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경제학상 수상자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
제임스 헤크먼 대니얼 맥패든 | → | 조지 애컬로프 마이클 스펜스 조지프 스티글리츠 | → | 대니얼 카너먼 버넌 스미스 |
Joseph E. Stiglitz | |
이름 | <colbgcolor=#ffffff,#333>조지프 유진 스티글리츠 Joseph Eugene Stiglitz |
국적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부모 | 아버지 나타니엘 데이비드 스티글리츠 어머니 샬럿 피쉬맨 |
배우자 | 제인 해너웨이(1978년 결혼 ~ 이혼) 안야 쉬프린(1962년 12월 6일생, 2004년 결혼) |
자녀 | 4명 |
출생 | 1943년 2월 9일 ([age(1943-02-09)]세) 미국 인디애나주 게리 |
학력 | 애머스트 칼리지 (경제학 / B.A.)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경제학 / Ph.D.) |
소속 | 前 MIT (경제학과 / 조교수) 前 예일 대학교 경제학과 / 정교수) 現 스탠퍼드 대학교 (경제학과 / 명예교수) 前 옥스퍼드 대학교 (경제학과 / 정교수)[1] 前 프린스턴 대학교 (경제학과 / 정교수) 前 빌 클린턴 행정부 경제자문위원회 前 세계은행 (수석 부총재 · 경제학자) 現 컬럼비아 대학교 (경제학과 / 정교수)[2] |
지도교수 | 로버트 솔로우[3] |
링크 |
[clearfix]
1. 개요
조지프 유진 스티글리츠는 미국의 경제학자이다. 2001년 '비대칭정보 하의 시장에 대한 분석'이라는 업적을 인정받아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하였다. 경제사상으로는 새 케인스학파에 속한다. 현직 컬럼비아 대학교의 교수이자 전직 세계은행 부총재 역임자로 북유럽식 성장 모델을 선호하는 입장을 취했다.2. 생애
인디애나 주에서 태어나 1964년 애머스트 칼리지에서 학부를 마치고, MIT에서 로버트 솔로우의 지도아래 1967년 24세에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에 27세의 나이에 예일 대학교 교수로 임용된다. 이후 옥스퍼드 대학교, 프린스턴 대학교 등의 교수직을 거쳐 세계은행 부총재를 역임하였다. 2001년 부터 컬럼비아 대학교의 석좌교수직을 맡고 있다.3. 업적
정보경제학을 사실상 완성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통상적인 주류경제학 이론들은 시장의 완전성 내지 수요와 공급의 일치를 전제한다. 이 전제가 성립하려면 그보다 앞서 정보의 완전성이 성립되어 있어야 한다. 하지만 정보의 완전성이라는 전제는 현실에서 이뤄지지 않는다는 점을 스티글리츠의 정보비대칭이론이 규명했다. 다시 말해, 스티글리츠는 경제학 이론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정보의 비대칭성부터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함으로써 경제학계에 충격을 안겼다. 이러한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그는 2001년에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했다.정보비대칭 이론을 바탕으로 다른 분야에 대한 연구도 수행됐다. 대표적으로, 샤피로-스티글리츠의 효율 임금 모델이 있다. 이 이론은 실업과 임금 문제에 대한 새로운 시사점을 제시했다. 왜 시장이 균형에 도달해도 실업이 발생하는지, 왜 구직자들끼리 경쟁을 벌이는데도 임금이 변화하지 않는지에 대한 새로운 분석을 제시한 것이다.
종합적으로, 스티글리츠는 양적으로 굉장히 다작을 하면서도 질적으로 전혀 부족함이 없는 논문과 저서들을 내놓는다는 점에서 의심의 여지 없는 미국 경제학계의 석학이다. 또한, 정부 고문이나 세계은행 부총재 등을 역임했고 강연과 기고 등의 사회활동도 왕성하게 펼쳤다.
저서로는 <세계화와 그 불만>, <끝나지 않는 추락>, <불평등의 대가>, <거대한 불평등>, <시장으로 가는 길>, <불만시대의 자본주의>, 아마르티야 센과의 공동저술인 <GDP는 틀렸다> 등이 있다.
4. 정견
주류경제학자로서 MIT 박사, 예일대 교수, 미 대통령 경제고문, 세계은행 수석 이코노미스트 등 철저한 엘리트 코스를 걸어왔지만, 동시에 주류경제학이 맹목적으로 추구하는 세계화, 자유무역, 규제완화에 가장 통렬한 비판을 가하는 인물이다. 심지어 <21세기 자본>을 출판한 토마 피케티에 대해서조차 호의적인 스탠스를 취했다. 한마디로 현재 주류경제학계에서 가장 좌쪽에 있는 인물.민주당(미국) 지지자로 빌 클린턴 행정부에서 일한적이 있다.
세계은행 부총재에 취임했을 때도, 세계은행과 미국 재무부가 신주단지처럼 모시고 있는 워싱턴 컨센서스[4]가 오히려 전세계의 빈곤과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있다고 신랄하게 비판하였다. 이런 관점에서 한국의 1997년 외환위기 때도 세계은행과 미국 재무부가 강요한 고금리와 긴축정책이 오히려 경제위기를 가중시키고 있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아서, 결국 세계은행 부총재 자리에서 물러나야 했다.[5]
극단적인 케인지언으로 시장주의에 반대한다. "보이지 않는 손"으로 대표되는 시장의 자기 조절 기능에 회의적이며, "간섭받지 않는 시장은 재앙"이기 때문에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스페인의 반 긴축 운동을 지지하고, 2015년 10월 미국, 일본 등을 중심으로 타결된 TPP에 대해서도 중대한 위협이며 부자들의 이익을 지켜주는 것이라고 비판하였다. 그리스 경제위기에 대해서도 유로존의 긴축 정책에 대해 '자살 협정'이라 할 정도로 강한 비판을 했다.
2016년 미국 대선에서는 버니 샌더스의 정책에 비판적인 태도를 취하면서도, 샌더스를 지지하는 20대들의 분노는 이해해야 한다는 컬럼을 썼다.
낙수효과 이론을 강하게 공격하는 스티글리츠
5. 이야기 거리
- EBS 위대한 수업, 그레이트 마인즈에 출연한다.
6. 둘러보기
[1] 드러먼드 정치경제학 교수직[2] 경영대학원/국제공공문제대학원 정교수[3] 박사학위 논문: Stiglitz, Joseph E. (1966). Studies in the Theory of Economic Growth and Income Distribution = 경제성장론과 소득 분배에 관한 연구[4] 1980년대부터 IMF, 세계은행과 미국 정부가 경제위기에 빠진 제3세계 국가에 제시하는 경제처방. 흔히 말하는 신자유주의 노선으로 긴축재정(교육/보건/사회복지 예산 삭감), 공기업 민영화, 완전변동환율제, 자본시장 자유화(외국인 자본이동에 대한 규제 철폐), 자유무역(관세 인하 및 비관세 장벽 제거), 대규모 감세(소득세/법인세 인하), 금리자유화(외국자본 유치를 위해서 고금리를 유지하기도 한다) 등이 내용이다. 한마디로 국가의 역할을 최대한 축소하고 모든 것을 시장에 맡기라는 것이다.[5] 1998~9년 IMF가 강요한 고금리 기조 때문에 오히려 수많은 기업이 줄도산하는 상황이 도래하자, 다른 주류경제학자들 사이에서도 '이건 아니다'라는 비판이 터져나왔다. 각 국가별로 상황이 다르고 경제구조가 다른데, IMF와 세계은행이 워싱턴컨센서스를 토탈패키지를 마구잡이로 밀어붙여서 상황을 계속 악화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오래 시간이 흐른 뒤에 IMF에서도 반성하는 듯한 내용이 나오기도 했다.[6] 참고로 당시 스티글리츠와 함께 한국 정부의 훈장을 받은 이들 중에는 외환위기 당시 IMF 총재였던 미셸 캉드쉬도 있었다. 외환위기 당시 캉드쉬가 한국에서 '경제 분야의 총독' 비슷하게 인식되었던 점을 생각하면, 아이러니하게 느껴질 수도 있는 대목. 이 부분은 구제금융 당시 요구받았던 구조조정 조치로 많은 실직자가 발생했던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