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fff> 1987년 | 1990년 | 1995년 | |
통일민주당 분당 | 3당 합당 | 민주자유당 분당 | 새정치국민회의 창당 | |
<rowcolor=#ffffff> 1997년 | 2003년 | 2007년 | ||
DJP연합 | 신한국당-민주당 합당 | 새천년민주당 분당 | 열린우리당 분당 | |
2012년 | <rowcolor=#ffffff> 2015년 | 2016년 | 2018년 | |
통합진보당 3자 합당 | 새정치민주연합 분당 | 새누리당 분당 | 국민의당-바른정당 합당 | |
2019년 | <rowcolor=#ffffff> 2020년 | 2022년 | ||
바른미래당 분당 | 미래통합당 창당 | 민생당 창당 | 국민의힘-국민의당 합당 | |
<rowcolor=#ffffff> 2023년 | 2024년 | |||
제3지대 신당론 | 정의당 분당 | 국민의힘 분당 | 더불어민주당 분당 | |
<rowcolor=#ffffff> 2024년 | ||||
새로운미래-미래대연합 통합 | 개혁신당 4자 통합 | }}}}}}}}} |
여당 | 민주정의당 (127석) | → | 민주자유당 (216석)[1] |
야당 | 통일민주당 (59석) | ||
신민주공화당 (35석) |
<colbgcolor=#003990><colcolor=#fff> 3당 합당 三黨 合黨 | |
원인 | 제13대 국회의 여소야대 정국 형성 |
결과 | 민주자유당 창당 제13대 국회의 여대야소 정국 형성 |
1. 개요
<colbgcolor=#005ba6><colcolor=#ffc224,#ffc224> |
대한뉴스 제 1785호 - 3당 합당 합동 기자회견 |
민주정의당과 통일민주당, 그리고 신민주공화당은 민주 발전과 국민 대화합, 민족 통합이라는 시대적 과제 앞에 오로지 역사와 국민에 봉사한다는 일념으로 아무 조건 없이 정당법의 규정에 따라 새로운 정당으로 합당한다. 노태우 당시 대통령 |
김영삼 당시 통일민주당 총재 |
3당 합당의 여파로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비롯된 여소야대는 약 2년 만에 도로 여대야소가 되었고, 김대중의 평화민주당은 유일한 원내 야당으로 남았으며 이전까지 호남 vs PK vs TK vs 충청도의 4자 구도로 이어져 왔던 지역 정치 구도가 순식간에 호남 vs 비(非)호남으로 단순화되면서 정치적으로 호남 지역이 상당 기간 고립되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3]
2. 역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3당 합당/역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3당 합당/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평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3당 합당/평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3당 합당/평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여담
- 이 사건으로 당시 한국 정치학계는 발칵 뒤집혔다. 그나마 한국에 있던 정치학자들은 실시간으로 상황을 확인할 수라도 있었지 해외에 체류 중이던 한국 정치학자들은 사태 파악이 안 돼 한동안 혼란을 겪기도 했다. 당연하지만 인터넷도 없던 시절이기 때문이다. 심지어 당시 미국에 체류 중이던 모 교수는 3당 합당 발표 다음 날 (발표는 전날 오후에 있었으니까) 강의에 들어가서 "한국은 4개의 유력 원내정당 체제다"라고 설명했더니 한 학생이 "오늘 2개가 되었던데요?"라며 신문을 보여줘 기절초풍했다고 한다.
- 3당 합당으로 태어난 민주자유당은 훗날 신한국당으로 당명을 변경하고 통합민주당과 신설합당해서 한나라당을 만들고 새누리당 → 자유한국당으로 당명을 변경했다가 두번째로 미래통합당으로 신설합당하였고 다시 국민의힘으로 당명을 변경하면서 한국의 제1보수정당으로 지금까지 존재하고 있다.
- 변희재는 방송에서 3당 합당이 보수진영과 진보진영 모두를 망치게 한 원인이 되었다고 주장했다. 영상
- 2020년 정병국 의원은 미래통합당(현 국민의힘) 당사에 걸린 이승만, 박정희, 김영삼 전 대통령의 사진을 떼자고 제안하면서, "당 대표실에 걸려있는 이승만, 박정희, 김영삼 전 대통령의 사진을 보고 굉장히 혼란스러웠다. 세 분이 당의 뿌리라는데, 그들은 극과 극으로 싸웠던 사람들이다."고 지적했다. #
- 국민의힘 대표를 역임했던 개혁신당의 이준석은 한국 보수정당에 대해 "보수주의자와 자유주의자가 결합해 정당을 이뤄왔기 때문에 경계선이 모호하다"고 지적했다. #
-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중 한국사 영역에서 출제되었다.
3당 합당 발표
19△△년 1월 22일은 '3당 합당'이 발표된 날이다. 제13대 국회 의원 선거에서 야당의 의석수가 집권 여당보다 많은 이른바 '여소야대' 국면이 조성되었다. 하지만 국정의 주도권을 쥐려는 여당인 민주 정의당이 통일 민주당, 신민주 공화당 등 두 야당과 통합하여 과반수 이상의 의석을 차지하는 민주 자유당을 창당하였다.
① 6 · 15 남북 공동 선언이 발표되었다.
② 국가 재건 최고 회의가 조직되었다.
③ 남북 기본 합의서가 채택되었다.
④ 좌우 합작 위원회가 결성되었다.
⑤ 운요호 사건이 일어났다. ||
5. 관련 문서
- 삼김시대
- 4자필승론
- 기울어진 운동장
- 청명계획
- DJP연합
- 적의 적은 나의 친구
- 1991년 연쇄 분신 파동
- 민주노동당-국민참여당-새진보통합연대 합당 - 민주노동당과 국민참여당, 그리고 진보신당에서 진보대연합을 위해 탈당한 새진보통합연대의 합당, 이쪽은 진보대연합이다. 다만 이 당시 새진보통합연대는 창당준비위원회에 불과했기에, 선관위 기준으로 민주노동당과 국민참여당과의 신설 합당이며, 새진보통합연대 인사는 엄밀히 따지면 당적이 없는 상태에서 합류했다.
- 미래통합당 창당 - 자유한국당과 새로운보수당, 미래를향한전진4.0의 합당. 선관위 기준으로 30년 만에 다시 일어난 세 정당의 신설 합당이다.
- 대안신당-바른미래당-민주평화당 합당 - 민주평화당과 여기서 갈라진 대안신당, 그리고 바른미래당 잔류파들의 합당. 3당 합당이 보수대연합, 통합진보당 창당이 진보대연합이라면 이쪽은 중도대연합이다.
- 새로운선택-개혁신당-원칙과 상식 합당 - 개혁신당과 새로운선택, 원칙과 상식 계열 무소속이 개혁신당으로 합당한 사건. 정의당 출신, 민주당 출신, 국민의힘 출신이 같이 있다는 점에선 진정한 한 지붕 세 가족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이쪽은 제3지대 대연합이다.
6. 둘러보기
<keepall> {{{#!wiki style="min-height: calc(1.5em + 10px); padding-top: 5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0A84E9 10px, transparent 10px calc(100% - 10px), #0A84E9 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color=#0A84E9,#ddd><colbgcolor=#f5f5f5,#2d2f34> 구성 | 인사 |
여당 | 민주정의당 → 민주자유당 | |
정책 및 방향 | 범죄와의 전쟁 · 북방정책 · 제6~7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 1기 신도시 · 정부 제3청사 건립· 대학수학능력시험 · 토지공개념 3법 · 1988 서울 올림픽 · 대전 엑스포 유치 · 서해안고속도로 · KTX-2 · 인천국제공항 · KLH · 의료보험 전 국민 확대 · 지역 할당제 | |
평가 | 평가 | |
타임라인 | ||
1988년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1988 서울 올림픽 · 1988 서울 패럴림픽 · 7.7 선언 · 광주민주화운동진상조사특별위원회 출범 · 2차 사법 파동 · 안산선 개통 ·오홍근 테러사건 | |
1989년 |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발족 · 우지 파동 · 임수경 방북 사건 · 문익환 방북 사건 · 황석영 방북 사건 · 서경원 방북 사건 · 전교조 출범 · 5.3 동의대 사태 · 이철규 의문사 사건 · 설인종 고문치사 사건 · 노무현 명패 사건 · 대한항공 175편 추락 사고 · 대전 직할시 승격 | |
1990년 | 10.13 특별선언 (범죄와의 전쟁) · 경찰청/기상청/통계청 개청 · 가족계획 중단 · 3당 합당 · 이문옥 감사관 구속 사건 · 국군보안사령부 민간인 사찰 폭로 사건 · KBS 사태 · 영동고속도로 섬강교 버스추락사고 | |
1991년 | 1991년 지방선거 · 남북기본합의 · 남북한 UN 동시 가입 · 한반도비핵화공동선언 · 연쇄 분신 파동 · 낙동강 페놀 유출사건 · 김부남 사건 · 이형호 유괴 살인 사건 · 대구 성서 초등학생 살인 암매장 사건 · 강기훈 유서대필 조작 사건 · 거성관 방화 사건 · 여의도광장 차량질주 사건 · 제7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발표 · 새만금 착공 · 수서지구 택지 특혜 분양 사건 | |
1992년 | 제14대 대통령 선거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군 부재자투표 부정 폭로 사건 · 초원복집 사건 · 수요집회 개최 · 남한조선노동당 중부지역당 사건 · 김보은 양 사건 · 대덕연구단지 준공 · 경부고속철도 착공 · 수도권 신공항 착공 | |
1993년 | 과천선 개통 ·우암 상가아파트 붕괴사고 | |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를 참고 노태우 개인과 관련된 문서는 틀:노태우 참고 | }}}}}}}}} |
{{{#!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0A84E9><tablebgcolor=#0A84E9> | 노태우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A84E9> 일생 | 일생 · 대통령 재임 시절 평가 · 개인적 평가 · 별명(보통 사람) | |
공약 | 범죄와의 전쟁 · 북방정책 · 한국예술종합학교 | ||
가족 | 아버지 노병수 · 막내작은아버지 노병상 · 배우자 김옥숙 · 딸 노소영 · 아들 노재헌 · 사위 최태원 | ||
관련 인물 | 전두환 · 김영삼 | ||
역대 선거 | 제13대 대통령 선거 | ||
사건 사고 | 12.12 군사반란 · 5.18 민주화운동 · 3당 합당 ·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 구속 사건 · 1995년 노태우 비자금 사건 | ||
기타 | 신군부 · 하나회 · 민정계 · 민주정의당 · 민주자유당 | ||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를 참고 노태우 정부와 관련된 문서는 틀:노태우 정부 참고 |
{{{#!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003990,#003990> | 김영삼 관련 문서 |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3990,#ddd> 일생 | 일생 · 평가 | |
공약 | 금융실명제 · 역사바로세우기(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 구속 사건) · 하나회 숙청 | ||
발언 | 닭의 목을 비틀어도 새벽은 온다 · 개가 짖어도 기차는 간다 · 대도무문 | ||
가족 | 조부 김동옥 · 아버지 김홍조 · 아내 손명순 · 아들 김은철, 김현철 · 손자 김인규 | ||
역대 선거 | 제13대 대통령 선거 · 제14대 대통령 선거 | ||
사건 사고 | 김영삼 질산 테러 사건 · YH 사건 · 김영삼 총재 의원직 제명 파동 · 김영삼 단식 농성 사건 · 김영삼 보름달 사건 · 3당 합당 · 1997년 외환 위기 | ||
기타 | 문민정부(평가) · 상도동계/YS키즈 · 삼김시대/양김 · 다른 정치인들과의 관계 · 사고 공화국 · YS는 못말려 · YS는 잘맞춰 · 사상과 신념 · 여담 · 어록 · 김영삼도서관 | ||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를 참고 문민정부와 관련된 문서는 틀:문민정부 참고 |
{{{#!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1b5b40><tablebgcolor=#1b5b40> | 김종필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1b5b40,#ddd> 일생 | <colbgcolor=#fff,#1f2023>일생 · 평가 | |
가족 | 아내 박영옥 · 형 김종락 · 형 김종익 | ||
역대 선거 | 제13대 대통령 선거 | ||
사건사고 | 사건사고 및 논란 · 5.16 군사정변 · 4대 의혹 사건 | ||
기타 | 중앙정보부 · 3당 합당 · DJP연합 · 삼김시대 · 신민주공화당 · 자유민주연합 · 청구동계 · 몽니 | }}}}}}}}} |
| |||
<colcolor=#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003990><colcolor=#FFFFFF> 역사 | 역사 · 3당 합당 | |
전당대회 | 민주자유당/역대 전당대회 | ||
선거 | 1991년 지방선거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제14대 대통령 선거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비판 및 논란 | 군 부재자투표 부정 폭로 사건 · 초원복집 사건 | ||
대통령 | 노태우 · 김영삼 | ||
집권정부 | 노태우 정부 · 문민정부 | ||
관련 단체 | 여의도연구소 | ||
민주정의당 · 통일민주당 · 신민주공화당 · 신한국당 · 한나라당 · 자유한국당 | |||
기타 | 국제민주연합 | ||
관련 틀 | 역대 사무총장 · 역대 원내총무 · 역대 정책위원회 의장 · 제14대 대통령 후보 경선 · 제13대 국회의원 |
<colkeepall> {{{#!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 노무현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FFD918,#2d2f34><colcolor=#010101,#FFCB08> 일생 | 일생 | |
발언 | 민주평통 제50차 상임위 연설 (부끄러운 줄 알아야지 · 이기야 · 응딩이) · 제가 뭐 경제 살리겠다고 말이나 했습니까 · 노무현의 시대가 오겠어요? · 이쯤 가면 막 하자는 거지요 · 야 기분 좋다 · 우흥 | ||
가족 | 아버지 노판석 · 아내 권양숙 · 형 노영현 · 형 노건평 · 아들 노건호 · 사위 곽상언 · 손녀 노서은 | ||
역대 선거 | 제16대 대통령 선거 (노풍) | ||
비판 및 논란 | 비판 및 논란 | ||
사건 사고 | 부림사건 · 제5공화국 청문회 (노무현 명패 사건) · 노무현-정몽준 단일화 (후보 단일화 협의회) · 검사와의 대화 · 노무현 대통령 탄핵소추 및 심판 · 무현산성 · 박연차 게이트 · 노무현 전 대통령 사망 사건 (유서) · 노무현재단의 노무현 사자명예훼손 콘텐츠 법적 대응 | ||
재단 |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 ·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시민센터 · 노무현리더십학교 | ||
별명 · 밈 | 별명 (노짱 · 꿈과 희망의 군국주의자) · 고인드립 (MC무현) · 꽃이 진 뒤에야 봄이었음을 압니다 · MH세대 · 이게 다 노무현 때문이다 · 물은 셀프 · 너 노사모지 | ||
다큐멘터리 | 무현, 두 도시 이야기 · 노무현입니다 · 노무현과 바보들 · 물의 기억 · 시민 노무현 · 노무현과 바보들: 못다한 이야기 | ||
창작물 | 변호인 · 초선의원 · 고(故)노무현 前대통령 추모웹툰 | ||
기타 | 개인에 대한 평가 · 여담 · 자택 · 선거 로고송 · 노무현 갤러리 (노무현 대통령 미니 갤러리 · 노무현 인물 갤러리) · 노사모 · 친노 (역사 · 비판과 반론) · 비노 · 봉하마을 (부엉이바위) · 법무법인 부산 · 깨시민 | ||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 참고 참여정부와 관련된 문서는 틀:참여정부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