍼스) · 파일:국립경국대학교 로고A.svg 국립경국대학교 · 파일:금오공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금오공과대학교
파일:육군3사관학교 부대마크.svg 육군3사관학교
파일:경운대학교 UI.svg 경운대학교 · 파일:경일대학교 UI.svg 경일대학교 · 파일:김천대학교 UI.svg 김천대학교
파일:대구가톨릭대학교 엠블럼.svg 대구가톨릭대학교 · 파일:대구대학교 UI.svg 대구대학교 · 파일:대구예술대학교 UI.svg 대구예술대학교 · 파일:대구한의대학교 UI.svg 대구한의대학교 · 파일:대신대학교 UI.svg 대신대학교 ·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 파일:동양대학교 엠블럼.svg 동양대학교(영주캠퍼스)
파일:경주대학교 엠블럼.svg 신경주대학교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 · 파일:영남신학대학교 교표.svg 영남신학대학교 · 파일:위덕대학교 UI.svg 위덕대학교
파일:POSTECH_emblem.svg 포항공과대학교
파일:한동대학교 엠블럼.svg 한동대학교
}}}}}}}}}}}} ||
전문대학 목록 / 대학원대학 목록 / 대학 목록 / 원격대학 목록 / 평생교육기관 목록

파일:경산시-CI2025-White.svg 경산시의 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각 대학의 제1캠퍼스(본교)는 캠퍼스를 표기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부터 "OO대학교(AA캠퍼스)"과 같이 표기함. 분교는 캠퍼스명 표시에서 OO대학교 AA캠퍼스로 괄호 없이 표시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사립 파일:경일대학교 UI.svg 경일대학교
파일:대구가톨릭대학교 엠블럼.svg 대구가톨릭대학교, 파일:대구대학교 UI.svg 대구대학교, 파일:대구한의대학교 UI.svg 대구한의대학교, 파일:대신대학교 UI.svg 대신대학교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 파일:영남신학대학교 교표.svg 영남신학대학교
전문대학
파일:대경대학교 UI.svg 대경대학교
파일:영남외국어대학 심볼.svg 영남외국어대학
파일:호산대학교 UI.svg 호산대학교
사이버대학
파일:대구사이버대학교 UI.svg 대구사이버대학교
파일:영남사이버대학교 로고.svg 영남사이버대학교
파일:한국복지사이버대학 심볼.svg 한국복지사이버대학교 }}}}}}}}}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의 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각 대학의 제1캠퍼스(메인 종합 캠퍼스)는 캠퍼스를 표기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부터 "OO대학교(AA캠퍼스)"과 같이 표기함. 분교는 캠퍼스명 표시에서 OO대학교 AA캠퍼스로 괄호 없이 표시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191919>파일:경북대학교 엠블럼.svg 경북대학교(대구캠퍼스)
파일:DGIST_emblem.svg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파일:대구교육대학교 엠블럼.svg 대구교육대학교
파일:계명대학교 심볼.svg 계명대학교
파일:대구가톨릭대학교 엠블럼.svg 대구가톨릭대학교(루가캠퍼스, 유스티노캠퍼스) · 파일:대구대학교 UI.svg 대구대학교(대명동캠퍼스) · 파일:대구한의대학교 UI.svg 대구한의대학교(수성캠퍼스)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대구캠퍼스)
}}}}}}}}} ||
전문대학 목록 / 대학 목록 / 원격대학 목록

이원화 캠퍼스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fff,#191919> 파일:가천대학교 엠블럼.svg 가천대학교 글로벌캠퍼스(경기도 성남시)
메디컬캠퍼스(인천광역시 연수구)
파일:가톨릭대학교 앰블럼.svg 가톨릭대학교 성신교정(서울특별시 종로구)
성심교정(경기도 부천시)
성의교정(서울특별시 서초구)
파일:강원대학교 엠블럼.svg 강원대학교 춘천캠퍼스(강원도 춘천시)
삼척캠퍼스(강원도 삼척시 교동)
도계캠퍼스(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파일:경기대학교 로고.svg 경기대학교 수원캠퍼스(경기도 수원시)
서울캠퍼스(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파일:경북대학교 심벌마크.svg 경북대학교 대구캠퍼스(대구광역시 북구)
상주캠퍼스(경상북도 상주시)
파일:경상국립대학교 원형 엠블럼.svg 경상국립대학교 칠암캠퍼스(경상남도 진주시)
창원캠퍼스(경상남도 창원시)
통영캠퍼스(경상남도 통영시)
파일:경인교육대학교 엠블럼.svg 경인교육대학교 인천캠퍼스(인천광역시 계양구)
경기캠퍼스(경기도 안양시)
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경희대학교 서울캠퍼스(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국제캠퍼스(경기도 용인시)
파일:계명대학교 로고.svg 계명대학교 성서캠퍼스(대구광역시 달서구)
대명캠퍼스(대구광역시 남구)
모빌리티캠퍼스(대구광역시 달성군)
파일:강릉원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강릉원주대학교 강릉캠퍼스(강원도 강릉시)
원주캠퍼스(강원도 원주시)
파일:국립경국대학교 로고A.svg 국립경국대학교 안동캠퍼스(경상북도 안동시)
예천캠퍼스(경상북도 예천군)
파일:공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공주대학교 신관캠퍼스(충청남도 공주시)
천안캠퍼스(충청남도 천안시)
예산캠퍼스(충청남도 예산군)
파일:목포대학교 심볼.svg 국립목포대학교 도림캠퍼스(전라남도 무안군)
목포캠퍼스(전라남도 목포시)
남악캠퍼스(전라남도 무안군)
대불캠퍼스(전라남도 영암군)
나주캠퍼스(전라남도 나주시)
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국립부경대학교 대연캠퍼스(부산광역시 남구)
용당캠퍼스(부산광역시 남구)
파일:한국교통대학교 심볼.svg 국립한국교통대학교 충주캠퍼스(충청북도 충주시)
증평캠퍼스(충청북도 증평군)
의왕캠퍼스(경기도 의왕시)
파일:단국대학교 심볼.svg 단국대학교 죽전캠퍼스(경기도 용인시)
천안캠퍼스(충청남도 천안시)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서울캠퍼스(서울특별시 중구)
바이오메디캠퍼스(경기도 고양시)
파일:동아대학교 UI.svg 동아대학교 승학캠퍼스(부산광역시 사하구)
구덕캠퍼스(부산광역시 서구)
부민캠퍼스(부산광역시 서구)
파일:동의대학교 UI.svg 동의대학교 가야캠퍼스(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캠퍼스(부산광역시 부산진구)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자연캠퍼스(경기도 용인시)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부산캠퍼스(부산광역시 금정구)
밀양캠퍼스(경상남도 밀양시)
양산캠퍼스(경상남도 양산시)
파일:백석대학교 UI.svg 백석대학교 천안캠퍼스(충청남도 천안시)
방배캠퍼스(서울특별시 서초구)
파일:상명대학교 엠블럼.svg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서울특별시 종로구)
천안캠퍼스(충청남도 천안시)
파일:성균관대학교 엠블럼.svg 성균관대학교 인문사회과학캠퍼스(서울특별시 종로구)
자연과학캠퍼스(경기도 수원시)
파일:성신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성신여자대학교 돈암수정캠퍼스(서울특별시 성북구)
운정그린캠퍼스(서울특별시 강북구)
파일:안양대학교 심볼.svg 안양대학교 안양캠퍼스(경기도 안양시)
강화캠퍼스(인천광역시 강화군)
파일:을지대학교 UI.svg 을지대학교 대전캠퍼스(대전광역시)
성남캠퍼스(경기도 성남시)
의정부캠퍼스(경기도 의정부시)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국제캠퍼스(인천광역시 연수구)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 경산캠퍼스(경상북도 경산시)
대구캠퍼스(대구광역시 남구)
파일:전남대학교 심볼.svg 전남대학교 용봉캠퍼스(광주광역시 북구)
여수캠퍼스(전라남도 여수시)
파일:중부대학교 심볼.svg 중부대학교 충청캠퍼스(충청남도 금산군)
고양캠퍼스(경기도 고양시)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서울특별시 동작구)
다빈치캠퍼스(경기도 안성시)
파일:총신대학교 엠블럼.svg 총신대학교 사당캠퍼스(서울특별시 동작구)
양지캠퍼스(경기도 용인시)
파일:한경국립대학교 UI.svg 한경국립대학교 안성캠퍼스(경기도 안성시)
평택캠퍼스(경기도 평택시)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글로벌캠퍼스(경기도 용인시)
파일:홍익대학교_UI_Blue.svg 홍익대학교 서울캠퍼스(서울특별시 마포구)
세종캠퍼스(세종특별자치시)
}}}}}}}}} ||

파일:SW중심대학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5f5f5,#000> 수도권 파일:가천대학교 엠블럼.svg 가천대학교 · 파일:경기대학교 로고.svg 경기대학교 · 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경희대학교 ·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 · 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 국민대학교 · 파일:단국대학교 엠블럼.svg 단국대학교 ·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 파일:삼육대학교 UI.svg 삼육대학교 · 파일:서강대학교 심볼.svg 서강대학교 · 파일:성균관대학교 엠블럼.svg 성균관대학교 ·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세종대학교 · 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숙명여자대학교 · 파일:숭실대학교 엠블럼.svg 숭실대학교 · 파일:신한대학교 UI.svg 신한대학교 · 파일:아주대학교 엠블럼.svg 아주대학교 ·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 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인하대학교 · 파일:한국공학대학교 엠블럼.svg 한국공학대학교 · 파일:한국항공대학교_UI.svg 한국항공대학교 · 파일:한성대학교 엠블럼.svg 한성대학교 · 파일:한신대학교 UI.svg 한신대학교 ·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ERICA)
관동권 파일:한라대학교 엠블럼.svg 한라대학교 · 파일:한림1.png 한림대학교
호서권 파일:건양대학교 UI.svg 건양대학교 ·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세종) · 파일:공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공주대학교 · 파일:한밭대학교 엠블럼.svg 국립한밭대학교 · 파일:선문대학교 심볼마크.svg 선문대학교 · 파일:순천향대학교 교표.svg 순천향대학교 · 파일:우송대학교 심볼.svg 우송대학교 · 파일:충남대학교 엠블럼(Blue).svg 충남대학교 · 파일:KAIST_emblem.svg 한국과학기술원
동남권 파일:경남대학교 엠블럼.svg 경남대학교 · 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국립부경대학교 · 파일:창원대학교 심볼마크.svg 국립창원대학교 · 파일:동아대학교 UI.svg 동아대학교 ·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 파일:울산대학교 심볼마크.svg 울산대학교 · 파일:인제대학교 심볼.svg 인제대학교
대경권 파일:경북대학교 엠블럼.svg 경북대학교 · 파일:경운대학교 UI.svg 경운대학교 ·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 · 파일:한동대학교 엠블럼.svg 한동대학교
호남권 파일:군산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군산대학교 · 파일:순천대학교 엠블럼.svg 국립순천대학교 · 파일:전남대학교 교표.svg 전남대학교 · 파일:전북대학교 엠블럼.svg 전북대학교 · 파일:조선대학교 엠블럼.svg 조선대학교
: 특화트랙(중·소규모대학), : 재선정 대학 }}}}}}}}}

파일:한국공학교육인증원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 2025년 3월 기준
대학 <colbgcolor=#000><colcolor=#fff> EAC 가천대학교 · 강원대학교 · 건국대학교 · 건양대학교 · 경기대학교 · 경북대학교 · 경상국립대학교 · 광운대학교 · 국립경국대학교 · 국립공주대학교 · 국립군산대학교 · 국립금오공과대학교 · 국립목포대학교 · 국립부경대학교 · 국립한국교통대학교 · 국립한밭대학교 · 국민대학교 · 단국대학교 · 대구대학교 · 대진대학교 · 동국대학교 · 동신대학교 · 동아대학교 · 동의대학교 · 명지대학교 · 목원대학교 · 부산대학교 · 상지대학교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서울대학교 · 서울시립대학교 · 선문대학교 · 성결대학교 · 성균관대학교 · 세종대학교 · 순천향대학교 · 숭실대학교 · 아주대학교 · 영남대학교 · 울산대학교 · 이화여자대학교 · 인제대학교 · 인하대학교 · 전남대학교 · 전북대학교 · 전주대학교 · 제주대학교 · 조선대학교 · 중앙대학교 · 충남대학교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 한남대학교 · 한동대학교 · 한양대학교 ERICA · 한양대학교 · 호서대학교 · 홍익대학교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CAC 건양대학교 · 경북대학교 · 광운대학교 · 국립목포대학교 · 동국대학교 · 동아대학교 · 동의대학교 · 명지대학교 · 상명대학교 · 성결대학교 · 성균관대학교 · 세종대학교 · 숭실대학교 · 인제대학교 · 전북대학교 · 중앙대학교 · 한동대학교
ETAC <colbgcolor=#000><colcolor=#fff> 시드니 두원공과대학교 · 대림대학교 · 연성대학교 · 영남이공대학교 · 울산과학대학교
더블린 동의과학대학교 · 아주자동차대학교 · 인하공업전문대학 · 조선이공대학교
}}}}}}}}} ||

파일:한국건축학교육인증원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내 건축학교육 인증프로그램
프로그램 홈페이지 인증기간
가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4-2029
가톨릭관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8
강원대학교(춘천)
문화예술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30
건국대학교
#대학원석사
건축전문대학원
# 2009-2024
경기대학교
창의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09-2025
경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20-2023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9-2024
경상국립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1-2026
경성대학교
공과대학 건축디자인학부
건축학전공
# 2021-2026
경일대학교
SMART인프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1-2025
경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3-2028
계명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토목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8-2022
광운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4-2027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2
국립공주대학교
천안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4-2024
국민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설계전공
# 2010-2026
국립금오공과대학교
공학계열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5
남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7-2028
단국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0-2023
동국대학교
#대학원석사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4+2)
# 2017-2026
동명대학교
건축•디자인대학 건축학부
건축학과(5년)
# 2018-2022
동서대학교
건축토목계열
건축학과
# 2012-2023
동아대학교
디자인환경대학
건축학과
# 2009-2025
동의대학교
공과대학 건설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3-2024
대구가톨릭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4-2025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2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전통건축전공
# 2017-2022
목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0-2025
국립목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1-2026
국립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23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건설융합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8
배재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5
삼육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8-2023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 2007-2022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2
선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3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9-2023
세종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6
국립순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19-2023
순천향대학교
SCH미디어랩스
건축학과
# 2022-2027
숭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7
신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5년제)
# 2022-2025
아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 2011-2026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건축학전공
# 2009-2025
영남대학교
건축학전공
# 2008-2026
울산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8-2024
원광대학교
창의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6-2024
이화여자대학교
엘텍공과대학 미래사회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6
인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22-2027
인천대학교
#대학원석사
일반대학원 건축학과(4+2)
# 2021-2025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4
전남대학교(광주)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도시설계전공
# 2011-2026
전남대학교(여수)
공학대학
건축디자인학과
# 2022-2026
전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7-2023
조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3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4
제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4
국립창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17-2028
청주대학교
공과대학 휴먼환경디자인학부
건축학ㆍ건축공학전공
# 2012-2023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23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2
한경국립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학부
건축학전공
# 2013-2024
국립한국교통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과
# 2010-2026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건축과
# 2015-2026
한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5-2026
국립한밭대학교
건설환경조형대학
건축학과
# 2010-2025
한양대학교 서울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08-2023
한양대학교 ERICA
공학대학
건축학부
# 2009-2023
호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9-2025
홍익대학교(서울)
건축도시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3
홍익대학교(세종)
과학기술대학 건축공학부
건축디자인전공
# 2012-2023
국외 건축학교육 인증프로그램
프로그램 홈페이지 인증기간
인도네시아 반둥공과대학교
#대학원석사
(ITB, Institute Technology Bandung)
# 2016-2024
인도네시아 이슬람대학교
(UII, University Islam Indonesia)
# 2017-2025
인도네시아 가자마다대학교
(UGM, Universitas Gadjah Mada)
# 2020-2022
* 대학교학사: 대학교 건축학사 (Bachelor of Architecture) 학위
* 대학원석사: 대학원 건축석사 (Master of Architecture) 학위
별도의 표기가 없는 경우, 대학교 건축학사(B.Arch) 과정임
건축학교육인증의 인증현황은 이곳에서도 확인 가능함
위의 표는 2022년 7월 31일의 인증현황을 기준으로 함
}}}}}}}}}

파일:한국경영교육인증원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강원대학교 엠블럼.svg 강원대학교 파일:건국대학교 앰블럼.svg 건국대학교 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광운대학교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파일: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심볼.svg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파일:서울시립대학교 엠블럼.svg 서울시립대학교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 파일:원광대학교 엠블럼.svg 원광대학교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이화여자대학교 파일:전북대학교 엠블럼.svg 전북대학교
파일:충남대학교 엠블럼(Blue).svg 충남대학교 파일:충북대학교 심볼.svg 충북대학교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외국어대학교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파일:홍익대학교_UI_Blue.svg 홍익대학교
}}}}}}}}} ||

파일:중소벤처기업부 흰색 MI.svg
벤처스타트업 주관 대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f5f5f5,#003764> 대학교 <colbgcolor=#fff,#003764> 2023년 선정 <colbgcolor=#fff,#191919> 광운대학교, 숭실대학교, 인하대학교, 강남대학교, 삼육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동국대학교, 명지대학교, 원광대학교, 제주대학교, 부산가톨릭대학교, 경북대학교, 계명대학교, 대구대학교, 영남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대진대학교, 우송대학교
}}}}}}}}} ||

{{{#!wiki style="margin: -8px;"<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링크플러스 로고.svg
Social Economics University Council
사회적경제대학협의회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가톨릭관동대학교 경남대학교
경일대학교 계명대학교 국립안동대학교 국민대학교
대구대학교 동명대학교 동의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영남대학교 인제대학교 전남대학교
전북대학교 전주대학교 제주대학교 중앙대학교
창원대학교 충남대학교
한남대학교 한림대학교 한밭대학교 한서대학교
호남대학교 호서대학교
}}}}}}}}} ||

{{{#!wiki style="margin: -6px 0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3764><tablebgcolor=#003764>
파일:정부상징.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3764><tablebgcolor=#003764> }}}
{{{#!wiki style="margin-bottom: -5px; margin-left: -11px; margin-right: -11px; margin-top: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margin-top: -5px"
분야 대학명 담당
부처
<colbgcolor=#f5f5f5,#000> 미래형자동차 가천대학교, 경남대학교, 경성대학교, 경일대학교, 국립공주대학교, 단국대학교, 부산대학교,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원광대학교, 인천대학교, 전북대학교, 청주대학교, 한국공학대학교, 한양대학교, 호서대학교 교육부, 산업통상자원부
자원개발 국립한국해양대학교, 국립부경대학교, 세종대학교, 연세대학교, 한양대학교
수소산업 명지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숭실대학교, 아주대학교, 중앙대학교
온실가스감축 국립한국해양대학교, 건국대학교, 동아대학교, 아주대학교, 연세대학교, 인하대학교, 전남대학교, 전북대학교, 한국공학대학교, 한양대학교
이차전지 가천대학교, 부산대학교, 인하대학교
시스템반도체 가천대학교, 강남대학교, 경희대학교, 광운대학교, 국립금오공과대학교, 국립부경대학교, 국립한밭대학교, 국민대학교, 단국대학교, 대구대학교, 동국대학교, 명지대학교, 부산대학교, 삼육대학교, 선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숭실대학교, 아주대학교, 연세대학교, 울산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인제대학교, 인하대학교, 전북대학교, 중앙대학교, 청주대학교, 충남대학교, 한국공학대학교, 한양대학교,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호서대학교, 홍익대학교
바이오헬스 가천대학교, 국민대학교, 부산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우석대학교
신기술융합디자인 성균관대학교, 인천대학교, 청주대학교,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홍익대학교
AI반도체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숭실대학교 교육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의료인공지능 부산대학교,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아주대학교, 한림대학교 교육부, 보건복지부
디지털물산업 국민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세종대학교, 연세대학교, 충남대학교 대한민국 교육부, 환경부
그린리모델링 경북대학교, 성균관대학교 교육부, 국토교통부
공간정보 경북대학교, 경희대학교, 남서울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안양대학교, 인하대학교, 전북대학교, 청주대학교
정보보안 서울여자대학교 교육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지식재산 경북대학교, 경상국립대학교, 경희대학교, 고려대학교, 광운대학교, 국민대학교, 군산대학교, 단국대학교, 대진대학교, 동국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동아대학교, 동의대학교, 삼육대학교, 서경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신한대학교, 아주대학교, 안양대학교, 영남대학교, 인제대학교, 인하대학교, 제주대학교, 중앙대학교, 청주대학교, 충남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 한남대학교, 한라대학교, 한서대학교 교육부, 특허청
}}}}}}}}} ||

파일:교육부 흰색 MI.svg
첨단산업 특성화대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반도체
수도권
<colbgcolor=#fff,#191919>
단독형
<colbgcolor=#fff,#191919>파일:가천대학교 엠블럼.svg 가천대학교 · 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광운대학교 · 파일:서강대학교 심볼.svg 서강대학교 ·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 · 파일:성균관대학교 엠블럼.svg 성균관대학교 ·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 파일:중앙대학교 심볼.svg 중앙대학교
동반 성장형
<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 · 파일:인제대학교 심볼.svg 인제대학교 > <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 · 파일:호서대학교 UI.svg 호서대학교 > < 파일:아주대학교 엠블럼.svg 아주대학교 · 파일:한밭대학교 엠블럼.svg 국립한밭대학교 > < 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인하대학교 · 파일:강원대학교 엠블럼.svg 강원대학교 > < 파일:한국공학대학교 엠블럼.svg 한국공학대학교 · 파일:공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공주대학교 >
비수도권
단독형
파일:경북대학교 엠블럼.svg 경북대학교 ·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동반 성장형
< 파일:경상국립대학교 원형 엠블럼.svg 경상국립대학교 · 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국립부경대학교 > < 파일:금오공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금오공과대학교 ·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 > < 파일:전북대학교 엠블럼.svg 전북대학교 · 파일:전남대학교 교표.svg 전남대학교 > < 파일:충북대학교 심볼.svg 충북대학교 · 파일:충남대학교 엠블럼(Blue).svg 충남대학교 · 파일:한국기술교육대학교 엠블럼.svg 한국기술교육대학교 >
이차전지
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국립부경대학교 · 파일:울산대학교 로고.svg 울산대학교 · 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인하대학교 · 파일:전남대학교 교표.svg 전남대학교 ·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ERICA
바이오
파일:순천향대학교 교표.svg 순천향대학교 · 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인하대학교
}}}}}}}}} ||

{{{#!wiki style="margin: -8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파일:아시아 리버럴 아츠 대학 연합 로고.png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파일:서울시립대학교 엠블럼.svg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파일:International_Christian_University_logo.png 파일:Kyushu University logo.png 파일:도쿄대학 심볼마크.svg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rikkyo university logo.png 파일:와세다대학 문장.svg 파일:조치대학 문장.svg 파일:야마나시가쿠인대학교 로고.png 파일:푸런대학 로고.png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국립정치대학 엠블럼.svg 파일:국립동화대학 로고.webp 파일:듀크 쿤산 대학교 로고.png 파일:화둥사범대학 로고.png 파일:동북사범대학 로고.png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YU_Shanghai_Logo.jpg 파일:University of Nottingham_Crest.png 파일:베이징대학 엠블럼.svg 파일:링난대학(HK)의 로고.svg 파일:치앙마이 대학교 로고.png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마히돌 대학교 로고.png 파일:아메다바드 대학교 로고.png 파일:심바이오시스 대학교 로고.png
}}}}}}}}} ||

{{{#!wiki style="margin: -8px;"<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파일:1000026121.jpg
KOREA ASSOCIATION OF MEDICAL COLLEGES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 회원교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가천대학교 엠블럼.svg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파일:가톨릭관동대학교 로고.svg 가톨릭관동대학교 의과대학 파일:가톨릭대학교 앰블럼.svg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파일:강원대학교 엠블럼.svg 강원대학교 의과대학
파일:건국대학교 앰블럼.svg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파일:건양대학교 UI.svg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파일:경북대학교 엠블럼.svg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파일:경상국립대학교 원형 엠블럼.svg 경상국립대학교 의과대학
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파일:계명대학교 심볼.svg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파일:고신대학교 심볼.svg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파일:동아대학교 UI.svg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파일:단국대학교 엠블럼.svg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파일:대구가톨릭대학교 엠블럼.svg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파일:성균관대학교 엠블럼.svg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파일:순천향대학교 UI.svg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파일:아주대학교 엠블럼.svg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파일:울산대학교 심볼마크.svg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파일:원광대학교 엠블럼.svg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파일:을지대학교 UI.svg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파일:인제대학교 심볼.svg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파일:전남대학교 교표.svg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파일:전북대학교 엠블럼.svg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파일:제주대학교 엠블럼.svg 제주대학교 의과대학 파일:조선대학교 엠블럼.svg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파일:차의과학대학교 심볼.svg 차의과학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파일:충남대학교 엠블럼(Blue).svg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파일:충북대학교 심볼.svg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파일:한림대학교 앰블럼.svg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 ||

{{{#!wiki style="margin: -8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파일:한국대학IR협의회 로고.png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1C98A7> 회원대학 <colbgcolor=#1C98A7> 대학 <colbgcolor=#fff,#191919>파일:가야대학교 UI.svg 가야대학교 · 파일:가톨릭관동대학교 로고.svg 가톨릭관동대학교 · 파일:강서대학교 엠블럼.svg 강서대학교 · 파일:경기대학교 로고.svg 경기대학교 · 파일:경일대학교 UI.svg 경일대학교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 · 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광운대학교 · 파일:광주교육대학교 UI.svg 광주교육대학교 · 파일:광주대학교 UI.svg 광주대학교
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 국민대학교 · 파일:공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공주대학교 · 파일:금오공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금오공과대학교 · 파일:김천대학교 UI.svg 김천대학교 · 파일:나사렛대학교 UI.svg 나사렛대학교 · 파일:남부대학교 UI.svg 남부대학교 · 파일:단국대학교 엠블럼.svg 단국대학교
파일:대구가톨릭대학교 엠블럼.svg 대구가톨릭대학교 · 파일:대구대학교 UI.svg 대구대학교 · 파일:대구한의대학교 UI.svg 대구한의대학교 · 파일:대전대학교 엠블럼.svg 대전대학교 · 파일:대진대학교 UI.svg 대진대학교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서울캠퍼스 · 파일:동서대학교 엠블럼.svg 동서대학교 · 파일:동신대학교 엠블럼.svg 동신대학교
파일:동아대학교 UI.svg 동아대학교 · 파일:동양대학교 엠블럼.svg 동양대학교 · 파일:동의대학교 UI.svg 동의대학교 ·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 · 파일:백석대학교 UI.svg 백석대학교
파일:부산외국어대학교 심볼.svg 부산외국어대학교 · 파일:서울신학대학교 UI.svg 서울신학대학교 · 파일:서원대학교 UI.svg 서원대학교 ·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세종대학교 · 파일:송원대학교 엠블럼.svg 송원대학교
파일:수원대학교 심볼.svg 수원대학교 · 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숙명여자대학교 · 파일:숭실대학교 엠블럼.svg 숭실대학교 · 파일:신라대학교 교표.svg 신라대학교 · 파일:아주대학교 엠블럼.svg 아주대학교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 · 파일:용인대학교 엠블럼.svg 용인대학교 · 파일:우석대학교 UI.svg 우석대학교 · 파일:울산대학교 심볼마크.svg 울산대학교 · 파일:원광대학교 엠블럼.svg 원광대학교
파일:유원대학교 UI.svg 유원대학교 · 파일:을지대학교 UI.svg 을지대학교 · 파일:인제대학교 교표.svg 인제대학교 · 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인하대학교 · 파일:중부대학교 UI.svg 중부대학교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 · 파일:차의과학대학교 심볼.svg 차의과학대학교 · 파일:청운대학교 심볼.svg 청운대학교 · 파일:청주대학교 UI.svg 청주대학교 · 파일:추계예술대학교 엠블럼.svg 추계예술대학교
파일:POSTECH_emblem.svg 포항공과대학교 · 파일:한경국립대학교 로고.svg 한경국립대학교 · 파일:한국공학대학교 심볼.svg 한국공학대학교 · 파일:한남대학교 UI.svg 한남대학교 · 파일:한동대학교 엠블럼.svg 한동대학교
파일:한라대학교 엠블럼.svg 한라대학교 · 파일:한림대학교 앰블럼.svg 한림대학교 · 파일:한신대학교 UI.svg 한신대학교 ·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 파일:협성대학교 UI.svg 협성대학교
파일:호남대학교 UI.svg 호남대학교 · 파일:호원대학교 UI.svg 호원대학교
전문대학 파일:경남정보대학교 UI.svg 경남정보대학교 · 파일:경인여자대학교 엠블럼.svg 경인여자대학교 · 파일:계원예술대학교 UI.svg 계원예술대학교 · 파일:김해대학교 UI.svg 김해대학교 · 파일:대구보건대학교 UI.svg 대구보건대학교
파일:마산대학교 UI.svg 마산대학교 · 파일:삼육보건대학교 UI.svg 삼육보건대학교 · 파일:선린대학교 심볼.svg 선린대학교 · 파일:용인예술과학대학교 UI.svg 용인예술과학대학교 · 파일:전남과학대학교 UI.svg 전남과학대학교
파일:조선이공대학교 심볼.svg 조선이공대학교 · 파일:춘해보건대학교 UI.svg 춘해보건대학교 · 파일:한국관광대학교 UI.svg 한국관광대학교 · 파일:한양여자대학교 엠블럼.svg 한양여자대학교 · 파일:한영대학교 UI.svg 한영대학교
대학원대학 파일: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엠블럼.svg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 ||
{{{#!wiki style="margin: -8px;"<tablebordercolor=#fff,#000><tablebgcolor=#fff,#000>
파일:1000026901.jpg
Korea University Sport Federation
한국대학스포츠협의회 회원교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가천대학교 엠블럼.svg 가천대학교 파일:가톨릭관동대학교 로고.svg 가톨릭관동대학교 파일:강동대학교 UI.svg 강동대학교
파일:강릉영동대학교 UI.svg 강릉영동대학교 파일:강릉원주대학교 엠블럼.svg 강릉원주대학교 파일:강서대학교 엠블럼.svg 강서대학교
파일:강원대학교 엠블럼.svg 강원대학교 파일:강원도립대학교 UI.svg 강원도립대학교 파일:건국대학교 앰블럼.svg 건국대학교
파일:경기대학교 로고.svg 경기대학교 파일:경남대학교 엠블럼.svg 경남대학교 파일:경동대학교 UI.svg 경동대학교
파일:경북대학교 엠블럼.svg 경북대학교 파일:경북전문대학교 엠블럼.svg 경북전문대학교 파일:경상국립대학교 원형 엠블럼.svg 경상국립대학교
파일:경성대학교 UI.svg 경성대학교 파일:경운대학교 UI.svg 경운대학교 파일:경일대학교 UI.svg 경일대학교
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경희대학교 파일:계명대학교 심볼.svg 계명대학교 파일:계명문화대학교 심볼.svg 계명문화대학교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 파일:고신대학교 심볼.svg 고신대학교 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광운대학교
파일:광주대학교 UI.svg 광주대학교 파일:광주여자대학교 UI.svg 광주여자대학교 파일:구미대학교 UI.svg 구미대학교
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 국민대학교 파일:공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공주대학교 파일:군산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군산대학교
파일:목포대학교 심볼.svg 국립목포대학교 파일:목포해양대학교 교표.svg 국립목포해양대학교 파일:순천대학교 엠블럼.svg 국립순천대학교
파일:국립경국대학교 로고A.svg 국립경국대학교 파일:창원대학교 엠블럼.svg 국립창원대학교 파일:한국교통대학교 심볼.svg 국립한국교통대학교
파일:한국해양대학교 심볼.svg 국립한국해양대학교 파일:국제대학교 심볼.svg 국제대학교 파일:군장대학교 UI.svg 군장대학교
파일:김천대학교 UI.svg 김천대학교 파일:김해대학교 UI.svg 김해대학교 파일:나사렛대학교 UI.svg 나사렛대학교
파일:남부대학교 UI.svg 남부대학교 파일:단국대학교 엠블럼.svg 단국대학교 파일:대경대학교 UI.svg 대경대학교
파일:대구과학대학교 UI.svg 대구과학대학교 파일:대구대학교 UI.svg 대구대학교 파일:대덕대학교 UI.svg 대덕대학교
파일:대전과학기술대학교 UI.svg 대전과학기술대학교 파일:대전대학교 엠블럼.svg 대전대학교 파일:동강대학교 교표.svg 동강대학교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파일:동명대학교 엠블럼.svg 동명대학교 파일:동서대학교 엠블럼.svg 동서대학교
파일:동신대학교 엠블럼.svg 동신대학교 파일:동아대학교 UI.svg 동아대학교 파일:동양대학교 엠블럼.svg 동양대학교
파일:동원과학기술대학교 심볼.svg 동원과학기술대학교 파일:동원대학교 UI.svg 동원대학교 파일:동의과학대학교 심볼.svg 동의과학대학교
파일:동의대학교 UI.svg 동의대학교 파일: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UI.svg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파일:마산대학교 UI.svg 마산대학교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 파일:목원대학교 심볼.svg 목원대학교 파일:목포과학대학교 UI.svg 목포과학대학교
파일:문경대학교 UI.svg 문경대학교 파일:배재대학교 엠블럼.svg 배재대학교 파일:백석대학교 UI.svg 백석대학교
파일:백석문화대학교 심볼.svg 백석문화대학교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파일:부산외국어대학교 심볼.svg 부산외국어대학교
파일: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교표.svg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파일:상명대학교 교표1.svg 상명대학교 파일:상지대학교 엠블럼.svg 상지대학교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 파일:선문대학교 심볼마크.svg 선문대학교 파일:성결대학교 UI.svg 성결대학교
파일:성균관대학교 엠블럼.svg 성균관대학교 파일:세경대학교 UI.svg 세경대학교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세종대학교
파일:세한대학교 UI.svg 세한대학교 파일:송원대학교 엠블럼.svg 송원대학교 파일:송호대학교 UI.svg 송호대학교
파일:수원대학교 심볼.svg 수원대학교 파일:순천향대학교 UI.svg 순천향대학교 파일:숭실대학교 엠블럼.svg 숭실대학교
파일:신성대학교 UI.svg 신성대학교 파일:아주대학교 엠블럼.svg 아주대학교 파일:안동과학대학교 UI.svg 안동과학대학교
파일:안양대학교 UI.svg 안양대학교 파일:여주대학교 UI.svg 여주대학교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 파일:영산대학교 심볼.svg 영산대학교 파일:용인대학교 엠블럼.svg 용인대학교
파일:용인예술과학대학교 UI.svg 용인예술과학대학교 파일:우석대학교 UI.svg 우석대학교 파일:울산과학대학교_UI.svg 울산과학대학교
파일:울산대학교 심볼마크.svg 울산대학교 파일:원광대학교 엠블럼.svg 원광대학교 파일:위덕대학교 UI.svg 위덕대학교
파일:인제대학교 심볼.svg 인제대학교 파일:인천대학교 엠블럼.svg 인천대학교 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인하대학교
파일:전남과학대학교 UI.svg 전남과학대학교 파일:전북대학교 엠블럼.svg 전북대학교 파일:전주기전대학 UI.svg 전주기전대학
파일:전주대학교_교표.svg 전주대학교 파일:전주비전대학교 UI.svg 전주비전대학교 파일:제주대학교 엠블럼.svg 제주대학교
파일:제주한라대학교 UI.svg 제주한라대학교 파일:조선대학교 엠블럼.svg 조선대학교 파일:조선이공대학교 심볼.svg 조선이공대학교
파일:중부대학교 UI.svg 중부대학교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 파일:중원대학교 UI.svg 중원대학교
파일:청주대학교 UI.svg 청주대학교 파일:초당대학교 UI.svg 초당대학교 파일:충남대학교 엠블럼(Blue).svg 충남대학교
파일:충북대학교 심볼.svg 충북대학교 파일:충북보건과학대학교 UI.svg 충북보건과학대학교 파일:한경국립대학교 UI.svg 한경국립대학교
파일:한국골프대학교 UI.svg 한국골프대학교 파일:한국체육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체육대학교 파일:한남대학교 UI.svg 한남대학교
파일:한라대학교 엠블럼.svg 한라대학교 파일:한림대학교 앰블럼.svg 한림대학교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 ||

{{{#!wiki style="margin: -8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91919><tablebgcolor=#191919>
파일:한국대학출판협회 로고.png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가톨릭대학교 앰블럼.svg 가톨릭대학교파일:건국대학교 앰블럼.svg 건국대학교파일:경남대학교 엠블럼.svg 경남대학교파일:경북대학교 엠블럼.svg 경북대학교파일:경상국립대학교 원형 엠블럼.svg 경상국립대학교파일:경성대학교 UI.svg 경성대학교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경희대학교파일:계명대학교 심볼.svg 계명대학교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파일:공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공주대학교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 국민대학교파일:단국대학교 엠블럼.svg 단국대학교파일:대구가톨릭대학교 엠블럼.svg 대구가톨릭대학교파일:대구대학교 UI.svg 대구대학교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파일:동아대학교 UI.svg 동아대학교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파일:부산외국어대학교 심볼.svg 부산외국어대학교파일:서강대학교 심볼.svg 서강대학교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파일:성결대학교 UI.svg 성결대학교파일:성신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성신여자대학교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세종대학교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파일:울산대학교 심볼마크.svg 울산대학교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이화여자대학교파일:인천대학교 엠블럼.svg 인천대학교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인하대학교파일:장로회신학대학교 UI.svg 장로회신학대학교파일:전남대학교 교표.svg 전남대학교파일:전북대학교 엠블럼.svg 전북대학교파일:제주대학교 엠블럼.svg 제주대학교파일:조선대학교 엠블럼.svg 조선대학교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파일:총신대학교 엠블럼.svg 총신대학교파일:충남대학교 엠블럼(Blue).svg 충남대학교파일:충북대학교 심볼.svg 충북대학교파일:한국침례신학대학교 UI.svg 한국침례신학대학교파일:한국교원대학교 심볼.svg 한국교원대학교파일:한국방송통신대학교 심볼.svg 한국방송통신대학교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외국어대학교파일:한국학중앙연구원 엠블럼.svg 한국학중앙연구원파일:한남대학교 UI.svg 한남대학교파일:한신대학교 UI.svg 한신대학교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 ||
{{{#!wiki style="margin: -8px;"<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링크3.0 로고.svg
Leader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LINC 3.0 / 일반대)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125FA5> 회원 대학(일반대)
유형
구분 대학명
기술혁신선도형
(13개교)
<colbgcolor=#d3d3d3,#383b40><colcolor=#191919,#fff>
수도권 (3개교)
<colcolor=#373a3c,#ddd> 고려대, 성균관대, 한양대(서울)
지방 (10개교)
수요맞춤성장형
(53개교)
수도권 (12개교)
충청권 (10개교)
호남제주권 (9개교)
대경강원권 (12개교)
동남권 (10개교)
협력기반구축형
(10개교)
수도권 (2개교)
숙명여대, 인천대
지방 (8개교)
''''
''
LINC 3.0 (2022~2027)
''
''
''
}}}}}}}}} ||

영호남 4개 대학교 총장협의회
{{{#!wiki style="margin:0px -10px -4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영남(대구·경북) 영남(부산) 호남(광주) 호남(전북)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파일:동아대학교 UI.svg 파일:조선대학교 엠블럼.svg 파일:원광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 동아대학교 조선대학교 원광대학교
}}}}}}}}} ||


[1] 서울말에 기초한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 의하면 Yeongnam으로 표기하는 것이 맞다. 'eu'는 'ㅡ(으)'이다. 다만 이 경우에는 동남 방언에서 '영남'이 발음되는 대로 로마자로 옮긴 것이다.[2] 경주 최부잣집[3] 영남대학교 가족주거학과 명예교수, 前 위덕대학교 총장.[4] 우동기, 이효수 전 총장에 이어 세 번째 자교 출신 총장이다. 국내파 석·박사 출신으로는 이효수에 이어 두 번째다.[5] 정문은 대동, 서문은 계양동, 동문은 압량읍 신대리, 후문은 삼풍동에 있다.[6] 같은 법인(재단)의 2, 3, 4년제 전문대학영남이공대학교영남대학교병원과 부지를 같이 사용하며 대구캠퍼스의 경우에는 의과대학이라 의대생만 있다. 경산캠퍼스 학생들은 갈 일이 거의 없다.[7] 휴학생 8,402명, 학사학위취득유예학생 18명 미포함[8] 약 82만 평.[9] 조령과 죽령의 남쪽.[10] 대구대와 청구대가 통합해서 오늘날의 영남대로 바뀌자, 기존 한사대(한국사회사업대학)가 버려진 대구대의 이름을 가져다 썼다.[11] 부친은 조선 말기의 유학자였던 일화(一和)‧만정() 최현달(·1867~1942)인데, 청렴결백한 인물로 유명하였다고 한다. 그 당시에는 군수 자리 하나 운좋게 얻어걸리면 삼대가 떵떵거리면서 부유하게 살 수 있다는 이야기가 있었는데, 최현달은 이와 반대로 칠곡군수와 청도군수를 하면서도 안빈낙도의 삶을 살았다고 한다. 얼마나 동네에서 베풀기로 유명했으면, 별명이 최칠곡, 최청도에다 대구판관으로 전임될 때 마을 주민들이 감사의 의미로 선정비와 공덕비만 각각 4개를 세운 것도 모자라, 생사당()까지 세우려고 했다고 한다. 다만, 생사당은 세우지 못하게 말렸다고 한다. 평생 노모를 모시고 살던 효자로도 유명했는데, 1905년에 서울에 노모가 있는 칠곡군수가 상경하자, 그와 자리를 맞바꾸고 11월에 칠곡군수로 발령을 받아 스스로 낙향한 것도 모자라서, 1907년에 일본에게 국권을 빼앗길 때 자결하려 했으나, 노모가 말려서 자결을 그만두었다고 한다. 그리고 말년에는 영양실조로 고생하다가 생을 마감했다.[12] 많은 사람들이 알지 못 하는데, 전국 최초의 야간대학이기도 하다. 왜 야간대학으로 설립했냐면, 최해청 본인이 중학교(당시 고등보통학교) 중퇴자이기 때문이다. 일제강점기 때 조선인 차별하려고 만든 동화교육정책은 조선의 고보를 인정하지 않았던 것도 있었고, 대구고보도 찢어지게 가난한 것도 모자라서 병마도 있었기에, 20살이던 해에 학업을 그만두었다고 한다.[13] 다만 최해청은 최준과는 달리 찢어지게 가난한 집안이었지만, 그래도 명색이 경주 최씨 집안 아니랄까봐 아버지 최현달의 뜻을 이어받아서 평생을 청렴결백하게 살았다고 한다.[14] 그래서 영남대학교는 당시 진보 성향 지식인층에서 왕립대학, 로열 유니버시티라는 조롱을 받기도 했다.[15] 임진왜란병자호란 때 활약한 장군이며, 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하며 공을 세웠고, 이후 정식으로 무과에 급제하여 벼슬을 하다가 호란 때 인조남한산성에 갇히자 주변의 만류에도 왕을 구하기 위해 북진하여 청군과 싸우다가 전사하였다. 그가 죽었다는 소식을 들은 인조는 죽음을 애석해 하며 제문을 지어주었고, 숙종 때에 사액 서우가 내려졌는데, 당시까지 무반의 사당에 왕이 현판을 내린 사례는 충무공 이순신김시민의 사례 하나밖에 없었다. 국가의 양난에 무공과 충정을 보였으나, 안타깝게도 현재 세간에 잘 알려지지 않아서 인지도는 별로인 위인이다.[16] 최진립의 손자인 최국선(1631 ~ 1682) 이후로 이 집안은 지역민•소작농에게 공정하고 베푸는 경영을 하고, 모든 식객에게 공평한 대접을 하는 등 명망이 높아 경주 최부자라는 명성과 함께 20세기까지도 부를 유지할 수 있었다.[17] 현재의 영남대 대구(대명)캠퍼스, 영남이공대학교가 있는 자리다.[18] 당시엔 등록금과 교수 월급을 다 설립자가 냈었다.[19] 3.15 부정선거 관련으로 구속된 적도 있으나 제9, 10대 국회의원에 부흥부 차관, 부흥부 장관, 보건사회부 장관,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 국무총리, 박정희대통령기념사업회 회장을 역임했다.[20] 지금도 영남대학교 졸업자들은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 많이 진학한다. 회계세무학과의 박종국 교수도 영남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영학을 전공하였다. 숙명여대 화학과 김수민 교수도 영남대 화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이학 박사를 취득했다.[21] 영남대를 비롯해 성균관대, 동국대 총장,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원장을 역임했다.[22] 당시 경상북도지사 번호판이 경북 가 1001호였고, 영남대 총장 번호판은 경북 나 1001호였다. 참고로 경북대학교 총장의 번호판은 (대구직할시 승격 후) 대구1 가 1111호였다.[23] 그저 막연한 주장은 아닌 것이, 1970~1980년대 졸업생들은 TK 일대에서 막강한 파워를 행사함은 물론이고 전국적으로도 지방 사립대학으론 유례없는 전성기를 누렸다. 그래서 현재도 대기업이나 고위 공직자 중에서 영남대학교 출신을 발견하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24] 지금까지도 12학번 이전의 영남대 출신들은 이효수 총장과 전임자인 우동기 총장을 영남대를 살린 분으로 칭송한다. 우동기 또한 영남대 총장을 했을 때 '일 잘 한다.'는 호평을 들은 사람이었다. 총장 퇴임 후 8년간 대구광역시교육감을 지냈으며, 2021년에는 대구가톨릭대학교 총장이 되었다. 이토록 우동기와 이효수는 지금까지도 영남대에서는 존경과 추앙의 아이콘으로 인식되어 있다.[25] 지금도 마로니에는에서 당시 서울대 문리대의 분위기를 엿볼 수 있다.[26] 더불어민주당 소속이었다가 탈당한 인사까지 포함하면 전혜숙 전 의원, 한나라당 소속이었다가 민주당계 정당을 거쳐 현재 소나무당 소속인 임대윤 전 대구 동구청장 등도 있기는 하다.[27] 영남대학교의 이니셜인 Y와 더불어 Yield의 의미도 담고 있다.[28] D. McMgregor의 XY이론에 따르면 Y형 인간은 지시를 받기보다는 자기 의지대로 움직이기를 선호하며 능력 발휘와 자아 실현을 중요시하는 능동적 인간이라고 한다.[29] 그러나 현재 대학 캠퍼스 내에서는 서길수 총장의 취임 이후로 "밝고 강한 대학"이라는 표현이 많이 보이며, 학교 홈페이지에서는 "미래를 여는 밝고 강한 지역거점대학" 이라는 슬로건을 활용하고 있다. 2021년 1월 29일 최외출 총장이 취임하고 나서는 여러 슬로건이 혼용되고 있다.[30] 2021년 서버를 닫았다. (폐쇄)[31] 규모가 상당히 큰 편이다.[32] 메인 커뮤니티[33] 중도지에스라고 불린다.[34] 학기 중에만 운영된다. 이마저도 2020년 한 해 동안 코로나19 여파로 영업을 하지 않다가 2021년 3월 부분적으로 대면 수업이 재개되면서 다시 영업한 것이다. 원래 세븐일레븐이었으나 2023년 경 변경되었다.[35] KFC는 철수하고 엔제리너스 커피가 들어왔다가 다시 들어왔다.[36] 한국에서 교내에 스타벅스 매장이 두 곳 이상 입점된 곳은 영남대가 유일하다.[37] 사실 계대동문은 예전부터 막창골목으로 유명한 곳이라 굳이 재학생이 아니더라도 대구시민이 자주 애용했던 곳이다.[38] 대구한의대, 대경대 등 하양 지역에 위치하지 않은 대학을 다니는 학생들 중 자취생은 대부분 이 일대에 거주한다.[39] 1970년대에 지어진 흰색 건물. 현재는 폐건물이다.[40] 바로 옆에 세븐일레븐 편의점이 있다.[41] 후츄 혹은 심바라고 불린다. 이 친구를 부르면 애옹 소리와 함께 등장해서 엉덩이를 들이민다.[42] 사람들이 항몽이를 쓰다듬고 있으면 후츄(심바)가 와서 매서운 눈빛으로 응시한다.[43] 한 마리는 흰색, 한 마리는 회색이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공동경비구역 JSA|공동경비구역 JSA]]}}}{{{#!if external != "o"
[[공동경비구역 JSA]]}}}}}}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공동경비구역 JSA?uuid=75b36d9f-5714-45eb-bb30-fc67f8b2e63e|r666]]}}}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공동경비구역 JSA?uuid=75b36d9f-5714-45eb-bb30-fc67f8b2e63e#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공동경비구역 JSA?from=666|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공동경비구역 JSA|공동경비구역 JSA]]}}}{{{#!if external != "o"
[[공동경비구역 JSA]]}}}}}}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공동경비구역 JSA?uuid=75b36d9f-5714-45eb-bb30-fc67f8b2e63e|r666]]}}}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공동경비구역 JSA?uuid=75b36d9f-5714-45eb-bb30-fc67f8b2e63e#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공동경비구역 JSA?from=666|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