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을 확인하세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00467f,#005ba6 20%,#005ba6 80%,#00467f); color:#ffc22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제1-3대 | 제4대 | 제5-8대 | 제10대 |
프란체스카 도너 | 공덕귀 | 육영수 | 홍기 | |
대통령 이승만 | 대통령 윤보선 | 대통령 박정희 | 대통령 최규하 | |
제11·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
이순자 | 김옥숙 | 손명순 | 이희호 | |
대통령 전두환 | 대통령 노태우 | 대통령 김영삼 | 대통령 김대중 | |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
권양숙 | 김윤옥 | - | 김정숙 | |
대통령 노무현 | 대통령 이명박 | 대통령 박근혜 | 대통령 문재인 | |
제20대 | ||||
김건희 | ||||
대통령 윤석열 | }}} }}}}}}}}} |
<colbgcolor=#005ba6><colcolor=#ffc224> | |||
출생 | 1935년 9월 8일[음력] ([age(1935-09-08)]세) | ||
경상북도 청송군 안덕면 | |||
사저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희로15안길 69 (연희동) | ||
활동 기간 | 제13대 대통령 배우자 | ||
1988년 2월 25일 ~ 1993년 2월 24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5ba6><colcolor=#ffc224> 본관 | 신 안동 김씨[2] | |
부모 | 아버지 김영한, 어머니 홍무경[3] | ||
형제자매 | 오빠 김진동, 김익동, 김복동 여동생 김정숙[4] | ||
배우자 | 노태우(1959년 결혼, 2021년 사별) | ||
자녀 | 딸 노소영 아들 노재헌 | ||
친인척 | 외손주 최윤정, 최민정, 최인근 | ||
학력 | 대구덕산국민학교[5] (졸업) 경북여자고등학교 (졸업 / 25회)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 / 중퇴) | ||
종교 | 개신교 → 천주교 (세례명: 마리아)[6] |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제13대 노태우 대통령의 배우자. 현재 기준 대한민국 영부인 중에서 최고령 영부인이다.[7]2. 생애
1935년 음력 8월 11일 경상북도 청송군 안덕면에서 아버지 김영한(金永漢)[8]과 어머니 남양 홍씨 홍무경(洪戊庚)[9] 사이의 3남 2녀 중 장녀로 태어났다.김익동(金益東) 전 경북대학교 총장, 육군사관학교장과 재선 국회의원을 지낸 김복동(金復東)이 친오빠다. 여동생 김정숙(金貞淑)은 금진호 전 상공부장관과 결혼했다. 증조부 김광규(金光圭, 1845.6.21. ~ 1922.5.6.(향년 76세))는 경상도 안동대도호부(현 경상북도 안동시) 출신으로 1891년 증광시 진사시에 3등 138위로 입격했다.
경북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과에 진학하였다. 그런데 가정 형편이 어려워지면서 여동생 김정숙의 진학을 위해 대학을 중퇴하였으며 직후 노병수(盧秉壽)의 아들 노태우와 결혼해 그들의 집안인 교하 노씨 집안으로 시집을 갔다.
노태우 대장 전역식의 김옥숙 제13대 영부인 |
노태우 전 대통령의 가족 |
대통령 배우자 시절의 사진 |
하지만 이순자는 이와 같은 일화들을 부인하며, 자신보다 나이가 네 살이나 더 많은데 어떻게 그럴 수가 있느냐며 서로 존대했다고 회고했다. 또 남편들이 친구였던 것처럼 배우자들 간에도 우애가 돈독했으며 10년 동안 영어 공부도 같이 하고 집안일과 자녀 문제 등에 대한 고민을 공유하면서 가깝게 지냈다고 밝혔다.
김옥숙 제13대 영부인과 고르바초프 전 소련 대통령 |
1988 서울 올림픽 개막식의 김옥숙 제13대 영부인과 노태우 전 대통령 |
대통령 배우자로 있었던 5년 간 공개 석상에서는 대중을 향해 무조건 90도로 인사하고, 노태우 옆에서 미소를 띄운 채 가만히 서 있기만 했다. 언론 인터뷰도 거의 한 적이 없으며[13] 복지기관 방문 등의 단독 일정도 무조건 비공개였다. 그래서인지 대통령 배우자 중에서 가장 겸손하고 행동이 조심스러웠던 인물로 평가받는다.[14]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참배하는 김옥숙 제13대 영부인 |
남편 노태우 전 대통령의 퇴임 후에도 조용한 행보를 이어갔고, 남편처럼 매스컴에 모습을 거의 보이지 않았다. 특히 과거사에 대해 사과하는 모습을 보여 이 역시 전임 대통령 배우자였던 이순자와 대조적인 행보를 보였다. 다만 거동이 불편했기에 아들 노재헌을 통해 대신 사과의 뜻을 전했다. 2020년 5월 18일에는 노재헌이 광주광역시 망월동 5.18 구묘역의 이한열 열사 묘소를 찾았는데 김옥숙의 이름으로 조화를 보냈다.
그렇게 그저 불편한 거동으로 남편 노태우를 극진히 간호하며 여생을 보내다가, 2021년 10월 26일 남편 노태우 전 대통령이 먼저 세상을 떠났고 김옥숙 여사는 남편의 장례 3일차에 자녀들의 부축을 받으며 빈소에 모습을 드러냈다.
노재헌은 김옥숙이 남편인 노태우 전 대통령과 마찬가지로 건강이 좋지 않아 병원을 왔다가다 하면서 살고 있었다고 언급했다. 김옥숙은 남편 노태우의 장례식 중에도 빈소에 상주하지 않고 연희동 자택과 병원을 왕래했다.
2021년 10월 30일, 올림픽공원에서 거행된 남편 노태우 전 대통령의 영결식에 휠체어를 타고 지팡이를 손에 쥔 모습으로 참석, 자녀들의 부축을 받으며 헌화했고, 울음을 참지 못하는 모습이 생중계를 통해 나타났다. 영결식 직후 서울추모공원으로 이동하기 위해 타고 온 차로 이동하는 길에 영결식에 와 준 참석자들에게 손인사를 하였다.
3. 기타
- 한동안 개신교를 믿게 된 것으로 알려졌지만, 2021년 10월 26일 노태우 전 대통령 사망 이후 노태우 전 대통령이 2006년 병상에서 천주교 세례를 받은 사실과 더불어서 아내 김옥숙도 남편을 따라 2021년 4월 경, 천주교 세례를 받은 사실이 공개되었다. 이에 따라 노태우 전 대통령 입관식은 오웅진 신부 주례 하에 천주교 예식으로 진행되었다.
- 1988년 2월 25일, 남편 노태우가 대통령에 취임한 당일 취임식 직후 광주광역시를 찾아 극비리에 망월동 5.18 구묘역을 방문하여 참배했다.[15]
- 사진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이미 중년에 접어든 시절에도 반듯한 이목구비가 돋보이는 상당한 미녀이다. 처녀 때 미용실에 가면 미스코리아 대회 나가라는 권유를 자주 받았을 정도였다고 한다. 고두심이 김옥숙 영부인과 닮았다. 남편인 노태우 대통령도 젊은 시절에 상당히 큰 키(178cm)에 잘생긴 얼굴을 가진 미남이었다. 이러한 부모를 닮은 덕분인지, 자녀들의 외모도 출중한 것으로 유명하다. 팔순이 넘은 지금도 곱게 나이들었다는 의견이 많다.
- 전두환의 부인 이순자는 노태우의 부인 김옥숙보다 4살이나 아래인데도, 대놓고 하대를 하면서 하급자 대우를 하였다. 이것은 남편의 군대 계급으로 부인들의 서열이 정해지는 대한민국 국군의 썩어빠진 병폐 때문이었다. 그래서, 이순자가 김옥숙보다 4살이나 아래였는데도 몇십 년간 수모를 당하고 있다가, 1988년 남편 노태우가 대통령에 당선되자 이순자에게 "이제 나는 당신과 다르다. 당신은 체육관 출신 대통령 부인이고, 나는 전 국민이 뽑은 직선 대통령 부인이야! 옛날에는 많이 당했지만 지금은 아니야!" 라고 일갈한 것은 언론에서도 공개된 아주 유명한 일화다. 그런데, 이순자는 이것이 전혀 사실이 아니라 부인했는데, "어떻게 자신보다 나이가 4살이나 더 많은 사람을 하대하냐?" 라면서 서로 경어를 썼다고 회고했다. 그리고, 남편들이 친구였던 것처럼 배우자들 간에도 우애가 돈독했으며 10년 동안 영어공부도 같이 하고 집안일과 자녀문제 등에 대한 고민을 공유하면서 가깝게 지냈다고 한다.본인 인터뷰 뭐가 어찌됐든간에 이후로는 두 사람 모두 딱히 더 관련 발언을 내놓은 적은 없으므로 진실은 알 수 없지만, 일단은 언론에다 구설수에 오르는게 싫어서 거짓말로 둘러댔을 수도 있다. 군인들의 아내들이 계급 따라 서열 정해지는 게 하루이틀 이야기는 아니었기 때문이다.
- 모교인 경북여자고등학교에 애정이 많은 듯 하다. 영부인 자리를 떠난 후 교지 「백합」에 글을 기고하기도 했고[16]#, 강당 커튼에 총동창회 고문 김옥숙 동문 증 이란 문구가 새겨져 있으며 역사관 건립에 5천만원을 기탁하기도 했다. ##
- 비자금 파문 이후 노태우 김옥숙 부부가 충북 음성의 꽃동네에 매달 기부를 해왔다는 사실이 밝혀졌는데, 그 금액이 2백만 원도 2십만 원도 2만 원도 아닌 매달 2천 원이었음이 드러나 빈축을 산 바 있다. 비자금 사건에 대해 대국민사과를 하며 "불우이웃을 돕고 국가를 위해 헌신하는 데 재산을 사용했다"고 해명했는데 실상 밝혀진 기부 금액이 월 2천 원에 불과했던 것이다. 당시 김옥숙 여사의 안방비자금 의혹이 불거진 가운데, 수천억 원, 많게는 1조 원까지 거론된 규모의 비자금과 크게 대조되는 위선적인 모습에 언론이 "모을 때는 큰 손, 쓸 때는 작은 손"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0A84E9><tablebgcolor=#0A84E9> | 노태우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A84E9> 일생 | 일생 · 대통령 재임 시절 평가 · 개인적 평가 | |
공약 | 범죄와의 전쟁 · 북방정책 · 한국예술종합학교 | ||
가족 | 아버지 노병수 · 막내작은아버지 노병상 · 배우자 김옥숙 · 딸 노소영 · 아들 노재헌 · 사위 최태원 | ||
관련 인물 | 전두환 · 김영삼 | ||
역대 선거 | 제13대 대통령 선거 | ||
사건사고 | 12.12 군사반란 · 5.18 민주화운동 · 3당 합당 ·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 구속 사건 · 1995년 노태우 비자금 사건 | ||
기타 | 신군부 · 하나회 · 민정계 · 민주정의당 · 민주자유당 · 보통 사람 | ||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를 참고 노태우 정부와 관련된 문서는 틀:노태우 정부 참고 |
무궁화대훈장 수훈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한국인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상훈 연도 | 결정일 | 수여일 | 이름 | 직책 | 국적 | 비고 |
1949년 | 8월 15일 | 이승만 | 대통령 | 대한민국 | |||
1960년 | 8월 13일 | 윤보선 | 대통령 | 대한민국 | |||
1963년 | 12월 5일 | 12월 17일 | 박정희 | 대통령 | 대한민국 | ||
1967년 | 6월 23일 | 육영수 | 영부인 | 대한민국 | |||
1979년 | 12월 7일 | 최규하 | 대통령 | 대한민국 | 12.12 군사반란으로 하야 | ||
1979년 | 12월 7일 | 홍기 | 영부인 | 대한민국 | |||
1980년 | 8월 29일 | 8월 29일 | 전두환 | 대통령 | 대한민국 | 무궁화대훈장 이외의 모든 훈장 취소 | |
1980년 | 8월 29일 | 8월 29일 | 이순자 | 영부인 | 대한민국 | ||
1988년 | 2월 24일 | 2월 25일 | 노태우 | 대통령 | 대한민국 | 무궁화대훈장 이외의 모든 훈장 취소 | |
1988년 | 2월 24일 | 2월 25일 | 김옥숙 | 영부인 | 대한민국 | ||
1993년 | 2월 11일 | 2월 23일 | 김영삼 | 대통령 | 대한민국 | ||
1993년 | 2월 11일 | 2월 23일 | 손명순 | 영부인 | 대한민국 | ||
1998년 | 2월 17일 | 2월 25일 | 김대중 | 대통령 | 대한민국 | ||
1998년 | 2월 17일 | 2월 25일 | 이희호 | 영부인 | 대한민국 | ||
2008년 | 1월 28일 | 노무현 | 대통령 | 대한민국 | |||
2008년 | 1월 28일 | 권양숙 | 영부인 | 대한민국 | |||
2013년 | 2월 12일 | 이명박 | 대통령 | 대한민국 | |||
2013년 | 2월 12일 | 김윤옥 | 영부인 | 대한민국 | |||
2013년 | 2월 19일 | 박근혜 | 대통령 | 대한민국 | |||
2022년 | 5월 3일 | 문재인 | 대통령 | 대한민국 | |||
2022년 | 5월 3일 | 김정숙 | 영부인 | 대한민국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외국인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상훈 연도 | 결정일 | 수여일 | 이름 | 직책 | 국적 | 비고 |
1964년 | 12월 3일 | 12월 8일 | 하인리히 뤼프케 | 대통령 | 서독 | 외국인 최초 상훈자 | |
1964년 | 12월 3일 | 12월 8일 | 빌헬미네 뤼브케 | 영부인 | 서독 | 외국인 최초 상훈자 | |
1966년 | 2월 1일 | 2월 7일 | 이스마일 나시루딘 | 국왕 | 말레이시아 | ||
1966년 | 2월 1일 | 2월 7일 | 틍쿠 인탄 자하라 | 왕비 | 말레이시아 | ||
1966년 | 2월 1일 | 2월 10일 | 푸미폰 아둔야뎃 | 국왕 | 태국 | ||
1966년 | 2월 1일 | 2월 10일 | 시리낏 끼띠야콘 | 왕비 | 태국 | ||
1966년 | 2월 1일 | 2월 15일 | 장제스 | 총통 | 중화민국 | ||
1968년 | 5월 10일 | 5월 18일 | 하일레 셀라시에 | 황제 | 에티오피아 | ||
1969년 | 5월 23일 | 5월 27일 | 응우옌반티에우 | 총통 | 남베트남 | ||
1969년 | 5월 23일 | 5월 27일 | 응우옌티마이아인 | 제1부인 | 남베트남 | ||
1969년 | 10월 28일 | 10월 28일 | 하마니 디오리 | 대통령 | 니제르 | ||
1969년 | 10월 28일 | 10월 28일 | 아이샤 디오리 | 영부인 | 니제르 | ||
1970년 | 9월 25일 | 9월 28일 | 피델 산체스 에르난데스 | 대통령 | 엘살바도르 | ||
1970년 | 9월 25일 | 9월 28일 | 마리나데 산체스 에르난데스 | 영부인 | 엘살바도르 | ||
1975년 | 6월 27일 | 7월 5일 | 오마르 봉고 | 대통령 | 가봉 | ||
1975년 | 6월 27일 | 7월 5일 | 조세핀 봉고 | 영부인 | 가봉 | ||
1979년 | 4월 17일 | 4월 23일 |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 대통령 | 세네갈 | ||
1979년 | 4월 17일 | 4월 23일 | 콜레테 위베르트 상고르 | 영부인 | 세네갈 | ||
1980년 | 5월 11일 | 할리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드 | 국왕 | 사우디아라비아 | |||
1980년 | 5월 14일 | 자베르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 국왕 | 쿠웨이트 | |||
1981년 | 6월 25일 | 수하르토 | 대통령 | 인도네시아 | |||
1981년 | 6월 25일 | 시티 하티나 | 영부인 | 인도네시아 | |||
1981년 | 6월 29일 | 아마드 샤 이브니 아부 바카르 | 국왕 | 말레이시아 | |||
1981년 | 6월 29일 | 틍쿠 아프잔 | 왕비 | 말레이시아 | |||
1981년 | 7월 6일 |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 대통령 | 필리핀 | |||
1981년 | 7월 6일 | 이멜다 마르코스 | 영부인 | 필리핀 | |||
1981년 | 10월 13일 | 로드리고 카라소 | 대통령 | 코스타리카 | |||
1981년 | 10월 13일 | 에스트레야 셀레돈 리사노 | 영부인 | 코스타리카 | |||
1982년 | 5월 10일 | 사무엘 도 | 대통령 | 라이베리아 | |||
1982년 | 6월 7일 | 모부투 세세 세코 | 대통령 | 자이르 | |||
1982년 | 6월 7일 | 보비 라다와 | 영부인 | 자이르 | |||
1982년 | 8월 25일 | 압두 디우프 | 대통령 | 세네갈 | |||
1982년 | 12월 21일 | 케난 에브렌 | 대통령 | 튀르키예 | |||
1983년 | 3월 10일 | 3월 15일 | 자파르 모하메드 니메이리 | 대통령 | 수단 | ||
1983년 | 3월 10일 | 3월 15일 | 부띠나 칼릴 압불핫산 | 영부인 | 수단 | ||
1983년 | 9월 10일 | 후세인 1세 | 국왕 | 요르단 | |||
1983년 | 9월 10일 | 누르 | 왕비 | 요르단 | |||
1984년 | 4월 9일 | 하사날 볼키아 | 국왕 | 브루나이 | |||
1984년 | 4월 21일 | 할리파 빈 하마드 알타니 | 국왕 | 카타르 | |||
1984년 | 8월 30일 | 9월 13일 | 다우다 자와라 | 대통령 | 감비아 | ||
1984년 | 8월 30일 | 9월 13일 | 치렐 자와라 | 영부인 | 감비아 | ||
1985년 | 5월 17일 | 무함마드 지아울하크 | 대통령 | 파키스탄 | |||
1985년 | 5월 20일 | 루이스 알베르토 몽헤 | 대통령 | 코스타리카 | |||
1986년 | 9월 4일 | 4월 10일 | 엘리자베스 2세 | 국왕 | 영국 | ||
1986년 | 9월 4일 | 4월 16일 | 보두앵 | 국왕 | 벨기에 | ||
1987년 | 4월 7일 | 아메드 압달라 | 대통령 | 코모로 | |||
1988년 | 11월 3일 | 이스칸다르 | 국왕 | 말레이시아 | |||
1988년 | 11월 3일 | 자나리아 | 왕비 | 말레이시아 | |||
1989년 | 11월 3일 | 11월 20일 | 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 | 대통령 | 서독 | ||
1989년 | 11월 3일 | 11월 30일 | 프랑수아 미테랑 | 대통령 | 프랑스 | ||
1989년 | 11월 3일 | 11월 30일 | 다니엘 미테랑 | 영부인 | 프랑스 | ||
1990년 | 6월 21일 | 안드레스 로드리게스 | 대통령 | 파라과이 | |||
1990년 | 11월 5일 | 괸츠 아르파드 | 대통령 | 헝가리 | |||
1991년 | 9월 13일 | 아즐란 샤 | 국왕 | 말레이시아 | |||
1991년 | 9월 13일 | 투안쿠 바이눈 | 왕비 | 말레이시아 | |||
1991년 | 9월 25일 | 카를로스 살리나스 데 고르타리 | 대통령 | 멕시코 | |||
1992년 | 8월 13일 | 호르헤 안토니오 세라노 엘리아스 | 대통령 | 과테말라 | |||
1993년 | 5월 20일 | 5월 25일 | 피델 라모스 | 대통령 | 필리핀 | ||
1993년 | 5월 20일 | 5월 25일 | 이멜리타 마르티네스 라모스 | 영부인 | 필리핀 | ||
1994년 | 11월 7일 | 11월 21일 | 에두아르도 프레이 루이스 타글레 | 대통령 | 칠레 | ||
1994년 | 12월 5일 | 12월 9일 | 레흐 바웬사 | 대통령 | 폴란드 | ||
1995년 | 2월 7일 | 2월 16일 | 이슬람 카리모프 | 대통령 | 우즈베키스탄 | ||
1995년 | 2월 21일 | 3월 6일 | 로만 헤어초크 | 대통령 | 독일 | ||
1995년 | 3월 28일 | 4월 3일 | 젤류 젤레프 | 대통령 | 불가리아 | ||
1995년 | 6월 26일 | 7월 7일 | 넬슨 만델라 | 대통령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1995년 | 9월 26일 | 9월 29일 | 카를로스 메넴 | 대통령 | 아르헨티나 | ||
1996년 | 7월 23일 | 9월 4일 | 알바로 아르수 | 대통령 | 과테말라 | ||
1996년 | 7월 23일 | 페르난두 카르도주 | 대통령 | 브라질 | |||
1996년 | 10월 8일 | 10월 20일 | 후안 카를로스 1세 | 국왕 | 스페인 | ||
1996년 | 10월 8일 | 10월 20일 | 소피아 마르가리타 빅토리아 프리데리키 | 왕비 | 스페인 | ||
1996년 | 11월 26일 | 자파 이브니 압둘 라만 | 국왕 | 말레이시아 | |||
1996년 | 12월 10일 | 12월 15일 | 레오니드 쿠치마 | 대통령 | 우크라이나 | ||
2000년 | 2월 22일 | 3월 3일 | 카를로 아첼리오 참피 | 대통령 | 이탈리아 | ||
2000년 | 2월 22일 | 3월 6일 | 자크 시라크 | 대통령 | 프랑스 | ||
2006년 | 3월 12일 | 압델아지즈 부테플리카 | 대통령 | 알제리 | |||
2007년 | 3월 26일 | 사마 알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 국왕 | 쿠웨이트 | |||
2007년 | 3월 28일 | 하마드 빈 할리파 알사니 | 국왕 | 카타르 | |||
2009년 | 5월 13일 |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 대통령 | 카자흐스탄 | |||
2009년 | 11월 12일 | 알란 가르시아 | 대통령 | 페루 | |||
2012년 | 5월 30일 | 칼 16세 구스타프 | 국왕 | 스웨덴 | |||
2012년 | 11월 21일 | 할리파 빈 자이드 나하얀 | 대통령 | 아랍에미리트 | |||
2018년 | 10월 8일 | 에마뉘엘 마크롱 | 대통령 | 프랑스 | |||
2019년 | 하랄 5세 | 국왕 | 노르웨이 | ||||
2021년 | 6월 14일 | 알렉산더 판데어벨렌 | 대통령 | 오스트리아 | |||
2021년 | 6월 16일 | 펠리페 6세 | 국왕 | 스페인 | |||
2021년 | 6월 16일 | 레티시아 오르티스 로카솔라노 | 왕비 | 스페인 | |||
2021년 | 8월 25일 | 이반 두케 | 대통령 | 콜롬비아 | |||
2021년 | 9월 21일 | 보루트 파호르 | 대통령 | 슬로베니아 | |||
2023년 | 7월 13일 | 안제이 두다 | 대통령 | 폴란드 | |||
2023년 | 11월 21일 | 찰스 3세 | 국왕 | 영국 | |||
2024년 | 11월 16일 | 디나 볼루아르테 | 대통령 | 페루 | }}}}}}}}} |
5. 대중매체에서
[음력] 8월 11일.[2] 참봉공파(參奉公派) 28세손 ○동(○東) 항렬이지만, 항렬자를 쓰지 않았다.(족보(1)족보(2))[3] 남양 홍씨 홍종목(洪鍾穆)의 딸이다.[4] 金貞淑, 1937.10.24. ~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을 졸업하고 금진호 전 상공부장관과 결혼했다.[5] 現 대구초등학교[6] 과거에는 개신교 신자인 딸 노소영의 영향으로 개신교를 믿었으나, 2021년 4월에 세례를 받고 개종하였다. # 다만, 이것과는 별개로 김옥숙 본인도 남편처럼 불교계와 교분은 깊었으며, 또한 '만덕전'이라는 법명도 있었다. 참고로 만덕전은 김천시의 직지사에 실제로 있는 또다른 공간이다.[7] 1929년생인 손명순이 2024년 3월 7일 사망한 이후로 김옥숙이 최고령 영부인이 되었다. 나이가 아니라 선후임을 따지자면 최선임 영부인은 전두환의 부인 이순자이다.[8] 1905.8.7. ~ 1980.7.5. 향년 74세.[9] 1908.9.18. ~ 1997.8.9. 향년 88세. 홍종목(洪鍾穆)의 딸이다.[10] 작은 고모 김당한(金棠漢, 1917.1.8. ~ ?.)의 둘째 아들이다.[11] 스탠퍼드 대학교 교육학 석사.[12] 조지타운 대학교 로스쿨 졸업.[13] 1990년에 서울신문사의 여성잡지 <퀸> 창간호를 통해 단독 인터뷰한 바 있다.[14] 이순자는 정 반대였다. 땡전뉴스 시절에는 전두환은 물론 이순자의 일상도 언론에 보도됐는데, 오죽하면 이순자의 호가 '한편' 이라는 우스개소리까지 나왔을 정도였다. "한편 영부인 이순자 여사는 오늘~" 이라면서 동정 기사가 보도됐는데 그 내용은 일반 국민이 굳이 알 필요가 없는 시시콜콜한 일들이었다.[15] 노태우 부인 김옥숙 여사, 1988년 5·18 묘역 극비 참배 전모 - 중앙일보(2019.8.29.)[16] 기고한 내용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대통령 부인이라는 위치는 참으로 묘한 자리입니다. 엄밀한 의미에서 공인도 아니고 그렇다고 사인으로서 개인적 자유를 갖기도 힘든 자리입니다”[17] 제5공화국에서는 육영수 역할로 잠깐 등장했다. 다만 박정희 재임 당시 과거 회상 씬 정도로만 나온 것이라 비중은 적다.[18] 공교롭게도 성을 제외한 이름이 동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