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기원전 | ||||
기원전 11세기 이전 | |||||
기원전 10세기 | 기원전 9세기 | 기원전 8세기 | 기원전 7세기 | 기원전 6세기 | |
기원전 5세기 | 기원전 4세기 | 기원전 3세기 | 기원전 2세기 | 기원전 1세기 | |
기원후 | |||||
제1천년기 | |||||
1세기 | 2세기 | 3세기 | 4세기 | 5세기 | |
6세기 | 7세기 | 8세기 | 9세기 | 10세기 | |
제2천년기 | |||||
11세기 | 12세기 | 13세기 | 14세기 | 15세기 | |
16세기 | 17세기 | 18세기 | 19세기 | 20세기 | |
제3천년기 | |||||
21세기 | 22세기 | 23세기 | 24세기 | 25세기 | |
26세기 | 27세기 | 28세기 | 29세기 | 30세기 | |
제4천년기 이후 | }}}}}}}}} |
천년기 | ||
기원전 2천년기 이전 | 기원전 | 제1천년기 |
제2천년기 | 제3천년기 | 제4천년기 이후 |
[clearfix]
1. 개요
세계 각 지역의 표기 | |
서기 | 2001년~3000년 |
단기 | 4334년~5333년 |
불기 | 2545년~3544년 |
황기 | 2661년~3660년 |
이슬람력 | 1421년~2451년 |
주체 | 90년~1089년 |
민국 | 90년~1089년 |
대한민국 | 83년~1082년 |
개국 | 610년~1609년 |
2. 이 시기에 존재했던 국가들 (건국순)
- 유고슬라비아 (1918~2006)
- 대리비아 아랍 사회주의 인민 자마히리야국 (1969~2011)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1992~2006)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1996~2001)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2001~2021)
- 방사모로 (2013~2013)
3. 이 시기의 세계 약사
3.1. 동아시아
21세기 - 일본은 버블경제의 붕괴, 한국은 외환위기의 여파를 잠시 겪었지만 금세 회복하는 데 성공했다. 이 중 한국은 전자제품과 문화 콘텐츠를 앞세워 한류 열풍을 일으켰다. 북한에서는 김정일의 사망으로 지도자가 교체되는 와중에도 핵실험이 계속되었다. 한편 중국은 무서운 속도로 성장을 거듭하다 유례가 없는 감염병의 탄생으로 국제적 위상이 크게 실추되었다.3.2. 중동
21세기 - 20세기와 달리 어느 정도 안정을 찾나 싶더니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과 끝없는 갈등을 벌였다. 아랍에미리트는 눈부신 발전을 이루었고, 이슬람 극단주의 세력은 미국을 필두로 한 외세뿐 아니라 같은 중동 국가들까지 자극했다. 결국 탈레반이 아프가니스탄을 전복시키는 일이 일어나기도 했다.3.3. 유럽
21세기 - 러시아는 푸틴 정권이 들어서고 경제가 어느 정도 회복되자 남오세티야 전쟁을 일으키고 크림 반도를 병합했고, 유럽으로 난민이 대거 유입되었다. 영국은 유럽 연합에서 탈퇴를 선언했고, 유럽에서 전쟁이 발발했다.3.4. 아프리카
21세기 - 20세기 최후반에 일어난 소말리아 내전이 계속되었고, 수단에서 남수단이 떨어져 나갔다.3.5. 북아메리카
21세기 - 미국은 21세기가 시작되자마자 전대미문의 공격을 받고 아프가니스탄과 전쟁을 시작했으나 20년의 시간이 무색하게 영 시원찮은 결과만 거두었다. 아이폰과 테슬라 등 혁신적인 물건들이 대거 쏟아져 나왔다.3.6. 중, 남아메리카
21세기 - 이전의 열강들과 미국, 소련의 정치적 개입의 영향으로 남미 정치는 좌익과 우익이 번갈아가며 집권하는 혼란기를 겪는다.3.7. 오세아니아
3.8. 그 외
21세기 - 지구 궤도에 사람이 상주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된 끝에 ISS와 톈궁이라는 결과물이 나왔다. 지난 세기에 지구를 출발한 탐사선 중 몇 척이 드디어 외우주로 진입했고, 태양으로도 탐사선이 향했다. 첫 민간 우주선이 발사되었고, 미국을 중심으로 여러 나라들은 2025년에 달에 다시 한 번 인간을 보낼 예정이다.4. 예정
- 2048년 - 글리제 581c에 전파기술을 가진 지성체가 있을 경우 답신을 받을 수 있다.
- 2075년 - 국회의사당 정문 해태상 밑에 묻힌 기념 백포도주가 개봉된다.
- 2096년 - 두산에서 연강 소공원 지하 5미터에 묻은 타임캡슐이 개봉된다. 타임캡슐
- 2113년 - 에펠탑에서 트라이얼스 상자가 개봉된다
- 2114년 - 통합 청주시 타임캡슐이 개봉된다.
- 2130년 - 천상병 공원에 묻혀 있는 타임 캡슐이 개봉된다.
- 2394년 11월 29일 - 서울천년타임캡슐이 개봉된다. 이 캡슐에 대한 자세한 것은 24세기 참조.
- 2485년 - 85타임캡슐이 개봉된다.
- 2513년 - 의성조문국박물관 타임캡슐이 개봉된다. 의성조문국박물관 타임캡슐
- 3000년 - 제주 사라봉공원 타임캡슐이 개봉된다.
5. 천문 현상
- 2029년 - 소행성 아포피스가 지구에 접근한다.
- 2036년 - 소행성 아포피스가 지구에 다시 접근한다.
- 2061년 - 핼리 혜성이 태양에 접근한다.
- 2095년 - 한반도에서 관측 가능한 금환일식이 발생한다.
- 2134년 - 핼리 혜성이 태양에 접근한다.
- 2880년 - 지름이 1.1km에 달하는 소행성 1950 DA가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충돌 확률은 0.012%이다.[2]
- 3000년: 세차운동의 영향으로 북극성이었던 작은곰자리 알파성이 북극에서 멀어진다. 북극성 지위는 세페우스자리 감마성 알라이가 꿰차게 되고 이를 5200년까지 유지할 것이다.
[1] 3번째 밀레니엄의 기간이 2000년부터 2999년까지라고 생각이 들 수도 있으나, 서기력으로는 0년이 없으므로 2001년부터 3000년까지가 맞다.[2] 굉장히 작은 수지만 천문학적으로는 꽤나 높은 확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