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2026년 | |
2027년 | 2028년 | 2029년 | 2030년 → | }}}}}}}}} |
서기 | 2025년 MMXXV 二千二十五年 | 二〇二五年 | |||
← 2024년 | 2026년 → | |||
태세 | 을사년 乙巳年 | |||
← 1965년 | 2085년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기타 기년법에 따른 표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대한민국 | 107년 | ||
단기 | 4358년 | |||
불기 | 2569년 | |||
원기 | 110년 | |||
대만 | 민국 114년 | |||
일본 | 레이와 7년 | |||
황기 2685년 | ||||
주체 | 114년 | |||
우주력 | 7533년(8월 31일까지) 7534년(9월 1일부터) | |||
이슬람력 | 1446년(6월 25일까지) 1447년(6월 26일부터) | |||
히브리력 | 5785년(9월 22일까지) 5786년(9월 23일부터) | |||
페르시아력 | 1403년(3월 19일까지) 1404년(3월 20일부터) | |||
에티오피아력 | 2017년(9월 10일까지) 2018년(9월 11일부터) | |||
인류력 | 12025년 | }}}}}}}}} | ||
<colbgcolor=#0b6db7><colcolor=#fff> 밀레니엄 | 제3천년기 | |||
세기 | 21세기 | |||
연대 | 2020년대 | |||
양력 2025년 | 음력 2024년 12월 2일 ~ 2025년 11월 12일 | |||
음력 2025년 | 양력 2025년 1월 29일 ~ 2026년 2월 16일 | |||
일수 | 365일(평년) |
1. 개요2. 설명
2.1. 휴일
3. 정치3.1. 대한민국
4. 경제5. 날씨6. 자연재해7. 국제행사3.1.1. 윤석열 정부
3.2. 세계3.1.1.1. 최상목 권한대행 체제
3.1.2. 이재명 정부3.1.1.1.1. 북한의 미사일 도발3.1.1.1.2.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3.1.1.1.3. 윤석열 대통령 체포3.1.1.1.4. 윤석열 대통령 구속3.1.1.1.5. 서울서부지방법원 점거 폭동3.1.1.1.6. 윤석열 대통령 구속 기소 및 석방3.1.1.1.7. 최상목 기획재정부장관 탄핵소추
3.1.1.2. 한덕수 권한대행 체제3.1.1.2.1.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 심판 기각3.1.1.2.2.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인용3.1.1.2.3. 제21대 대통령 선거3.1.1.2.4. 한국과 시리아의 국교 수립3.1.1.2.5. 한덕수 권한대행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지명 논란
3.1.1.3. 이주호 권한대행 체제3.1.2.1. 김건희 특검3.1.2.2. 내란 특검3.1.2.3. 채상병 특검3.1.2.4. 윤석열 전 대통령 재구속3.1.2.5. 이재명 정부 특별사면3.1.2.6. 김건희 구속3.1.2.7. 한미정상회담3.1.2.8. 검찰 수사권 분리3.1.2.9. 미국내 한국 공장 대규모 이민 단속 사건
3.1.3. 대한민국 국회3.2.1. 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3.3. 선거 일정3.2.1.1. 카슈미르 총기 난사 테러3.2.1.2. 인도 - 파키스탄 분쟁3.2.1.3. 이스라엘 - 이란 분쟁3.2.1.4. 태국 - 캄보디아 국경 분쟁3.2.1.5. 인도네시아 시위
3.2.2. 유럽, 미주7.1. 스포츠
8. 문화9. 사회7.1.1. 2025 토리노 동계 세계대학경기대회7.1.2. 2025 AFC U-20 아시안컵 중국7.1.3.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7.1.4. 2025 아프리카 U-17 네이션스컵 모로코7.1.5. 2025 AFC U-17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7.1.6. 2025 도하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7.1.7. 2025 CONCACAF 골드컵7.1.8. FIFA 클럽 월드컵 20257.1.9. UEFA 여자 유로 20257.1.10. 2025 EAFF E-1 풋볼 챔피언십7.1.11. 2025 EAFF E-1 풋볼 챔피언십(여자)7.1.12. 2025 싱가포르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7.1.13. 2025 라인-루르 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7.1.14. 2025 청두 월드 게임7.1.15. 2025 광주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7.1.16. 2025 도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7.1.17. 2025 FIFA U-20 월드컵 칠레7.1.18. 2025 FIFA U-17 여자 월드컵 모로코7.1.19. 2025 FIFA U-17 월드컵 카타르7.1.20. 2025 FIFA 여자 풋살 월드컵 필리핀7.1.21. 2025 FIFA 아랍컵 카타르7.1.22.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모로코
7.2. e스포츠7.2.1. ADOFAI World Championship 20257.2.2. BLAST Bounty Spring 20257.2.3. IEM Katowice 20257.2.4. Six Invitational 20257.2.5.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방콕7.2.6. 2025 First Stand Tournament7.2.7.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챔피언스 클래시7.2.8. PUBG Global Series 77.2.9. RE:L0:AD 20257.2.10. PUBG Global Series 87.2.11. BLAST.tv Austin Major 20257.2.12.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7.2.13. 2025 Mid-Season Invitational7.2.14. Esports World Cup 20257.2.15. IEM Cologne 20257.2.16. PUBG Nations Cup 20257.2.17. PUBG Mobile World Cup 20257.2.18.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미드시즌 챔피언십7.2.19.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20257.2.20. The International 20257.2.21. 2025 발로란트 챔피언스 파리7.2.22. 리그 오브 레전드 2025 월드 챔피언십7.2.23. BLAST Major Munich 20257.2.24. StarLadder Budapest Major 20257.2.25.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월드 파이널7.2.26. PUBG Mobile Global Championship 20257.2.27. PUBG Global Championship 2025
7.3. 기타9.1. 대전 초등학생 피살 사건9.2. 뉴진스 계약 분쟁 및 활동 중단9.3. 김수현-김새론 교제 관련 논란 및 활동 중단9.4. SK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 사고9.5. YES24 서비스 마비 사태9.6. 대한민국 다발적 폭탄 테러 예고 사태
10. 지리/교통11. 사건11.1. 실제
12. 탄생13. 사망14. 데뷔15. 해체16. 은퇴17. 출시 상품18. 히트작19. 유행어/밈20. 최초21. 달력11.1.1. 1월11.1.2. 2월11.1.3. 3월11.1.4. 4월11.1.5. 5월11.1.6. 6월11.1.7. 7월11.1.8. 8월11.1.9. 9월11.1.10. 10월11.1.11. 11월11.1.12. 12월
11.2. 예정11.3. 기념11.4. 가상21.1. 연휴
22. 음력 날짜1. 개요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며, 을사년(乙巳年, 푸른 뱀의 해)이다.1936년(44²)에 이어 89년 만에 돌아온 제곱수(45²) 연도며 다음 제곱수 연도는 (45²)년도 기준 91년 뒤인 2116년(46²)이다.[1]
2. 설명
이 해에 한국은 8.15 광복 및 남북 분단 80주년을 맞이했으며, 21세기 최초의 윤달 광복절을 맞았다. 광복절의 음력 날짜는 윤 6월 22일이며 국제적으로는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80주년이기도 하다. 또한 21세기 1분기의 마지막, 즉 21세기의 4분의 1이 채워지는 해이다.또한, 이 해는 1986년, 1997년, 2003년, 2014년, 2031년과 같은 형태의 달력이다.[2]
1987년 이후 38년 만에 윤 6월이 돌아오는데, 2025년 윤 6월은 7월 25일~8월 22일이며, 21세기 최초로 휴가철과 윤달이 겹친다. 때문에 불교 사찰들은 승려들의 안거 기간을 정하는 문제로 복잡해진다.
가톨릭 교회 전례력으로는 제3천년기의 첫 번째 정기 희년이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2015년~2016년에 선포했던 '자비의 희년'은 25년 주기로 돌아오는 정기 희년 사이에 들어간 특별 희년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4월 21일 교황이 선종함에 따라 이 해에 콘클라베가 열리게 되었다.
국회공무원 시험에서 영어가 사라지고 TOEIC 등 공인 영어 시험 성적으로 대체된다. 국어도 PSAT로 대체. 9급 공개경쟁채용시험 국어와 영어 역시 출제유형이 암기력 위주에서 사고력 위주로 대규모 개편된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이 본격적으로 도입되는 해이다. 초등학교 1학년~4학년과 중학교, 고등학교 신입생에게 적용된다.
대한민국의 시내버스 요금체계에 본격적인 변화의 바람이 불기 시작한 해로써 직전 연도 9월 1일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11월 22일 경상북도 고령군에 이어 12월 14일 대경선 개통과 동시에 경상북도 성주군의 시내버스 요금이 단일화되어 성주-대구 4200원이 2000원으로 성주-왜관 2400원, 성주-고령 4700원, 성주-김천 5300원이 전부 1500원으로 조정되어 대한민국에서 시내버스 관내 무제한 구간요금을 수수하는 곳이 없어진데 이어 이번에는 한층 더 업그레이드된 시내버스 무료요금제를 시행하는 곳이 늘어나기 시작했는데 1월 1일 첫차부터 문경시, 의성군, 진천군, 음성군, 양구군에 이어 3월 17일 울진군, 5월 1일 산청군, 7월 1일 정선군과 보은군이 그 뒤를 이었으며, 동월 1일 경상북도 시내버스에서 현지 주민등록 70세 이상 무료이용 교통카드를 실시함과 동시에 그동안 교통카드 음영지역이었던 영양군에서 교통카드 제도를 실시함으로써 대한민국 어디서나 교통카드로 시내버스 요금을 결제할 수 있도록 되었다.
2024년 12월 26일, 인도에서 만모한 싱 전 총리가 사망하여 1월 1일까지 국가애도기간이 선포되었다. 사흘 후 대한민국에선 제주항공 2216편 활주로 이탈 사고로 인해 전국의 수많은 각색 새해맞이 행사가 대거 취소 그리고 축소되었고 정부 또한 7일 간의 국가애도기간을 선포하였다. 같은 날 미국에서는 지미 카터 전 대통령이 사망하여 영결식이 거행되는 1월 9일까지 국장 애도기간이 선포되어 대한민국, 미국, 인도에서는 꽤나 차분한 분위기에서 맞이하는 한 해가 되었다. 특히 전직 행정수반이 90세를 넘길 정도로 장수하다가 조용히 세상을 떠난 미국, 인도와 달리 한국에서는 그야말로 연말에 청천벽력을 맞은 것과 다르지 않아 신년 분위기도 두 나라에 비해 훨씬 침울했다.[3]
또한 직전 해인 2024년 12월 3일 발령되어 6시간 만에 끝난 계엄 사태 여파로 대한민국은 대통령과 국무총리가 동시에 탄핵소추가 가결되어 직무가 정지된 상태로 새해를 맞이하게 되었다. 대통령만 직무정지된 상태에서 새해를 맞이하는 건 2017년 이후 두번째다.
이번 연도에는 국가애도기간으로 인해서 일부 시상식과 가요제 한정으로 2번 개최가 된다.[4]
대형 산불이 연달아서 일어난 한 해이다. 대표적으로 2025년 남부 캘리포니아 산불과 2025년 3월 영남권 산불이 있다. 3월 중순부터 대한민국 영남권 지방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대형 산불이 연달아 일어났다. 이 중 가장 큰 피해를 남긴 산불은 2025년 의성발 경북 산불이며, 소방 동원령 3호, 국가유산재난위기경보 심각 단계에 돌입했고 국가유산 27건이 손상됐으며, 소실 면적 약 100,000 ㏊(1,000 ㎢)로 이는 대한민국 영토의 1%로 역대 최대 규모 산불이며 역대 가장 큰 피해 인명피해를 낸 산불로 기록되었다. 또한 미얀마에서 거대한 지진이 일어나 미얀마 전역은 물론 1,000㎞ 떨어진 태국 방콕에서도 건물이 붕괴되었고 2,032명 사망한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2025년은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이한 해이기도 하다. 한국과 일본 양국도 이를 기념하여 한국은 남산서울타워, 일본은 도쿄 타워에 각각 한일 관계를 상징하는 배색으로 동시 점등 행사를 진행하여 양국의 우정을 표현했다.
2.1. 휴일
주 5일 근무 기준 대체 휴일이 적용되지 않는 주말 공휴일이 없는 해다. 설날 연휴는 2005년 이후 20년 만에 돌아오는 9일 연휴인데, 1월 27일~1월 30일이라 1월 31일에 휴가를 내면 된다. 아예 설날 연휴 내수 진작을 위해 1월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되면서 6일 연휴 및 금요일 휴가 반영 포함한 9일 연휴가 되었다.삼일절은 토요일이라 3월 3일이 대체 휴일이다.[5] 삼일절이 개학에 영향을 주는 휴일이라 각급 학교 개학이 3월 4일로 밀려났다. 이로 인해 2년 연속으로 3월 4일에 입학식이 열리게 되었다.[6]
5월 5일은 2006년 이후 19년 만에 어린이날과 부처님오신날이 겹쳐 대체 휴일이 적용되어 다음날인 5월 6일[7]까지 쉴 수 있다. 따라서 근로자의 날에 쉬는 직장인 한정으로 5월 2일 하루만 연차 휴가를 낸다면, 전날인 근로자의 날을 포함해 6일 연휴가 되었다.
음력 6월의 윤달 덕에 5년 만에 추석 당일이 10월에 있는데, 추석 연휴는 10월 5일(일)~10월 7일(화)[8]이라 10월 8일(수)이 대체 휴일이고, 앞뒤에 개천절과 한글날이 있다. 거기에 10월 10일(금요일)이 징검다리 연휴를 메우기 위한 임시공휴일이 되면 2017년처럼 추석 연휴가 10일 연휴가 된다.[9]
3. 정치
3.1. 대한민국
3.1.1. 윤석열 정부
3.1.1.1. 최상목 권한대행 체제
이미 2024년 12월 14일 대한민국 대통령 윤석열에 대한 국회 탄핵안이 가결된 뒤 설상가상으로 한덕수 국무총리마저 탄핵소추되면서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이 그 권한대행을 맡고 있었다. 4월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안이 헌법재판소에서 인용되어 대한민국 헌정사상 2번째로 대통령직에서 파면되었다. 따라서 제21대 대통령 선거가 당초 계획(2027년 3월 3일)보다 1년 9개월 빠른 2025년 6월 3일 치러졌다.3.1.1.1.1. 북한의 미사일 도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북한 미사일 도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북한 미사일 도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1.1.1.2.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1.1.1.3. 윤석열 대통령 체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윤석열 대통령 내란 혐의 수사/2차 체포영장 발부 및 집행#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윤석열 대통령 내란 혐의 수사/2차 체포영장 발부 및 집행#|]]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1.1.1.4. 윤석열 대통령 구속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윤석열 대통령 구속 사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윤석열 대통령 구속 사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1.1.1.5. 서울서부지방법원 점거 폭동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울서부지방법원 점거 폭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울서부지방법원 점거 폭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1.1.1.6. 윤석열 대통령 구속 기소 및 석방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윤석열 대통령 내란우두머리 혐의 재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윤석열 대통령 내란우두머리 혐의 재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1.1.1.7. 최상목 기획재정부장관 탄핵소추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최상목 기획재정부장관 탄핵소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최상목 기획재정부장관 탄핵소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1.1.2. 한덕수 권한대행 체제
3.1.1.2.1.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 심판 기각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 심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 심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1.1.2.2.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인용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1.1.2.3. 제21대 대통령 선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21대 대통령 선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21대 대통령 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1.1.2.4. 한국과 시리아의 국교 수립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국-시리아 수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국-시리아 수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1.1.2.5. 한덕수 권한대행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지명 논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덕수 권한대행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지명 논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덕수 권한대행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지명 논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1.1.3. 이주호 권한대행 체제
3.1.1.3.1. 김문수-한덕수 단일화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문수-한덕수 단일화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문수-한덕수 단일화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1.1.3.2. 김문수-국민의힘 지도부 갈등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문수-국민의힘 지도부 갈등#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문수-국민의힘 지도부 갈등#|]]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1.1.3.3. 김문수 후보 교체 시도 사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문수 후보 교체 시도 사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문수 후보 교체 시도 사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1.2. 이재명 정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재명 정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재명 정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1.2.1. 김건희 특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건희와 명태균ㆍ건진법사 관련 국정농단 및 불법 선거 개입 사건 등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건희와 명태균ㆍ건진법사 관련 국정농단 및 불법 선거 개입 사건 등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1.2.2. 내란 특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윤석열 전 대통령 등에 의한 내란ㆍ외환 행위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 임명 등에 관한 법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윤석열 전 대통령 등에 의한 내란ㆍ외환 행위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 임명 등에 관한 법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1.2.3. 채상병 특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순직 해병 수사 방해 및 사건 은폐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의 임명 등에 관한 법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순직 해병 수사 방해 및 사건 은폐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의 임명 등에 관한 법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1.2.4. 윤석열 전 대통령 재구속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윤석열 전 대통령 2차 구속 사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윤석열 전 대통령 2차 구속 사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1.2.5. 이재명 정부 특별사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이재명 정부 특별사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이재명 정부 특별사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1.2.6. 김건희 구속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건희 구속 사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건희 구속 사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1.2.7. 한미정상회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한미정상회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한미정상회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1.2.8. 검찰 수사권 분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재명 정부 검찰 수사권 분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재명 정부 검찰 수사권 분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1.2.9. 미국내 한국 공장 대규모 이민 단속 사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미국 현대자동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공장 대규모 이민 단속 사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미국 현대자동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공장 대규모 이민 단속 사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1.3. 대한민국 국회
3.1.3.1. 하늘이법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하늘이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하늘이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1.3.2. 국민연금법 개정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국민연금법 개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국민연금법 개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1.3.3. 장제원 전 의원 사망 사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장제원 전 의원 사망 사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장제원 전 의원 사망 사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1.3.4. 상법 일부개정법률안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상법 일부개정법률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상법 일부개정법률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1.3.5. 방송4법 개정안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방송4법 개정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방송4법 개정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1.3.6. 이춘석 주식 차명거래 논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춘석 주식 차명거래 논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춘석 주식 차명거래 논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1.3.7. 노란봉투법 개정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노란봉투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노란봉투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2. 세계
가장 큰 관심은 4년의 공백을 깨고 돌아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행보이다.3.2.1. 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3.2.1.1. 카슈미르 총기 난사 테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카슈미르 총기 난사 테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카슈미르 총기 난사 테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2.1.2. 인도 - 파키스탄 분쟁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인도-파키스탄 분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인도-파키스탄 분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2.1.3. 이스라엘 - 이란 분쟁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이스라엘-이란 분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이스라엘-이란 분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2.1.4. 태국 - 캄보디아 국경 분쟁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태국-캄보디아 국경 분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태국-캄보디아 국경 분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2.1.5. 인도네시아 시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8월 인도네시아 시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8월 인도네시아 시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2.2. 유럽, 미주
3.2.2.1. 도널드 트럼프 제2기 행정부 출범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2.2.1.1. 트럼프 행정부의 영토확장 계획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트럼프 행정부의 영토확장 계획#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트럼프 행정부의 영토확장 계획#|]]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2.2.1.2. LA 불법체류자 단속 반대시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미국 불법체류자 단속 반대 시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미국 불법체류자 단속 반대 시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2.2.1.3. 트럼프 행정부의 워싱턴 D.C. 주방위군 투입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트럼프 행정부의 워싱턴 D.C. 주방위군 투입#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트럼프 행정부의 워싱턴 D.C. 주방위군 투입#|]]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2.2.2. 미국-우크라이나 정상회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미국-우크라이나 정상회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미국-우크라이나 정상회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2.2.2.1. 광물 협정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재건 투자 기금 설립을 위한 조항과 조건을 규정하는 양자 협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재건 투자 기금 설립을 위한 조항과 조건을 규정하는 양자 협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2.2.3. 트럼프 대통령 의회합동연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트럼프 대통령 의회합동연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트럼프 대통령 의회합동연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2.2.4. 프란치스코 교황 사망 및 레오 14세 교황 선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콘클라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콘클라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2.2.5. G7 카나나스키스 정상회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G7 카나나스키스 정상회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G7 카나나스키스 정상회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2.2.6. 미국의 이스라엘 - 이란 전쟁 참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이스라엘-이란 분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이스라엘-이란 분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2.2.7. 일론 머스크의 아메리카당 창당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메리카당#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메리카당#|]]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3. 선거 일정
2024년에 세계 주요 선거가 몰려 있었던 터라 2025년은 좀 쉬어가는 편이나, 독일 총선, 캐나다 총선, 대한민국 대선 등 국제 정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선거가 있고, 앞에서 말했다시피 한국의 경우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이 인용되면서 당해에 대선을 치르게 되어 세계 추세와 달리 정치적으로 중요한 해가 되었다. 또한, 4월 21일 프란치스코 교황이 선종(가톨릭)하면서 콘클라베도 치르게 된다.-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크로아티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크로아티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 2024-2025년 크로아티아 대통령 선거 (결선) (1월 12일)#!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벨라루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벨라루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벨라루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 2025년 벨라루스 대통령 선거 (1월 26일)#!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리히텐슈타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리히텐슈타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 2025년 리히텐슈타인 의회 선거 (2월 9일)#!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코소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코소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코소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 2025년 코소보 의회 선거 (2월 9일)#!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에콰도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에콰도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에콰도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 2025년 에콰도르 대통령 선거(1차) (2월 9일) + 2025년 에콰도르 대통령 선거(결선) (4월 13일) + 2025년 에콰도르 총선 (2월 9일)#!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독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독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 제21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 (2월 23일) + 2025년 함부르크 주의회 선거 (3월 2일)#!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벨리즈|{{{#!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벨리즈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벨리즈}}}{{{#!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 2025년 벨리즈 의회 선거 (3월 12일)#!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 2025년 재보궐선거 (4월 2일)[10] + 제21대 대통령 선거(6월 3일)[11]#!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가봉|{{{#!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가봉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가봉}}}{{{#!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 2025년 가봉 대통령 선거 (4월 12일) + 2025년 가봉 총선 (8월)#!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캐나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 2025년 캐나다 연방 선거 (4월 28일)#!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트리니다드 토바고|{{{#!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트리니다드 토바고}}}{{{#!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 2025년 트리니다드 토바고 총선 (4월 28일)#!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 2025년 영국 지방선거 (5월 1일)#!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싱가포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싱가포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 2025년 싱가포르 총선 (5월 3일)#!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호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호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호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 2025년 호주 연방 선거 (5월 3일)#!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루마니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루마니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 2024-2025년 루마니아 대통령 선거[12] (5월 4일)#!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바티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바티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바티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 2025년 콘클라베 (5월 7일 ~ 8일)#!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알바니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알바니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알바니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 2025년 알바니아 의회 선거 (5월 11일)#!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폴란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폴란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 2025년 폴란드 대통령 선거 (5월 18일)#!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포르투갈|{{{#!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포르투갈}}}{{{#!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 2025년 포르투갈 공화국 의회 총선거 (5월 18일) + 2025년 포르투갈 지방선거#!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베네수엘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베네수엘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 2025년 베네수엘라 국민의회 선거 (5월 25일)#!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수리남|{{{#!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수리남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수리남}}}{{{#!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 2025년 수리남 국민의회 선거 (5월 25일)#!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부룬디|{{{#!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부룬디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부룬디}}}{{{#!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 2025년 부룬디 총선 (6월 5일)#!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 제27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7월 20일)#!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볼리비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볼리비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볼리비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 2025년 볼리비아 대통령 선거 + 2025년 볼리비아 총선 (8월 17일)#!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노르웨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노르웨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 제66회 노르웨이 총선 (9월 8일)#!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말라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말라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말라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 2025년 말라위 대통령 선거 + 2025년 말라위 국민의회 선거 (9월 16일)#!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세이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세이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세이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 2025년 세이셸 대통령 선거(1차) + 2025년 세이셸 국민의회 선거 (9월 27일)#!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몰도바|{{{#!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몰도바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몰도바}}}{{{#!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 2025년 몰도바 공화국 의회 총선거 (9월 28일)#!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소말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소말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소말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 2025년 소말리아 대통령 선거 (9월) + 2025년 소말리아 총선 (9월)#!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체코|{{{#!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체코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체코}}}{{{#!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 2025년 체코 하원 선거 (10월 3일 ~ 10월 4일)#!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카메룬|{{{#!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카메룬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카메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 2025년 카메룬 대통령 선거 (10월 5일)#!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코트디부아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코트디부아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 2025년 코트디부아르 대통령 선거 (10월 25일)#!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르헨티나|{{{#!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르헨티나}}}{{{#!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 2025년 아르헨티나 의회 선거 (10월 26일)#!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네덜란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네덜란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 2025년 네덜란드 하원 선거 (10월 29일)#!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탄자니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탄자니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탄자니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 2025년 탄자니아 대통령 선거 + 2025년 탄자니아 총선 (10월 28일)#!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라크|{{{#!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라크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라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 2025년 이라크 총선 (11월 11일)#!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이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이티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이티}}}{{{#!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 2025년 아이티 대통령 선거(1차) + 2025년 아이티 총선 (11월 15일)#!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칠레|{{{#!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칠레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칠레}}}{{{#!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 2025년 칠레 대통령 선거 + 2025년 칠레 총선거 (11월 16일)#!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기니비사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니비사우}}}{{{#!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 2025년 기니비사우 대통령 선거 + 2025년 기니비사우 총선 (11월 23일)#!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온두라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온두라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온두라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 2025년 온두라스 대통령 선거 + 2025년 온두라스 총선 (11월 30일)#!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일랜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일랜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 2025년 아일랜드 대통령 선거 (11월)#!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4. 경제
4.1. 대한민국
SK바이오사이언스가 송도국제도시로 이전 완공한다.4.1.1. 홈플러스 법인회생 절차 신청 사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홈플러스 법인회생 절차 신청 사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홈플러스 법인회생 절차 신청 사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1.2. 메가박스중앙-롯데컬처웍스 합병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메가박스중앙-롯데컬처웍스 합병#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메가박스중앙-롯데컬처웍스 합병#|]]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1.3.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민생회복 소비쿠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2. 세계
4.2.1. 중국 DeepSeek 출시와 IT 업계 파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eepSeek#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eepSeek#|]]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2.2. 세계 무역 전쟁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세계 무역 전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세계 무역 전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2.2.1.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발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도널드 트럼프/2025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도널드 트럼프/2025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2.2.2. 주가 대폭락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주가 대폭락#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주가 대폭락#|]]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날씨
2024년 하반기부터 수온이 -중립으로 돌아왔고 이는 올해에도 이어질 전망이다. 하반기가 아직 불확실한 데다, 여름철 폭염이 심해서[13] 지난 2년간의 초고온 행진을 머지않아 다시 이어 나갈지, 아니면 지난 2년간의 초고온이 확실히 꺾일지는 아직 확실하게 판단할 수는 없다.우선 1월은 전국적으로 보면 큰 추위나 심한 고온은 없었으나 평년보다 높았으며, 수도권, 특히 서울을 중심으로 고온이 매우 심했다. 이로 인해 서울은 지난해보다도 근소하게 높았던 반면, 전국적으로는 지난해보다는 상당히 낮은 편이었다. 2월의 경우 월초의 한파가 상당히 길게 이어진 데다, 중하순도 중순 일부와 월말의 고온을 제외하면 대체로 저온이 잦은 편이라, 서울은 15개월 만에, 전국은 26개월 만에 (-) 편차를 보인 달이 되었다. 3월은 2014년 이후[14] 으레 그렇듯 고온이 심했고 특히 하순 초중반의 고온은 그 유명한 2023년보다도 심했지만, 중간중간 강한 저온이 있어서 월평균은 고온 강도 대비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 4월 또한 3월과 비슷하게 고온이 우세한 편이나 중순에는 강력한 저온이 있었다.[15] 5월은 상순에는 매우 강력한 저온이 나타났고 중하순에도 산발적인 저온이 있어 전국 기준으로 평년 이하의 기온을 보였다. 20~21일에는 강력한 고온이 이어졌으나 저온을 상쇄할 정도는 아니었기에 월평균은 (-) 편차, 더 나아가 저온 수준을 기록하였다. 그러나 2020년대 대부분의 해가 그렇듯 여름철인 6월이 되자마자 저온은 자취를 감추었으며, 27일부터는 남부지방과 강원영동을 중심으로 강력한 고온이 찾아와 전국 평균기온 역대 1위를 기록하고 말았다. 또한 그 다음 달인 7월은 소서 이후로는 반대로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기록적인 더위가 찾아왔고 이로 인해 서울은 그 1994년마저도 뛰어넘고 역대 1위를 달성했다.[16] 다만 8월 들어 더위가 누그러졌으나 중순부터 다시 고개를 들더니 심해졌다.
지난 2년 같이 고온만 계속 이어진 것은 아닌 해지만 특이 기상 자체는 지난 2년 못지 않게 많은 해다. 우선 1979년 이후 무려 46년 만에 2월 평균기온이 1월 평균기온보다 낮게 기록되는 일이 일어났고, 3월 하순에는 초여름 수준의 극심한 고온이 찾아왔다. 또한 4월 중순에 서울에서 적설이 기록됨과 함께 난데없는 늦겨울 날씨가 찾아오기도 했으며, 5월 상순의 경우 봄의 끝물임에도 불구하고 기온이 오르지 못하고 초봄인 3월로 돌아간 듯이 연일 쌀쌀한 날씨를 보였다. 또한 6월에는 평년 대비 매우 이른 시기에 장마가 찾아왔으나[17], 이 장마가 1973년, 2018년처럼 초단기간 장마(...)가 되어 버리며 제주도는 6월 26일에, 남부지방은 7월 1일에 장마가 종료되었다. 한편 장마는 아니지만 7월 중순에는 2025년 여름 한반도 폭우 사태로 전국적으로 비가 많이 왔다. 7월 상순, 하순에 무더위가 찾아왔으며 중순에는 집중호우가 내리는 날씨를 보였다. 8월도 초반은 더위가 꺾이나 싶다가 다시 폭염이 찾아오더니 되려 서울 기준 하순 평균기온이 8월 내에서 가장 높은 기현상이 일어나기도 했다. 반면 강릉은 여름 내내 비가 안 와서 2025년 강릉 가뭄이라는 최악의 사태가 나타났다.
또한 2025년은 대체로 고온과 저온 모두 강해서 기온변화가 꽤나 큰 해로, 변동성이 매우 크다. 봄철에는 겨울 날씨와 여름 날씨를 1주일도 되지 않아서 겪기도 했다. 하지만 지속력이 강하지 않다 보니 순별 기온으로만 보면 기온변동이 작다.
<colbgcolor=#ddd>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년 |
서울 월평균기온(°C) | -0.4 | -1.2 | 8.0 | 13.4 | 17.8 | 24.0 | 28.8 | 28.2 | |||||
평년대비 편차(°C) | 1.6 | -1.9 | 1.9 | 0.8 | -0.4 | 1.3 | 3.5 | 2.1 | |||||
전년대비 편차(°C) | 0.1 | -5.0 | 1.0 | -2.9 | -0.7 | -0.6 | 2.2 | -1.1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년 | |
부산 월평균기온(°C) | 4.0 | 2.9 | 9.8 | 14.0 | 17.4 | 22.3 | 27.8 | 28.4 | |||||
평년대비 편차(°C) | 0.4 | -2.5 | 0.7 | 0.2 | -0.5 | 1.3 | 3.4 | 2.3 | |||||
전년대비 편차(°C) | -1.1 | -4.5 | 0.2 | -1.9 | -1.2 | -0.3 | 1.8 | -0.7 |
<colbgcolor=#ddd>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년 |
전국 월평균기온(°C) | -0.2 | -0.5 | 7.6 | 13.1 | 16.8 | 22.9 | 27.1 | 27.1 | |||||
평년대비 편차(°C) | 0.7 | -1.7 | 1.5 | 1.0 | -0.5 | 1.5 | 2.5 | 2.0 | |||||
전년대비 편차(°C) | -1.1 | -4.6 | 0.7 | -1.8 | -0.9 | 0.2 | 0.9 | -0.8 |
강수량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년 |
서울 월평균강수량(mm) | 19.5 | 5.2 | 38.2 | 94.6 | 123.6 | 98.1 | 293.9 | 290.3 | |||||
평년대비 편차(%) | 116.1 | 18.4 | 103.5 | 129.6 | 119.3 | 75.8 | 70.9 | 83.3 |
강수량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년 |
전국 월평균강수량(mm) | 16.9 | 15.7 | 48.3 | 67.3 | 117.3 | 184.7 | 247.6 | 187.2 | |||||
평년대비 편차(%) | 64.5 | 44.0 | 85.5 | 79.8 | 114.9 | 124.6 | 83.5 | 66.2 |
습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년 |
서울 월평균습도(%) | 61.1 | 55.7 | 56.1 | 60.5 | 66.9 | 68.3 | 71.8 | 76.0 | |||||
평년대비 편차(%) | 4.9 | 1.1 | 1.5 | 5.7 | 7.2 | 3.4 | -4.4 | 2.5 |
서울 연 최저기온 | 서울 연 최고기온 | 연교차 | 서울 일강수량 극값 |
- [순별 기온/펼치기·접기]
- 단위: (°C)
평년대비 편차는 순별 평년으로 비교함- 1분기
1월 상순 1월 중순 1월 하순 2월 상순 2월 중순 2월 하순 3월 상순 3월 중순 3월 하순 서울 순평균기온 -1.9 -0.2 0.7 -4.7 0.5 1.2 5.8 7.2 10.7 평년대비 편차 0.1 1.7 2.8 -3.5 -0.2 -1.6 1.7 0.9 2.9 전년대비 편차 -2.3 -1.3 3.4 -7.2 -5.1 -2.0 2.7 -0.3 0.7 - 2분기
4월 상순 4월 중순 4월 하순 5월 상순 5월 중순 5월 하순 6월 상순 6월 중순 6월 하순 서울 순평균기온 11.1 13.2 16.0 13.9 18.4 20.7 22.6 25.0 24.6 평년대비 편차 0.6 0.5 1.5 -3.0 0.7 0.8 0.9 2.1 1.1 전년대비 편차 -3.6 -3.5 -1.7 -3.2 0.7 0.2 0.1 -1.0 -0.7 - 3분기
7월 상순 7월 중순 7월 하순 8월 상순 8월 중순 8월 하순 9월 상순 9월 중순 9월 하순 서울 순평균기온 29.4 25.9 30.9 28.2 27.7 28.7 평년대비 편차 5.0 0.9 4.4 1.1 1.3 3.9 전년대비 편차 4.5 -0.8 2.8 -1.5 -2.6 0.7 - 4분기
10월 상순 10월 중순 10월 하순 11월 상순 11월 중순 11월 하순 12월 상순 12월 중순 12월 하순 서울 순평균기온 평년대비 편차
5.1. 1분기
이 기간 동안 대체로 건조하고 이상 고온이 잦은 편이였지만 2월은 전국 기준 26개월 만에 저온을 보이는 등 평년보다 상당히 낮았으며, 1월과 3월도 대체로 고온이 우세한 편이긴 했지만 기온 변화가 큰 편이라 산발적으로 강한 저온도 있었다.[18]1월의 경우 초중순은 평년 수준 내지는 평년보다 조금 높은 수준을, 하순은 상당한 고온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이 달까지는 지난 해 내내 이어졌던 역대급 이상 고온의 여파를 이어받았으며, 이로 인해 고온이 강한 편은 아니었지만 다소 길게 이어지며 평년보다 높은 편이었다.[19]
4일까지는 포근한 날씨를 보이다 5~6일에 눈이 내린 후 찬 공기가 남하하였고, 8일 오후부터 더 강한 한기가 찾아오며 강추위가 시작되었다. 9일 아침 서울은 -10.2°C까지 떨어져 올겨울 처음으로 영하 두 자릿수를 보였으며[20], 다음 날인 10일에는 한파가 절정에 달하며 서울 기준 -12.2°C로, 2024-2025년 겨울 들어 처음이자 마지막 한파일수를 기록하였다.
이후 한겨울임에도 불구하고 한파는 물러가고 13일부터 2월 하순~3월 상순 수준의 포근한 날씨[21]가 오랫동안 이어졌다. 당연히 온화한 날씨와 함께 20일부터 불청객인 중국발 미세먼지 공습이 시작됐는데, 서울 미세먼지 수치는 164, 초미세먼지 수치는 무려 108[22]까지 오를 정도로 고농도 스모그가 한국을 덮쳤다. 설상가상 바람은 안 부는 한반도식 대기정체 현상이 며칠째 지속되어 장기간 동안 오염물질을 안고 가야 했다. 23일 저녁이 되어서야 비로소 바람이 불고 그 이후에는 눈이 내리면서 드디어 지독한 오염물질로부터 벗어날 수 있었다. 서울의 1월 평균 초미세먼지 농도는 28 정도로 평균값만 보면 극심한 수준까지는 아니었다. 하지만 고온은 지속되어 24~25일에는 기어코 10.6°C, 11.4°C로 10°C를 이틀 연속으로 넘었다.
그래도 설날을 전후로 기온이 떨어져 28일에 전국적으로 큰 눈이 내린 후, 29일에는 기온이 내려가 30일에는 -7.5°C[23]를 기록했다. 하지만 고온의 여파로 서울 월평균 기온은 -0.4°C, 전국 월평균 기온은 -0.2°C를 기록했으며, 1974년 1월과 비슷하게 서울과 전국의 평균 기온 차이가 거의 없는 기현상이 일어났다.
2월은 일부 날의 고온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한파가 잦았다. 1일~2일까지는 날이 풀려 고온을 유지하다 3일부터 기온이 하락하여 전국 상당수 지역에서 연일 -10°C 이하로 떨어졌는데, 서울은 예보와 달리 한파일수 기록에는 실패했으나[24] 수원 등 수도권 등지에서는 한파일수도 기록하였다. 결국 서울의 상순 평균기온은 -4.7°C로, 평년보다 3.5°C나 낮았다.
대략 10일까지는 전국적으로 추위가 이어졌으며, 이날 낮부터는 기온이 오르며 추위가 차츰 물러갔다. 이후 11~16일 동안은 대체로 평년 이상의 기온을 회복했으며, 특히 16일 무렵에는 전국적으로 이상 고온이 찾아오며 포근한 날씨를 보였다.[25]
그러나 17일부터 재차 한기가 남하하며, 상순만큼은 아니지만 다시 추운 날씨를 보이기 시작했다. 18~23일까지 서울 기준 최저기온 -7~-5°C, 최고기온 0~3°C를 지속적으로 유지했으며, 일평균기온도 -4~-2°C 안팎으로, 평년보다 3~6°C 정도 낮은 수준을 지속적으로 보였다.[26] 중순은 고온도 있었지만, 고온이 강하지 않았고 후반은 추위가 찾아왔다 보니 서울 기준 순평균기온 0.5°C로, 평년보다 0.2°C 낮았다. 추위는 24일 아침까지 이어졌다.
24일 낮부터는 기온이 올라 25일에는 평년 수준까지 올랐으며, 26일은 예보와 달리 평년보다 조금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이후 27~28일 동안은 서울 기준 최고기온 14°C 안팎의 제법 강한 고온이 찾아왔다. 다만 이전의 저온을 뒤집기엔 역부족이었고, 결국 서울의 하순 평균기온도 1.2°C로, 평년보다 1.6°C 낮았다. 즉, 2월은 상순, 중순, 하순 모두 평년보다 낮아 추운 편이었고, 세 순이 모두 평년 이하인 것은 2022년 12월 이후 26개월 만이다.
월평균기온도 서울 기준 -1.2°C를 기록해 이상 고온을 보였던 동년 1월보다 낮았으며[27], 평년보다 1.9°C 낮았으며, 2008년, 2013년과 함께 21세기 내에서는 공동 하위 4위를 기록했다.[28] 또한 2023년 11월 이후, 무려 15개월 만에 처음으로 월평균 저온을 기록했다.[29]
3월은 2014년 이후로 늘 그렇듯이 고온이 우세하여 평년보다 꽤 높았으나, 중하순에 찾아온 꽃샘추위도 상당히 강하여 기온 변화가 컸다.[30] 2월 말부터 시작된 이상 고온이 3월 극초반까지 이어져 1일~2일은 전국적으로 고온을 보였다. 그 중 2일에는 서울 낮 기온이 15.6°C, 전라북도 완주군은 무려 23.0°C를 기록하며 고온을 보였는데 같은 날 강원 산간 지대에는 -6.4°C를 기록하며 한 국내에서의 기온 편차가 29.4°C나 차이났다.
그리고 3일에는 고성 향로봉에 무려 50cm의 폭설이 내렸다. 4일에는 서울에 대설주의보가 발효되었다. 이후 6일까지 맑고 평년과 비슷한 날씨가 이어지다가 7일부터 서풍이 불어 평년보다 높아지더니 9일을 기점으로 아예 이상 고온이 시작되었다. 중부지방이 15°C 이상, 남부지방은 20°C도 넘기도 한다. 고온현상 탓에 중국발 미세먼지와 대기정체 현상이 가장 심하게 일어나는 수도권과 충청권, 호남권에서는 나쁨 수준인 미세먼지 수치 80 이상, 초미세먼지 수치는 35 이상을 보이는 날이 많았다. 설상가상 13일에는 첫 황사까지 덮치며 공기질이 계속 말썽이였다.
다만 16일부터 한기가 남하하며 기온이 떨어졌고, 17~18일에는 꽃샘추위와 함께 난데없는 봄 폭설이 쏟아졌다. 이 꽃샘추위는 19일까지 이어졌으며, 이 시기 서울의 일평균 기온은 대략 2°C 안팎을 유지하며 쌀쌀한 편이었다.
한편, 대체로 건조한 날씨 때문에[31] 영남권 지역 중심으로 산불이 연달아서 일어나기 시작했다. 건조특보가 내려진 가운데 영남권 지역에서 산불이 연달아 일어났다.
20일 낮부터는 다시금 기온이 올랐고 하순에 접어들며 2년 전마냥 이상고온이 극심해졌다.[32] 그 이유는 바로 따뜻한 남서풍이 불었기 때문인데, 역시나 중국 상하이 쪽에서 또다시 중국발 스모그 미세먼지 공습이 시작되었다.[33] 23일 서울은 무려 24.0°C까지 매우 크게 올랐고,[34] 25일은 남부지방 중심으로 심했으며 비공식으로 제주 구좌읍은 무려 30.3°C를 기록하여 3월 최초로 30°C를 넘어섰다![35] 미세먼지 같은 경우 이전과는 달리 고온임에도 불구하고 대기정체는 없었으나 거의 일주일동안 남서풍이 부는 바람에 계속해서 중국으로부터 미세먼지가 날라와 국내 대기질과 봄날씨를 망쳤다. 27일 수도권 기준 마침내 남서풍이 끝나고 비가 내린 뒤에야 공기질이 맑아질 것으로 예보되었다.
비가 통과한 이후 28일부터 기온이 떨어지기 시작하여 29일~30일에는 전국적으로 다시금 꽃샘추위를 보였다. 시기를 감안하면 꽤나 저온이었는데, 29일 서울 낮 최고기온이 6.7°C에 그쳤으며 30일 오전에 -1.8°C[36]까지 떨어지고, 눈 내지 진눈깨비까지 내리며 2월 말 수준의 날씨를 보였다가 31일부터 풀리기 시작했다.
5.2. 2분기
4~5월은 전체적인 기온을 놓고 보면 다소 평범했으나, 강한 고온과 저온을 반복하며 기온 변화가 큰 편이었다.[37] 다만 6월에는 온난화가 강한 여름철 아니랄까봐 추세가 바뀌어 강한 고온으로 전환되었고, 이렇다 할 저온 없이 무더운 날씨가 월 내내 이어졌다.4월 극초반은 평범하거나 오히려 낮은 편이었다. 1일에는 직전의 꽃샘추위가 풀리며 평년 수준의 날씨를 보였지만, 2일 오후에 비가 내리며 기온이 떨어졌고 3일까지는 평년보다 조금 낮았다. 4일에는 다시 평년 수준까지 오르는 듯했지만 식목일인 5일에 비가 내리며 기온이 크게 떨어졌고, 이후 7일 오전까지는 평년보다 낮은 날씨가 이어졌다.
7일 오후부터는 상황이 반전되며, 강하지는 않지만 평년 이상으로 올랐고 이상 고온이 찾아왔다. 서울의 경우 아침에 5.5°C였던 기온이 20.1°C까지 크게 올랐으며, 이후에도 11일까지는 평년보다 2~4°C 정도 높은 날씨가 이어졌다.[38]
다만, 4월에 장기 고온이 잦았던 지난 4년과 달리 이번 고온은 길게 가지는 않았다. 주말인 12~13일 동안 전국 곳곳에 비나 눈이 내렸고, 특히 13일 서울에서 최저기온이 1.1°C까지 떨어지는 등 꽃샘추위가 심했다. 실제로 13일 새벽 강원내륙과 산간에 대설특보가 발표되며 적지 않는 눈이 내렸고 서울에도 심야에 0.6cm의 적설을 기록하는 등 수도권, 강원, 충청, 전북 등 많은 지역에서 비가 눈으로 바뀌어 내렸다.
14일까지 절정을 이룬 이 꽃샘추위는 16일 낮부터 기온이 20°C 이상으로 오르며 완전히 물러갔고, 다시 포근한 날씨가 시작되었다. 토요일인 19일에 전국에 비가 내렸음에도 고온은 21일까지 지속되었다. 이날 서울은 27.1°C까지 크게 올랐다. 22일에 비가 내린 후 기온이 조금 떨어졌지만 중순과는 달리 큰 저온은 없었고, 이후 29일까지는 평년 수준을 유지했다. 다만 30일 낮에는 서울이 25.8°C까지 오르는 등 다시 반짝 고온을 보였다.
4월 30일의 반짝 고온이 5월이 되자마자 비가 내리며 꺾였으며, 상순 동안에는 저온이 이어졌다. 2일부터 6일까지는 잦은 비와 흐린 날씨의 반복으로 인해 서울 기준 최고기온이 20°C도 넘지 못하는 날씨가 연일 이어졌으며, 최저기온마저도 낮은 편이라 8일까지는 좀처럼 10°C를 넘지 못했다. 특히 3일의 최고기온은 전국적으로 평년 대비 10°C 가량이나 크게 낮았으며, 서울도 14.0°C를 기록했다. 게다가 불과 이틀 뒤인 5일에도 서울의 최고기온이 15.0°C에 불과하는 등, 5월임에도 불구하고 되려 직전의 4월 하순보다 기온이 떨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이후로도 8일 낮에 잠깐 평년 이상으로 오르는 것을 제외하고[39] 11일까지는 저온이 이어졌다. 결국 5월 상순은 매우 낮아 21세기 최하위를 기록했다.
이후 12일 아침에 서울 기준 9.8°C로 한 번 더 한 자릿수를 기록한 것을 마지막으로, 낮부터 기온이 크게 상승하며 평년 이상으로 올랐으며[40], 13일부터는 아예 평년보다 높은 날씨가 시작되었다. 특히 강원영동은 매우 강한 이상 고온이 나타났고, 다른 지역도 대체로 고온이 나타나 서울도 25.8°C, 26.7°C까지 올랐다. 15~16일에는 강수로 인해 최고기온은 다소 하강했지만 최저기온은 여전히 높은 편이었고, 심지어 정체전선이 일시적으로 한반도 인근까지 북상하면서 흐리고 온난다습한 날씨가 나타나는 등 7년 전 비슷한 시기를 연상시키는 날씨를 보였다.[41] 이렇게 평년보다 높은 날씨는 17일 낮까지 이어졌다.
다만 17일 오후에 곳곳에 한 차례 비가 더 내린 뒤, 저기압의 후면으로 한기가 유입되며 다시 기온이 떨어졌다. 18일 아침 서울은 11.4°C까지 하강했으며, 최고기온도 21°C, 일평균기온은 15.6°C에 그쳐 평년보다 2~3°C 가량 낮았다. 또한 서울을 비롯한 중부지방은 19일까지도 평년보다 다소 낮은 날씨를 보였다.
그러나 이후 고온다습한 남동풍이 다량으로 유입되기 시작하며, 상순의 이상 저온을 완전히 뒤집을 만한 고온이 시작되었다. 남부지방은 19일 오후부터 난기의 영향을 받아 고온이 시작되었고, 서울을 비롯한 중부지방도 19일 밤부터는 난기역에 들었다. 이로 인해 20일의 서울 최저기온은 전날 최고기온 대비 불과 3°C 정도밖에 하강하지 않은 17.4°C로 높게 시작했으며, 흐린 날씨임에도 불구하고 일교차가 거의 10°C 가까이 벌어져 낮에는 27.3°C까지 올랐다. 또한 이날은 강원영동과 영남을 중심으로 고온이 절정에 달해 강릉 32.1°C, 포항 33.6°C, 대구 33.7°C 등을 기록했다. 게다가 다음 날인 21일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강력한 고온이 찾아왔다. 서울은 최저기온이 무려 22.3°C였으며, 낮 최고기온도 예보보다 거의 4°C 가까이 높은 30.8°C를 기록했다. 심지어 수도권은 22일도 고온을 보여 서울이 28.5°C를 기록했다.
20~22일 동안 기승을 부린 여름 더위는 차츰 누그러졌다. 5월 하순은 동풍으로 인한 날씨를 지속적으로 보였다. 22일에는 동해안과 영남 지방은 이상 저온을 보였고, 23일부터 서쪽 지방도 한기가 유입되며 평년 수준으로 돌아갔다. 이 날 밤에 비가 내린 후 다음 날인 24일에는 전국적으로 강한 저온이 나타났는데, 낮 기온이 영덕 11.4°C, 대구 12.9°C, 대관령 7.4°C 등을 기록하였다. 수도권은 저온이 비교적 약한 편이었는데도 서울의 최고 기온이 19.3°C에 그쳤다. 이후로는 25일까지 평년보다 약간 낮은 기온을 보인 뒤 남은 하순은 대체로 평년과 큰 차이 없는 초여름 날씨를 보였다.
6월 극초반에는 5월 하순의 추세가 그대로 이어지며 전국적으로 평범하거나 약간 낮은 날씨를 지속적으로 보였으나 현충일인 6일부터 예보보다 높거나, 더운 날씨가 잦아졌다. 6일은 강원영동을 중심으로 고온이 강해 강릉은 최저기온부터 24.5°C를 기록하더니, 최고기온은 33.9°C까지 올라 폭염일수를 기록했다. 이후 9일까지는 최저기온을 중심으로 상당히 높아 서울 기준 20~21°C 안팎을 지속적으로 기록했고, 최고기온도 29~30°C 안팎으로 꽤 더운 편이었다. 그나마 10~11일 무렵 한 차례 찬 공기가 남하하며 서쪽지역 한정 평년~약간 낮은 날씨가 나타났으나 동쪽 지역은 여전히 높았다. 10일에는 강릉의 아침 최저기온이 25.3°C를 기록하는 등 고온이 심했다.
이후 12일에는 중부지방의 최고기온 중심으로 강한 고온이 나타나 서울의 최고 기온이 33.1°C로, 올해 첫 폭염일수를 기록하게 되었다. 그나마 남부지방은 13~14일에 비가 내리며 고온이 꺾였지만 중부지방은 이때도 높은 편이었으며, 15일에는 또다시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강한 고온이 나타났다. 또한 나흘 뒤이자 장마 직전인 19일에는 장마전선이 밀어 올린 난기의 영향으로 고온이 절정에 달해 서울 34.2°C, 강릉 35.8°C 등을 기록하였다. 장마권에 진입한 20일 오전에도 일부 지역에서 열대야가 나타났다.
장마가 시작된 이후 21~26일에는 대체로 평년~소폭 낮은 수준의 기온을 보여 하순은 평년 수준이 유지될 것으로 보였으나, 2022년과 유사하게 27일부터 북태평양 고기압이 급확장하여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한여름 수준의 무더위를 보였다. 28일에는 남부지방 곳곳에 올해 첫 폭염경보가 발효되었고, 밀양 36.9°C, 경주 36.1℃, 거창 35.7℃ 등이 기록되었다. 다음 날에는 더 심해져 경주 37.5°C로, 6월 일최고기온 역대 4위를 기록했다. 서울도 6월 28일부터[42] 최저기온 중심으로 4~5℃가량 매우 높아 일평균기온은 26~28℃로 한여름 날씨를 보였다. 30일에는 서울 최저기온이 25.6°C로 2022년 이후로 4년 연속으로 6월 열대야가 기록되었다. 갑작스러운 폭염의 여파로 결국 전국은 6월 평균기온 역대 1위로 기록되었다.
5.3. 3분기
7월은 직전인 6월 하순의 강한 더위를 이어받아, 상순 동안에는 전국적으로 매우 강력한 폭염이 찾아왔다. 1~7일에는 강원영동과 영남 지역을 중심으로 강력한 더위가 찾아왔다. 강릉은 1일부터 최저기온 29.7°C를 기록하면서 초열대야에 근접하더니, 2~3일에는 기어이 최저기온 30.3°C, 30.4°C를 찍으며 이틀 연속으로 초열대야가 발생하고 말았다. 이후 6일에는 최저기온 29.5°C, 최고기온 38.7°C, 일평균기온 32.6°C를 기록하며 동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폭염이 절정에 달했다. 그 다음 날인 7일에는 영남 지역에서 폭염이 절정에 달해 대구에서 37.4°C를 기록했다. 서울도 다른 수도권과 달리 이 기간 동안 극단적인 값은 없지만 평년 대비 매우 더운 편이었다.그나마 8일부터는 풍향이 동풍으로 전환되며 동해안 지역의 더위는 한풀 꺾였지만, 서울을 비롯한 서쪽 지역은 푄 현상으로 인해 더위가 더 심해졌다. 특히 8일 서울은 무려 37.8°C까지 오르며 종전 7월 상순 최고 기록인 1939년 7월 9일의 36.8°C를 86년 만에 1°C 차이로 가볍게 경신하였다. 이 여파는 12일까지 매우 길게 이어졌으며, 서울은 9~12일도 36°C 이상을 기록했다.[43] 결국 이 여파로 서울의 7월 상순 평균기온은 무려 29.4°C를 기록하며 평년보다 5°C나 높아 압도적인 역대 1위를 달성했다.[44] 전국도 28.1°C로 역대 1위.
그러다 14일부터는 찬 성질을 지닌 절리저기압이 한반도로 남하하였고, 동시기 남해안 지역에 영향을 준 열대저기압이 장마전선을 활성화시키며 전국적인 집중호우가 시작되었다.[45] 이로 인해 기온이 일시적으로 크게 떨어졌으며, 전국적으로 최고기온이 24~25°C대에 머물며 서늘한 날씨를 보였다. 다만 최저기온은 여전히 20~21°C로 높았다.
이후 20일 오전부터는 비가 그치고 북태평양 고기압이 확장하면서 다시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되었다. 그래도 서울 기준 24일까지는 31~34°C 안팎의 비교적 정상적인 더위를 보였으나, 25일부터는 태풍 세 개가 끌어올린 난기까지 가세하며 기록적인 7월 더위가 찾아왔다.[46] 다만 올해의 더위는 유독 서울 중심이었다.
결국, 서울의 7월 평균기온은 무려 28.8°C를 기록,[47] 종전 1위였던 1994년의 기록(28.5°C)을 31년 만에 경신했다. 이로써 역대 월평균 기온 1위인 달이 20세기 이전인 달은 12월(1958년 기록)밖에 남지 않게 되었다. 전국도 27.1°C로 평년보다 2.5°C 높았고 역대 2위였다.
한편 7월의 기록적인 무더위를 뒤로 하고, 8월 상순은 7월의 영향을 받은 1~3일을 제외하면 강수와 찬 공기의 영향으로 평범한 날씨를 보여 7월 하순이나 전년도 8월보다는 확실히 폭염이 누그러든 양상을 보였다.[48] 예상대로 전년도에 비해 최저기온이 25°C 미만을 기록한 날이 어느 정도 있어 8월 상순 평균 기온이 28.2°C를 기록해 평년보다 다소 고온이긴 하지만 지난 2년보단 낮았다. 이것도 1~3일이 평균기온을 상당히 끌어올려서 그런 것이며, 상순은 대체로 평년 수준의 기온이 유지되었다.
중순 초반까지도 이러한 평범한 날씨가 유지되다가, 남부지방은 13일, 중부지방은 광복절 후인 16일부터 북태평양 고기압과 티베트 고기압의 재확장으로 인해 다시 평년보다 높은 기온의 폭염이 나타났고, 이는 8월 21~24일에 더더욱 올라 강릉이 22일에 38°C를 기록하는 등 정점을 찍었다. 이 무더위는 처서 이후 25일까지 길게 이어졌으며 8월 27일에 살짝 낮아졌으나 월말에 다시 올라 서울의 8월 평균기온은 28.2°C[49]로 역대 3위를 기록하였다.[50] 결국 서울의[명목적] 여름 평균기온은 역대 1위를 기록하였다.
9월 상순에도 이 늦더위가 이어지며 9월 1일 아침 최저기온 25.0°C로 열대야였으며[52] 9월 5일에 폭염일수 기준에 충족하는 33.0°C를 기록하였다. 게다가 다음날 아침 최저기온은 무려 26.0°C로 열대야까지 기록되었다.[53] 그래도 7일부터는 한기의 유입으로 기온이 차츰 하강하기 시작하여 남은 상순 동안은 최고기온 한정 고온인 10일을 제외하면 평년 수준을 보일 예정이다.
5.4. 4분기
6. 자연재해
6.1. 지진
6.1.1. 중국 티베트 지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티베트 지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티베트 지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1.2. 일본 휴가나다 해역 지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휴가나다 지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휴가나다 지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1.3. 대만 자이 지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대만 자이 지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대만 자이 지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1.4. 충주 지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충주 지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충주 지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1.5. 미얀마 대지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미얀마 대지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미얀마 대지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1.6. 러시아 캄차카반도 해역 지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캄차카반도 해역 지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캄차카반도 해역 지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2. 산불
6.2.1. 미국 남캘리포니아 산불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남부 캘리포니아 산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남부 캘리포니아 산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2.2. 대한민국의 전국 동시다발 산불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3월 전국 동시다발 산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3월 전국 동시다발 산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2.2.1. 의성발 경북 산불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의성발 경북 산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의성발 경북 산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3. 폭설
6.3.1. 한반도 폭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한반도 한파 및 폭설 사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한반도 한파 및 폭설 사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4. 폭우
6.4.1. 텍사스 폭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텍사스 폭우 사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텍사스 폭우 사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4.2. 한반도 폭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여름 한반도 폭우 사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여름 한반도 폭우 사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5. 폭염
6.5.1. 한반도 폭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폭염/대한민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폭염/대한민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6. 가뭄
6.6.1. 강릉 가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강릉 가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강릉 가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 국제행사
7.1. 스포츠
7.1.1. 2025 토리노 동계 세계대학경기대회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토리노 동계 세계대학경기대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토리노 동계 세계대학경기대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1.2. 2025 AFC U-20 아시안컵 중국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AFC U-20 아시안컵 중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AFC U-20 아시안컵 중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1.3.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1.4. 2025 아프리카 U-17 네이션스컵 모로코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아프리카 U-17 네이션스컵 모로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아프리카 U-17 네이션스컵 모로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1.5. 2025 AFC U-17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AFC U-17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AFC U-17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1.6. 2025 도하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도하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도하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1.7. 2025 CONCACAF 골드컵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CONCACAF 골드컵#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CONCACAF 골드컵#|]]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1.8. FIFA 클럽 월드컵 2025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IFA 클럽 월드컵 2025#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IFA 클럽 월드컵 2025#|]]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1.9. UEFA 여자 유로 2025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UEFA 여자 유로 2025#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UEFA 여자 유로 2025#|]]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1.10. 2025 EAFF E-1 풋볼 챔피언십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EAFF E-1 풋볼 챔피언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EAFF E-1 풋볼 챔피언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1.11. 2025 EAFF E-1 풋볼 챔피언십(여자)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EAFF E-1 풋볼 챔피언십(여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EAFF E-1 풋볼 챔피언십(여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1.12. 2025 싱가포르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싱가포르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싱가포르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1.13. 2025 라인-루르 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라인-루르 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라인-루르 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1.14. 2025 청두 월드 게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청두 월드 게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청두 월드 게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1.15. 2025 광주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광주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광주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1.16. 2025 도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도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도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1.17. 2025 FIFA U-20 월드컵 칠레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FIFA U-20 월드컵 칠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FIFA U-20 월드컵 칠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1.18. 2025 FIFA U-17 여자 월드컵 모로코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FIFA U-17 여자 월드컵 모로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FIFA U-17 여자 월드컵 모로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1.19. 2025 FIFA U-17 월드컵 카타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FIFA U-17 월드컵 카타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FIFA U-17 월드컵 카타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1.20. 2025 FIFA 여자 풋살 월드컵 필리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FIFA 여자 풋살 월드컵 필리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FIFA 여자 풋살 월드컵 필리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1.21. 2025 FIFA 아랍컵 카타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FIFA 아랍컵 카타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FIFA 아랍컵 카타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1.22.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모로코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모로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모로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2. e스포츠
7.2.1. ADOFAI World Championship 2025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DOFAI World Championship 2025#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DOFAI World Championship 2025#|]]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2.2. BLAST Bounty Spring 2025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LAST Bounty Spring 2025#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LAST Bounty Spring 2025#|]]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2.3. IEM Katowice 2025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IEM Katowice 2025#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IEM Katowice 2025#|]]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2.4. Six Invitational 2025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ix Invitational 2025#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ix Invitational 2025#|]]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2.5.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방콕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방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방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2.6. 2025 First Stand Tournament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First Stand Tournament#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First Stand Tournament#|]]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2.7.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챔피언스 클래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챔피언스 클래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챔피언스 클래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2.8. PUBG Global Series 7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UBG Global Series 7#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UBG Global Series 7#|]]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2.9. RE:L0:AD 2025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RE:L0:AD 2025#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RE:L0:AD 2025#|]]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2.10. PUBG Global Series 8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UBG Global Series 8#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UBG Global Series 8#|]]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2.11. BLAST.tv Austin Major 2025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LAST.tv Austin Major 2025#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LAST.tv Austin Major 2025#|]]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2.12.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2.13. 2025 Mid-Season Invitational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Mid-Season Invitational#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Mid-Season Invitational#|]]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2.14. Esports World Cup 2025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Esports World Cup 2025#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Esports World Cup 2025#|]]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2.15. IEM Cologne 2025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IEM Cologne 2025#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IEM Cologne 2025#|]]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2.16. PUBG Nations Cup 2025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UBG Nations Cup 2025#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UBG Nations Cup 2025#|]]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2.17. PUBG Mobile World Cup 2025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UBG Mobile World Cup 2025#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UBG Mobile World Cup 2025#|]]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2.18.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미드시즌 챔피언십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미드시즌 챔피언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미드시즌 챔피언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2.19.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2025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2025#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2025#|]]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2.20. The International 2025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The International 2025#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The International 2025#|]]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2.21. 2025 발로란트 챔피언스 파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발로란트 챔피언스 파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발로란트 챔피언스 파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2.22. 리그 오브 레전드 2025 월드 챔피언십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리그 오브 레전드 2025 월드 챔피언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리그 오브 레전드 2025 월드 챔피언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2.23. BLAST Major Munich 2025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LAST Major Munich 2025#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LAST Major Munich 2025#|]]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2.24. StarLadder Budapest Major 2025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tarLadder Budapest Major 2025#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tarLadder Budapest Major 2025#|]]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2.25.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월드 파이널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월드 파이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월드 파이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2.26. PUBG Mobile Global Championship 2025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UBG Mobile Global Championship 2025#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UBG Mobile Global Championship 2025#|]]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2.27. PUBG Global Championship 2025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UBG Global Championship 2025#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UBG Global Championship 2025#|]]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3. 기타
7.3.1. 2025 오사카·간사이 엑스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오사카·간사이 엑스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오사카·간사이 엑스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3.2. 2025 영동세계국악엑스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영동세계국악엑스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영동세계국악엑스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3.3. APEC 대한민국 경주 정상회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APEC 대한민국 경주 정상회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APEC 대한민국 경주 정상회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8. 문화
8.1. 영화
-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 DC 유니버스
-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
-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 니켈로디언 무비스
-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 소니 픽처스
- 파라마운트 픽처스
- 워너 브라더스
- 유니버설 픽처스
- 드래곤 길들이기 시리즈
- 아바타 시리즈
- 올 아웃 오브 러브: 더 에어 서플라이 스토리
- 홈캠
- 포커스
- 위대한 소원
- 보이는 여고생
- 머시
- 먼 산줄기의 빛
- 어 빅 볼드 뷰티풀 저니
- 귀시
- 나이트 해즈 폴른
- 프랑켄슈타인
- 이웃집 스텔라
- 괴기열차
- 라바: THE MOVIE
- 거제 포로수용소
- 단골식당
- 더 몽키
- 왕과 사는 남자
- 명탐정 코난: 척안의 잔상
-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그림 세계 이야기
- 극장판 엉덩이 탐정: 스타 앤드 문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초화려! 작열하는 떡잎마을 댄서즈
-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
- 극장판 체인소 맨: 레제편
- 타벳코 동물: THE MOVIE
- 와일드우드
- 시스터
- 그랑프리 오브 유럽
- 몬스터 모텔
- BC 프로젝트
- 겨울연가
- 동방야식당
- 여신강림 실사영화 시리즈
- 오늘의 하늘이 가장 좋다,라고 말할 수 없는 나
- 누구보다도 강하게 안아줘
- 아가씨와 충견군
- 악마가 될 수밖에
- 더 스매싱 머신
- 발레리나
- 부고니아
- 나이브스 아웃: 웨이크 업 데드맨
- 열대야
- 거룩한 밤: 데몬 헌터스
- 전지적 독자 시점
- 좀비딸
- Five Nights at Freddy's 2
- 히트맨2
8.2. 드라마
- 감자연구소
- 광장
- 견우와 선녀
- 굿보이
- 귀궁
- 기묘한 이야기 시즌 5
- 나의 완벽한 비서
- 내가 죽기 일주일 전
- 넉오프
- 당신의 맛
- 데어데블: 본 어게인 시즌 1
- 마이 유스
- 멜로무비
- 모범택시 3
- 모텔 캘리포니아
- 미지의 서울
- 백번의 추억
- 별들에게 물어봐
- 북극성
- 아이언하트
- 악연
- 약한영웅 Class 2
- 언젠가는 슬기로울 전공의생활
- 언더커버 하이스쿨
- 에이리언 시리즈
- 에이리언: 어스
- 오징어 게임 3
- 원더맨
- 월러
- 웬즈데이 2
- 웰컴 투 데리
- 은중과 상연
- 자백의 대가
- 중증외상센터
- 천국보다 아름다운
- 춘화연애담
- 트라이: 우리는 기적이 된다
- 폭삭 속았수다
- 피스메이커 시즌 2
- 하이퍼나이프
- 협상의 기술
8.3. 게임
- Anno 117: 팍스 로마나
- Blue Prince
- Cronos: The New Dawn
- FragPunk
- Garten of Banban VIII
- Hollow Knight: Silksong
- Hyper Light Breaker
- Kingdom Come: Deliverance 2
- MARATHON
- MindsEye
- Mouse
- Pokémon LEGENDS Z-A
- REPLACED
- Slay the Spire 2
- Splitgate 2
- The Midnight Walkers
- Voidtrain
- Hades II
- 2XKO
- 고스트 오브 요테이
- 귀멸의 칼날 히노카미 혈풍담 2
- 닌자 가이덴 4
- 다잉 라이트: 더 비스트
- 더블 드래곤 리바이브
- 데스 스트랜딩 2: 온 더 비치
- 도시전설 해체센터
- 동키콩 바난자
- 듄: 어웨이크닝
- 드래곤 퀘스트 I & II HD-2D Remake
- 둠: 더 다크 에이지스
- 디지몬 스토리 타임 스트레인저
- 라타탄
- 레이튼 교수와 증기의 신세계
- 레인보우 식스 시즈 X
- 로스트 소울 어사이드
- 리틀 나이트메어 III
- 마리오 카트 월드
- 마법소녀의 마녀재판
- 마피아: 올드 컨트리
- 메모리즈 오프 쌍상 ~NOT ALWAYS TRUE~
- 메트로이드 프라임 4 비욘드
- 메탈기어 솔리드 Δ 스네이크 이터
- 메카 브레이크
- 명말: 공허의 깃털
- 몬스터 헌터 와일즈
- 문명 7
- 발로란트 모바일
- 배틀필드 6
- 별의 커비 디스커버리 Nintendo Switch 2 Edition + 스타리 월드[54]
- 보더랜드 4
- 블리치 리버스 오브 소울즈
- 사우스 오브 미드나잇
- 사일런트 힐 f
- 샨테 어드밴스: 리스키의 혁명
- 세븐나이츠 리버스
- 소닉 레이싱 크로스월드
- 수도고 배틀
- 쉐도우 라비린스
- 슈퍼로봇대전 Y
- 슈퍼바이브
- 스노우 브라더스 2 스페셜
- 스나이퍼 엘리트: 레지스탕스
- 스톰게이트
- 스플릿 픽션
- 신듀얼리티: 에코 오브 에이다
- 아랑전설 시티 오브 더 울브스
- 아세토 코르사 EVO
- 아우터 월드 2
- 아이온2
- 아크 레이더스
- 일곱 개의 대죄: Origin
- 암드 판타지아
- 어바우드
- 어비스 오브 던전
-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리파인
- 어쌔신 크리드: 섀도우스
- 엘든 링 밤의 통치자
- 연운십육성
- 와일드 게이트
- 용과 같이 8 외전: Pirates in Hawaii
- 이끼
- 인조이
- 제복그녀
- 쥬라기 월드 에볼루션 3
- 진・삼국무쌍 ORIGINS
- 카르마: 더 다크 월드
- 카트라이더 클래식[55]
- 커비의 에어 라이더
-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7
- 크로노 오디세이
- 클레르 옵스퀴르: 33 원정대
- 킬링 플로어 3
- 타워본
- 토니 호크의 프로 스케이터 3+4
- 파피 플레이타임 챕터 4
- 팬텀 브레이브 유령선단과 잃어버린 영웅
- 패스 오브 엑자일 2
- 퍼스트 버서커: 카잔
- 하늘의 궤적 the 1st
- 히어로즈 오브 마이트 앤 매직: 올든 에라
8.4. 가요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가요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가요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8.5. 공연
8.5.1. 대한민국 국내
2024년 코로나19 국면이 끝나고 대한민국 공연계는 대호황을 맞이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공연장 부족 사태를 빚고 있다. 코로나19 이전 계획했던 상당수 공연장들이 개설 무산이 되면서 대한민국 각지에 있는 각종 공연장들이 예약 만석을 빚는 상황이라, 2025년 5월 개최 예정인 가수 라이브 예약을 2024년 11월에 하는 등 파행을 빚고 있다.8.5.2. 미국
각종 투어가 많이 예정돼 있다.8.6. 방송
- 3월 1일: 엠넷 개국 30주년.
- 3월 5일: TV쇼 진품명품 방영 30주년.
- 3월 13일: THE 맛있는 녀석들 방영 10주년.
- 4월 5일: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방영 10주년.
- 4월 17일: MBC 뉴스투데이 방영 30주년.
- 4월 23일: 무한도전 방영 20주년.
- 7월 11일: 런닝맨 방영 15주년.
- 9월 15일: 생활의 달인 방영 20주년.
- 10월 1일: 아침마당 10000회.
- 10월 29일: 쇼! 음악중심 방영 20주년.
- 11월 4일: 가요무대 방영 40주년.
- 11월 9일: 토요일 토요일은 즐거워 방영 40주년.
- 12월 5일: 아는 형님 방영 10주년.
8.7. 연예계
8.8. 교육
- 이 해부터 중등교육기관(중, 고등학교)을 대상으로 2022 개정 교육과정이 전면 도입된다. 특히 고1이 많이 바뀌게 된다.
- 또한 이 해에 고등학교에 입학하는 2009년생부터 전국 모든 고등학교에서 고교학점제가 전면 시행되며 유급 제도도 시행된다. 선택 과목이 크게 증가하며 융합 선택과목이 생긴다. 그리고 AI 기반으로 한 디지털 교과서가 초3~4, 중1, 고1의 수학, 영어, 정보 과목에 도입된다.[57] 이들이 고3이 되는 2027년 이후 수능이 크게 변하게 된다.
- 이 해에 고1이 되는 2009년생부터 모든 고등학교 과목 평가기준이 9등급 상대평가(4-7-12-17-20-17-12-7-4)에서 5등급 상대평가(10-24-32-24-10)로 바뀐다.[58] 단위제는 2006년생들이 고등학교를 졸업함과 동시에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 2016년 이후 9년 만에 중학교 1학년에서 자유학년제가 완전히 사라진다.[59]
- 날이 갈수록 교권이 나락으로 추락하는 와중에 대전 초등학생 피살 사건이 발생하여 학부모들의 자녀 보호 의식이 더욱 강해져 학교에 대한 불안감과 교사에 대한 불신감이 더욱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
8.9. 스포츠
동서를 막론하고 유독 2025년에는 2022년, 2023년 못지 않게 창단 이래 처음 우승을 차지하거나, 마지막 우승 이후 오랜 기간 우승이 없다가 우승을 하는가 하면, 기간은 짧은데 지독한 준우승과의 악연을 끊고 우승을 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8.9.1. 국내
- 부산 BNK 썸이 창단 첫 우승을 차지했고, 부산 연고지 스포츠팀들 중 최초로 부산광역시에서 우승을 확정지었다. 박정은 감독은 WKBL 최초 여성 감독의 우승 및 선수와 감독으로써의 첫 우승 기록을 세웠다.
- 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가 5번째 우승을 차지하면서 6년만의 챔피언결정전 우승 및 19년만에 통합우승 및 트레블[60]을 기록했다. 현대캐피탈은 정규시즌 내내 단 1차례의 연패도 기록하지 않고 우승했다.
-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가 5번째 우승을 차지하면서 6년만의 통합우승을 차지했다. 지난 4시즌 동안 3차례[61]나 챔피언결정전에 올라갔지만 번번이 준우승에 막혔던 터라 더욱 값진 우승이었고, 은퇴를 예고한 배구 여제 김연경은 화려하게 20년 선수 생활을 마무리했다.
- 창원 LG 세이커스가 창단 첫 우승을 차지하면서 마침내 무관의 한을 풀었다. 주장 허일영은 40세에 접어들어서 생애 처음으로 MVP를 받았다.
8.9.2. 해외
- F1 드라이버 루이스 해밀턴이 지난 11년간 소속되어 활동했던 메르세데스-AMG 페트로나스 포뮬러 원 팀을 떠나 스쿠데리아 페라리로 이적한다.
- 김상식 감독이 이끄는 베트남 축구 국가대표팀이 동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 올해 은퇴 예정인 프로레슬러 존 시나가 WWE 엘리미네이션 챔버(2025)에서 2003년 이후 21년 3개월 23일만에 턴힐(악역 전환)을 이루어 냈다.
- 2025년 중순, 맨체스터 시티 FC의 홈구장인 에티하드 스타디움이 증축되어 기존 52,900석에서 62,000석으로 증가하게 된다.
- 뉴캐슬 유나이티드 FC가 창단 133년만에 첫 EFL컵을 우승했고, 1955년 FA컵 우승 이후 70년만에 잉글랜드 메이저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 고 어헤드 이글스가 KNVB 베이커를 우승하면서, 1933년 이후 92년만에 네덜란드 메이저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 볼로냐 FC 1909가 코파 이탈리아를 우승하면서, 1974년 이후 51년만에 FA컵 우승 및 이탈리아 메이저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 크리스탈 팰리스 FC가 창단 120년만에 처음으로 FA컵 우승을 차지했다.
- FC 바이에른 뮌헨이 분데스리가에 우승하면서 김민재는 2023년 세리에 A 우승에 이어 분데스리가 우승도 차지했다. 해리 케인도 데뷔 첫 우승을 기록하면서 무관 탈출에 성공했다.
- 토트넘 홋스퍼 FC가 2024-25 UEFA 유로파 리그를 우승하면서 기나긴 트로피에 대한 갈망을 해소했다. 손흥민은 데뷔 15년 만에 첫 메이저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 첼시 FC가 2024-25 UEFA 컨퍼런스 리그 우승을 차지하면서 UEFA 주관 대회에서 모두 우승한 최초의 팀이 되었다.[62]
- 파리 생제르맹 FC가 2024-25 UEFA 챔피언스 리그 우승을 차지하면서 창단 첫 챔피언스 리그 우승이자 리그 1 역사상 최초의 트레블을 달성했다. 이강인은 박지성에 이어 아시아 출신 선수로는 2번째로 UEFA 챔피언스 리그 우승컵을 들어올렸고, 아시아 선수 최초로 유러피언 트레블을 달성했다. 루이스 엔리케 감독은 펩 과르디올라에 이어 트레블을 2회 달성한 2번째 감독이 되었다.
- 오클라호마시티 썬더가 2025 NBA 파이널 우승을 차지하면서 창단 17년만에 첫 우승을 차지하였다.
- 첼시 FC가 FIFA 클럽 월드컵 우승을 차지하였다.
8.10. 인터넷
- 한국 한정으로 인스타그램은 새해부터 미성년자 보호 기능을 도입하였다. 18세 미만 이용자 계정은 '청소년 계정'으로 자동 전환돼 비공개 설정되고 게시물은 팔로워에게만 공개되었다.
- 2월 14일 유튜브가 설립, 4월 23일 최초 유튜브 영상인 Me at the zoo가 업로드한 지 20주년을 맞이했다.
- 2월 26일 인스타그램 릴스 알고리즘 검열 논란이 벌어졌다.
- 4월 17일 나무위키가 10주년을 맞이하게 되었다.
- 5월 27일 쥬니어네이버가 26년만에 서비스를 종료하면서 대한민국의 모든 어린이 포털 사이트가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 6월 25일 디시인사이드에서 사이버 테러 사건이 발생했다.
8.11. 애니메이션
목록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다음 문서들을 참고.9. 사회
9.1. 대전 초등학생 피살 사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전 초등학생 피살 사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전 초등학생 피살 사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9.2. 뉴진스 계약 분쟁 및 활동 중단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NewJeans-ADOR 간 전속계약 해지 분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NewJeans-ADOR 간 전속계약 해지 분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9.3. 김수현-김새론 교제 관련 논란 및 활동 중단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수현-김새론 교제 관련 논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수현-김새론 교제 관련 논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9.4. SK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 사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K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 사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K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 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9.5. YES24 서비스 마비 사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YES24 서비스 마비 사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YES24 서비스 마비 사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9.6. 대한민국 다발적 폭탄 테러 예고 사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대한민국 다발적 폭탄 테러 예고 사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대한민국 다발적 폭탄 테러 예고 사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0. 지리/교통
10.1. 지리
- 경기도 화성시가 특례시로 출범했다. (1월 1일)
10.2. 자동차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분류:2025년 출시된 자동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분류:2025년 출시된 자동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분류:2025년 단종된 자동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분류:2025년 단종된 자동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0.3. 철도교통
지난해보다는 개통되는 철도노선이 적지만, 아주 오랜 기간 동안 철도 음영지였던 동해선 영덕~삼척 구간과 경전선 보성~임성리 구간이 개통되어 각각 남북축과 동서축의 새로운 주요 간선 노선 역할을 맡게 된다. 또한 교외선 여객열차가 재운행하여 경기북부 간 이동이 편해지는 등 절대로 간과할 수 없는 의의가 있는 해가 될 것이다.- 동해선 영덕~삼척 구간이 개통됐다. 이로써 그동안 철도교통 혜택을 받지 못했던 울진군이 이 구간의 개통으로 혜택을 받게 되고, 또한 동해선으로 부산~포항~영덕~삼척~동해~강릉 구간을 철도로 단번에 오갈 수 있는 '철도판 7번 국도'가 완성되었다.[63] (1월 1일)
- 교외선 대곡~의정부 구간 여객열차 재운행: 경기 북부권 최대도시인 고양시와 행정 중심지인 의정부시를[64] 약 50분 만에 오갈 수 있게 되며, 교외선 여객열차 운행 중지로 철도 이용이 불편했던 양주시 장흥면과 고양시 덕양구 일부 지역의 철도 이용이 더 편리해졌다. (1월 11일)
- 경전선 보성~임성리 구간이 개통돼 그동안 철도가 닿지 않았던 장흥군, 강진군, 해남군 주민들의 철도 이용이 가능해진다. (9월 27일)
- 동해남부선의 구 역사들과 선로들을 철거한다. 단, 철도기념물로 지정된 구 경주역과 불국사역의 역사와 주변 선로는 예외적으로 남긴다.
10.3.1. 도시철도
개통하는 노선이 매우 적어 도시철도계에서는 쉬어가는 해가 될 전망이다. 그래도 착공하는 노선은 제법 있다.- 개통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북부 연장구간: 계양~검단호수공원 (6월 28일)
- 대경선: 북삼 (12월)
- 착공
10.4. 도로교통
2025년에도 여러 많은 도로가 개통될 예정이다.- 개통
10.5. 항공·우주
크고 작은 버드 스트라이크나 이유 없는 부품 이탈, 엔진 손상 같은 자잘한 항공 사고가 끊임없었던 2024년에도 민항기의 대형 인명 피해 사고는 적었다. 하지만 2025년은 시작 31일 만에 교통사고 사망 사고보다 발생할 확률이 매우 낮은 항공기 인명 사고가 연달아 발생하며 항공계는 큰 충격과 함께 신년을 시작했다.특히 한 해를 시작하기 직전인 2024년 말에 미사일에 격추당해 결국 항공기가 추락하거나, 항공기가 동체착륙을 하다 둔덕을 들이박고 폭발하는 등 발생 확률이 0%에 가까운 치명적인 인재도 연달아 발생했고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계속해서 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점을 생각하면 이 어두운 분위기가 쉽게 풀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밝을 거라고 예상했던 2025년 역시 시작한 지 50일도 안 된 시점에 도심가에 항공기가 곤두박질 처 폭발하거나 공중 충돌이 발생했고, 착륙하던 항공기가 갑자기 뒤집히는 등 연초부터 경악스러운 사고를 계속 겪고 있다.
더군다나 이륙 직전 항공기의 전소 사고나 알래스카 해빙에서의 추락사고 같은 가지각색의 기이한 사고가 끊임없이 발생했고 두 항공기간 지상 충돌에 따른 수직 꼬리날개 절단 사고 같은 사소한 사고도 지속되며 연초에는 거의 매주 항공 이슈가 터져나왔던 만큼 항공계를 바라보는 일반 여론도 부정적으로 흘러갔다. 시간이 흐르며 사고가 잦아드나 싶었지만 착륙 중 일시적으로 활주로를 이탈하는 사소한 사고도 여전히 잦고, 포항 해군 P-3CK 오라이언 추락 사고를 더불어 에어 인디아 171편 추락 사고 같은 인명 피해를 동반한 사고가 여전히 발생하고 있어 항공계의 2025년도 1985년, 2001년과 같이 결국 매우 어두운 한 해로 기록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연초부터 자국 영토 내 인명 사고가 연달아 발생한 미국은 2025년 남부 캘리포니아 산불과[67] 동부 지역 폭설 같은 자연 재해를 비롯해 자국의 외교 분쟁과 같은 중대한 사건도 나날이 이어져 전국적인 심적 피로도가 높은 상태에서 충격적인 항공 사고를 맞이해 더욱 깊은 애도의 흐름을 이어갔다.
2025년에도 2014년 이후 11년 만에 태양 극대기로 인한 플레어와 태양풍의 영향으로 항공교통에 장애가 발생하는 등의 위험 우려가 된다.
- 1월 28일: 김해국제공항발 홍콩 첵랍콕 국제공항으로 향할 예정이었던 에어부산 391편에서 주기장 푸쉬백 중 기내 화재가 발생해 항공기[68]가 전소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 1월 29일[69]: 미국 알래스카주에서 아일슨 공군기지 F-35A 추락사고가 발생했다. 조종사는 긴급 사출에 성공했다.
- 1월 30일[70]
- 남수단에서 이글 에어 비치크래프트 1900 추락 사고가 발생했다.
- 미국 워싱턴 D.C.의 포토맥강에서 공중충돌 사고가 발생했다. 대한민국의 에어부산 391편 화재 사고이 발생한 지 36시간, 남수단의 이글 에어 비치크래프트 1900 추락 사고가 발생한 지 17시간 만이다.
- 2월 1일[71]: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에서 에어 앰뷸런스 역할을 수행 중이었던 봄바디어 리어젯 항공기가 대형 쇼핑몰에 추락해 폭발하는 대형 인재가 발생했다. 포토맥강 상공 공중 충돌 사고 발생 이틀 만에 미국에서 또 한 번 민간 여객기의 인명 피해 사고가 발생해 미국을 넘어 전세계적으로 큰 혼란이 이어졌다.
- 특히 대한민국에서는 제주항공 2216편 활주로 이탈 사고라는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한 대형 사고가 일어난 지 채 한 달도 안 된 시점에 유독 빈번하게 항공 사고를 접하며 이에 대한 불안감이 크게 조성되었다. 짧은 시간차를 두고 한국 국적기 사고도 다수 발생하며 안 그래도 항공 소식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을 때 연달은 사고가 발생했기 때문이다.[72]
- 2월 5일: 영국에서 TUI 에어웨이즈 432편 불시착 사고가 발생했다.
- 2월 6일: 메디젯 56편 추락 사고가 일어난 지 1주일도 지나지 않아 사고가 일어났다.
- 베링 에어 445편 추락 사고: 베링해협에서 항공기가 실종된 후 추락해 10명이 사망했다.
- 2025년 필리핀 항공기 추락 사고: 같은 날 필리핀에서도 항공기가 추락했다.
- 2월 7일: 브라질의 상파울루에서 항공기 추락 사고가 발생했다.
- 2월 10일: 미국 애리조나주에서 스코츠데일 공항 지상 충돌 사고가 발생했다.
- 2월 17일: 캐나다에서 엔데버 항공 4819편 착륙 사고가 발생했다.
- 2월 19일: 미국 애리조나주에서 마라나 리저널 공항 상공 공중 충돌 사고가 발생했다. 경비행기 2대가 공중충돌해 2명이 숨졌다. #
- 2월 23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에서 아시아나항공 212편 착륙 사건이 발생했다. 12년 전 발생한 사고와 매우 흡사하나, 다행히 이쪽은 고도가 낮다는 것을 알고 복행해서 인명피해는 없었다.
- 2월 25일
- 대한민국 김해국제공항을 출발하여 일본 오키나와의 나하 공항으로 향하던 진에어 소속 LJ371편 항공기가 엔진 이상으로 김해공항으로 회항했다.
- 수단 공화국에서 2025년 수단 공군 An-26 추락 사고가 발생했다.
- 미국에서 미드웨이 국제공항 니어미스 사고가 발생했다.
- 3월 6일: 대한민국 공군 소속 KF-16 전투기에서 민가 오폭 사고가 발생했다.
- 3월 7일: 인천발 푸꾸옥행 비엣젯항공 VJC975편이 기체결함으로 제주국제공항에 비상착륙했다.
- 3월 11일: 대한항공이 신도장을 포함한 새로운 CI를 공개했다. ANA항공, KLM 네덜란드 항공을 이어 세계에서 3번째로 오래된 항공사 도색이었던 대한항공의 하늘색 + 태극 도장의 시대가 41년 만에 저물게 되었다.
- 3월 15일: 중국 남부 J-15 추락사고가 발생했다.
- 3월 17일: 온두라스에서 에어로리네아 란사 18편 추락 사고가 발생했다.
- 3월 20일: 홍콩항공 115편 화재 사건이 발생했다.
- 5월 22일: 미국 샌디에이고의 해군 소유 주택 단지에 경비행기가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 5월 28일: 제주항공 2217편 활주로 이탈 사고가 발생했다. 작년 말에 발생했던 제주항공 2216편 활주로 이탈 사고와 다르게 사상자는 없었다.
- 5월 29일: 대한민국 포항경주공항에서 해군 P-3 오라이언 해상 초계기가 훈련 중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 6월 12일
- 에어 인디아 171편 추락 사고가 발생해 200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중대형 항공기가 이륙 중 실속이 발생해 기체가 민가를 덮치며 폭발한 경악스러운 사고이다. 더불어 보잉 787 드림라이너의 첫 기체 손실사고이다.
- 제트블루 312편 활주로 이탈 사고가 발생했다.
- 6월 13일: 에어 인디아 379편 회항 사고가 발생했다. 하필 대형 참사가 발생한 다음날, 심지어 같은 항공사에서 일어난 사고라 더욱 더 불안감이 고조되었다.
- 7월 21일: 방글라데시에서 공군 훈련기가 학교로 추락하여 최소 31명 이상 사망하였다.
- 7월 24일: 안가라 항공 2311편 추락 사고가 일어나 탑승객 49명이 전원 사망하였다.
- 8월 1일: 전날에 서울(인천) - 로스앤젤레스 노선을 마지막으로 아시아나항공의 화물 사업을 종료한 후 8월 1일 대한민국의 화물 항공사인 에어제타로 이관 및 통합되었으며, 아시아나항공의 모든 화물기가 에어제타 소속으로 바뀌었다.
- 대한민국 정부는 2025년에 여의도와 인천국제공항을 잇는 드론 택시를 배치하고 운행할 것이라 밝혔다. 구간간 이동 시간은 20분으로 요금은 약 10만 원 정도다. 또한 서울 시내에 에어택시가 상용화된다.
11. 사건
11.1. 실제
11.1.1. 1월
| |
윤석열 전 대통령 체포 및 구속 | 서울서부지방법원 점거 폭동 |
- 1월 1일
- 최상목 대한민국 대통령 권한대행은 신년사에서 "우리 경제의 탄탄한 기초체력을 바탕으로 국내외의 불확실성을 극복하고 민생 안정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라고 밝혔다.
- 경기도 화성시가 특례시로 출범했다.[73] #
- 카자흐스탄이 공용문자를 라틴 문자로 바꿨다.
- 9급 공개경쟁채용시험의 국어, 영어 과목의 출제 유형이 바뀌었고 국회직 공무원 시험 역시 국어, 영어, 한국사 과목이 각각 PSAT, 공인영어시험, 한국사능력검정시험으로 대체되었다.
- 5급 공개경쟁채용시험과 외교관후보자 선발시험에서 선택과목이 폐지되었다.
- 대구광역시가 지방직 공무원 거주지 제한을 폐지하였다. #
- 최저임금이 9,860원에서 10,030원으로 인상되었다.
- 대한민국 국군 병장 월급이 205만원으로 인상되었다.
- 세종포천고속도로의 남안성JC~남구리IC 구간, 고덕토평대교가 개통되었다.
- 양구군, 의성군, 문경시, 진천군[74], 음성군의 시내버스 요금이 0원으로 조정되었다.
- 동해선 영덕역~삼척역 구간이 새롭게 개통되고 2023년 운행이 중단된 포항역~영덕역 구간도 운행을 재개하게 돼 부전역부터 강릉역까지 이르는 '철도판 7번 국도'가 완성되었다.[75]
-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통과하는 가스관에 대한 천연가스 공급을 50년만에 중단했다.
- 미국 루이지애나 주 뉴올리언스 중심가에서 새해 행사 도중 ISIL 추종자에 의한 트럭 돌진 테러가 일어나며 15명이 사망하고 57명이 부상을 당한 사건이 벌어졌다.
- 같은 날 미국 네바다 주 라스베이거스에서 현역 육군 장병이 테슬라 차량을 폭발시키고 본인은 자살한 사건이 벌어졌다.
- 독일에서 새해 행사 도중 불꽃놀이로 인해 5명이 사망한 사고가 벌어졌다.
- 몬테네그로 체티네의 한 술집에서 총격이 발생해 최소 12명이 숨지고 4명이 부상을 당한 사건이 벌어졌다.
- 대만에서 이례적인 한파로 인해 500여명이 사망한 일이 벌어졌다.
- CJ대한통운이 주7일 배송을 시작했다.
- 인스타그램이 18세 미만 청소년에게 비공개로 전환되었다.
- 1월 2일
- 1월 3일
- 윤석열 체포영장이 집행되었다. 이후 체포영장을 집행하려는 공수처와 이를 막으려는 대통령경호처 간에 대치가 있었다. 결국 공수처가 체포영장 집행을 중지했다. #
- 경상남도 거창군 남쪽 14km 지역에서 규모 2.9, 진도 Ⅴ의 지진이 발생하였다.
- 성남시 분당구 야탑역 인근 8층짜리 BYC 건물에서 대형화재가 발생했다.
-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일본의 대형 제철회사인 일본제철의 미국 제철회사 US스틸을 인수하는 안건에 대해 국가안보상 우려가 있다며 이를 저지하는 결정을 내렸다고 발표했는데 이에 대해 일본제철은 '법령 위반'이라며 미국 정부를 제소할 태세임을 밝히고 있었다.
- 1월 4일
- 이날 자정에 희생자 179명이 발생한 제주항공 2216편 활주로 이탈 사고로 인한 국가애도기간이 종료되었다.
- 전라남도 신안군 가거도 인근에서 선박 침몰 사고가 일어났다.
- 1월 6일
- 무기수 김신혜 사건을 일으킨 김신혜가 재심 끝에 결국 무죄를 선고받았다.
- 제주 유나이티드가 제주 SK FC로 새 엠블럼과 구단명을 공개했다.
- 인도네시아가 BRICS의 정회원국으로 가입했다.
- 1월 7일
- 중국 티베트 자치구 지역에서 규모 6.8, 진도 Ⅷ의 지진이 발생했다.
- 제12보병사단 훈련병 사망 사건의 주범 강유진 대위에게 징역 5년, 부중대장에게 징역 3년이 선고되었다.
- NVIDIA가 DLSS 4와 GeForce 50를 공개했다.
- 윤석열의 체포 영장이 재발부되어 기한이 연장되었다.
- 미국 로스앤젤레스를 비롯한 캘리포니아 남부에서 산불이 일어났다.
- 1월 8일
- 1월 9일
- 2024년 12월 29일에 사망한 미국의 제39대 대통령 지미 카터의 영결식이 이루어졌다.
- 박정훈 대령이 해병대 일병 사망 사고 외압 논란 관련하여 무죄를 선고받았다.
- 국민의힘 김민전 의원이 윤석열 체포 방어에 백골단을 투입하겠다고 발표해 논란이 되었다.
- 1월 10일
- 호세이대학 한국인 여학생 둔기 난동 사건이 일어났다.
- 1월 11일
- 교외선 여객열차의 운행이 재개되었다.
- 1월 13일
- 대혜성 C/2024 G3혜성이 -1등급 이상으로 육안 관측이 가능할 정도로 밝아졌다.
- 일본 미야자키현 미야자키시 남동쪽 22km 해역에서 규모 6.6, 진도 5-의 지진이 발생하였다.
- 1월 14일
- 고양 자유로 44중 추돌사고와 고양 서울문산고속도로 43중 추돌사고가 같은 날 동시에 일어났다.
- 1월 15일
- 12.3 비상계엄으로 내란 혐의를 받고 있는 윤석열 대통령이 체포되었다. 이는 헌정 사상 첫 현직 대통령 체포 사례다.
- 1월 16일
- Nintendo Switch 2가 공개되었다.
- 1월 17일
- 1월 18일
- 윤석열 대통령의 구속심문이 종료되었고, 이에 따라 구치소 앞쪽에 윤석열 대통령 지지자들의 집회로 인해 애오개역 인근이 혼잡해졌다.[76]
- 주쿠바 한국 대사관이 개관했다. 지난해 2월 14일 대한민국-쿠바 수교 이후 11개월 만이다.
- 1월 19일
-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 휴전 협정이 발효되었다. 두 나라는 42일의 1단계 휴전 기간에 돌입하였다.
- 윤석열 대통령이 구속되었다. 이는 헌정 사상 최초의 현직 대통령에 대한 구속 사례이다.
- 윤석열 지지자들이 대통령의 구속 소식에 분노하여 서울서부지방법원을 습격하는 폭동 사건이 일어났다. 이 역시 헌정사상 최초이며 이로 인해 서울서부지방법원 내/외부가 피해를 입었고, 89명이 체포되었다.
- 1월 20일
- 정오에 조 바이든의 미국 대통령 임기가 종료되었으며,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된 대통령 당선인 도널드 트럼프와 부통령 당선인 JD 밴스의 임기가 시작되었다.
- 이 날에 취임한 도널드 트럼프가 세계보건기구(WHO)와 파리기후변화협약을 탈퇴한다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으며 쿠바를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했다.
- 1월 21일
- 대만 자이현 남남동쪽 30km 부근에서 규모 6.4, 최대진도 6-의 지진이 발생했다.
- 블랙요원의 명단을 유출한 혐의를 받는 군무원에게 징역 20년이 선고되었다.
- 1월 22일
- 삼성 갤럭시 언팩 2025 행사가 개최되었으며 갤럭시 S25 시리즈가 공개되었다.
- 튀르키예 스키리조트 화재로 79명 사망한 참사가 일어났다.
- 부안군 격포항 수산시장 화재로 점포 11곳이 소실되었다.
- 1월 23일
- 일본 후쿠시마현 아이즈 지방에서 규모 5.2, 최대진도 5약의 지진이 발생했다.
- 일본의 아이돌 그룹 SMAP 출신 방송인 나카이 마사히로가 성폭행 사건에 연루되면서 연예계 은퇴를 선언했다.
- 이진숙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의 탄핵 심판이 기각되었다.
- 1월 24일
- 1월 25일
- 죽전휴게소 인근 경부고속도로에서 버스 4대가 연쇄추돌하며 1명이 중상을 입고 12명이 경상을 입는 사고가 일어났다.
- 대만 자이현 남남동쪽 34km 부근에서 규모 5.1의 지진이 발생했다.
- 1월 26일
- 검찰이 내란 혐의를 받고 있는 윤석열 대통령을 구속기소하였다.
- 2025년 미국-콜롬비아 외교 분쟁이 발생하였다. 이후 콜롬비아가 미국의 조건을 수용하여 일단락되었다.
- 1월 27일
- 중국의 AI DeepSeek가 앱스토어 1위를 차지하면서 돌풍을 일으켰다. 허나 밤 9시쯤에 서버가 터진 일이 벌어졌다.
- 이 날 대한민국에 한파와 폭설이 내려지면서 아래와 같은 사고들이 발생했다.
- 1월 28일
- 야시오시 교차로 도로 함몰 사고가 일어났다.
- 에어부산 391편 화재 사고가 일어나 3명이 경상을 입었다.
- 2024 SBS 연예대상에서 유재석이 최초로 방송사 20번째 대상을 차지했다.
- 1월 30일
- CGV 북수원이 폐점하였다.
- 포토맥강 상공 공중 충돌 사고가 일어나 탑승객 67명이 전원 사망했다.
- 대만 자이시 남동쪽 40.5km 부근에서 규모 5.6, 최대진도 5+의 지진이 발생했다.
- 1월 31일
-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소형 제트기가 추락해 탑승객 6명 전원과 지상 인원 1명이 사망했다.
11.1.2. 2월
| |
2025년 세계 무역 전쟁 | 대전 초등학생 피살 사건 |
|
김새론 사망 사건 |
- 2월 1일
- 국립한글박물관에 화재가 발생했다.
- 삼광호-33만선호 좌초 사고가 발생했다.
- 미국이 중국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했다. 중국이 보복관세로 대응하면서 무역전쟁이 발생했다.
- 2월 2일
- 롯데월드 어드벤처의 번지드롭과 회전그네, 머킹의 회전목마 등 3종류의 놀이기구가 운영을 종료하였다.
- CGV 성남모란이 폐점하였다.
- 무주군 덕유산 설천봉 상제루 쉼터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 대만의 배우이자 가수 및 DJ 구준엽의 배우자인 서희원이 독감으로 인한 폐렴으로 사망했다.
- 미국 조지 부시 인터컨티넨털 공항에서 유나이티드 항공 1382편(A319)이 이륙 직전, 우측 엔진(IAE V2500)이 폭발해 화재가 나 이륙을 중단한 사고가 일어났다.
- 2월 3일
- 산토리니 섬으로부터 36km 부근에서 규모 5.1, 최대진도 VII의 지진이 발생했다.
- 2월 4일
- 2월 5일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가자 지구를 점령해 소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에 반발하는 시위인 50501이 시작되었다.
- 2월 6일
- 스웨덴 교육시설에서 총기 난사 사건이 발생해 10명이 사망했다.
- 8광구에서 유전을 개발하겠다는 대왕고래 프로젝트가 사업성이 없어 백지화되었다.
- 2월 7일
-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이 개막했다.
- 새벽 2시 35분 34초 경, 대한민국 충청북도 충주시 북서쪽 22km 부근서 규모 3.1, 최대진도 V의 지진이 발생했다.
- 걸그룹 NewJeans가 ADOR와의 계약 해지 건 소송 중에 새 그룹명 NJZ를 발표했다.
- 트로트 가수 송대관이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 브라질 상파울루에서 항공기 추락 사고가 발생했다.
- 2월 8일
- 제4회 봉래제에서 ZUN 노쇼 논란이 발생했다.
- 영국 케이멘 제도 조지타운 남서쪽 209km 해역 부근서 규모 7.6, 최대진도 V의 지진이 발생해 멕시코 이슬라 무헤레스 섬에서 4cm의 쓰나미가 관측되었다.
- 2월 9일
- 2월 10일
- 대전 초등학생 피살 사건이 발생했다.
- 2월 12일
- 2025 AFC U-20 아시안컵 중국이 개막했다.
- 2월 13일
-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에서 차준환이 대한민국 사상 첫 남자 피겨 스케이팅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 타이중 신광산웨 백화점 폭발 사고가 발생했다.
-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왕등도 인근 해상에서 제2022신방주호에 화재가 발생했다.
- 2월 14일
- 부산 반얀트리 리조트 공사장 화재 사고가 발생했다.
- 2월 15일
- 2월 16일
- 메가박스 브로드웨이(신사)가 폐점하였다.
- 아역 배우 출신 배우 김새론이 서울 성동구 자택에서 향년 25세의 나이에 숨진 채로 발견되었다.
- 도시샤대학이 생전 해당 대학에 재학했던 시인이자 독립운동가 윤동주에게 순국 80주기를 맞아 명예박사 학위를 수여했다.
- 2월 17일
- 엔데버 항공 4819편 착륙 사고가 발생했다.
- 공덕역에서 기계 오류로 인한 정전이 일어났다.
- 2월 18일
- 2월 19일
- 문재인 정부 당시 벌어진 탈북 어민 강제북송 사건 1심에서 정의용 전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전 국가정보원장이 징역형의 선고를 유예받았다. #
- 애플이 iPhone 16e를 공개하였다.
- 마라나 리저널 공항 상공 공중 충돌 사고가 발생했다.
- 모바일 기반 블록체인 프로젝트 파이코인이 메인넷 오픈 상장을 앞두고 있었다.
- 2월 20일
- 2월 21일
- 2월 22일
- 프란치스코 교황은 폐렴으로 입원 치료를 받던 도중 호흡곤란 증세를 겪었고, 낮은 적혈구 수치로 인해 수혈을 받는 등 예후를 장담할 수 없는 위중한 상태라고 교황청이 밝혔다.
- 2월 23일
- 제21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에서 독일 기독교민주연합과 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이 28.5% 득표율로 승리를 차지했다.
- 2월 24일
- 202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 2025년 경산 시내버스 개편이 시행되었다.
- 프란치스코 교황에게 초기 신장 부진이 발생했다는 사실이 혈액 검사 결과로 알려졌다.
- 2월 25일
- 진에어 371편 회항 사고가 발생했다.
- 세종포천고속도로 인근 공사현장에서 교각이 붕괴되어 최소 4명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 2025년 수단 공군 An-26 추락 사고가 발생했다.
- 미드웨이 국제공항 니어미스 사고가 발생했다.
- 윤석열 대통령 지지자 20만명의 탄핵 반대 청원이 헌법재판소로 제출되었다.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를 기준 3.0%에서 2.75%로 추가 인하했다.
- 2월 26일
- 제55대 대한축구협회장 선거가 치러졌고 정몽규가 4선에서 당선되었다.
- 인스타그램 릴스 알고리즘 검열 논란이 벌어졌다.
- 김태영 전 국방부장관이 항년 76세로 사망했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EB-5 비자 대신 골드카드를 운용할 것이라는 계획을 밝혔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철강, 알루미늄, 구리원광, 구리 정광, 구리 합금 등에 대한 관세 부과를 예고했다.
- 대명소노그룹이 티웨이항공 지분의 46.26%(2500억원)를 인수했다.
- 인도네시아 modisi 동쪽 44km 해역서 규모 6.1, 최대진도 5의 지진이 발생했다.
- 인천 서구 빌라 화재 사건이 일어났다.
- 2월 27일
- 유우키의 일본이야기 채널의 운영자이자 유튜버인 유우키가 코스어 밀키로부터 성추행 무고 피해를 당한 사건이 일어났다.
- 카트라이더: 드리프트가 전 세계 콘솔 및 모바일, 대한민국·대만을 제외한 지역의 PC 버전 한정으로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 김포국제공항 외곽 화재가 발생했다.
- 2월 28일
11.1.3. 3월
| |
윤석열 전 대통령 석방 | 3월 전국 동시다발 산불 |
- 3월 1일
- 3월 3일
- 제97회 아카데미 시상식이 진행되었다.
- 3월 4일
- 2025학년도 개학과 동시에 2022 개정 교육과정이 초등학교 3~4학년과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에 첫 적용되었다.
- 홈플러스가 신용등급 하락으로 인한 잠재적 자금이슈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4일 오전 서울회생법원에서 기업회생절차 개시를 신청했다고 밝혀졌다.
- 영국 등 유럽 지역 장기체류자에 대한 헌혈 제한이 완화되어 1980년~1996년까지 영국에 3개월 이상 체류한 경우, 1980년~2001년까지 프랑스, 아일랜드에 5년 이상 체류한 경우, 1980년 이후 영국, 프랑스, 아일랜드 지역에서 수혈을 받은 경우에만 헌혈을 금지하도록 기준이 변경되었다.
- 3월 5일
- Radeon RX 9000 시리즈가 출시되었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의회합동연설을 했다. 연설 도중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방해한 엘 그린 민주당 상원의원이 퇴장당했다.
- 3월 6일
- 울산광역시에서 약한 비로 젖은 커브길에서 사고가 발생해 4명이 사망하고 1명이 다치는 사고가 발생했다.
- 경기도 포천시에서 KF-16 전투기가 Mk.82 항공 폭탄 8발이 비정상 투하되어 사격장 외부지역에 낙탄되는 사고가 일어났다.
- 손연재 리프스튜디오 대표가 대한체조협회 이사로 선임되었다.
- 3월 7일
- ADOR가 NewJeans를 상대로 제기한 기획사 지위 보전 및 광고 계약 체결 등 금지 가처분 심문이 열렸다.
- 윤석열 대통령 변호인단이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제출한 윤석열 대통령 구속 취소 의견서가 인용되었다.
- 인천발 푸꾸옥행 VJC975편이 기체결함으로 제주국제공항에 비상착륙했다.
- 3월 8일
- 윤석열 대통령이 석방되었다.
- 3월 9일
- 국내 최후의 그랜드백화점이었던 그랜드백화점 일산점이 폐점하면서 그랜드백화점이 없어지게 되었다.
- 3월 10일
- 가수 휘성이 서울특별시 광진구 자택에서 향년 43세의 나이에 숨진 채로 발견되었다.
- 배우 김수현과 김새론의 열애설과 미성년자 교제 의혹이 제기되었다.
- 3월 11일
- 신주쿠구 인터넷 방송인 살해 사건이 발생했다.
- 일본의 가수이자 배우 이시다 아유미가 향년 76세로 사망했다.
- 필리핀의 제16대 대통령 로드리고 두테르테가 귀국 후 마약과의 전쟁 과정에서 벌어진 대량학살 혐의로 국제형사재판소(ICC)에 의해 체포되어 네덜란드 헤이그에 수감되었다.
- 3월 12일
- 대전 초등학생 피살 사건 피의자 명재완의 신상이 공개되었다.
- 미국 항공 우주국과 한국천문연구원이 공동 개발한 우주망원경 sphereX가 우주로 발사돼 교신에 성공했다.
- 3월 13일
- 3월 14일
-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서비스가 전국에서 시행되었다.
- 청도 산불을 시작으로 전국에서 산불이 연달아 발생하기 시작했다.
- 3월 15일
- 이륜자동차 검사 제도가 도입되었다.
- 중국 남부 J-15 추락사고가 발생했다.
- 3월 16일
-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교회에 화재가 발생해 6명이 대피했다.
- 북마케도니아 나이트클럽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59명이 사망하는 일이 일어났다.
- 3월 17일
- 경상북도 울진군 시내버스 요금이 0원으로 조정되었다.
- 경기도 김포시 풍무동의 한 식품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 경기도 양주시에서 한 무인기가 계류 중인 헬기와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 김용현이 내란죄 공판서 18분간 비상계엄의 정당성에 대해 발언했다. 하지만 발언 도중, 검찰에서 윤석열 대통령을 ‘대통령 윤석열’이라고 부르자 김용현은 ‘윤석열 대통령’이라고 불러야 한다고 항의하였고, 이로 인해 고성이 오가다 결국 교도관에 의해 퇴장당하는 일이 발생했다.
- 온두라스에서 에어로리네아 란사 18편 추락 사고가 발생했다.
- 3월 18일
- 나무위키에서 오전 9시 10분 경부터 약 한 시간 동안 접속 장애가 발생했다. 접속 장애가 발생하며 나무위키 접속 시도시 '502 bad gateway' 또는 '504 gateway timeout'이라는 문구가 표시된 것으로 알려졌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이번 나무위키 접속 오류 사건은 방통위와 무관하다"라는 입장을 발표했다.
- 최상목 대한민국 대통령 권한대행이 방통위법 개정안에 9번째 거부권을 행사하였다.
- 이준석이 원내 정당으로는 처음으로 개혁신당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로 확정되었다.
- 3월 20일
- 국민연금 개혁안이 여야 합의로 타결되었다. 보험료율은 현행 9%에서 13%로, 소득대체율은 현행 40%에서 43%로 인상하기로 했다.
- 울산광역시의 한 수소 탱크가 폭발해 2명이 피해를 입었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교육부 해체를 요구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 한미연합훈련 자유의 방패 연습이 종료되었다.
- 홍콩항공 115편 화재 사건이 발생했다.
- 3월 21일
- 최상목 기획재정부장관 탄핵소추가 발의되었다.
- 미국 대통령이 차세대 전투기인 F-47을 공개하였다.
- 대구광역시 중리동 자동차부품 공장에서 화재가 일어났다.
- 3월 22일
- 2025년 3~4월 전국 동시다발 산불이 전국 여러 곳으로 퍼져나가 정점에 도달했다.
- 3월 23일
- 3월 24일
-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 심판이 기각되었다.
- NewJeans가 재판 결과에 따라 활동 중단을 선언했다.
- 서울특별시 강동구 대명초교 입구 교차로에서 싱크홀 사고가 발생해 오토바이 운전자 1명이 사망했다.
- 3월 25일
- 일본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종교법인 해산 재판의 1심 선고가 내려졌다. 도쿄지방재판소는 종교법인 해산을 명령했으며 통일교 측은 즉각 항소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 의성발 경북 산불으로 인해 주민 대피령이 내려졌고 고운사 건물이 전소되었다.
- 안성시, 대전광역시, 충청남도에서 강풍에 타워크레인이 떨어지고 지붕 패널이 떨어져 전선을 건들여 화재가 나는 등 강풍으로 인한 사건사고가 많았다.
- 3월 26일
- 이재명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형사 재판의 항소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다.
- 한덕수 대한민국 대통령 권한대행은 영남권 산불이 역대 최악이라고 밝혔다.
- 산불을 진화하던 소방헬기가 추락해 조종사 1명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 ChatGPT 중 GPT-4o의 이미지 생성 기능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업로드한 이미지 파일을 스튜디오 지브리의 화풍으로 바꾸는 유행이 일으켰다.
- 3월 27일
- 3월 28일
- 미얀마 만달레이 서북서쪽 17km 지역에서 규모 7.7, 최대진도 IX 지진이 일어나며 최소 5,350명 이상이 사망했다.
- 2025년 의성발 경북 산불 발화 149시간만에 주불이 진화되었다.
- 3월 29일
- 진화된 2025년 의성발 경북 산불이 재발화했다.
- 도봉역에서 벤츠 차량이 근처 도로에서 난동을 부리는 사건이 일어났다.
- 창원NC파크 구조물 추락 사고가 일어나 20대 여성 관중 한 명이 사망한 일이 벌어졌다.
- 3월 30일
- 통가 Pagai 남남동쪽 79km 해역서 규모 7.0, 최대진도 VI의 지진이 발생했다.
- 3월 31일
- TGI Fridays가 한국에서 철수하였다.
- CGV 광주터미널과 CGV 창원이 동시에 폐점하였다. CGV 광주터미널이 폐점한 이유는 유스퀘어 문화관이 광주신세계로 인수돼서 광주신세계 Art & Culture Park로 재건축하기 때문이다.
- LG U+의 스포츠 서비스인 스포키의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가좌역이 침수되어 열차 운행이 중단되었다.
- 광주광역시의 한 어린이집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5명이 연기를 흡입하여 병원으로 긴급 이송되었다.
- 주요 의과대학에 의대생이 복귀하였다.
- 김수현-김새론 교제 관련 논란이 있는 김수현이 기자회견을 열였다.
- 성폭행 혐의를 받고 있는 장제원 전 의원이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되었다.
11.1.4. 4월
| |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 프란치스코 교황 사망 |
|
SK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 사고 |
- 4월 1일
- 애플의 Apple Intelligence와 나의 찾기 서비스가 대한민국에 정식으로 도입되었다.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전 노선에 현금 없는 시내버스가 시행되었다.
- 4월 2일
- 2025년 재보궐선거가 치러졌다.
- 강릉 옥계항 외국 선박 마약 의혹 사건이 발생하였다.
- Nintendo Switch 2의 닌텐도 다이렉트가 공개되었다.
- 4월 3일
- NewJeans의 전속 계약 유효 확인 소송 변론 기일이 열렸다.
-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발 상호관세가 미국의 주요 교역상대국들에 부과되었다.
-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이 주식회사 태평염전에 대해 강제노동을 이유로 천일염 제품을 압류하고 수입을 원천 차단하는 인도보류명령(WRO)[77]을 발령했다.
- 수도권 전철 3호선 안국역이 도시철도법 제36조에 의거 임시 휴업(전면 폐쇄)이 결정되었다.
-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으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을호비상을 발령했다.
- 4월 4일
- 곽종근 전 사령관이 보석 석방되었다.
- 헌법재판소가 재판관 8명 만장일치로 윤석열 전 대통령을 파면했다.[78]
- 전국 경찰에 최고비상대기인 갑호비상이 발령되었고 헌법재판소 주변 150m 이내는 접근이 통제되었다. 지하철 안국역은 무정차 통과되었다. 인근 15개 학교들은 임시 휴교했다.
- KBS, MBC, SBS 등 지상파 방송국들은 모든 정규 프로그램을 중단하고 종일 뉴스를 편성했다.
- 폭동 발생 시 대응할 수 있도록 갑호비상이 발령되었다.
- 카프리썬의 종이 빨대가 다시 플라스틱 빨대로 환원되었다.
- 4월 5일
- 파푸아뉴기니 킴베 동남동쪽 194km해역서 규모 6.9, 최대진도 VI의 지진이 발생했다.
- 중국이 희토류 수출을 통제하기 시작했다.
- 미국이 기본관세 10%를 발효했다.
- 남원 호성사에 화재가 발생해 대웅전이 전소했다.
- 경찰이 갑호 비상을 을호 비상으로 하향 조정하였다.
- 4월 6일
- 4월 7일
- 여수시의 한 화력발전소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 대한민국 전국 동시다발 산불이 지속된 가운데 하동에서 산불이 일어났다.
- 4월 8일
- 한덕수 대한민국 대통령 권한대행이 마은혁 헌법재판소 재판관 후보자를 헌법재판소 재판관으로 임명하였다.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4월 18일 임기가 만료되는 문형배, 이미선 헌법재판소 재판관의 후임으로 이완규, 함상훈을 지명하였다.
- 원/달러 환율이 33.7원 급등하며 코로나-19 사태 이후 최대폭을 경신하였다.
- 공정거래위원회가 에이스침대에 대하여 ‘유해성 항균제 포장 거짓광고’로 시정 명령과 제재를 부과하였다.
-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제21대 대통령 선거와 관련하여 긴급대책회의를 개최하였다.
- 2024-25 V-리그 챔피언 결정전에서 흥국생명 배구단이 우승을 차지하면서 김연경이 은퇴하게 되었다.
- 도미니카 공화국에서 제트세트 나이트클럽 붕괴 사고가 발생했다.
- 4월 9일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의 대통령 몫 헌법재판소 재판관 지명이 위헌으로 확인되었고 헌법소원이 접수되었다.
- 김여정 조선로동당 부부장이 "한미일 외교장관이 발표한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는 실행 불가능한 망상에 불과"하다는 성명을 발표하였다.
- 미국에서 공개한 상호관세 행정명령이 발효되었다. 중국에 대하여는 보복조치에 대한 재보복으로 앞선 4월 3일 발표보다 더 높은 상호관세율을 적용하여 104%의 추가관세를 발효한다고 밝혔다.
- 4월 10일
- 전주역에서 멀지 않은 지점에서 오전 4시 30분 경 한 화물열차가 탈선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그 여파로 복구가 완료된 7시까지 전주-익산을 오가는 버스가 대체 운행되었다.
- 서울 지하철 7호선 숭실대입구역에서 화재 발생이 의심되는 연기가 발생하여 열차가 무정차 통과하였다.
- 대한민국과 시리아가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이로써 대한민국은 북한을 제외한 모든 유엔 정회원국과 수교를 하게 되었다.
- 초대 천주교 안동교구 교구장이었던 두봉 레나도 주교가 선종하였다.
- 4월 11일
- 광명 신안산선 공사현장에서 도로 붕괴 사고가 발생해 인근 주민에 대피령이 내려졌으며, 결국 1명이 사망하고 3명이 다쳤다.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월롱역~금촌역 구간에서 탈선사고가 발생했다.
- 미국 뉴욕의 허드슨강에 헬기가 추락하며 6명이 사망했다.
- 제주 4.3 사건 기록물과 산림녹화 기록물이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 고성 비무장지대에 산불이 발생하여 북측에 안내방송 송출 후 소방헬기를 투입하여 산불을 진화했다.
- 4월 12일
- 전국에 90km/h 이상 강한 태풍급 강풍이 예상되며 전국에 강풍특보가 발효되었다.
- 대한민국 전국 동시다발 산불이 끝나가는 가운데 김천에서 산불이 일어났다.
- 수도권 전철 4호선 동대문역 지하 상가에서 화재가 발생해 4호선 양방향 열차가 30분가량 무정차 통과했다.
- 2025 오사카·간사이 엑스포 개회식이 열렸다.
- 4월 13일
- 2025 오사카·간사이 엑스포가 이날부터 시작되어 같은 해 10월 13일까지 진행된다.
-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장동에서 가로 5m, 세로 3m, 깊이 3~4m로 추정되는 싱크홀이 발생했다. 그리고 같은 날 서울특별시 마포구 애오개역 앞 차로에서도 지름 40cm, 깊이 1.3m 정도의 싱크홀이 발생했다.
- 타지키스탄 Rahust 동쪽 25km 부근서 규모 5.9, 최대진도 VII의 지진이 발생했다.
- 뉴욕타임즈는 중국이 정제된 6종류의 희토류와 희토류 자석의 수출을 중단하였다고 보도하였다.
- 4월 14일
- 윤석열 대통령 내란우두머리 혐의 재판의 1차 공판기일이 열렸다.
- 4월 15일
- 미국 에너지부가 민감국가 및 기타국가 명단에 대한민국을 포함하였다.
- 용인 수지구 일가족 존속살인 사건이 발생하였다.
- 4월 16일
- 걸그룹 NewJeans의 이의신청이 기각되어 독자활동 금지 결정이 유지되었다.
- 한덕수가 지명한 헌법재판관 이완규, 함상훈에 대한 임명 절차가 중단되었다.
- 부산경찰청 사격장 총기 오발 사고가 발생했다.
- 4월 17일
- 정부가 내년 입학할 의대 정원을 증원 이전인 3058명으로 되돌리기로 했다.
- KBS 수신료를 전기요금에 통합하여 징수하는 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 4월 18일
- 4월 19일
- 4월 21일
- 서울특별시 관악구에서 봉천동 아파트 방화 사건이 발생했다.
-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우두머리 혐의 재판 2차 공판이 진행되었고, 1차 공판과는 달리 법정 내부가 공개되었다.
- 프란치스코 교황이 사망하였다.
- 칠레에서 건설 중인 중국 소유 수력발전소가 무장괴한의 공격을 받았다.
- 전라남도 영광군의 한돈시대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 4월 22일
- SK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 사고가 일어났다.
-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의 어느 아파트에서 옹벽이 붕괴해, 차량 6대가 빠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 미국 올랜도 공항에서 이륙을 앞두고 있던 델타 항공기에 화재가 발생해 승객들이 긴급 대피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 서울특별시 강북구에서 미아역 인근 마트 흉기난동 사건이 발생하였다.
- 인도 카슈미르 지역에서 대규모 총기 난사 테러 사건이 발생하여 26명이 사망하고 17명이 부상을 입는 사건이 일어났다.
- 전라남도 화학산 부근에서 127m 풍력발전기가 휘어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 4월 23일
- 체육시설 휴업·폐업 시 사전 통지가 의무화되었다.
- 4월 24일
- 4월 25일
- 4월 26일
- 4월 27일
- 제21대 대통령 선거 더불어민주당 경선에서 이재명 후보가 누적득표율 합산 89.77%을 기록하며 대선후보로 최종 선출되었다.
- 4월 28일
- 2025년 캐나다 연방 선거가 시작되었다.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에서 오송고등학교 흉기난동 사건이 발생했다.
- 대구광역시 함지산에서 산불이 일어났다. 또한 역대 최초로 대구광역시에 산불 대응단계 중 최고단계인 3단계가 발령되었다.
- 대구광역시 동구의 목재 가공창고에서도 화재가 났다.
- 스페인, 포르투갈, 프랑스 일부 지역에서 대규모 정전 사태가 일어났다.
- 4월 29일
- 국민의힘 경선에서 한동훈과 김문수가 최종 후보로 선정되었다. 홍준표는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
- 경상북도 고령군 운수면 봉평리의 한 야산에서 산불이 일어났다.
- 중국 랴오닝성 랴오양시에서 대규모 식당 화재로 22명이 사망하고 3명이 부상당한 사고가 발생했다.
- 4월 30일
11.1.5. 5월
| |
<rowcolor=#ffffff> 이주호 권한대행 체제 출범 | 김문수 후보 교체 시도 사건 |
| |
2025년 인도-파키스탄 분쟁 | 2025년 콘클라베 |
- 5월 1일
- 강북삼성병원이 '삼성강북병원'으로 병원명을 변경했다.
- 경상남도 산청군 시내버스 요금이 0원으로 조정되었다.(삼사 소속 시내 면허노선 포함)
- 2025년 영국 지방선거가 시작되었다.
- 이재명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형사 재판의 상고심에서 파기환송이 선고되었다.
- 16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사퇴했다.
- 최상목 부총리가 새 권한대행으로 예상됐지만, 같은 날 탄핵소추안이 국회 법사위를 통과되었고 본회의 투표 전 최상목이 밤 10시 28분 사의를 표명하여 수리되었다.
- 이에 따라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이 대통령 권한대행직을 맡아 이주호 권한대행 체제가 출범하게 되었다. 대통령직 승계 서열 3위가 권한대행을 맡은 것은 1960년 허정 내각 이후 헌정사상 두번째이다.
- 5월 2일
- 한덕수가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했다.
- 롯데월드 인근 롯데마트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 5월 3일
- 5월 4일
- 5월 5일
- Skype가 서비스 종료되었다.
- 전라남도 완도군의 한 리조트에서 일산화탄소 누출 사고가 일어났는데 이 사고로 어린이, 투숙객 등 14명이 병원으로 옮겨졌다.
- 정의당이 당명을 민주노동당으로 변경했다.
- 백종원이 그동안의 논란에 대해 사과하고 현재 촬영중인 것을 제외한 나머지 방송 활동을 중단하겠다고 발표했다.
- 충청남도 태안군 북서쪽 52km 해역에서 규모 3.7, 최대진도 IV의 지진이 발생했다.
- 5월 6일
- 5월 2일부터 부산에서 열린 2025 세계라면축제가 부실한 운영으로 뒤늦게 논란이 되기 시작했다. ##
- 5월 7일
- 2025년 인도-파키스탄 분쟁이 시작되었다.
- 2025년 콘클라베가 진행되어 레오 14세가 제267대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 이재명 대통령 후보의 공판이 6월 18일로 연기되었다. 이에 서울고법 형사7부는 "대통령 후보인 피고인에게 균등한 선거운동의 기회를 보장하고 재판의 공정성 논란을 없애기 위해 재판기일을 대통령 선거일 후로 변경했다"고 밝혔다.
- 5월 8일
- 5월 9일
- 5월 10일
- 경기도 연천군 북북동쪽 5km 지역에서 규모 3.3, 최대진도 IV의 지진이 발생했다.
- 김문수 후보 교체 시도 사건이 발생했다. 그러나 후보 재선거의 당원 투표에서 다수의 반대표가 나와 부결되면서 후보 교체는 무위로 끝났다.
- 5월 12일
- 제21대 대통령 선거의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되면서 예비군 훈련과 민방위 교육이 중단되었다.
- 5월 13일
- 서해안고속도로 불갑산IC 서울 방향이 개통되었다.
- 강릉 티볼리 에어 페달 오조작 사고 1심에서 페달 오조작으로 판결되었다.
- 주호민의 아들을 학대한 혐의를 받는 특수교사가 항소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다.
- 이천의 한 물류창고에서 큰 화재가 발생했다.
- 강남역 인근 15층 빌딩 옥상에서 투신 소동이 발생했다. #
- 제887어진호 침몰 사고가 발생했다.
- 최정이 KBO 리그 사상 최초로 통산 500홈런을 달성했다.
- 5월 15일
- '세종대왕 나신 날'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되었다.
- 2022년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 징계 사건에서 국민의힘이 3년여만에 징계를 취소했다.
- 5월 16일
-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국가 사이버위기 경보가 '관심'에서 '주의'로 상향되었다.
- 5월 17일
- 광주 금호타이어 공장에서 대형 화재가 발생했다.
- 윤석열 전 대통령이 국민의힘에서 탈당했다.
- 미국 국가신용등급이 ‘Aaa’→‘Aa1’ 하향 조정되었다.
- 미국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의 한 교도소에서 수감자 10명이 변기 뒤 구멍을 통해 집단 탈옥했다. 3명은 체포됐으나 살인 혐의 수감자를 포함한 7명은 도주했다.
- 5월 18일
- 레오 14세 교황이 즉위미사를 하며 교황으로서 공식적 직무를 시작했다.
- 구주와 자유통일당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가 대통령 후보직을 사퇴했다. #
- 경제분야 21대 대선 후보자 토론회가 진행되었다.
- 멕시코 해군훈련함이 뉴욕 다리와 충돌해서 2명이 사망했고 19여명이 부상을 입었다. #
- 조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이 전립선암을 진단받았다.
- 5월 19일
- 5월 20일
- 일본 오사카 44층 아파트에서 앞에 사람이 추락했다는 신고를 받고 출동한 구급대원들은 현장에서 남성 2명이 쓰러져있는 것을 발견해 병원으로 긴급 이송했으나 모두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 SK텔레콤의 사건에 대해 서울남대문경찰서에서 조사가 들어갔다.
- 서울영등포경찰서는 더불어민주당 중앙당사 인근 노상에서 흉기를 소지한 남성을 체포했다.
- 미국 텍사스 주 댈러스에서 큰 우박이 내려 피해를 입었다.
- 조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의 암 진단 2일만에 암이 뼈로 전이되었으며, 암 4기 판정을 받았다.
- 5월 21일
- 손웅정이 아동학대혐의로 출전정지 징계를 받았다.
- 주미 이스라엘 대사관 직원 피살 사건이 벌어졌다.
- 5월 22일
- 제주 중학교 교사 사망 사건이 일어났다.
- 토트넘 홋스퍼 FC가 유로파 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며, 주장 손흥민은 프로 데뷔 15년 만에 드디어 무관에서 탈출했다.
- 미국 샌디에이고의 해군 소유 주택 단지에 경비행기가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 5월 23일
- 5월 26일
- 홍범도 흉상 이전 계획이 1년 9개월 만에 최종적으로 철회되었다.
- 리버풀 FC 우승 퍼레이드 차량돌진 사고가 발생하여 27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 북한 해커와 불법 접촉하여 불법 도박사이트를 만든 뒤 국내에 유통한 도박사이트 분양조직 총책이 구속 상태로 재판에 넘겨졌다.
-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은 정상회의에서 동티모르의 가입 프로세스를 신속히 진행할 것을 확인했다.
- 태국-캄보디아 국경 분쟁이 벌어졌다.
- 5월 27일
- '우주항공의 날'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되었다.
- 쥬니어네이버가 26년 만에 서비스를 종료하면서, 대한민국의 모든 어린이 포털 사이트가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 정치분야 21대 대선 후보자 토론회가 진행되었다.
- 한덕수와 최상목, 이상민이 내란 가담 혐의로 출국 금지되었다.
- 5월 28일
- 부산과 창원의 시내버스 총파업이 시작되었다.
- 서울 을지로의 노후 상가와 충남 서산의 한 모텔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 유시민 설난영 비하 발언 사건이 발생했다.
- 제주항공 2217편 활주로 이탈 사고가 발생했다.
- 5월 29일
- 메이플스토리2가 한국 서비스 기준으로 서비스 종료되면서 한국을 비롯한 모든 지역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 서울시립사진미술관이 개관되었다.
- 포항경주공항에 착륙하던 해군 P-3 오라이언 해상 초계기가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 5월 30일
- 개혁신당 이준석 대통령 후보의 이준석 젓가락 발언 논란으로 인해 이준석 의원직 징계안이 접수되었다.
- 5월 29일 ~ 30일 진행된 제21대 대통령 선거 사전투표율은 지난 대선보다 2.19% 낮은 34.74%로 집계되었다.
- 뉴스타파에서 극우 단체 리박스쿨의 여론조작 의혹이 보도되었다.
- 5월 31일
- 메가박스 용인기흥이 폐점하였다.
- 서울 지하철 5호선 방화 사건이 발생했다.
11.1.6. 6월
| |
제21대 대통령 선거 | 이재명 정부 출범 |
| |
미국 불법체류자 단속 반대 시위 | 2025년 이스라엘-이란 분쟁 |
- 6월 1일
- 2025 UEFA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에서 PSG가 인터 밀란을 5:0으로 대파하며 창단 첫 우승을 차지하였다.
- 서울 노원구 수락산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 폴란드 대통령 선거에서 카롤 나브로츠키가 당선되었다.
- 한일 전용 입국심사대 제도가 6월 30일까지 시범 시행되었다.
- 6월 3일
- 제21대 대통령 선거가 치러졌다.
- 네덜란드 연립정부가 이민정책에 대한 이견에 출범한 지 11개월 만에 붕괴되었다.
- 파키스탄 카라치 지역의 한 교도소에서 한밤중 지진이 발생하자 수감자 216명이 탈옥한 사건이 일어났다. 탈출 과정에서 한 명의 죄수가 사망하고 두 명의 교도관이 부상자가 발생했는데 수색 작업이 진행 중이며 수감자 80명이 다시 체포되었다.
- 인도네시아 중앙파푸아주 한 교도소에서 무장 단체인 웨스트 파푸아 민족해방군 소속 11명을 포함한 19명의 수감자가 탈옥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그 과정에서 교도관 3명이 부상당했다.
- 6월 4일
- 이재명이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으로 취임하면서 이재명 정부가 출범했다.
- 마트산업노동조합 홈플러스지부가 4일 이재명 대통령에게 공개편지를 보내 정부가 기업회생절차를 밟고 있는 홈플러스의 대규모 폐점을 막아줄 것을 호소했다.
- 6월 5일
- Nintendo Switch 2가 전 세계[79]에 발매되었다.
- 용인시 천공기 전도 사고가 일어났다.
- 6월 6일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11회 연속 월드컵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 제70회 현충일 추념식이 진행되었다.
-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불법체류자 단속 반대시위가 시작되었다.
- 6월 7일
- 충청권 및 청주시에서 처음으로 코믹월드 행사가 개최되었다.
- 북한에서 인터넷 대규모 접속장애 사태가 발생했다.
- 신림선 샛강역에서 전동 휠체어를 탄 60대 남성이 선로로 추락해 부상을 입었고 운행이 1시간 가량 전면 중단되었다가 재개되었다.
- 6월 8일
- 6월 9일
- YES24 마비 사태가 일어났다.
- 6월 10일
- 박종철 열사 고문치사 사건이 있었던 (구)남영동 대공분실에 민주화운동기념관이 개관했다.
- 조계사 옆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건물 2층에서 화재가 발생했으나, 다행히 국보 9점 등 유물 33점은 피해를 보지 않았다.
- 공정거래위원회가 티빙과 웨이브의 기업결합(합병)에 대해 조건부 승인 결정을 내렸다.
- 6월 11일
- 오전 9시 경 2025년 1호 태풍 우딥이 발생했다.
- 오후 2시부로 이재명 대통령의 지시하에 우리 군이 전방 지역에서 진행하던 대북 확성기 방송을 중지했다.[80]
- 오스트리아의 한 고등학교에서 총기난사 사고가 발생했다.
- 6월 12일
- 합동참모본부는 “12일 북한의 대남 소음 방송이 청취된 지역은 없다”고 밝혔다. #
- 에어 인디아 171편 추락 사고가 발생했다.
- 제트블루 312편 활주로 이탈 사고가 발생했다.
- 6월 13일
- 이스라엘군이 이란 내의 핵시설과 핵과학자, 수뇌부를 목표로 공습을 감행하였다.
- 오광수 민정수석이 임명 5일만에 사의를 표했고 이 대통령이 이를 수용했다.
- 대치 은마아파트의 배수로 공사 중 노동자 2명이 매몰되어 1명이 사망하고, 1명이 부상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 더불어민주당의 새 원내대표로 3선의 김병기 의원이 당선됐다. #
- 이재명 대통령이 내란 특검에 조은석, 김건희 특검으로 민중기, 채 상병 특검으로 이명현을 지명함으로써 본격적으로 3대 특검이 출범했다.
- 에어 인디아 379편 회항 사고가 발생했다.
- 경기도 광명시 인근 군부대에서 탄약고 외곽 철조망이 끊긴 것을 발견되어 경찰이 수사에 들어갔다.
- 6월 14일
- 조은석 내란 특검이 서울고검에 사무실을 요청했다.
- 미네소타 주 의원 암살사건이 발생했다.
- 6월 15일
- G7 카나나스키스 정상회의가 캐나다에서 개최되었다.
- 6월 16일
- 이재명 대통령이 공군 1호기를 탑승하고 G7 정상회의가 개최되는 캐나다로 출국했다.
- 지귀연 재판부는 김용현의 보석신청을 허가했다.
- 국민의힘의 새 원내대표로 3선의 송언석 의원이 선출되었다.
-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티머니 태그리스 결제가 시범운영되었다.
- 6월 17일
- 북한이 러시아에 공병 병력 6,000여명을 파견하기로 결정했다.
- 조은석 내란특검이 김용현을 공무집행방해과 증거인멸 혐의으로 추가 기소하였는데 또한 법원에 신속히 구속영장을 요청할 계획이라 밝혔다.
- 6월 19일
- 제1차 니케아 공의회 17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니케아(現 튀르키예 이즈니크)의 동방 정교회와 가톨릭의 공의회가 열렸다.
- 6월 20일
- 부산콘서트홀이 개장되었다.
- 대한민국의 K-POP 아이돌을 소재로 하는 최초의 해외 제작 애니메이션인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공개되었다.
- 6월 21일
- 간호법이 시행되었다.
- 방탄소년단이 전원 군복무를 마치게 됨으로써 2년 6개월 만에 완전체로 모였다.
- 부산 고교생 3명 사망사건이 발생했다.
- 6월 22일
- 미군이 이란의 포르도 등 3곳의 핵시설을 직접 타격하며 2025년 이스라엘-이란 분쟁에 참전했다.
- 시리아 다마스쿠스의 마르 엘리아스 교회에서 이슬람 테러리스트가 총기를 난사하고 폭탄을 폭발한 테러 사건이 발생해 25명 이상이 사망했다.
- 6월 24일
- 울산고속도로의 범서IC가 개통되었다.
- 숙명여자대학교가 김건희의 석사 학위를 취소했다.
- 부산진구 아파트 화재 사고가 발생했다.
- 6월 25일
- 6월 26일
- modoo!가 서비스 종료를 하였다.
- 롯데마트 구리점이 재개점하였다.
- 고세구 팝업스토어 테러 예고 사건이 발생했다.
- 6월 27일
- 오징어 게임 시즌 3이 공개되었다.
- 커넥트현대 청주가 개점하였다.
- 이재명 대통령이 헌법재판소장으로 김상환 전 대법관, 신임 헌법재판관으로 오영준 전 서울고법부장판사를 지명했다.
- 국민주권정부 최초의 부동산 정책인 6.27 대책이 전격적으로 시행됐다. 뉴스
- 교대역에서 배관 파손으로 인한 가스 누출 사고가 발생했다.
-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이 뉴욕타임스 선정 21세기 최고의 영화 1위에 선정되었다.
- 가나가와현 토막살인사건의 범인 시라이시 타카히로의 사형이 집행되었다.
- 6월 28일
- 오전 9시 50분 윤석열이 지하주차장이 아닌 서울고검 현관을 통해 처음으로 내란특검 대면조사에 출석했다. #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연장구간인 계양역~검단호수공원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 수도권 전철 요금이 1400원에서 1550원으로 인상되었다.
- 일본 와카야마현 어드벤처 월드의 판다 4마리가 계약 기간 만료로 중국에 반환되었다.
- 경주월드에 타임 라이더가 개장하였다.
- 6월 29일
- 6월 30일
- 현대백화점 디큐브시티점이 이날 영업을 마지막으로 폐점하였다.
- 성북동 별서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
- 부산 러브버그 방생 사건이 발생했다.
11.1.7. 7월
| |
윤석열 전 대통령 재구속 | 2025년 7월 한반도 폭우 사태[81] |
| |
2025년 태국-캄보디아 국경 분쟁 | 2025년 캄차카반도 해역 지진 |
- 7월 1일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한상IC가 개통되었다.
- 스트레스 DSR 규제가 3단계로 시행되었다.
- 문화비 소득공제 대상이 확대되었다.
- 경상북도 영양군 농어촌버스에 교통카드 제도를 실시하였다. 이로써 대한민국에서 교통카드 음영 지역이 사라졌다.
-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과 충청북도 보은군 농어촌버스 요금이 0원으로 조정되었다.[82]
- 심우정 검찰총장이 사퇴했다.
- 7월 2일
- 강릉대관령휴게소 차량 돌진 사고가 발생했다.
- 경기도 구리시 교문동의 한 교회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
- 7월 3일
- 김민석 국무총리 인준안이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됐다.
- 2025년 제3호 태풍 문이 발생했다.
- 회사의 주주 충실 의무 내용을 담은 상법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 계엄시 군과 경찰의 국회 출입을 금지하는 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 포르투갈의 축구선수 디오구 조타가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 서울 도봉구 택시 돌진 사고가 발생했다.
- 인천광역시 계양산에서 대량의 러브버그가 발생했는데 구청장이 참을 줄 알아야 한다는 망언을 해 논란이 일었다.
- 7월 4일
-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대입구역에서 신호장애가 발생하였다.
- 2025년 텍사스 폭우 사태가 발생해 최소 104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 7월 5일
- 7월 6일
- 내란 특검이 윤석열을 특수공무집행방해, 허위공문서 작성 등 혐의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고 밝혔다.
- 일론 머스크가 아메리카당을 창당을 발표했다.
- 인천광역시 병방동에서 맨홀 작업을 하던 노동자 2명이 사망했다. #
- 7월 7일
- 7월 8일
- TBN 충남교통방송이 개국되었다.
- 7월 9일
- 갤럭시 Z 폴드7, 갤럭시 Z 플립7이 공개되었다.
- 서울중앙지법은 오후 2시 15분 윤석열 전 대통령을 구속영장 심문을 한다. 결과는 이르면 밤늦게 나올 전망이며, 영장이 발부되는 즉시 전직 대통령으로서 받던 경호는 일체 중단되며, 당장 목요일로 예정된 내란 혐의 재판에도 구속 상태로 출석하게 된다.
- 채상병 사망사건 논란에서 항명 혐의를 받았던 박정훈 대령에 대해 특검이 항소 취하를 결정하면서 무죄가 확정되었다.
- 7월 10일
- 7월 11일
- 2026년 최저임금이 10,320원으로 결정되었다.
- 7월 12일
-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 7월 13일
- 금강산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 7월 14일
- 조선대학교병원 신관 7층 수술실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 강원대학교 건물 44개동에서 대규모 정전이 발생했다.
- 배우 강서하가 위암 투병 끝에 사망하였다.
- KBO 리그 키움 히어로즈 홍원기 감독과 고형욱 단장이 성적 부진 끝에 경질되었다.
- 2025년 런던 사우스엔드공항 항공기 추락 사고가 일어났다.
- 7월 16일
- 스텔라이브가 브레이브 그룹에 인수합병되었다.
- 오산 가장교차로 옹벽 붕괴 사고가 일어났다.
- 7월 17일
- 7월 18일
- 패러블 엔터테인먼트에서 DMCA을 남발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 7월 19일
- 7월 20일
- 제27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가 치러졌다.
- 부산신항 해상 다이버 사망 사고가 발생했다.
- 경기도 가평군 서부 지역에서 산사태가 발생했다.
- 인천 송도의 한 아파트에서 아버지가 아들을 총기로 살해한 사건이 발생했다.
- 7월 21일
-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이 시작되었다.
- 7월 22일
- 단통법이 폐지되었다.
- 애플페이 교통카드가 실행되었다.
- 유튜버 '노라니'가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오리지널 송인 Soda Pop을 기반으로 성적인 내용이 다수 포함되어 있는 AI 합성 개사곡을 만들어 논란이 된 사건이 발생했다.
- 7월 24일
- 태국-캄보디아 국경에서 캄보디아군의 BM-21 로켓 수 발의 발포로 사망자 최소 2명, 부상자 최소 11명의 사망자가 발생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 안가라 항공 2311편 추락 사고가 일어나 49명이 사망했다.
- 미국의 버튜버 기업인 VShojo가 전 멤버의 폭로로 인해 폐업했다.
- 대구소방교육훈련센터가 건립되었다.
- 7월 25일
- 길음역 바둑기원 칼부림 사건이 발생했다.
- 7월 27일
- 바덴뷔르템베르크 탈선 사고가 발생해 3명이 숨졌다.
- 김민석 국무총리가 UN참전의 날 기념행사에 참여했다.
- 양평 고령 운전 어린이 치사 사건이 발생했다.
- 7월 28일
- 김건희 특검이 '명태균 공천개입 의혹' 사건과 관련해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를 피의자로 입건하였는데 강제수사에 나섰다.
- 내란 특검이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장관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 진천 단독주택 화재 사고가 발생했다.
- 7월 29일
- 대전 괴정동 흉기 살인 사건이 발생했다.
- 7월 30일
- 러시아 캄차카반도에서 규모 8.8의 지진이 발생했다. 해당 지진으로 인해 쓰나미가 발생했고, 태평양 연안 지역에 쓰나미가 도달했다.
- 기관총 실탄을 가지고 서울중앙지검을 들어가려던 20대가 검거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
- 7월 31일
11.1.8. 8월
| |
김건희 구속 | 2025년 한미정상회담 |
| |
케이팝 데몬 헌터스 넷플릭스 영화 역대 1위 등극 | 2025년 강릉 가뭄 |
- 8월 1일
- 광주광역시 시내버스와 부천시 시내버스에서 현금함이 전면 철거되어 모든 노선이 현금을 받지 않게 되었다.
- 광주시 시내버스의 노선 개편이 시행되었다.
- 홈플러스 부천상동점이 폐점되었다.
-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이 무산되었다.
- 네이버 카페 왁물원에서 카페 가입자를 대상으로 네이버 ID를 불법 수집했다는 정황이 확인되었다.
- 한양도성 스티커 부착 사건이 발생했다.
- 8월 2일
- 8월 4일
- 음주운전 혐의로 수사 중이었던 배우 송영규가 사망했다.
- 중국 쓰촨성 지역에서 학교폭력 은폐 의혹으로 인한 대규모 시위가 발생했다.
- 이 날 발생한 신세계백화점 폭파 예고 사건을 시작으로 대한민국 전역에서 다발적으로 폭탄 테러를 예고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 8월 5일: 신세계백화점 폭파 예고 사건
- 8월 8일: 님블뉴런 본사 폭탄 테러 예고 사건
- 8월 10일: KSPO DOME 폭탄 테러 예고 사건
- 8월 11일: 롯데백화점 폭탄 테러 예고 사건
- 8월 12일: 서울구치소 폭파 예고 사건
- 8월 13일: 에버랜드 폭탄 테러 예고 사건
- 8월 15일: 구 안동역 폭발물 테러 예고 사건, 광복절 대중교통 폭탄 테러 예고 사건
- 8월 17일: 버거킹 수원영통점 폭탄 테러 예고 사건
- 8월 5일
- 가수 이민이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되었다. 퇴근 후 뒤늦게 돌아온 남편이 발견해 신고하였다.
- 8월 6일
- 이춘석 국회의원이 주식 차명 거래 논란으로 더불어민주당에서 제명되었다.
- 김건희가 처음으로 특검에 출석했다.
- 방송3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 8월 7일
-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이 재시도되었으나 무산되었다.
- 김건희에 대한 구속영장이 청구되었다.
- 대한민국의 최대 커뮤니티 사이트 디시인사이드가 창립 26년 만에 경영권 매각을 추진한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
- 손흥민이 로스앤젤레스 FC로 이적했다.
- 8월 8일
- 8월 9일
- 북한이 대남 확성기 일부를 철거했다.
- 8월 11일
- YES24 서비스 마비 사태가 재발했다.
- 이재명 정부 특별사면 명단이 발표되었다.
-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워싱턴 D.C.에서 노숙인·범죄자 척결을 명목으로 주방위군 투입 방침을 발표했다.
- 8월 12일
- 서울중앙지방법원이 밤 23시 53분, 김건희에 대한 구속영장을 발부하였다. 이로써 헌정사상 최초로 전직 대통령 배우자 구속, 전직 대통령 부부가 동시 구속되는 사례를 남겼다.
- 삼일중학교 농구리그 폭행 사건이 발생했다.
- 8월 13일
- 홈플러스가 전사적인 긴급 생존경영 체제에 돌입했다고 공식발표를 했다.
- 8월 14일
- 8월 15일
- 8월 16일
- 8월 17일
- 8월 18일
- 8월 19일
- 8월 20일
- 메가박스 청주터미널이 개점했다.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에서 홍제정수장 급수권역(시내 대부분) 모든 세대의 계량기 50%를 잠그는 제한급수 체제에 돌입했다.
- 오후 2시부터 2시 20분까지 민방위 훈련이 실시되었다.
- 8월 22일
- 8월 25일
- 2025년 8월 인도네시아 시위가 시작되었다.
- 8월 26일
- 장동혁이 국민의힘 당대표로 선출되었다.
- 미국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한미정상회담이 열렸다.
- 인천광역시 서구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 넷플릭스가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영화 부문 시청 역대 1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 8월 27일
- 8월 28일
- SK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 사고에서의 개인정보 관리 소홀로 인해 SK텔레콤에 역대 최대인 1348억원의 과징금이 부과되었다.
- 8월 31일
11.1.9. 9월
| |
1세대 인터넷 방송인 대도서관 사망 | 2025년 개기월식 |
- 9월 1일
- 서울 지하철 2·6호선 합정역 승강장에서 승객이 갖고 있던 보조 배터리에서 연기가 발생해 한동안 무정차 통과되었다.
- 경상북도 경주시 황오동과 중부동이 황오동으로 통합하였다.
- 홈플러스 안산선부점이 폐점했다.
- 인터넷 방송인 신태일이 미성년자 성 착취물 제작·유포로 구속되었다.[84]
- 9월 3일
- 개그콘서트가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일본에 진출했다.
- 서울 관악구 신림동에서 칼부림 사건이 일어났다.
- 제80주년 중국 전승절 기념행사가 개최됐다.
- 포르투갈 리스본에서 전차가 탈선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 9월 4일
- 미국 조지아주내 한국 기업 건설 현장에서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을 비롯한 사법당국에 의해 한국인 300여명이 집단 감금된 사건이 벌어졌다.
- 9월 6일
- 인터넷 방송인 대도서관이 자택에서 숨진 채로 발견됐다.
- 9월 8일
11.1.10. 10월
| |
11.1.11. 11월
| |
11.1.12. 12월
| |
11.2. 예정
- 9월 10일: iPhone 17이 공개할 예정이다.
- 9월 11일: 충청북도의 첫 전시장인 청주OSCO가 정식으로 개관된다.
- 9월 18일: 서울특별시의 한강버스가 정식으로 운행을 시작한다.
- 9월 27일
- 인천문학경기장에서 뮤즈가 내한 공연을 한다.
- 목포보성선이 개통된다.
- 9월 28일: 2025년 몰도바 공화국 의회 총선거가 시작될 예정이다.
- 10월 3일
- 룩셈부르크 대공세자 기욤이 앙리 대공의 뒤를 이어 룩셈부르크의 기욤 5세 대공으로 즉위할 예정이다.
- MBC 대학가요제가 13년만에 부활한다.
- 10월 10일: 무안국제공항이 이 날을 기점으로 제주항공 2216편 활주로 이탈 사고로 인한 운항 중단 기간이 종료된다.
- 10월 13일: 2025 오사카·간사이 엑스포가 폐막한다.
- 10월 14일: Windows 10, Microsoft Office 2016과 2019 제품군의 연장 지원이 종료된다.[85]
- 10월 16일: 카트라이더: 드리프트가 서비스 종료된다.
- 10월 25일: 전주권이 신설된다.
- 10월 31일: 2025년 APEC 대한민국 경주 정상회의가 개최된다.
- 11월 중
- 11월 1일: 서울특별시 금천구에서 서울시립서서울미술관이 개관할 예정이다.
- 11월 10일: COP 30 정상회의가 브라질 벨렘에서 열릴 예정이다.
- 11월 13일: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실시된다.
- 11월 30일: 창동역 민자역사 아레나 X 스퀘어가 완공될 예정이다.
- 12월 중
- 인천광역시 서구와 중구의 영종국제도시를 잇는 청라하늘대교가 개통된다.
- 세종포천고속도로의 나들목인 남용인IC가 개통된다.
- 새만금포항고속도로의 새만금IC~상관JC 구간이 개통된다.
- 대경선의 중간 역인 북삼역이 개통된다.
- 미정
11.3. 기념
- 1월 1일: 한국철도공사 출범 20주년.
- 1월 5일: 플랜더스의 개 애니메이션 방영 50주년.
- 1월 8일: 마루코는 아홉살 방영 30주년.
- 1월 9일
- 1월 13일: 아무노래 발매 5주년.
- 1월 14일
- 1월 16일
- 1월 18일: 마이멜로디 데뷔 50주년.
- 1월 20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병점~천안 구간 개통 20주년.
- 코로나19 최초 국내 감염자 발생 5주년.
- 1월 25일: 2K 게임즈 설립 20주년.
- 1월 31일: sake L 노동요 영상 업로드 10주년.
- 2월 1일
- 2월 3일: 터닝메카드 10주년.[A]
- 2월 4일: 가수 장덕 사망 35주기.
- 2월 9일: 기생충 아카데미 상 수상 5주년.
- 2월 11일: EBS 2TV 개국 10주년.
- 2월 14일
- 2월 16일: 시인 윤동주 사망 80주기.[87]
- 2월 18일: 대구 지하철 참사 22주년.
- 2월 22일
- 2월 24일: 우크라이나 침공 3주년.
- 2월 27일: 한국의 트위치 철수 1주년.
- 2월 28일: BanG Dream! 개시 10주년.
- 3월 1일
- 3월 2일: 스페셜솔져 출시 10주년.
- 3월 3일: 조국혁신당 창당 1주년.
- 3월 5일: TV쇼 진품명품 방영 30주년.
- 3월 7일: 손명순 사망 1주기.
- 3월 10일: DJMAX 시리즈 20주년.
- 3월 11일
- 3월 14일
- 3월 15일: LG 트윈스 창단 35주년.
- 3월 16일: 아반떼 출시 30주년.
- 3월 19일: 캐치! 티니핑 방영 5주년.
- 3월 24일: 롯데월드 어드벤처 매직아일랜드 개장 35주년.
- 3월 26일
- 3월 28일
- 룰라 날개 잃은 천사 발매 30주년.
- 서울 지하철 9호선 신논현~종합운동장 구간 개통 10주년.
- 3월 29일: 가수 최진영 사망 15주기.
- 3월 30일: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개통 1주년.
- 4월 2일: 호남고속철도 개통 10주년.
- 4월 5일: 사랑의 천사 웨딩피치 애니메이션 30주년.[88]
- 4월 7일: 발로란트 출시 5주년.
- 4월 11일: 가수 박보람 사망 1주기.
- 4월 16일: 세월호 참사 11주년.
- 4월 17일: 나무위키 설립 10주년.
- 4월 19일
- 4월 20일
- 경주월드 개장 40주년.
- 보노보노 방영 30주년.
- 수도권 전철 4호선 개통 40주년.
- 4월 21일: OH MY GIRL(오마이걸) 데뷔 10주년.
- 4월 23일
- 유튜브 최초의 영상 업로드 20주년.
- 무한도전 방영 20주년.
- 제5공화국 방영 20주년.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개통 10주년.
- 4월 25일
- 생활의 달인 방영 20주년.[89]
- JR 후쿠치야마선 탈선사고 20주년.
- 4월 28일
- 대구 지하철 공사장 가스 폭발 사고 희생자 30주기.
- 충무공 이순신 탄생 480주년.
- 4월 30일: 베트남 전쟁 종식 50주년.
- 5월 1일: 인간극장 방영 25주년.
- 5월 6일
- 5월 9일: 승리의 날 80주년
- 5월 11일: 아프리카 TV(現 SOOP) 서비스 개시 20주년.
- 5월 12일: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 출시 5주년.[90]
- 5월 14일
- 5월 18일
- 5.18 민주화운동 45주년.
- 세인트 헬렌스 화산 폭발 45주년.
- 5월 19일: 스타워즈: 시스의 복수 개봉 20주년.
- 5월 20일
- 메르스 유행 10주년.
- N.Flying(엔플라잉) 데뷔 10주년.
- 5월 22일: KBS 성우 오세홍 사망 10주기.
- 5월 23일: 노무현 前 대통령 사망 16주기.
- 5월 26일: 세븐틴 데뷔 10주년.
- 5월 29일: 미국 배우 데니스 호퍼 사망 15주기.
- 5월 30일: Windows NT 3.51 출시 30주년.
- 6월 1일: 내 이름은 김삼순 방영 20주년.
- 6월 3일: 씨스타 데뷔 15주년.
- 6월 7일: 영국 배우 크리스토퍼 리 사망 10주기.
- 6월 8일: SS501 데뷔 20주년.
- 6월 9일: 인피니트 데뷔 15주년.
- 6월 15일
- 6.15 남북 공동 선언 25주년.
- 가수 김환성 사망 25주기.
- 스튜디오 지브리 설립 40주년.
- 샌드박스 네트워크 창립 10주년.
- 6월 22일
- 6월 25일: 6.25 전쟁 발발 75주년.
- 6월 27일
- 6월 29일: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희생자 30주기.
- 6월 30일: 가수, 배우 박용하 사망 15주기.
- 7월 1일: 터보 데뷔 30주년.[91]
- 7월 7일
- 7월 9일: 가짜사나이 방영 5주년.
- 7월 10일: ZEROBASEONE 데뷔 2주년
- 7월 11일: 런닝맨 방영 15주년.
- 7월 12일: 수도권 전철 3호선 개통 40주년.
- 7월 13일: 라이브 에이드 공연 40주년.
- 7월 15일: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10주년
- 7월 17일: 前 F1 드라이버 쥘 비앙키 사망 10주기.
- 7월 18일: 윤보선 前 대통령 사망 35주기.
- 7월 19일: 이승만 前 대통령 사망 60주기.
- 7월 21일: 가수 김민기 사망 1주기.
- 7월 22일: 암살 개봉 10주년.
- 7월 26일: THE iDOLM@STER 개시 20주년.
- 7월 29일: Windows 10 출시 10주년.
- 7월 31일: 에버랜드의 썬더폴스 개장 10주년.
- 8월 1일: 테일즈런너 출시 20주년.
- 8월 2일: 노라조 데뷔 20주년.
- 8월 3일: 극장판 요술공주 밍키: 꿈속의 윤무 개봉 40주년.[93]
- 8월 4일
- Fall Guys 출시 5주년.
- 유튜버 뒷광고 사건 5주년.
- 8월 5일: 베테랑 개봉 10주년.
- 8월 6일: 히로시마 원자폭탄 투하 80주년.
- 8월 8일: 한국-싱가포르 수교 50주년.
- 8월 9일
- 싱가포르 독립 60주년.
- 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 80주년.
- 8월 10일: 던전앤파이터 출시 20주년.
- 8월 12일
- 일본항공 123편 추락 사고 40주년.
- 톈진 항구 폭발 사고 10주년.
- 8월 15일
- 광복절 80주년.
- 대한민국 정부 수립 77주년.
- 8월 16일: 가수 장현 사망 35주기.
- 8월 18일
- 8월 23일: 서든어택 출시 20주년.
- 8월 24일: Windows 95 출시 30주년.
- 8월 25일: 보아 데뷔 25주년.
- 9월 1일
- 미라큘러스: 레이디버그와 블랙캣 방영 10주년.
- 샤프트 설립 50주년.
- 9월 2일
- 9월 7일: DAY6 데뷔 10주년.
- 9월 9일: 남북분단 77주년.
- 9월 13일
-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발매, 슈퍼 마리오 시리즈 40주년.
- 개구리 중사 케로로 투니버스 첫 방영 20주년.
- 9월 15일
- 9월 22일: 중앙일보 창간 60주년.
- 9월 23일: 너는 내 운명 개봉 20주년.
- 9월 27일: 영국 철도 개통 200주년.
- 9월 28일: 원신 출시 5주년.
- 10월 1일: 패닉 데뷔 30주년.
- 10월 2일: 배우 최진실 사망 17주기
- 10월 3일
- 10월 4일
- 10월 5일: 오소마츠 상, 원펀맨 애니메이션 방영 10주년.
- 10월 6일: 신비의 세계 엘하자드 애니메이션 30주년.[97]
- 10월 18일: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개통 20주년.
- 10월 20일: TWICE 데뷔 10주년.
- 10월 22일: PlayStation Vita의 게임 소프트웨어 SUPERBEAT : XONiC 출시 10주년.[98]
- 10월 24일: 유엔 창설 80주년.
- 10월 25일
- 10월 26일: SBS 드라마 펜트하우스 시리즈 방영 5주년 기념.
- 10월 27일: 일본 성우 마츠키 미유 사망 10주기.
- 10월 28일: 리그 오브 레전드: 와일드 리프트 출시 5주년.
- 10월 29일
- 10월 31일: 쿠로미 데뷔 20주년.
- 11월 1일
- EZ2DJ 2nd TRAX ~It rules once again~ 출시 25주년.
- 가수 김현식 사망 35주기.
- 가수 신승훈 데뷔 35주년.
- 11월 2일: 개그우먼 박지선 사망 5주기.
- 11월 4일
- 11월 6일
- 11월 10일: G-STAR 설립 20주년.
- 11월 11일: 대한민국 해군 창설 80주년.
- 11월 12일
- 11월 14일: SBS 설립 35주년.
- 11월 15일
- 서울 지하철 5호선 왕십리~상일동 구간 개통 30주년.
- 자유민주당 창당 70주년.
- 11월 17일
- 11월 18일: 목욕탕집 남자들 방영 30주년.
- 11월 20일: 가수 김성재 사망 30주기.
- 11월 22일: 김영삼 前 대통령 사망 10주기.
- 11월 23일: 연평도 포격 사건 15주년.
- 11월 28일: 부산 도시철도 3호선 개통 20주년.
- 11월 29일: 육영수 탄생 100주년.
- 12월 1일: 대한민국의 어린이 만화 채널 투니버스 개국 30주년.
- 12월 3일: 12.3 비상계엄 1주년.
- 12월 4일: 유나이티드헬스케어 CEO 총격 피살 사건 1주기.
- 12월 6일: 일본 가수 나카야마 미호 사망 1주기.
- 12월 8일
- 12월 1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 1주년.
- 12월 15일: 수원 삼성 블루윙즈 창단 30주년.
- 12월 16일
- 파라오의 분노 개장 20주년.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청량리~덕소 구간 개통 20주년.
- 12월 18일: 한일수교 60주년.
- 12월 27일
-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소추 1주년.
- 영국 배우 올리비아 핫세 사망 1주기.
- 배우 이선균 사망 2주기.
- 12월 28일: 더불어민주당 창당 10주년.
- 12월 29일
- 제주항공 2216편 활주로 이탈 사고 희생자 1주기.
- 미국의 제39대 대통령 지미 카터 사망 1주기.
- 왕의 남자 개봉 20주년.
11.4. 가상
- 13기병방위권에 등장한 주요 시대 배경 연도 중 하나.
- 2025 지구전쟁: 얼리전스 오브 파워의 배경 연도.
- Fate/Requiem의 배경 연도.
- LA 머신건의 배경 연도.
- 그녀(영화)의 배경 연도.
-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 문나이트의 배경 연도.
- 변호사 쉬헐크의 배경 연도.
- 블랙 팬서: 와칸다 포에버의 배경 연도.
- 멸망한 세계의 4급 인간의 배경 연도.
- 버블의 배경 연도. 만화책에 나오며, 애니에선 구체적인 연도가 안 나온다.
- 신칸센 대폭파의 배경 연도. 2025년 5월 23일로 등장한다.
- 악마판사의 배경 연도.
- 예수천국 불신지옥의 시작 시점 배경 연도.
- 전익의 시그드리파의 배경 연도.
-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2의 주요 사건의 배경 연도.
- 파워레인저 SPD의 배경 연도.
- 퍼시픽 림의 배경 연도.
- 관동 대지진이 일어나 도쿄가 괴멸 직전 상태가 되고, 일본 정부는 도쿄 재생 계획에 착수한다. - 버블검 크라이시스
- 북한이 모든 무기를 셧다운[101]하면서 미군의 모든 군사력이 무력화당하고, 결국 미국이 북한에게 침공당한다.[102] - 홈프론트: 더 레볼루션
- '응답해라 2006' 에피소드 후반에서 주인공 일행들이 32살을 넘은 시점이다. - 복학왕
- 런닝맨(소설)의 배경 연도.
- 오카베 린타로가 2010년의 과거의 자신에게 영상 편지를 만들어 보내고, 시공에 격류된 시이나 마유리와 하시다 스즈하를 구출하기 위해 오카베 린타로가 타임머신에 올라탄다. - Steins;Gate 0
12. 탄생
12.1. 실존 인물
12.2. 가상 인물
13. 사망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사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사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4. 데뷔
14.1. 가수
- KickFlip
- NouerA
- NXD
- Hearts2Hearts
- UDTT
- NEWBEAT
- HITGS
- XLOV
- KiiiKiii
- IRISÉ
- CLOSE YOUR EYES
- ifeye
- USPEER
- POLARIX
- AHOF
- AtHeart
- ablume
- AWIN
- SW:C
- VVS
- KIIRAS
- IDID
- idntt
- BE BOYS
- ALLDAY PROJECT
- Baby DONT Cry
- 주니지니
- CORTIS
- 투데이야
- AxMxP
14.2. 인터넷 방송
15. 해체
16. 은퇴
16.1. 가수
16.2. 스포츠
16.2.1. 국내
- 곽윤기(쇼트트랙)
- 이용래(축구)
- 강태율(야구)
- 김근배(축구)
- 김수범(축구)
- 권휘(야구)
- 서보민(축구)
- 이명재(e-스포츠)
- 이채환(e-스포츠)
- 이홍일(e-스포츠)
- 김응태(e-스포츠)
- 유영혁(e-스포츠)
- 이재혁(e-스포츠)
- 고병수(e-스포츠)
- 윤지수(펜싱)
- 김연경(배구)
- 김지민(e-스포츠)
- 김예림(피겨 스케이팅)
- 이근호(축구)
- 문성민(배구)
- 표승주(배구)
- 오승택(야구)
- 오승환(야구)
16.2.2. 해외
- 빌 골드버그
- 사토무라 메이코
- 존 시나
- 다카하기 요지로
- 펠리피 멜루
- 토요다 요헤이
- 오마르 엘랍델라위
- 니콜라이 예르겐센
- 앤드류 냅
- 타일러 시어
- 시몬 키예르
- 케빈 플라웨키
- 나차폰 마따랏
- 리우창헝
- 마우로 사라테
- 마티아스 아쿠냐
- 제이미 보든
- 존 존스
- 지에구 아우베스
- 벤 피스크
- 사카이 수미
- 크리스 와이드먼
- 마르셀루
- 루카스 포돌스키
- 룩 카스타뇨스
- J.D. 마르티네즈
- 제임스 체스터
- 타울란트 자카
- 다니엘 칼리주리
- KANEKO
- 나차폰 마따랏
- 리처드 블라이어
- 얀 베르통언
- 랜스 린
- 마츠 후멜스
- 레안드로 다미앙
- 아이커썬
- 오스카르 데 마르코스
- 사부
- 토비 알더베이럴트
- 아담 랄라나
- 조니 에반스
- 이반 라키티치
16.3. 인터넷 방송
16.4. 기타
17. 출시 상품
- 갤럭시 S25 | 갤럭시 S25+ | 갤럭시 S25 울트라 | 갤럭시 S25 엣지
- 갤럭시 Z 폴드7 | 갤럭시 Z 플립7
- GeForce 50
- iPhone 16e
- Nintendo Switch 2
- Radeon RX 9000 시리즈
- iPad Air 11 M3, 13 M3
- MacBook Air 13 M4, 15 M4
18. 히트작
18.1. 영화
- 하얼빈
- 검은 수녀들
- 마인크래프트 무비
-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
- 슈퍼맨
- 서브스턴스
- 썬더볼츠*
- 승부
- 야당
- 전지적 독자 시점
- 미키 17
- 히트맨2
- 케이팝 데몬 헌터스
- 캡틴 아메리카: 브레이브 뉴 월드
- 퇴마록
- 드래곤 길들이기
- 하이파이브
- 노이즈
- F1 더 무비
- 84제곱미터
- 좀비딸
- 판타스틱 4: 새로운 출발
18.2. 드라마
18.2.1. 지상파(KBS1/2, SBS, MBC)
- 나의 완벽한 비서 (SBS)
- 언더커버 하이스쿨 (MBC)
- 다리미 패밀리 (KBS2)
- 독수리 5형제를 부탁해! (KBS2)
- 보물섬 (SBS)
- 트웰브 (KBS2)
- 트라이: 우리는 기적이 된다 (SBS)
- 사마귀 : 살인자의 외출 (SBS)
18.2.2. 종합편성채널
18.2.3. 케이블 및 스트리밍, 기타
- 오징어 게임 2, 3 (넷플릭스)
- 세브란스: 단절 시즌 2 (Apple TV+)
- 악연 (넷플릭스)
- 원경 (tvN)
- 언젠가는 슬기로울 전공의생활 (tvN)[104]
- 엑스오, 키티 (넷플릭스)
- 중증외상센터 (넷플릭스)
- 스터디그룹 (TVING)
- 뉴토피아 (쿠팡플레이)
- 선의의 경쟁 (U+모바일tv)
- 폭싹 속았수다 (넷플릭스)
- 하이퍼나이프 (디즈니+)
- 약한영웅 Class 2 (넷플릭스)
- 당신의 맛 (ENA)
- 미지의 서울 (tvN)
- 광장 (넷플릭스)
- 서초동 (tvN)
- 트리거 (넷플릭스)
- 파인: 촌뜨기들 (디즈니+)
- 견우와 선녀 (tvN)
- 웬즈데이 시즌2 (넷플릭스)
- 폭군의 셰프 (tvN)
18.3. 게임
- フルーツボックス[역주행]
- Get To Work
- Hollow Knight: Silksong
- MiSide
- Palworld
- R.E.P.O.
- 구구 피자
- 던전앤파이터[재흥행]
- 로스트 소드
- 레이튼 교수와 이상한 마을[역주행]
- 림월드[재흥행]
- 마비노기 모바일
- 마리오 카트 월드
- 메이플스토리[재흥행]
- 몬스터 헌터 와일즈
- 블리치 리버스 오브 소울즈
- 세븐나이츠 리버스
- 슈퍼바이브
- 스플릿 픽션
- 언더테일[역주행]
- 엘든 링 밤의 통치자
- 용과 같이 8 외전: Pirates in Hawaii
- 위니언 바이러스
- 인조이
- 진・삼국무쌍 ORIGINS
- 파피 플레이타임 4
- 포켓몬스터 어나더 레드
- 퍼스트 버서커: 카잔
- 클레르 옵스퀴르: 33 원정대
- 킹덤 컴: 딜리버런스 2
- 후즈 앳 더 도어
18.4. 특촬
18.5. 가요
- 한국
- 로이킴 - 내게 사랑이 뭐냐고 물어본다면
- 마크툽 - 시작의 아이
- 부석순 - 청바지
- 아이유 - Never Ending Story
- 오반 - Flower
- 조째즈 - 모르시나요(PROD.로코베리)
- 재쓰비 - 너와의 모든 지금
- 제니 - like JENNIE
- 프로미스나인 - LIKE YOU BETTER
- 황가람 - 나는 반딧불[역주행]
- 하이보이즈 - 그날이 오면
- ALLDAY PROJECT - FAMOUS, WICKED
- aespa - Dirty Work
- BABYMONSTER - DRIP
- BLACKPINK - 뛰어(JUMP)
- BOYNEXTDOOR - 오늘만 I LOVE YOU
- FIFTY FIFTY - Pookie
- G-DRAGON - HOME SWEET HOME, PO₩ER, TOO BAD (feat. Anderson .Park), DRAMA, TAKE ME
- H1-KEY - 여름이었다
- Hearts2Hearts - The Chase, STYLE
- ILLIT - 빌려온 고양이
- IVE - REBEL HEART, ATTITUDE, XOXZ
- KiiiKiii - I DO ME
- LE SSERAFIM - HOT
- MEOVV - HANDS UP
- PLAVE - Dash
- QWER - 눈물참기
- RIIZE - Fly Up
- WOODZ - Drowning[역주행]
- 10CM - 너에게 닿기를
- 해외
- 도이치 - DENIAL IS A RIVER, Anxiety
- 드레이크 - NOKIA
- 로제 & 브루노 마스 - APT.[한국_포함]
- 레이디 가가 - Abracadabra
- 레이디 가가 & 브루노 마스 - Die With A Smile
- 블랙 아이드 피스 - Rock That Body[역주행]
- 사자 보이즈[115] - Soda Pop[한국_포함], Your Idol[한국_포함]
- 소피 파워스 - STFU
- 저스틴 비버 - DAISIES
- HALCALI - おつかれsummer[역주행]
- HUNTR/X[119] - Golden[한국_포함]
- Mrs. GREEN APPLE - ライラック, クスシキ, breakfast
- M!LK - イイじゃん[121][한국_포함]
18.6. 애니메이션
- 극장판
- 1분기
- A랭크 파티를 이탈한 나는, 전 제자들과 미궁 심부를 목표로 한다.
- BanG Dream! Ave Mujica
- S랭크 몬스터 베헤모스지만 고양이라고 착각하길래 엘프 소녀의 기사(애완묘)로 살고 있습니다
- 꽝 스킬 《나무 열매 마스터》 ~스킬의 열매(먹으면 죽는다)를 무한히 먹을 수 있게 된 건에 대하여~
- 꽃은 피어난다, 수라와 같이
- 그리자이아: 팬텀 트리거
- 근육맨: 완벽초인시조 편
- 길드의 접수원인데, 야근이 싫어서 보스를 혼자 토벌하려고 합니다
- 너를 너무너무너무너무 좋아하는 100명의 그녀 2기
- 나의 행복한 결혼 2기
- 나 혼자만 레벨업 -ARISE FROM THE SHADOW-
- 니트 쿠노이치와 어쩌다가 동거 시작했습니다
- 닥터 스톤 SCIENCE FUTURE
- 마법사의 약속
- 매직ㆍ메이커 -이세계 마법을 만드는 법-
- 메달리스트
- 모멘터리 릴리
- 몰락 예정인 귀족이지만, 한가하니까 마법에 열중해봤다
- 반에서 가장 싫어하는 여자애와 결혼하게 되었다.
- 배뱀배뱀뱀뱀파이어
- 불우직 【감정사】는 사실은 최강이었다
- 사카모토 데이즈
- 아라포 남자의 이세계 통판
- 아메쿠 타카오의 추리 카르테
- 악역영애 전생 아저씨
- 언네임드 메모리 Act.2
- 약사의 혼잣말 2
- 언젠가 최강의 연금술사?
- 오키나와에서 좋아하게 된 아이가 사투리가 심해서 너무 괴로워
- 이수라 2기
- 이 회사에 좋아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 일본에 어서 오세요 엘프 씨.
- 전대 레드 이세계에서 모험가 되다
- 전수.[123]
- 지박소년 하나코 군 2
- 쿠로이와 메다카에게 내 귀여움이 통하지 않아
- 하늘색 유틸리티
- 황혼 호텔
- 허니 레몬 소다
- 흔해빠진 직업으로 세계최강 3기
- 2분기
- LAZARUS 라자로
- mono
- TO BE HERO X
- Summer Pockets
- 갑자기 여행 -That's Journey-
- 귀인환등초
- 기동전사 건담 지쿠악스
- 최강의 왕, 두 번째 인생에는 무엇을 하는가?(끝이 아닌 시작)
- 길티기어 STRIVE: DUAL RULERS
- 나는 성간 국가의 악덕 영주!
- 남녀의 우정은 성립할까? (아니 하지 않아!!)
- 너와 나의 최후의 전장, 혹은 세계가 시작되는 성전 seasonⅡ
- 닌자와 암살자의 동거
- 록은 숙녀의 소양이기에
- 미루 나의 미래
- 바이바이, 어스 2
- 볼파크에서 붙잡아줘!
- 불꽃 소방대 3장
- 비질랜티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ILLEGALS-
- 수수께끼 풀이는 저녁식사 후에
- 소시민 시리즈 2
- 숨겨! 마키나 양!!
- 슬라임을 잡으면서 300년, 모르는 사이에 레벨MAX가 되었습니다 2
- 시운지 가의 아이들
- 신통기
- 아포칼립스 호텔
- 아하렌 양은 알 수가 없어 Season2
- 야이
- 앤 셜리
- 완벽해서 귀여운 구석이 없다고 파혼당한 성녀는 이웃 나라에 팔린다
- 우마무스메 신데렐라 그레이
- 우주인 무무
- 유어 포르마
- 위치 워치
- 윈브레 -WINBRE- 2기
- 입어주세요, 타카미네 양
- 조금 사랑이 과한 다크엘프가 이세계에서 따라왔다
- 전대대실격 2기
- 착각하는 공방주 ~영웅 파티의 전 잡무 담당이, 실은 전투 이외가 SSS 랭크였다는 흔히 있는 이야기~
- 촌구석 아저씨, 검성이 되다
- 프린세션 오케스트라
- 흑집사 -녹색의 마녀 편-
- 흘러가는 나날, 밥은 맛있어
- 3분기
- CITY THE ANIMATION
- GACHIAKUTA
- NEW 팬티 & 스타킹 with 가터벨트
- 공녀 전하의 가정교사
- 괴수 8호 2기
- 그랑블루 Season 2
- 그 비스크 돌은 사랑을 한다 Season 2
- 내가 연인이 될 수 있을 리 없잖아, 무리무리! (※무리가 아니었다?!)
- 냐이트 오브 더 리빙 캣
- 누키타시 THE ANIMATION
- 단다단 2기
- 도원암귀
- 마이멜로디 & 쿠로미
- 명일방주 [잿더미 속 불빛]
- 미카도노 세 자매는 의외로 쉽다
- 방패 용사 성공담 Season 4
- 배드 걸
- 비와 너와
- 사일런트 위치 침묵의 마녀의 비밀
- 수속성의 마법사
- 오소마츠 상 4기
- 용사 파티에서 추방된 백마도사, S랭크 모험가에게 주워지다 ~이 백마도사가 너무 규격 외이다~
- 여친, 빌리겠습니다 4기
- 추남 진성 파이터
- 철야의 노래 Season 2
- 청춘 돼지는 산타클로스의 꿈을 꾸지 않는다
- 타코피의 원죄
- 환생했는데 제7왕자라 내맘대로 마술을 연마합니다 2기
- 향기로운 꽃은 늠름하게 핀다
- 히카루가 죽은 여름
18.7. 기타 분야
19. 유행어/밈
- 나쁜 답변 좋은 답변
- 내면의 기가차드
- 백종원 관련 밈
- 쉐이칸샹 쉐이칸샹
- 왜 안봐 왜 안봐 너 내 카톡 왜 안봐
- 오징어 게임 2, 3 관련 유행어
- 나는 이 게임을 해봤어요 - 성기훈
- 둥글게 둥글게
- 러시안 룰렛 / 죽을 확률이 6분의 1, 살 확률은 6분의 5 / 생각이 많아지셨나요? / 다만 이거 하나만 인정 하시면 됩니다. 너도 다른 놈들이랑 똑같은 쓰레기야 - 딱지남
- 빨주노초 I'm a legend 타노스 / 경수, You Out! / 우리 경수 얻다 두고 왔어? / 너한테 벌이 앉았어 / 놉, 약 하면 저러지 않아. / 땡~~ / 레츠 기릿!! / My lilboy 민수! - 타노스
- 얼음~! - 성기훈
- 똑똑 누구십니까? 꼬마입니다. 꼬마야~ 꼬마야~
- 꼭꼭 숨어라~ 머리카락 보일라~
- 사랑을 했다~ 우리가 만나~ / You can do it my bro 민수! / 팔로우 미. 지구인 절반 죽이러 가자. 아아아아아아아악!! / 야, 민수야. 민수야. 아, 미안해! 미안해, 미안해, 미안해! - 남규
- 뭐하긴~ 게임 하지~ - 해병남
- 그런 놈이 여기를 왜 다시 기어들어 와? / 제가 이 게임의 정답을 찾았어요! 도시락을 싸 가는 겁니다! 여기 이 놈을 반쯤 죽여 가지고, 저기 동그라미 위로 끌고 가서, 시작 버튼 딱 누르고 아래로 던져 버리면, 게임 오버! 우리 다섯 명, 아, 아니, 저 아기까지 여섯 명, 여섯 명이 돈을 나눠 가지고 여기서 나가는 겁니다. 76억씩! 어때요? 정답 맞죠! / 자, 이 정도면 모두 해피엔딩입니다! 그렇죠? - 임정대
- 도시락~ 다 쌌어요~ - 김기민
- 456번, 아직도 사람을 믿나? - 프론트맨
- 우리는 말이 아니야. 사람이야. - 성기훈
- 우왁굳 관련 밈
- 굴, 굴단, 굴평, 굴포차
- 이탈리안 브레인롯
- 제21대 대통령선거 관련 밈
- 짤쓸사람
- 케이팝 데몬 헌터스 관련 밈
- 테토-에겐 성격 유형
- 테토남, 테토녀
- 에겐남, 에겐녀
- ○○에게 댓글 예쁘게 달아라
- 페니와이즈 관련 밈
- 경고합니다 그만 떨어지십시오.
- 사람이 죽는다고
- 하수구에서 사는 더러운 새끼
- 폭싹 속았수다 관련 밈
- 폭싹 ○○수다
- 관식이병
- 학씨!
- Bass Down Low 챌린지
- Chill guy(Chill 드립)
- 와 정말 Chill하다... / 정말 Chill하군
- SK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 사고 관련 밈
- 가끔은 전여친이 그립다
- 공주의 규칙
- 궁전으로 갈 수도 있어
- 기세 성대모사
- 괜찮아~ 딩딩딩딩딩
- 나니가스키
- 나한테명령하지마나한테명령할꺼면마인크래프트명령어로말해
- 난가병
- 날파리 주제에 - 쉐도우밀크 쿠키
- 내가 이룬 것들
- 내일의 나에게 행복이 있으리
- 누가 범인일까?
- 늑대 걷기
- 다게스탄 댄스
- 다이다이다이다이다이키라이
- 닭 서열정리
- 대나무 행주
- 도이 더 도우맨
- 동굴 탐험가
- 듀오링고 사망
- 땡큐 카테기
- 라부부
- 락 댓 바디
- 랫 댄스
- 레니콘
- 레몬 멜론 쿠키
- 레이튼
- 리얼 허거덩거덩스한 상황
- 리즈 시절
- 모니터링
- 미무카와 나이스 트라이
- 바라밤 챌린지
- 바람피면 D지는거야
- 보법
- 분노마크 챌린지
- 사람아니야
- 샹하이 로맨스
- 스케밥
- 아미새
- 아저씨 구문
- 아 진짜요
- 아침 루틴
- 어른들은 몰라요
- 오늘도 평화로운 린도 린도 린도 ○○○
- 와, 너 방금 정말 핵심을 찔렀어
- 우하하하 챌린지
- 우이광선
- 이거 AI 광고야. AI 뤼튼
- 이건 ○○ 레슨 ○○하기
- 이기적인놈
- 이집트 댄스
- 왜 죠리퐁에서 죠리퐁 냄새가 나고 있지?
- 잔말 말고 에어컨 파워 냉방으로 틀어
- 잡어
- 지금 바로 윤회
- 철 골렘 댄스
- 초최강 챌린지
- 치유의 노래
- 치킨 바나나
- 캔디 쿠키 초콜릿
- 터미널 댄스
- 테테테토 행진곡
- 테토리스
- 텔레파시
- 폭주기니
- 테크놀로지아
- 한국의 오타니~ 김혜성
- 할래말래할래말래, 애매하긴해
- 햄부기햄북 햄북어 햄북스딱스 함부르크햄부가우가 햄비기햄부거 햄부가티햄부기온앤 온을 차려오거라. 햄부기햄북 햄북어 햄북스딱스 함부르크햄부가우가 햄비기햄부거 햄부가티햄부기온앤 온을 차려오라고 하지않앗느냐.
- 혁명가
- 호흡곤란 챌린지
- 화짱조
- AI 지브리체
- AKAGE
- Don't do that jamie
- Everybody do the Flop
- Mio Mao
- OIIA OIIA
- Steve's Lava Chicken
- 1999 힙레 챌린지
- ○○컵 인정못해
20. 최초
20.1. 방송 프로그램
20.1.1. TV
20.1.2. 라디오
- 파워 스테이션 (SBS 파워FM)
- 주영진의 뉴스직격 (SBS 러브FM)
- 심야방송반 (SBS 러브FM)
- 음악이 흐르는 오후 (KBS춘천 클래식FM, KBS강릉FM, KBS원주FM)
- 작은 서점 (KBS 제1라디오)
- 11시 강원도연구소 (KBS춘천 제1라디오, KBS강릉 제1라디오, KBS원주 제1라디오)
- 이본의 라라랜드 (KBS 해피FM)
- 트로트유 (KBS대전 제2라디오)
- 즐거운 2PM (KBS전주 제2라디오)
- 정희원의 라디오 쉼표 (MBC 표준FM)
21. 달력
21.1. 연휴
- 1/25(토)~2/2(일): 설날 6일 연휴 및 금요일 휴가 반영 시 9일 징검다리 연휴[125]
- 3/1(토)~3/3(월): 삼일절 연휴
- 5/3(토)~5/6(화): 어린이날·부처님오신날 연휴[126]
- 5/31(토)~6/3(화): 제21대 대통령 선거 징검다리 연휴[127]
- 6/6(금)~6/8(일): 현충일 연휴
- 8/15(금)~8/17(일): 광복절 연휴
- 10/3(금)~10/12(일): 개천절·추석·한글날 징검다리 연휴
- 12/25(목)~12/28(일): 성탄절 징검다리 연휴
22. 음력 날짜
<rowcolor=#000,#fff> 음력월 | 월건 | 대소 | 음력 1일의 양력 월일 | 일진 |
1월 | 무인 | 대 | 1월 29일 | 무술 |
2월 | 기묘 | 소 | 2월 28일 | 무진 |
3월 | 경진 | 대 | 3월 29일 | 정유 |
4월 | 신사 | 소 | 4월 28일 | 정묘 |
5월 | 임오 | 소 | 5월 27일 | 병신 |
6월 | 계미 | 대 | 6월 25일 | 을축 |
윤6월 | 소 | 7월 25일 | 을미 | |
7월 | 갑신 | 대 | 8월 23일 | 갑자 |
8월 | 을유 | 소 | 9월 22일 | 갑오 |
9월 | 병술 | 대 | 10월 21일 | 계해 |
10월 | 정해 | 대 | 11월 20일 | 계사 |
11월 | 무자 | 대 | 12월 20일 | 계해 |
12월 | 기축 | 소 | 2026년 1월 19일 | 계사 |
[1] 또한 (0+1+2+3+4+5+6+7+8+9)² = 1³+2³+3³+4³+5³+6³+7³+8³+9³ =2025년의 20과 25를 더한 (20+25)²의 값인 연도이다. 그리고 27²+36²이기도 하다.[2] 3월 1일~12월 31일 한정으로는 1980년, 2008년, 2036년과 같고, 1월 1일~2월 28일 한정으로는 1992년, 2020년과 같다.[3] 미국인 입장에서는 차분한 분위기에서 새해를 맞이한 것은 2007년 이후 18년 만이다. 2007년 당시에는 제럴드 포드 전 대통령이 2006년 12월 26일에 서거하여 영결식이 거행된 2007년 1월 3일까지 국장 애도기간이 선포되었기 때문이다.[4] 2024 MBC 방송연예대상, 2024 MBC 연기대상, 2024 MBC 가요대제전: WANNABE, 2024 KBS 연기대상, 2024 SBS 연예대상이 해당된다.[5] 삼일절에 의한 최초의 대체 휴일이다.[6] 대체휴일 제도 탓에 전년과 달리 이 해는 화요일에 개학한다. 이로써 이 해 - 다음 해 - 그 다음 해에 이어서 3년 연속으로 화요일에 개학한다.[7] 공교롭게도 1930년, 2014년 부처님오신날과 날짜와 요일이 같다. 날짜가 같은 건 1930년, 2014년 외에 1911년, 1976년 부처님오신날도 해당. (1911년은 토요일, 1976년은 목요일) 이러면 반드시 윤달이 생기는데, 2014년은 윤 9월, 1930년과 2025년은 윤 6월이 생긴다. 2006년 당시에는 대체휴일이 없었다.[8] 1968년, 2006년과 추석 당일의 날짜가 같다.[9] 만일 2025년 10월 10일이 임시공휴일이 될 경우, 2017년에 이어서 두 번째로 한 주 모두 휴일로 구성된(휴일화된 월~금+주 5일제 도입 이후 원칙적으로 쉬는 날인 주말) 연도가 탄생하게 된다.(2017년은 10월 2일부터 10월 8일 일요일까지며, 2025년은 10월 6일부터 10월 12일까지다.)[10] 부산시교육감과 서울 구로구청장, 충남 아산시장, 전남 담양군수, 경북 김천시장, 경남 거제시장을 비롯한 기초단체장, 광역의원, 기초의원 선거가 치러졌다.[11] 원래는 2027년 3월 3일 실시될 예정되었으나 윤석열 대통령이 파면됨에 따라 정부가 선거일을 6월 3일로 최종 결정하였다.[12] 2024년 11월 24일 실시되었던 1차 투표가 12월 6일 무효화되어 선거일정이 2025년으로 미뤄졌다.[13] 6~7월의 고온 강도만 놓고 보면 지난 해 8~9월 못지 않게 강한 편이다.[14] 남부지방(특히 대구)은 2013년 이후. 단, 2017년은 제외.[15] 다만 3월과 다르게 극단적인 고온은 없고 12일 밤~15일 오전의 강한 이상 저온을 제외하면 평년 수준~다소 고온 수준의 날씨만 길게 이어지는 형태이다.[16] 심지어 강원영동, 특히 강릉은 더 심해서 6~7월, 즉 두 달 연속으로 매우 기록적인 고온을 보였으며 남은 8월까지 합하면 세달 연속일 가능성이 높다. 오히려 강릉은 지난 해 9월의 고온이 약했으며 지난 해 6~8월조차도 한수 접고 들어가야 할 정도.[17] 제주 6월 12일, 중부/남부지방 6월 19일. 중부지방의 경우 2013년 이후 12년 만에 6월 중순에 장마가 시작되었다.[18] 역으로 2월도 대체로 저온이 우세한 편이었지만, 기온 변화가 큰 편이어서 월말에는 강한 고온이 찾아왔다.[19] 특히나 고온이 심했던 서울은 직전 해의 고온 추세와도 크게 이질적이지 않을 정도로 꽤나 높은 편이었다.[20] 일 최고기온도 0시 무렵에 기록된 -6.1°C가 최고치이며, 특히 낮 최고기온은 고작 -7.6°C에 그쳤다. 게다가 일최저기온은 밤에 더 내려가며 -11.6°C까지 떨어졌다. 이로 인해 일평균기온도 -9.7°C였다.[21] 15일 제외[22] 이로 인해 인천과 충청권은 초미세먼지 주의보까지 발령되었다.[23] 하지만 이것도 예보보다 약 2°C가량 높은 날씨이다.[24] 최저 -11.8°C(2월 5일). -12~13°C 가량을 예보했으나 -11°C대에 그쳤는데, 0.5°C만 더 낮았어도 최대 4일(4,5,6,8일)이나 기록될 수도 있었다.[25] 서울도 14~16일 동안 일평균기온 3°C 후반~4°C 초반을 유지하며 비교적 포근했다. 서울의 경우 최고기온은 14일이 가장 높았으며, 이날 최고기온은 10.1°C로, 2월 들어 처음으로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26] 다만 이 추위가 찾아온 기간(18~24일) 동안 최저 극값은 -6.5°C로, 2월 하순치고는 낮지만 심한 편은 아니었다.[27] 서울 기준 2월이 같은 해 1월보다 낮았던 것은 1979년 이후로 무려 46년 만이다. 또한 기록적인 고온을 보인 지난 해 2월과 비교할 경우 무려 5°C(...)나 낮다.[28] 이마저도 월말 고온이 없었다면 월평균기온 -2°C 이하를 기록하여 2012년을 제치고 21세기 내에서 가장 추운 2월이 될 수 있었다. 당장 2월이 이틀 앞당겨져서 1월 30일~2월 26일까지의 평균기온을 구해보면 -1.8°C가 된다. 또한 2012년은 극초반 3일 동안 찾아온 -17~-15°C 안팎의 북극한파가 월평균을 크게 끌어내린 것에 가깝고, 하순은 오히려 이상 고온이 잦은 편이라, 추위의 지속성만 놓고 본다면 올해가 2012년보다 결코 덜하지 않다.[29] 게다가 전국은 2023년 11월이 평년보다 조금 높았다 보니, 2022년 12월 이후 26개월 만에 처음으로 월평균 저온을 기록했다.[30] 다만 상순에는 추위 없이 다소 높은 날씨만 이어졌다.[31] 특히 영남권은 강수가 적었다.[32] 월말에 기온이 크게 떨어지지 않았다면 하순 기온은 2014년, 2023년 급의 기록이 나왔을 것이다.[33] 특히 25일에는 황사까지 겹쳐서 미세먼지 250, 초미세먼지 80을 돌파했을 정도로 농도가 크게 올랐다.[34] 이는 3월 최고 기온 역대 2위이다. 1위는 2023년 3월 22일 25.1°C.[35] 실제로 이해 3월 날씨는 상순 초중반과 16~19일, 29~31일 정도를 제외하면, 그 2023년과 추세가 비슷할 정도로 고온이 매우 심하다. 중간중간 제외된 날들이 꽃샘추위가 있어서 2023년보다 기온이 낮은 것이다.[36] 21세기 들어 가장 늦은 (서울) 영하 기록이다.[37] 2~3월도 비슷한 추세의 날씨를 보였다.[38] 특히 11일의 경우 서울이 24.2°C까지 매우 크게 올랐다.[39] 사실 8일도 최고기온은 평년보다 높았으나 최저기온은 서울 기준 9.7°C로 되려 평년보다 낮았다.[40] 다만 최저기온이 낮아 일평균은 평년 수준이었다.[41] 15일에는 대기불안정으로 인해 전남 남해안을 중심으로 국지성 호우가 쏟아졌으며, 가장 비가 많이 온 장흥군은 179.2mm의 강수량을 기록했다. 16일에는 전국적으로 비가 내렸고, 남부지방은 정체전선으로 인해 종일 상당한 비가 쏟아졌다. 반면 중부지방은 정체전선의 영향권 밖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극심한 대기불안정으로 인해 늦은 오후 한때 곳곳에서 기습 폭우가 쏟아지며 피해가 발생했다. 서울은 올해 들어 첫 호우주의보가 내려졌고, 남양주는 아예 호우경보까지 내려졌다. 강수량은 남양주시 오남읍이 130mm로 최고를 기록했으며, 서울은 51.3mm가 내렸다. 심지어 남양주는 한때 시간당 75mm를 기록하며 올해 들어 처음으로 극한호우 긴급재난문자까지 발송되었다.[42] 27일은 24~26일의 한기 여파로 최저기온은 평년 수준이었다.[43] 7월 9일 36.0°C, 7월 10일 36.2°C, 7월 11일 36.1°C, 7월 12일 36.5°C. 그나마 10일 밤부터는 건조한 동풍이 유입되며 습도가 낮아졌고 일교차가 벌어지며 열대야에서는 벗어났다. 물론 그래도 24°C대로 높은 것은 마찬가지였지만.[44] 종전 기록인 2022년의 28.3°C를 1.1°C라는 큰 차이로 경신하였다.[45] 특히 7월 17일 서산 438.9mm, 광주 426.4mm 등 이 시기 공식 관측소에서도 400mm 이상의 일 강수량이 두 번이나 기록되었다. 서울도 16~20일 동안 300mm에 가까운 큰 비가 내렸다.[46] 특히 26일에는 37.1°C를 기록해 지난 8일에 이어 다시 한 번 37°C를 돌파했고, 그 다음 날인 27일에는 38.0°C를 기록하였다.[47] 2018년 8월과 동일한 기록이다. 심지어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따지면 2025년 7월이 0.07°C 더 높다.[48] 9일에는 전국 대부분 지역의 최고기온이 30°C를 밑돌았고, 10일에는 열섬이 심한 서울의 최저기온이 21°C까지 하강하는 등 저온도 어느 정도 있었다.[49] 극심한 폭염이 찾아왔던 2016년 8월의 월평균기온보다도 높다![50] 2013년 8월과 기온 양상이 유사하게 중하순 중심으로 기록적이였으나 이보다도 기온은 더 높았다. 그로 인해 하순 평균기온은 28.7°C로 압도적 1위였다.[명목적] 6~8월[52] 하지만 밤에 내려가 일최저기온은 열대야가 아니었다.[53] 심지어 아침에 강수가 있었는 데에도 기온이 26°C 이하로 내려가지 않았다. 게다가 이 날은 밤에 최저가 내려갔지만 25.4°C로 일 최저기온으로도 열대야를 면하지 못했다.[54] 별의 커비 디스커버리의 DLC다.[55]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후속게임[56] 2025년 1월, 설날 연휴의 경우 원래 2024년에 방송 예정이었으나 제주항공 2216편 활주로 이탈 사고 여파로 결방으로 1월 녹화방송, 설날 연휴 생방송으로 방영되었다.[57] 시범 도입은 이미 1990년대 후반부터 일부 학교에서 진행되었다. 이후 국어와 기술가정 과목을 제외한 전 과목에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하는 것을 추진 중이나, 윤석열 대통령이 탄핵되면서 엎어졌다.[58] 2008년생까진 기존 9등급 상대평가 방식을 적용한다.[59] 100%의 학교가 자유학년제인 해는 2020년이다. 다만 이조차도 코로나19로 제대로 누리지 못했다.[60] KOVO컵, 정규시즌, 챔피언결정전[61] 코로나로 조기종료된 2021-22 시즌 제외[62] UEFA 챔피언스 리그, UEFA 유로파 리그, UEFA 컨퍼런스 리그, UEFA 슈퍼컵은 물론이고 과거에 폐지가 된 UEFA 컵위너스컵까지 우승을 차지했다.[63] 다만 이 구간은 당분간 ITX-마음과 누리로 열차만 운행할 예정이며, KTX-이음 열차는 2026년부터 운행할 예정이다.[64] 고양시는 경기 북부권에서 유일하게 100만명 이상의 인구가 사는 대도시이고 의정부시는 경기 북부권의 행정을 총괄하는 경기도청 북부청사가 있는 곳이다.[65] 행정적인 고시상으로는 이미 착공된 상태지만 실제 공사는 이뤄지지 않았고 2025년부터 공사가 진행될 예정이다.[66] 목포 방향은 2021년 12월 29일에 개통하였다.[67] 심지어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의 착륙 루트에 거대한 산불이 진행되고 있는 매우 아찔한 상황까지 발생하였다. 만약에 착륙 도중에 산불 연기가 엔진 등 기내에 빨려 들어가서 문제를 일으켰다면 최악의 경우 미국판 제주항공 참사로 이어졌을 것이다.[68] HL7763, 에어버스 A321[69] 현지 시각 1월 28일[70] 현지 시각 1월 29일[71] 현지 시각 1월 31일[72] 한국 역시 2024년 12월 초부터 국가적 사건이 연속적으로 발생해 범국가적 저기압이 이어지던 중 무안공항에서 참사가 발생하며 2025년 1월까지 여전히 민감한 분위기를 이어가고 있었던 중이라 이러한 대형 인재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면도 있다.[73] 화성시는 전국에서는 5번째, 경기도에 소속된 지방자치단체들 중에서는 수원시, 고양시, 용인시의 뒤를 이은 4번째 특례시가 되었다.[74] 711번 버스 제외[75] 부산 ~ 울산 구간 및 부조 ~ 포항 구간 제외. 해당 구간은 각각 14번 국도 및 28번 국도가 가장 비슷하게 간다.[76] 5호선이 애오개역을 무정차 통과하였다.[77] 인도보류명령(WRO)은 미국 관세국경보호청이 수입하는 제품 가운데 제품의 생산을 위해 강제노동이 실시되었다는 합리적 의심이 있을 때 외국 업체에 부과하는 제재이다.[78] 대선은 늦어도 60일 이후인 6월 3일에 치러지게 되는데 6월에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가 치러지는 것은 헌정 사상 최초다.[79] 북미, 남미, 유럽, 일본, 대한민국, 홍콩, 호주, 뉴질랜드를 포함한 1차 출시국.[80] 북한은 11일 밤까지 대남 방송을 송출했다.[81] 해당 사진은 호우가 집중된 충청남도의 예산군 삽교읍의 침수된 모습이다.[82] 정선군의 경우 교통카드 필수, 60번대로 태백시 이동시 2000원, 21번으로 진부 이동시 1000원 징수이다.[83] 제헌절은 2007년 이전에는 공휴일이었지만 2005년 주5일제가 본격화되면서 2008년부터 휴일에서 제외됐었다.[84] 사건 자체는 약 두 달 전인 7월 12일에 발생했다. 언론 보도는 이보다 사흘 늦은 9월 4일.[85] 단, Windows 10 Enterprise LTSB/LTSC의 경우 2015 LTSB을 제외한 2016 LTSB와 2019/2021 LTSC의 경우 2025년 이후에도 연장 지원을 더 지원해 최대 2032년까지 지원한다. Windows 10은 지원 종료 3년 후인 2028년까지 유료 연장 지원을 한다. 자세한 건 Windows 10/제품군 참고. 원래 Windows 10은 2016년까진 에디션에 상관없이 Windows 7, 8/8.1 등의 이전 운영 체제과 같이 5년의 일반 지원과 5년의 추가 연장 지원해 총 10년의 기간을 지원했으나, 2016년 12월부터 홈 에디션과 프로 에디션은 빌드 버전별 1년 6개월, 엔터프라이즈 에디션과 에듀케이션 에디션은 2년으로 지원 기간이 크게 단축됐다. 다만, 과거의 Windows 버전에서 서비스 팩 업데이트를 하지 않은 RTM 빌드 버전도 지원 기간이 짧았기에 그런 관점에서 보면 오히려 종래에 따라 맞춘 지원 정책이라 볼 수 있다.[A] KBS 2TV 방영 기준으로 되어있다.[87] 도시샤대학에서 열린 추도식에서 명예문화박사학위 수여식이 거행되어 명예 박사학위를 받게 되었다.[88] 일본 기준[89] 같은 해 9월에 1000회 방영도 이뤄진다.[90] 한국 서비스를 비롯한 글로벌 서비스 출시 기준.[91] 그와 동시 김종국의 명곡 사랑스러워 발매 20주년.[92] 그러나 5월 29일부로 서비스 종료되었다.[93] 일본 기준[94] 일본 기준[95] 대한민국에서는 MBC판에는 마법사 헌터, 투니버스에서는 마법전사 캐롯으로 명칭이 되어있다.[A] [97] 일본 기준[98] 대한민국 기준[99] 이터널 리턴의 전속 게임.[100] 같은 을사년이다.[101] 게임 내에 북한이 모든 무기에 백도어를 심어뒀다는 말이 나온다.[102] 초반엔 구호 활동을 했지만 이내 진압하는 장면으로 바뀐다.[103] 아이러니하게도 폐쇄된 연도가 F.E.A.R. 시리즈의 배경년도랑 같은 년도에 폐쇄되었다는 점이다.[104] OST가 큰 성공을 거두었다.[역주행] [재흥행] [역주행] [재흥행] [재흥행] [역주행] [역주행] [역주행] [한국_포함] [역주행] [115] Andrew Choi, Neckwav, Danny Chung, 케빈, samUIL Lee[한국_포함] [한국_포함] [역주행] [119] EJAE, 오드리 누나, REI AMI[한국_포함] [121] 짭플래쉬 그 노래다.[한국_포함] [123] 우리나라에는 두 달이나 늦은 2월 28일에 들어왔다.[124] 원형은 만화 갤러리 유저를 뜻하는 '만붕이'의 변형인 '만삣삐'.[125] 1월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되었다.[126] 어린이날과 부처님오신날이 겹쳐 다음날이 대체 휴일로 지정된다.[127] 윤석열 대통령 탄핵으로 제21대 대통령 선거가 6/3(화)로 정해지면서 임시공휴일로 지정되었고, 직전 주말과 연계되는 징검다리 연휴가 만들어졌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포토맥강 상공 공중 충돌 사고|포토맥강 상공 공중 충돌 사고]]}}}{{{#!if external != "o"
[[포토맥강 상공 공중 충돌 사고]]}}}}}}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포토맥강 상공 공중 충돌 사고?uuid=5d022c14-5a5c-4faa-a7bb-0c9a2db3fdf4|r312]]}}}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포토맥강 상공 공중 충돌 사고?uuid=5d022c14-5a5c-4faa-a7bb-0c9a2db3fdf4#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포토맥강 상공 공중 충돌 사고?from=312|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포토맥강 상공 공중 충돌 사고|포토맥강 상공 공중 충돌 사고]]}}}{{{#!if external != "o"
[[포토맥강 상공 공중 충돌 사고]]}}}}}}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포토맥강 상공 공중 충돌 사고?uuid=5d022c14-5a5c-4faa-a7bb-0c9a2db3fdf4|r312]]}}}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포토맥강 상공 공중 충돌 사고?uuid=5d022c14-5a5c-4faa-a7bb-0c9a2db3fdf4#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포토맥강 상공 공중 충돌 사고?from=312|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