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짜 이동란 | ||||
2월 8일 | 전날 ←전달 | | 다음날 →다음달 | 2월 10일 |
1월 9일 | 3월 9일 |
◀ | 2월 | ▶ |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2023년 기준 2월 29일 · 2월 30일 · 전체 보기 |
1. 개요
1년의 40번째 날에 해당한다.2. 사건
- 474년 - 제논이 자신의 아들 레오 2세와 함께 동로마 제국의 공동 황제로 즉위했다.
- 1621년 - 교황 그레고리오 15세가 제234대 로마 교황에 취임했다.
- 1905년 - 러일전쟁을 일으킨 일본군이 인천에 상륙하였다.
- 1950년 - 미국의 조지프 매카시 상원의원이 국무부에 수백명의 공산주의자가 있다고 연설함으로써 매카시즘이 시작되었다.
- 1969년 - 보잉사의 초대형 제트 여객기 'Boeing 747'이 첫 비행(test flight)에 성공했다.
- 1990년 - 대한민국의 민주정의당과 신민주공화당, 통일민주당의 주요 3당이 통합하여 민주자유당을 창당했다. 3당 합당 문서 참조.
- 1995년
- 김종필 전 민자당 대표가 신당 창당을 선언했다.
- 이스라엘군이 46년만에 요르단에서 완전 철수했다.
- 이스라엘-요르단 양국이 국경통과, 관광, 안보협정에 서명했다.
- SBS 연예 정보 프로그램 한밤의 TV연예가 방송을 시작했다.[1]
- 2000년 - 미국 육군 제8군 용산기지에서 폼알데하이드 223리터를 한강에 무단 방류했다. 주한미군 독극물 한강 무단 방류 사건 문서 참조.
- 2006년
- 서울중앙지법은 혈액관리를 엉망으로 해 수혈한 환자들이 간염에 걸리도록 한 혐의로 불구속기소된 전·현직 혈액원장 등 25명 가운데 19명에게 벌금형을 선고했다.
-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감기와 인후염 등 급성상기도감염 환자에 대한 종합전문병원과 병·의원 등 전국 의료기관의 2005년 3분기 항생제 처방률을 공개했다.
- 대한민국 축구팀이 미국에서 LA갤럭시와의 경기에서 3:0으로 완승했다.
- 2007년
-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인 박용성 전 두산그룹 회장과 김대중 전 대통령의 측근인 박지원 전 청와대 비서실장, 권노갑 전 새천년민주당 고문, 김영삼 전 대통령의 차남인 김현철 등 434명이 특별사면ㆍ복권되었다.
- 서울신용산초등학교에서 화재가 발생했으나,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다.
- 경상북도청을 현 대구광역시에서 경상북도로 이전한다는 조례안이 우여곡절 끝에 경상북도의회를 통과했다.[2]
- 미국 메이저 리그 야구에서 뛰고 있는 박찬호가 메츠와 1년간 옵션을 포함해 총 300만 달러에 계약했다.
- 2009년
- 경상남도 창녕군에서 화왕산 억새 태우기 사고가 발생해 등산객 4명이 불에 타 숨지고, 50여 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 대한민국 서울중앙지방검찰청은 용산 참사와 관련하여, 경찰의 법적 책임은 없고, 농성자와 용역업체 직원 등 27명은 기소한다는 중간 수사 결과를 발표했다. 야당과 시민단체는 검찰의 수사 결과에 반발했다.
-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과 한국고전번역원 번역대학원은 정조가 심환지에게 보낸 어찰첩을 발굴했다고 발표하였다.
- 이집트 카이로 북부 사카라에서 미라 30구가 발견됐다.
- 중국 베이징에 건축 중인 중국중앙방송(CCTV) 신사옥의 별관이 화재로 전소됐다.[3]
- 민주노총 지도부가 2008년 12월에 일어난 모 간부의 성폭행 사건에 책임을 지고 총사퇴했다.[4]
- 2010년 - 오후 6시 8분경(KST) 대한민국 경기도 시흥시 부근에서 규모 3.0 의 지진이 발생하였다.
- 2011년 - 남북군사실무회담에서 남ㆍ북측이 서로 의견을 나누었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북측이 일방적으로 퇴장하면서 회담을 종료했다.
- 2012년
- 2014년
- 2018년 - 대한민국 강원도 평창군에서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이 개막했다.
- 2019년 - 요네즈 켄시의 노래 Lemon이 J-POP 뮤직비디오 역사상 최초로 3억 조회수를 돌파하였다.[7]
- 2020년 - 영화 《기생충》이 미국 아카데미상 사상 최초의 비영어작품 작품상 수상작이 되었다.[8]
- 2021년 - 서울특별시가 수도권 전철의 서울 외부 직결 연장 거부 정책을 발표했다.
- 2022년
- 걸그룹 VIVIZ가 데뷔했다.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중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편파판정 논란으로 인해 국내의 반중정서가 치솟던 와중, 주한 중국 대사관이 일부 한국 언론과 정치인들이 반중 정서를 선동하고 양국 국민감정을 악화시켰다고 전했다.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 피겨 스케이팅 금메달 유력 후보에 오른 러시아 올림픽 선수단의 카밀라 발리예바가 도핑 테스트에서 양성 판정을 받으며 6년만에 러시아의 도핑 논란이 또 한번 불거졌다.
3. 기념일 및 절기
- 세계 피자의 날
4. 축일
5. 생일
신효원엔하이픈 정원
5.1. 실존 인물
- 1441년 - 알리셰르 나보이(~1501년): 중앙아시아의 정치가, 시인
- 1773년 - 윌리엄 해리슨(~1841년): 미국의 제9대 대통령, 최단기 재임자
- 1846년 - 빌헬름 마이바흐(~1929년): 독일의 자동차 디자이너
- 1856년 - 하라 타카시(~1921년): 일본의 19대 총리
- 1867년 - 나쓰메 소세키(~1916년): 일본의 작가
- 1891년 - 로널드 콜먼(~1958년): 영국의 배우
- 1911년 - 마티아스 카부레크(~1976년): 오스트리아의 전 축구 감독
- 1912년 - 기예르모 캄파날(~1984년): 스페인의 전 축구 감독
- 1915년 - 토마스 페르난데스(~?): 쿠바의 전 축구 선수
- 1928년 - 리누스 미헬스: 네덜란드의 레전드 축구감독
- 1936년 - 박종환: 대한민국의 축구인
- 1943년 - 조 페시: 미국의 배우
- 1946년 - 안상수: 대한민국의 정치인
- 1949년 - 아라키 시게루(~2012년): 일본의 배우
- 1951년 - 아다치 미츠루: 일본의 만화가
- 1952년 - 쓰치야 시나코: 일본의 정치인
- 1958년 - 이나쓰 히사시: 일본의 정치인
- 1959년 - 이채진: 대한민국의 성우
- 1964년 - 메두사: 前 미국의 프로레슬러이자 몬스터 트럭 선수
- 1966년 - 우루시하라 사토시: 일본의 일러스트레이터, 애니메이터, 게임원화가, 만화가
- 1968년 - 야마카와 요시노부: 일본의 애니메이션 감독, 연출가, 애니메이터
- 1970년 - 김준선: 대한민국의 가수
- 1972년 - 크리스핀 프리먼: 미국의 성우
- 1973년
- 1976년 - 홍경민: 대한민국의 가수, 보컬리스트
- 1977년
- 1979년
- 1980년
- 1981년
- 1982년
- 1983년 - 문정웅: 대한민국의 배우
- 1984년 - 한경: 중국의 가수, 前 슈퍼주니어의 멤버
- 1985년
- 1986년 - 최진혁: 대한민국의 배우
- 1987년
- 1988년 - 권성혁: 대한민국의 성우
- 1989년 - 문준영: 대한민국의 아이돌 그룹 제국의 아이들의 멤버
- 1990년
- 1991년 - 장삐쭈: 대한민국의 유튜브 크리에이터
- 1992년 - 제이호(댄서): 대한민국 댄스 크루 Just Jerk의 멤버
- 1993년 - 김민석: 대한민국의 레슬링 선수
- 1994년
- 1995년 - 쟈니: 대한민국의 아이돌 그룹 NCT의 멤버
- 1996년
- 1997년 - 홍성윤: 대한민국의 언더그라운드 래퍼
- 1998년 - 이노우에 호노카: 일본의 성우
- 1999년 - 오다 아야카: 일본의 아이돌 그룹 HKT48의 멤버
- 2000년
- 2001년
- 2004년
5.2. 가상 인물
- 가정교사 히트맨 REBORN! - Dr. 샤멀
- 길티기어 시리즈 - 치프 자너프
- 노을빛 세계에서 너와 노래를… - 나츠메 소세키
- 라이어 게임 - 아키야마 신이치
- 라피스 리라이츠 - 애슐리
- 러브라이브! 스쿨 아이돌 페스티벌 - 시라키 나기
- 레슬엔젤 서바이버 - 윤미화
- 문호 스트레이독스 - 나쓰메 소세키
- 붕괴3rd - 후카
-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 이부키 우쿄
- 블리치 - 바라간 루이젠번
- 블랙스타 -Theater Starless- - 모쿠렌
- 소녀전선: 뉴럴 클라우드 - 노라
- 신데렐라 일레븐 - 리마 첼리코
- 아마카노 -Second Season- - 타카야시로 유즈카
- 암살교실 - 후와 유즈키
- 원피스 - 바솔로뮤 쿠마, 와다츠미
- 은혼 - 츠쿠요
- 전익의 시그드리파 - 혼죠 미사토
- 쿵야 시리즈 - 주먹밥쿵야
- 프리파라 - 타이요우 페퍼
- 하나마루 유치원 - 하나마루 선생님
- 옹정황제의 여인 - 안릉용
- G선상의 마왕 - 아자이 카논
- HELIOS RISING HEROES - 오스카 베일
- IDOLY PRIDE - 코미야마 아이
- Summer Pockets - 미타니 료이치
6. 기일
6.1. 실존 인물
- 1873년 - 카롤리네 아우구스테(1792년~): 바이에른 왕국의 공주, 오스트리아 제국의 황후
- 1881년 - 표도르 도스토옙스키(1821년~): 러시아의 문호
- 1977년 - 세르게이 블라디미로비치 일류신(1894년~): 소련의 항공기 기술자
- 1984년 - 유리 안드로포프(1914년~): 제6대 소련 공산당 서기장
- 1989년
- 1996년 - 아돌프 갈란트: 독일 공군의 조종사
- 1999년 - 제정구(1944년~): 대한민국의 제14~15대 국회의원, 빈민운동가.
- 2005년 - 요제프 라셀른베르크(1912년~): 독일의 전 축구감독
- 2019년 - 토미 웅거러(1931년~): 프랑스의 작가
- 2021년 - 칙 코리아(1941년~): 미국의 재즈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
[1] 방송 초창기의 프로그램명은 생방송 한밤의 TV연애였고, 이후 2008년 11월 5일부터 현재의 한밤의 TV연애라는 제목을 사용하기 시작했다.[2] 경상북도청은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가 분리된 이래 대구광역시에 위치해 있었다.[3] 다행히 신사옥 본관 큰 바지 는 멀쩡했다.[4] 이후 약 7년 뒤인 2015년 7월 16일, 민주노총 울산지역본부의 강성신 본부장이 성폭행 관련 혐의로 사퇴했다.[5] 합의의 주된 골자는 1,300억 유로 지원과 민간투자자가 보유한 그리스 국채에 대해 53.5%의 채무탕감 및 연3.65%의 신국채로의 교환이었다.[6] 2월 19일에 폐막했다.[7] 그후로 2019년 6월 16일에 4억 조회수 돌파 2019년 12월 17일에 5억 조회수 돌파 2020년 8월 10일에 6억 조회수 돌파 2021년 9월 18일에 7억 조회수를 돌파하였다.[8] 또한 한국 영화사상 최초의 아카데미상 수상작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