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리처드 찰스 알버트 홀브룩(Richard Charles Albert Holbrooke, 1941년 4월 24일 ~ 2010년 12월 13일)은 미국의 외교관이자 저자이다. 아시아 지역(1977~81년)과 유럽·유라시아 지역(1994~96년) 차관보를 역임한 유일한 인물이며, 보스니아 전쟁 종결을 이끈 데이턴 협정의 핵심 중재자로 널리 알려졌다.2. 생애
2.1. 초기 생애 및 교육
뉴욕 시에서 유대계 이민자 가정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의사였으며 홀브룩이 10대일 때 사망했다. 스카스데일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1962년 브라운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다.2.2. 외교관 경력
1962년 외교관으로 입문, 1966년까지 베트남에서 근무하며 파리 평화회담에도 참여했다.1970~72년 모로코 평화봉사단(Peace Corps) 국장을 맡은 후 1972~76년 《Foreign Policy》 편집장을 역임했다. 1977년 지미 카터 대통령에 의해 동아시아 태평양 차관보에 임명되었으며, 1994~96년 유럽·유라시아 차관보도 역임했다. 1993~94년에는 주독일 미국 대사로 재임하며 독일과의 관계를 강화했다.2.3. 보스니아 전쟁 종결
1995년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분쟁을 종결한 데이턴 협정 협상에 미국 측 대표로 나섰다. 그는 8월부터 진행된 '셔틀 외교'를 주도하며 각 분쟁 세력과 협상을 거듭했다. 1995년 11월 21일 오하이오주라이트-패터슨 공군기지에서 열린 데이턴 회담에서 홀브룩은 강경한 외교 기조와 ‘발언의 압박’을 통해 단일 보스니아 국가의 유지와 양대 연합제 구성, 내전 종결에 합의했다. 이 협정은 12월 14일 파리에서 공식 서명되었으며, 보스니아 내 평화 유지와 난민 귀환, 전범 처벌 방침 등을 담은 종합 합의였다.2.4. 국제기구 및 후속 경력
1999~2001년 유엔 주재 미국 대사를 역임했고, 2004년 존 케리 상원의원, 2008년 힐러리 클린턴 상원의원의 외교정책 고문으로 활동했다.2009년 오바마 행정부에서 파키스탄 및 아프가니스탄 특별대표로 임명되어 해당 지역의 안보 전략에 깊이 관여했다.3. 평가
강한 추진력과 협상력으로 '불도저(The Bulldozer)'라는 별칭을 얻었으며, 미국 외교 역량을 적극적으로 행사했다. 그의 협상 방식은 공격적이지만 효과적이었으며, 언론에서도 “to get Holbrooked”(홀브룩 당하다)라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 더욱이, 복잡한 국제 정세를 정확히 진단하고 접근하는 능력은 후대 외교관들에게 귀감이 되었다.조지 패커는 『Our Man: Richard Holbrooke and the End of the American Century』에서 리처드 홀브룩을 다음과 같이 요약적으로 평가한다. 즉, 그는 위대함과 허영심, 이상주의와 자기기만이 뒤엉킨 인물로, 미국의 시대정신 그 자체를 대표했던 인물로 그의 작품에서 그려진다.
리처드 홀브룩은 스스로를 역사의 무대 위에 세우고자 했던 미국 외교의 화신이었다. 그는 끝없는 자기 확신과 욕망, 그리고 이상주의와 자기기만이 뒤섞인 인물로, 미국의 팽창적이고 도덕적인 외교를 가장 잘 구현한 사람이자 그 한계를 상징하기도 했다.
4. 사망
2010년 12월 13일 워싱턴 D.C.에서 대동맥박리(aortic dissection)로 사망했다.5. 유산 및 영향
- 그의 이름은 데이턴 기지 내 '리처드 C. 홀브룩 회의 센터'에 남았으며, 데이턴 협정 체결 30주년(2025년) 기념행사도 이곳에서 거행되었다.
- 홀브룩의 외교적 유산은 이후 우크라이나-러시아 갈등 해결 논의에서도 종종 비교 언급된다.
- '데이턴 문학 평화상(Dayton Literary Peace Prize)' 재단은 그의 이름을 딴 '앙브레이더 리처드 C. 홀브룩 평화상'을 수상자 선정 기준으로 삼고 있다.
6. 특징
- 강한 추진력: 어려운 협상에서도 멈추지 않고 결과를 이끌어내는 집념이 특징이었다.
- 탁월한 협상술: 셔틀 외교와 압박 전술을 통해 다양한 이해관계 당사자들 간 합의를 이끌어냈다.
- 국제 정세에 대한 통찰력: 베트남, 보스니아, 아프간 등 여러 국제 분쟁을 통해 숙련된 전략가로 평가받았다.
7. 주요 업적
- 데이턴 협정 체결 및 이행 감독
- 유엔·독일·아시아 지역 외교 대표 활동
- 파키스탄·아프가니스탄 전략 수립
- 외교 문건 및 저서 출간(예: To End a W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