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0 13:01:47

경상북도지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서울 부산 대구 인천
오세훈 박형준 홍준표 유정복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강기정 이장우 김두겸 최민호
경기 강원 충북 충남
김동연 김진태 김영환 김태흠
전북 전남 경북 경남
김관영 김영록 이철우 박완수
제주
오영훈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임기: 2022년 7월 1일 ~ 2026년 6월 30일(예정)
1960-1961 · 민선 1기 · 민선 2기 · 민선 3기 · 민선 4기 · 민선 5기 · 민선 6기 · 민선 7기 }}}}}}}}}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지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정현모
제2대
조재천
제3대
신현돈
제4대
이근직
제5대
송관수
제6대
오림근
제7대
조준영
제8대
이호근
제9대
박경원
제10대
김인
제11대
양택식
제12대
김덕엽
제13대
구자춘
제14대
김수학
제15대
김무연
제16대
김성배
제17대
정채진
제18대
이상희
제19대
이상배
제20대
김상조
제21대
김우현
제22대
이판석
제23대
이의근
제24대
우명규
제25대
심우영
제26-28대
이의근
제29-31대
김관용
제32·33대
이철우
파일:경상북도 민선8기 슬로건.svg
일제강점기 및 미군정 경상북도지사 }}}}}}}}}

<colcolor=#fff>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지사
慶尙北道知事
Governor of Gyeongsangbuk Province
파일:이철우2022.png
현직 <colbgcolor=#fff,#191919>이철우 / 제32·33대 (민선 7·8기)
취임일 2018년 7월 1일
정당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관사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경상북도지사 관사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목록
2.1. 일제강점기2.2. 미군정2.3. 대한민국
2.3.1. 관선 1기2.3.2. 민선 1기2.3.3. 관선 2기2.3.4. 민선 2기
3. 역대 선거 결과4. 역대 정당별 전적5. 역대 후보별 순위6. 생존 중인 전직 민선 경상북도지사7. 도정 구호8. 기타
8.1. 경상북도지사 선거 100% 적중 지역
9.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경상북도지사경상북도를 대표하고, 그 사무를 총괄하는 광역자치단체장이다.

1910년까지는 관찰사(觀察使)라고 했다. 1910년 8월 1일에 부임한 대한제국의 마지막 경상북도 관찰사는 알려져있지 않으며, 기록상 확인되는 마지막 관찰사는 1908년 6월부터 1910년 7월까지 재임한 박중양(朴重陽)이다.

이른바 보수의 텃밭 중 상텃밭으로, 광역자치단체장 중 유이하게[1] 내리 3선이 2차례나 성공했다. 그래서인지 다른 지역들에서 전임 단체장을 비판하고 정책을 뒤엎는 것이 선거 마케팅의 일환인 반면 경상북도의 경우 서로 전임 경상북도지사와의 인연을 강조하며 도정을 이어가겠다는 것이 중점이다.

지역적 격차가 있어서 그런지는 몰라도 아직까지 동부, 북부 출신 도지사는 없는 상황.[2][3] 다만 관선직으로 임명되었던 옛날에는 안동시, 예천군, 상주시 출신의 인물들이 도지사로 임명되기도 하였다.

역대 민선 경상북도지사 3명이 모두 중앙정계에서 약간 비껴난 직업공무원[4] 출신이다. 정확히는 대권이나 중앙정계에 도전하는 임팩트 있고 위상 높은 네임드 정치인이 없다고도 해석할 수 있는데, 경상북도지사보다 규모가 작은 강원특별자치도지사는 지상파 언론사 사장 최문순이나 중앙정계에서 네임드급 국회의원으로 활약한 이광재, 김진태가 거쳐갔고, 바로 아랫동네의 경상남도지사는 직업공무원 출신인 박완수 현임 지사 외에 역대 민선 지사들이 모두 대권 주자 하마평에 올랐으며, 전라남도지사, 충청남도지사, 심지어 제주특별자치도지사도 각각 이낙연, 안희정, 원희룡 등 수많은 대권주자들이 거쳐갔지만, 경상북도지사는 임기 이후 국무총리 등 내각의 주요 인사로 발탁되거나 대권을 노리는 네임드급 인물은 아직도 나오지 않았다.[5][6] 다만 3선 단체장이 많았고 대구광역시·경상북도의 선출직과 고위공무원들이 그들의 손을 거쳐가는 경우가 많았던 만큼 TK 정치권에서는 그나마 대부와 같은 위상을 가지고 있다.[7] 이후 김관용 전 지사가 윤석열 정부에서 민주평통 수석부의장에 임명되며 명예직이지만 경상북도지사 중 임기 이후 처음으로 부총리급 위상의 직위에 임명되었다.

유독 3선 연임 단체장이 많은 편인데, 민선 1-3기 경상북도지사를 지낸 이의근, 민선 4-6기 경상북도지사를 지낸 김관용이 3선 임기를 모두 채우며 각각 경상북도지사직을 최대한으로 역임 가능한 11년[8]과 12년 3선 임기를 모두 채웠으며, 민선 7·8기 경상북도지사를 역임 중인 이철우 지사도 만일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당선된다면 전임자들처럼 12년 3선 임기를 모두 채우게 되며, 나아가 경상북도지사는 전국 광역자치단체장 중 모든 도지사가 3선에 성공하고 3명 연속 3선에 성공한 유일한 광역자치단체장이 되는 기록을 세우게 된다.

여담이지만, 자녀 관계를 보면 역대 민선 도지사들 전원이 딸이 없고 아들만 있다.[9]

2. 목록

2.1. 일제강점기

<rowcolor=white> 대수 이름 임기 비고
<rowcolor=white> 관선 (임명직)
장관 이진호 (李軫鎬) 1910년 10월 1일 ~ 1916년 3월 28일 [10]
초대 스즈키 다카시 (鈴木隆) 1916년 3월 28일 ~ 1919년 9월 26일 [11]
2대 후지카와 도시사부로 (藤川利三郎) 1919년 9월 26일 ~ 1923년 2월 24일
3대 사와다 호조 (沢田豊丈) 1923년 2월 24일 ~ 1926년 5월 12일
4대 스토 모토이 (須藤基)[12] 1926년 5월 12일 ~ 1929년 1월 21일
5대 이마무라 마사미 (今村正美) 1929년 1월 21일 ~ 1929년 12월 11일
6대 하야시 시게키 (林茂樹) 1929년 12월 11일 ~ 1931년 9월 23일
7대 김서규 (金瑞圭) 1931년 9월 23일 ~ 1935년 4월 1일
8대 오카자키 데쓰로 (岡崎哲郎) 1935년 4월 1일 ~ 1936년 5월 21일
9대 다테 시오 (伊達四雄) 1936년 5월 21일 ~ 1936년 9월 5일
10대 가미타키 모토이 (上滝基)[13] 1936년 9월 5일 ~ 1941년 1월 24일
11대 다카하시 사토시 (高橋敏) 1941년 1월 24일 ~ 1941년 11월 19일
12대 다카오 진조 (高尾甚造) 1941년 11월 19일 ~ 1943년 9월 30일
13대 엄창섭 (嚴昌燮)[14] 1943년 9월 30일 ~ 1944년 8월 17일
14대 이창근 (李昌根) 1944년 8월 17일 ~ 1945년 6월 16일
15대 김대우 (金大羽) 1945년 6월 16일 ~ 1945년 8월 15일
경상북도지사라는 직함은 1919년 8월에 기존의 경상북도장관을 경상북도지사로 개칭한 것이 최초이다. 아래 표에는 편의상 경상북도장관을 포함했다.

2.2. 미군정

<rowcolor=white> 대수 이름 임기 비고
서리 김대우 (金大羽) 1945년 8월 15일 ~ 1945년 10월 19일 [15]
<rowcolor=white> 군정지사 (~ 47. 3.)
초대 크로낼 E. A. 헨 1945년 10월 19일 ~ 1945년 12월 1일 [16]
2대 레이몬드 자노우스키 1945년 12월 1일 ~ 1946년 2월 20일 [17]
대리 로버트 J. 존스 1946년 2월 20일 ~ 1946년 3월 5일 [18]
3대 조지 J. 헐카 1946년 3월 5일 ~ 1946년 3월 12일 [19]
4대 새뮤얼 S. 닐 1946년 3월 12일 ~1946년 5월 28일 [20]
5대 해리 P. 비숍 1946년 5월 28일 ~ 1946년 7월 17일 [21]
6대 J. F. 헤른 1946년 7월 17일 ~ 1946년 10월 9일 [22]
7대 아데어 1946년 10월 9일 ~ 1947년 3월 17일[민정이양] [24]
<rowcolor=white> 민정지사 (~ 47. 3.)
초대 김의균 (金宜均) 1945년 12월 21일 ~ 1946년 12월 3일[25] [26]
2대 최희송 (崔熙松) 1946년 12월 7일 ~ 1947년 3월 17일[민정이양] [28]
<rowcolor=white> 미군정 조선 경상북도지사 (47. 3. ~ 48. 8.)
2대 최희송 (崔熙松) 1947년 3월 17일 ~ 1948년 5월 25일[29]
3대 장인환 (張仁煥) 1948년 5월 26일 ~ 1948년 8월 14일 [30]

2.3. 대한민국

2.3.1. 관선 1기

<rowcolor=white> 대수 이름 임기 당적[31] 비고
<rowcolor=white> 관선 (임명직)
서리 장인환 (張仁煥) 1948년 8월 15일 ~ 1948년 10월 17일[32] 군정 하 도지사
초대 정현모 (鄭顯模) 1948년 10월 18일 ~ 1950년 1월 23일 이승만 정부
2대 조재천 (曺在千) 1950년 1월 24일 ~ 1951년 6월 28일
3대 신현돈 (申鉉惇) 1951년 6월 29일 ~ 1955년 2월 24일
4대 이근직 (李根直) 1955년 2월 25일 ~ 1957년 9월 26일
5대 송관수 (宋寬洙) 1957년 9월 27일 ~ 1959년 5월 12일
6대 오림근 (吳琳根) 1959년 5월 13일 ~ 1960년 4월 30일
7대 조준영 (趙俊泳) 1960년 5월 2일 ~ 1960년 10월 6일 허정 내각

2.3.2. 민선 1기

<rowcolor=white> 대수 이름 임기 당적[33] 비고
<rowcolor=white> 민선 (선출직)
8대 이호근 (李浩根) 1960년 10월 7일 ~ 1961년 5월 23일

파일:민주당 1955년 글자.png

2.3.3. 관선 2기

<rowcolor=white> 대수 이름 임기 당적[34] 비고
<rowcolor=white> 관선 (임명직)
9대 박경원 (朴敬遠) 1961년 5월 24일 ~ 1963년 12월 18일 국가재건최고회의
10대 김인 (金仁) 1963년 12월 19일 ~ 1967년 10월 9일 박정희 정부
11대 양택식 (梁鐸植) 1967년 10월 10일 ~ 1970년 4월 15일
12대 김덕엽 (金德燁) 1970년 4월 16일 ~ 1971년 6월 11일
13대 구자춘 (具滋春) 1971년 6월 12일 ~ 1974년 9월 1일
14대 김수학 (金壽鶴) 1974년 9월 2일 ~ 1978년 12월 25일
15대 김무연 (金武然) 1978년 12월 26일 ~ 1981년 4월 7일
16대 김성배 (金聖培) 1981년 4월 8일 ~ 1982년 4월 28일 전두환 정부
17대 정채진 (鄭埰鎭) 1982년 4월 29일 ~ 1985년 2월 20일
18대 이상희 (李相熙) 1985년 2월 21일 ~ 1986년 1월 8일
19대 이상배 (李相培) 1986년 1월 9일 ~ 1988년 5월 19일
20대 김상조 (金相祚) 1988년 5월 20일 ~ 1990년 2월 20일 노태우 정부
21대 김우현 (金又鉉) 1990년 2월 21일 ~ 1992년 1월 8일
22대 이판석 (李判石) 1992년 1월 9일 ~ 1993년 3월 3일
23대 이의근 (李義根) 1993년 3월 4일 ~ 1993년 12월 22일 김영삼 정부
24대 우명규 (禹命奎) 1993년 12월 28일 ~ 1994년 10월 21일
25대 심우영 (沈宇永) 1994년 10월 22일 ~ 1995년 6월 30일

2.3.4. 민선 2기

<rowcolor=white> 대수 이름 임기 당적[35] 출신지 비고
<rowcolor=white> 민선 (선출직)
26대 이의근 (李義根)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경북 청도 [36]
27대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28대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29대 김관용 (金寬容)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경북 구미
30대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37]
31대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38]
32대 이철우 (李喆雨)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경북 김천 [39]
33대 2022년 7월 1일 ~ 현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3. 역대 선거 결과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역대 민선 경상북도지사
1960 1995 1998 2002 2006
민주당
민주자유당
한나라당
한나라당
이호근 이의근 김관용
2010 2014 2018 2022
한나라당
새누리당
자유한국당
국민의힘
김관용 이철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주요 후보 득표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구분 주요 후보 득표율
1960년 1위:

파일:민주당 1955년 글자.png
이호근 32.70%

2위:

[[신민당(1960년)|
파일:신민당1960글자.png
]] 엄보익 19.40%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김동진 14.60%
1995년 1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이의근 37.94%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이판석 34.33%
3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박준홍 27.71%
1998년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이의근 71.96%

2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이판석 28.03%
2002년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이의근 85.49%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조영건 14.50%
2006년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관용 76.80%

2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박명재 23.19%
2010년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관용 75.36%

2위: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홍의락 11.82%
2014년 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김관용 77.73%

2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오중기 14.93%
2018년 1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이철우 52.11%

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오중기 34.32%
3위:

[[바른미래당|
파일:바른미래당 흰색 로고타입.svg
]] 권오을 10.19%
2022년 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철우 77.95%

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임미애 22.04%
}}}}}}}}}

3.1. 1960년 지방선거

파일:옛 경상북도 도기.svg 경상북도지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정식(金正植) 25,003 7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4.00% 낙선
2 백남식(安鶴淳) 27,622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4.50% 낙선
3 김동진(金東鎭) 90,419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4.60% 낙선
4 남병상(南炳祥) 25,357 6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4.10% 낙선
5 김태주(金兌柱) 15,103 9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40% 낙선
6 임근호(任謹鎬) 13,167 10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10% 낙선
7 박황(朴黃) 11,265 1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80% 낙선
8 안태석(安泰錫) 39,390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6.30% 낙선
9 유시영(柳時泳) 21,412 8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50% 낙선
10 이호근(李浩根) 202,336 1위


파일:민주당 1955년 글자.png
32.70% 당선
11 박해준(朴海俊) 10,741 1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70% 낙선
12 김봉만(金鳳萬) 7,368 1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10% 낙선
13 이규행(李圭行) 9,727 13위

파일:사회대중당글자.png
1.60% 낙선
14 엄보익(嚴輔翼) 120,235 2위


[[신민당(1960년)|
파일:신민당1960글자.png
]]
19.40% 낙선
선거인 수 1,789,178 투표율
34.99%
투표 수 626,212
무효표 수 -

3.2.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옛 경상북도 도기.svg 경상북도지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의근(李義根) 541,535 1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37.94% 당선
2 박준홍(朴俊弘) 395,496 3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27.71% 낙선
3 이판석(李判石) 489,999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4.33% 낙선
선거인 수 1,926,274 투표율
76.75%
투표 수 1,478,373
무효표 수 51,343
||<-6><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3990><bgcolor=#003990>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상북도지사 시군구별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민주자유당 자유민주연합 무소속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이의근 박준홍 이판석
득표수
(득표율)
541,535
(37.94%)
395,496
(27.71%)
489,999
(34.33%)
+51,536
(△3.61)
76.75%
포항시 북구 39.80% 25.66% 34.53% △5.27 73.57%
포항시 남구 37.09% 27.57% 35.32% △1.77 72.76%
경주시 38.41% 28.06% 33.51% △4.90 74.59%
김천시 35.31% 37.11% 27.56% ▼1.80 77.75%
안동시 37.84% 15.77% 46.38% ▼8.54 78.06%
구미시 26.50% 45.13% 28.37% △16.76 71.25%
영주시 33.55% 14.41% 52.02% ▼18.47 79.36%
영천시 39.41% 22.65% 37.92% △1.49 77.16%
상주시 38.72% 31.75% 29.51% △6.97 80.72%
문경시 35.77% 33.98% 30.24% △1.79 79.55%
고령군 30.59% 39.91% 29.49% ▼9.32 80.00%
군위군 40.61% 26.17% 33.21% △7.40 83.66%
의성군 41.18% 25.15% 33.66% △7.52 81.40%
영덕군 46.85% 25.15% 27.99% △18.86 81.30%
청송군 41.41% 21.75% 36.83% △4.58 85.81%
봉화군 40.86% 18.46% 40.66% △0.20 79.56%
영양군 35.83% 24.11% 40.04% ▼4.21 82.66%
울릉군 53.96% 13.38% 32.64% △21.32 87.79%
경산시 36.06% 28.42% 35.50% △0.56 72.21%
청도군 71.10% 15.19% 13.69% △55.91 81.25%
칠곡군 30.97% 36.32% 32.69% ▼3.63 76.00%
성주군 38.82% 32.73% 28.44% △6.09 82.72%
예천군 41.11% 21.18% 37.69% △3.42 80.31%
울진군 49.20% 19.23% 31.56% △17.64 79.02%
처음으로 치러진 지방선거에서 처음부터 접전이 나왔고, 이 선거가 현재까지 치러진 경상북도지사 선거 중 유일한 접전이다. 이유는 그 당시 TK 지역에서는 민주자유당에 대한 반감이 있었기 때문이다.

3.3.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지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의근(李義根) 911,728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71.96% 당선
3 이판석(李判石) 355,149 2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28.03% 낙선
선거인 수 1,999,195 투표율
64.88%
투표 수 1,297,091
무효표 수 30,214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이의근2지.jpg
파일:이판석 2지.jpg
}}}}}}}}}

3.4.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지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의근(李義根) 1,028,080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85.49% 당선
3 조영건(曺泳健) 174,472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4.50% 낙선
선거인 수 2,044,215 투표율
60.37%
투표 수 1,234,095
무효표 수 31,543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이의근3지.jpg
파일:조영건 3지.jpg
}}}}}}}}}
이의근 전 지사가 얻은 득표율은 역대 경상북도지사 최다 득표율(85.49%)을 기록하고 있다.

3.5.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지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박명재(朴明在) 290,358 2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23.20% 낙선
2 김관용(金寬容) 961,363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76.80% 당선
선거인 수 2,087,709 투표율
61.51%
투표 수 1,284,342
무효표 수 32,621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박명재 4지.jpg
파일:rlarhksdyd4.jpg
}}}}}}}}}

3.6.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지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관용(金寬容) 913,812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75.36% 당선
2 홍의락(洪宜洛) 143,347 2위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11.82% 낙선
5 윤병태(尹炳兌) 68,015 4위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5.60% 낙선
7 유성찬(劉聖贊) 87,346 3위


[[국민참여당|
파일:국민참여당 로고타입.svg
]]
7.20% 낙선
선거인 수 2,122,905 투표율
59.38%
투표 수 1,260,591
무효표 수 48,071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경상북도지사 출구조사 결과
<colbgcolor=#eee,#353535> 후보 김관용 홍의락 격차
전체 78.0% 13.0% 65.0%p

3.7.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지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관용(金寬容) 986,989 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77.73% 당선
2 오중기(吳仲基) 189,603 2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14.93% 낙선
3 윤병태(尹炳兌) 33,458 4위


[[통합진보당|
파일:통합진보당 흰색 로고타입.svg
]]
2.63% 낙선
4 박창호(朴唱鎬) 59,609 3위

[[정의당|
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
4.69% 낙선
선거인 수 2,211,734 투표율
59.45%
투표 수 1,314,925
무효표 수 45,266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경상북도지사 출구조사 결과
<colbgcolor=#eee,#353535> 후보 김관용 오중기 격차
전체 77.1% 17.0% 60.1%p
김관용 전 지사가 압도적인 표차로 당선되었다. 김관용 후보 자체가 너무 넘사벽급의 지지율을 보이고 있던 터라 17개 시도 광역자치단체장 선거에서 가장 주목도가 떨어진 건 사실이다.

3.8.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지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오중기(吳仲基) 482,564 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34.32% 낙선
2 이철우(李喆雨) 732,785 1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52.11% 당선
3 권오을(權五乙) 143,409 3위


[[바른미래당|
파일:바른미래당 흰색 로고타입.svg
]]
10.19% 낙선
5 박창호(朴唱鎬) 47,250 4위

[[정의당|
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
3.38% 낙선
선거인 수 2,251,538 투표율
64.73%
투표 수 1,457,539
무효표 수 51,531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경상북도지사 출구조사 결과
<colbgcolor=#eee,#353535> 후보 오중기 이철우 격차
전체 34.8% 54.9% 20.1%p
이철우 후보가 52.11%를 얻으며 당선되긴 했지만, 이는 사실 인물로써 얻어낸 표가 아닌 전임자인 김관용 전 지사가 만들어 놓은 터전이기 때문에 가능했다는 평가가 중론을 이루며 포항시 남구와 북구, 구미시, 칠곡군 등에서는 과반 득표에도 실패했다. 그런데 득표율 최저치를 기록한 지역은 따로 있었으니, 바로 안동시. 이곳이 고향이자 권 씨 성을 가진 바른미래당 권오을 후보에게 상당수 표가 가면서 43.83% 득표에 그쳤다.

반대로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출마한 경상북도당 위원장인 오중기 후보가 무려 34.32%를 얻으며 예상 밖으로 선전했다. 특히 사상 첫 민주당계 정당 소속 기초자치단체장이 선출되기도 한 구미시에서는 불과 2.03%차로 석패했고 자신의 지역 기반인 포항시에서도 42.22%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크게 선전했다. 그 밖에도 0.39%라는 차이로 40% 달성에 실패한 칠곡군과 35.91%의 득표율을 올린 경산시에서의 선전도 주목 받았다. 이로 인하여 보수의 마지막 근거지인 경상북도에도 변화가 생긴 게 아니냐는 언론의 추측이 있었다.

3.9.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지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임미애(林美愛) 255,775 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2.04% 낙선
2 이철우(李喆雨) 904,675 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77.95% 당선
선거인 수 2,268,707 투표율
52.66%
투표 수 1,194,595
무효표 수 34,145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임미애 4.jpg
파일:8회 지선 이철우 벽보.jpg
}}}}}}}}}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경상북도지사 출구조사 결과
<colbgcolor=#eee,#353535> 후보 임미애 이철우 격차
전체 21.0% 79.0% 58.0%p
현직 경상북도지사인 이철우 후보가 77.95%란 매우 압도적인 득표율을 거두며 싱겁게 재선에 성공하였다. 하지만 임미애 후보도 광역자치단체장으로서는 빈약한 이력에도 불구하고 22.04%의 득표율을 올리 나름 선전하였으며, 공공기관이 밀집된 경북도청이전신도시가 들어서 젊은층과 외지인이 많은 예천군 호명면에서는 이철우 후보를 제치고, 과반 득표를 하며 경상북도의 읍면동 전체를 통들어 그나마 유일하게 1위를 기록했다. 물론 낙선이라는 결과는 같지만 대구광역시장으로 출마한 서재헌 후보는 선거비 전액보전(15%)을 겨우 넘은 불과 17%를 얻어 아예 대구광역시 8개구군 전 행정동에서도 완패했다고 보면 다소 대비되는 부분이다.[40][41]

3.10.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지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0

파일:zsdkl3gasdg.svg
00.00%
2 0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00.00%
선거인 수 투표율
00.00%
투표 수
무효표 수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경상북도지사 출구조사 결과
<colbgcolor=#eeeeee,#353535> 후보 ○○○ ○○○ 격차
전체 00.00% 00.00% 00.00%p

4. 역대 정당별 전적

민주당계 정당 보수 정당 제3후보[42]
1회 - 이의근 이판석[43]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무소속(정치)|
무소속
]]
당선 37.94% 낙선 34.33%
2회 이판석[44] 이의근 -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낙선 28.03% 당선 71.96%
3회 - 이의근 조영건[45]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무소속(정치)|
무소속
]]
당선 85.49% 낙선 14.50%
4회 박명재 김관용 -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낙선 23.20% 당선 76.80%
5회 홍의락 김관용 유성찬[46]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국민참여당|
파일:국민참여당 로고타입.svg
]]
낙선 11.82% 당선 75.36% 낙선 7.20%
6회 오중기 김관용 박창호[47]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정의당|
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
낙선 14.93% 당선 77.73% 낙선 4.69%
7회 오중기 이철우 권오을[48]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바른미래당|
파일:바른미래당 흰색 로고타입.svg
]]
낙선 34.32% 당선 52.11% 낙선 10.19%
8회 임미애 이철우 -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낙선 22.04% 당선 77.95%
9회 ○○○ ○○○ -

파일:zsdkl3gasdg.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 -

5. 역대 후보별 순위

  • 사퇴, 사망, 등록 무효 후보 제외.
<rowcolor=#000,#fff> 1위 2위 3위 4위
1회 이의근 이판석 박준홍
2회 이의근 이판석
3회 이의근 조영건
4회 김관용 박명재
5회 김관용 홍의락 유성찬 윤병태
6회 김관용 오중기 박창호 윤병태
7회 이철우 오중기 권오을 박창호
8회 이철우 임미애

6. 생존 중인 전직 민선 경상북도지사

  • 경상북도지사의 경우 모두 3선을 꽉 채워서 재임하여 전직 민선 경상북도지사는 이의근, 김관용 2명 밖에 없다.
  • 2024년 기준 생존 중인 전직 민선 경상북도지사는 김관용 전 지사 1명이다.(2006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재임, 민선 4-6기, 1942년 11월 29일 출생, [age(1942-11-29)]세)

7. 도정 구호

도지사 도정 구호
이근직 <colcolor=#000,#fff> 민주도정의 정착
김인 약진 경북
양택식 도와주자, 앞서가자, 책임지자-부강경북
김덕엽 번영하는 푸른 경북
구자춘 힘찬 전진 알찬 경북
김수학 유신으로 총화전진! 새마을로 소득증대!
500만도민의 총화 새마을로 증산!
김무연 총화전진 영광 경북
김성배 새경북 영광의 전진
이상배 선진조국 앞장 서자
김상조 자랑스러운 경북을 만들자
김우현 새 경북 힘찬 전진
이판석 빛내자 우리 경북
이의근 위대한 경북 함께 뛰는 300만
김관용 세계를 여는 경북, 일자리가 있는 경북
민생속으로! 세계속으로!
사람중심! 경북세상
이철우 새바람 행복경북
경북의 힘으로! 새로운 대한민국

8. 기타

8.1. 경상북도지사 선거 100% 적중 지역

경상북도지사의 경우 지방자치제 부활 이후 지금까지 총 8번의 선거가 있었는데, 이 중 경상북도지사 선거 적중 지역은 다음과 같다.
  • 포항시
  • 경주시
  • 영천시
  • 상주시
  • 문경시
  • 의성군
  • 영덕군
  • 청송군
  • 봉화군
  • 울릉군
  • 경산시
  • 청도군
  • 성주군
  • 예천군
  • 울진군
일단은 원사이드한 선거가 펼쳐지는 지역이긴 한데,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때 3자 구도로 나름 접전이 펼쳐진 결과 이 때 적중 지역에서 빗나간 곳이 꽤 발생하였다.

9. 관련 문서


[1] 다른 한 곳은 경북 위에 위치한 강원특별자치도.[2] 이의근 - 청도군, 김관용 - 구미시, 이철우 - 김천시. 세 곳 모두 경부선 철도로 연결되어 있다.[3] 다만 동부 지역의 인구 비중이 가장 크다. 보통 동부권으로 분류되는 포항시 50만명, 경주시 25만명, 영천시 10만명, 영덕군 3만명, 울릉군 9천명으로 경상북도 전체 인구 260만 중 90만명 정도를 차지한다.[4] 그나마 이철우 지사가 3선 의원을 지내고 당 내 요직인 자유한국당 사무총장과 수석최고위원을 역임하였으나 7회 지선 경상북도지사 출마로 직을 길게 역임하지는 못했다.[5] 그도 그럴 것이 도지사 당선 이전 이미 여러 공직들을 거치다 보니 어느덧 환갑에 들어선 데다가 초재선 단계에서 자주 갈리는 다른 광역단체들과 달리 모두 3선까지 하다 보니 도지사 임기 이후에는 칠순이 넘는 고령으로써 정계에서 은퇴할 나이가 되기에 그대로 정계를 떠나는 경우가 다반사다. 그러니 도지사 임기 이후 명예직 외에 실권을 가진 다른 직위로 발탁된 경우가 없었다고 볼 수 있다.[6] 제19대 대통령 선거 당시 자유한국당 경선에 당시 현직 경상북도지사였던 김관용이 참여(4회 지선을 시발점으로 해서 내리 3선을 했기에 7회 지선은 자동으로 불출마가 확정된 상태였다.)하긴 했지만 당시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정국으로 상당히 시끄럽던 때라 더불어민주당 경선에만 관심이 쏠리던 시기였고, 김관용 본인도 그저 문재인을 막기 위해서라는 대답을 하며 딱히 큰 의욕을 내비치지 않았다. 대신 홍준표김진태의 날선 언쟁을 중재하는 역할을 맡아 경선이 과열되지 않도록 도와주었다.[7] 대구광역시장은 지금까지 3선 연임이 단 한 번도 안 나왔기 때문이다. 권영진 전 시장이 민선 6·7기 재선을 하고 이철우 지사가 7기 초선이라 권영진 전 시장의 선수가 더 높았던 민선 7기 시절에도 권영진 전 시장은 기껏해봐야 초선 의원 출신에 그조차도 서울특별시 노원구에서 지내다가 뜬금없이 대구광역시에 내려온 케이스라 TK 내 입지가 좁았지만, 이철우는 어엿한 당 중역에 김천시 3선 국회의원을 지냈어서 이철우 지사의 입지가 더 높았다. 그러나 민선 8기에서는 이게 역전되어 TK의 대부 역할을 이철우 지사가 아니라 홍준표가 새로히 대구광역시장이 되어서 맡고 있다. 알다시피 홍준표 시장의 정치적 위상이 주요 대권주자급으로 높기 때문.[8] 민선 1기 단체장직은 임기가 3년이라 민선 1-3기에 단체장을 지냈다면 11년이 직을 역임할 수 있는 임기의 한계이다.[9] 이의근과 김관용은 아들만 둘이고, 이철우는 아들만 하나다.[10] 경상북도장관.[11] 2대 장관. 1919년 8월부터 도지사.[12] 모토이 또는 하지메.[13] 上滝은 가미타키, 가미다키 또는 죠타키. 基는 모토이 또는 하지메. 독음 불확실.[14] 창씨명 다케나가 가즈키(武永憲樹)로 활동. 1890년 평안남도 대동군 출신. 공교롭게도 같은 이름의 1891년생 충청남도 부여군 출신 독립운동가 엄창섭이 있다. 둘 다 한국전쟁의 혼란기 탓에 언제 세상을 떴는지 알 수 없다.[15] 미 군정에 의해 해임.[16] 慶北知事헨大佐就任[17] 「래-몬드쩌나쓰키」氏, 慶北軍政知事로 就任, 「핸」前知事는 某要職에[18] 道知事更迭後任로 中佐[19] 慶北道知事에 헐카中佐正式就任[20] 美人知事更迭, 後任에 닐中佐[21] 닐知事歸國, 後任, 베中佐[22] 비솦慶北知事轉任, 後任에 「헤른」騎兵大佐[민정이양] 美人知事는 民政官으로, 道行政權移讓式, 昨日道廳서 嚴肅히 擧行[24] 軍政知事更迭, 아·태어大佐新任[25] 金宜均知事辭表提出[26] 在朝鮮美國陸軍司令部 軍政廳任命辭令 第七十一號, 知事代理에 金宜均氏, 知事副代理에는 李慶熙氏[민정이양] [28] 慶北道知事에 崔熙松氏就任, 六日美人知事가 聲明發表[29] 夏穀 수집 철회를 주장, 경북 崔熙松 지사 사임[30] 夏穀 수집 철회를 주장, 경북 崔熙松 지사 사임[31] 선거 당시 당적.[32] 四道知事更迭, 慶北에는 鄭顯模氏[33] 선거 당시 당적.[34] 선거 당시 당적.[35] 선거 당시 당적.[36] 1995.12.6. 으로 당명 변경.
1997.11.21.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으로 신설 합당.
[37] 2012.2.13.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으로 당명 변경.
[38] 2017.2.13.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으로 당명 변경.
[39] 2020.2.17. 으로 신설 합당.
2020.9.2.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으로 당명 변경.
[40] 이건 서재헌 후보가 못해서 진 게 아니라 상대인 대권 유력 주자 중 한 명인 홍준표라는 사람의 이름값이 17개 광역자치단체장 후보들 중 독보적으로 높다는 특수성 때문에 생긴 일이긴 하다. 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 34명의 후보들 중 최다선(5선 의원 + 재선 경상남도지사)에 김영록과 유이하게 무소속 당선 이력이 있을 정도의 이름값이라 서재헌 후보로서는 어쩔 수 없는 일.[41] 오히려 그래서 송영길이 제일 굴욕적인 결과를 만든거나 마찬가지인데, 아무리 송영길이 인천광역시를 근거지로 삼은 사람이라지만, 5선 의원에다 인천광역시장까지 지낸 엄연히 준 대권 주자인 후보인데 오세훈 후보에게 19.82% 격차, 그것도 전 자치구에서 패배를 했기 때문이다.[42] 3% 이상 득표자만 기재.[43] 보수 성향 후보.[44] 보수 정당 후보, 새정치국민회의단일화.[45] 중도 성향 후보.[46] 민주당계 정당·진보 정당 후보.[47] 진보 정당 후보.[48] 제3지대 정당 후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