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7 21:48:11

사찰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불교 사찰(寺刹)}}}에 대한 내용은 [[절(불교)]]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절(불교)#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절(불교)#|]]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수의 단위 사찰(伺察)}}}에 대한 내용은 [[사찰(수)]]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사찰(수)#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사찰(수)#|]]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불교 사찰(寺刹): }}}[[절(불교)]]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절(불교)#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절(불교)#|]]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수의 단위 사찰(伺察): }}}[[사찰(수)]]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사찰(수)#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사찰(수)#|]]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rowcolor=white> 👁️ 검열감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3478><colcolor=#fff> 대상 분야 인터넷 · 게임 · 도서 · 문학 · 음악 · 언론
관련 양상 감청 · 검열삭제 · 게이트키핑 · 국가의 감시 · 금지어 · 기록말살형 · 기획고소 · · 도청 · 모자이크 · 방송금지 · 백도어 · 분서 · 블랙리스트 · #s-1 · 소음 검열 · 자기검열 · 전파 방해 · 필터링 · 필터링 소프트웨어 · 해외접속차단
관련 개념 명예훼손 (명예훼손죄 · 모욕죄) · 기업 검열 · 개인정보 · 통신이용자정보 제공 · 빅 브라더
관련 권리 표현의 자유 · 사생활 · 인터넷 프라이버시 · 개인정보자기결정권
관련 통계 세계의 자유 · 언론자유지수 · 인터넷 자유 지수 · OONI
국가별 사례 한국 (인터넷 · 만화 · 문학 · 음악 · 언론 · 도서) · 북한 (도서정리사업) · 미국 · 중국 (황금방패) · 이란
}}}}}}}}} ||


1. 개요2. 관련 사건
2.1. 국내2.2. 해외
3. 인터넷 용어

1. 개요

사찰(査察)은 다른 사람의 행동, 동태를 조사하여 살피는 일, 또는 그러한 일을 하던 경찰의 한 직분을 뜻하는 말이다. 예시로 민간인 사찰이 있다.

주로 국가 권력이 주체가 되며, 국가 권력이 부패했을 지경에 주로 쓰이는 말이지만, 신천지의 사례를 보면 알 수 있듯 사이비 종교의 사찰도 가능하다. 세계구급 사례로는 핵사찰이 있다.

국가가 공적 목적에서 수행하는 법적 기준은 형사소송법상 압수수색과 전기통신사업법상 통신자료제공 등이 있다. 여기에 위반되지 않게 처리된 경우에도, 정치화 되거나 자신의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사찰이다!'라고 주장되는 경우가 많다.

감찰과는 비슷하면서도 다른 것인데, 이 둘 사이의 차이는 다음 링크를 참고하도록 하자. #1 #2

2. 관련 사건

2.1. 국내

2.2. 해외

  • NSA 기밀자료 폭로사건: 무려 전세계 사람들을 사찰한 사건이다.
  • 브라질정보국(ABIN)의 사찰 의혹: 자이르 보우소나루 시절 ABIN 요원들은 휴대전화 해킹 프로그램을 이용해 정부 관료, 법조인, 경찰관, 언론인 등을 불법 사찰했다고 하며, 심지어 이렇게 수집한 정보를 2020년 지방선거에도 활용했다는 의혹도 있다. #
  • 영국 MI5에서는 냉전 시기에 노조원들과 노동당 당원들을 불법 사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고서를 만들었다고 한다.[1] #1 #2
  • 프랑스DGSI는 2010년 언론인 사찰, 무단 통신기록 조회 의혹에 연루된 바가 있다. #
  • 스페인의 정보기관 국가정보센터(CNI)에서는 2022년 이스라엘이 제작한 페가수스 스파이웨어를 통해 최소 63명[2]의 전화를 도청한 것이 발각되어 CNI 수장이 사임했다고 한다. #
  • 이탈리아에서는 1996년부터 2006년까지 군사정보기관 SISMI가 5천 명 이상의 인물들[3]의 휴대전화를 도청한 것이 발각되었는데도(#) 2007년 8월 이탈리아인, 프랑스인 판사를 사찰한 것이 또 드러났다.(#)
  • 일본에서는 2015년 방위성 측에서 민간 경비업체를 통해 오키나와주일미군 기지 이전을 반대하는 사람을 사찰하고 블랙리스트를 만들었다는 의혹이 있다. 물론 방위성은 자신들이 블랙리스트 작성을 지시한 적이 없다고 전면 부인했다. #
  • 스웨덴의 정보기관 스웨덴 보안국(Säpo)도 1969년부터 30년 이상 '전복적인' 것으로 간주된 좌파 정치 조직과 불법 노조 활동이 의심되는 우파 조직들을 사찰했다가[4] 유럽 사법 재판소에 회부되어 개인 정보 침해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기도 했다. #

3. 인터넷 용어

자신의 행동이나 성향과 비슷한 게시물의 댓글 등에 쓰인다. 생각이 자신과 너무 비슷하다보니, 사찰해서 알아냈냐는 식의 드립이며, 트위터 등에서 쓰인다.

[1] 사찰 피해자 중에는 해럴드 윌슨 전 영국 총리와 2007~2010년까지 국무장관이었던 노동당 의원 잭 스트로(Jack Straw, 1946~)도 있다고 한다.[2] 대다수가 카탈루냐 독립운동과 관련된 사람들이었고, 국방장관, 내무장관, 심지어 총리의 휴대전화까지 도청당했다고 한다.[3] 정계, 법조계, 언론계, 스포츠계 가리지 않았다.[4] 충격적인 것은 좌파 언론 구독을 넘어 베트남 전쟁 반전 운동을 하던 15세 미성년자까지 사찰 대상이었다고 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