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1E00, #013F1B 20%, #013F1B 80%, #001E00); color:#F7BC2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rowcolor=#013F1B,#FFF> 이스칸데르 미르자 | 아유브 칸 | 야히아 칸 | 줄피카르 알리 부토 | |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rowcolor=#013F1B,#FFF> 파잘 일라히 초드리 | 무함마드 지아울하크 | 굴람 이샤크 칸 | 파루크 레가리 |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rowcolor=#013F1B,#FFF> 무함마드 라피크 타라르 | 페르베즈 무샤라프 | 아시프 알리 자르다리 | 맘눈 후세인 | |
제13대 | 제14대 | |||
<rowcolor=#013F1B,#FFF> 아리프 알비 | 아시프 알리 자르다리 | |||
무굴 · 인도 제국 · 자치령 · 대통령 관련 직위: 파키스탄 총리 | }}}}}}}}}}}} |
무궁화대훈장 수훈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한국인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상훈 연도 | 결정일 | 수여일 | 이름 | 직책 | 국적 | 비고 |
1949년 | 8월 15일 | 이승만 | 대통령 | 대한민국 | |||
1960년 | 8월 13일 | 윤보선 | 대통령 | 대한민국 | |||
1963년 | 12월 5일 | 12월 17일 | 박정희 | 대통령 | 대한민국 | ||
1967년 | 6월 23일 | 육영수 | 영부인 | 대한민국 | |||
1979년 | 12월 7일 | 최규하 | 대통령 | 대한민국 | 12.12 군사반란으로 하야 | ||
1979년 | 12월 7일 | 홍기 | 영부인 | 대한민국 | |||
1980년 | 8월 29일 | 8월 29일 | 전두환 | 대통령 | 대한민국 | 무궁화대훈장 이외의 모든 훈장 취소 | |
1980년 | 8월 29일 | 8월 29일 | 이순자 | 영부인 | 대한민국 | ||
1988년 | 2월 24일 | 2월 25일 | 노태우 | 대통령 | 대한민국 | 무궁화대훈장 이외의 모든 훈장 취소 | |
1988년 | 2월 24일 | 2월 25일 | 김옥숙 | 영부인 | 대한민국 | ||
1993년 | 2월 11일 | 2월 23일 | 김영삼 | 대통령 | 대한민국 | ||
1993년 | 2월 11일 | 2월 23일 | 손명순 | 영부인 | 대한민국 | ||
1998년 | 2월 17일 | 2월 25일 | 김대중 | 대통령 | 대한민국 | ||
1998년 | 2월 17일 | 2월 25일 | 이희호 | 영부인 | 대한민국 | ||
2008년 | 1월 28일 | 노무현 | 대통령 | 대한민국 | |||
2008년 | 1월 28일 | 권양숙 | 영부인 | 대한민국 | |||
2013년 | 2월 12일 | 이명박 | 대통령 | 대한민국 | |||
2013년 | 2월 12일 | 김윤옥 | 영부인 | 대한민국 | |||
2013년 | 2월 19일 | 박근혜 | 대통령 | 대한민국 | |||
2022년 | 5월 3일 | 문재인 | 대통령 | 대한민국 | |||
2022년 | 5월 3일 | 김정숙 | 영부인 | 대한민국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외국인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상훈 연도 | 결정일 | 수여일 | 이름 | 직책 | 국적 | 비고 |
1964년 | 12월 3일 | 12월 8일 | 하인리히 뤼프케 | 대통령 | 서독 | 외국인 최초 상훈자 | |
1964년 | 12월 3일 | 12월 8일 | 빌헬미네 뤼브케 | 영부인 | 서독 | 외국인 최초 상훈자 | |
1966년 | 2월 1일 | 2월 7일 | 이스마일 나시루딘 | 국왕 | 말레이시아 | ||
1966년 | 2월 1일 | 2월 7일 | 틍쿠 인탄 자하라 | 왕비 | 말레이시아 | ||
1966년 | 2월 1일 | 2월 10일 | 푸미폰 아둔야뎃 | 국왕 | 태국 | ||
1966년 | 2월 1일 | 2월 10일 | 시리낏 끼띠야콘 | 왕비 | 태국 | ||
1966년 | 2월 1일 | 2월 15일 | 장제스 | 총통 | 중화민국 | ||
1968년 | 5월 10일 | 5월 18일 | 하일레 셀라시에 | 황제 | 에티오피아 | ||
1969년 | 5월 23일 | 5월 27일 | 응우옌반티에우 | 총통 | 남베트남 | ||
1969년 | 5월 23일 | 5월 27일 | 응우옌티마이아인 | 제1부인 | 남베트남 | ||
1969년 | 10월 28일 | 10월 28일 | 하마니 디오리 | 대통령 | 니제르 | ||
1969년 | 10월 28일 | 10월 28일 | 아이샤 디오리 | 영부인 | 니제르 | ||
1970년 | 9월 25일 | 9월 28일 | 피델 산체스 에르난데스 | 대통령 | 엘살바도르 | ||
1970년 | 9월 25일 | 9월 28일 | 마리나데 산체스 에르난데스 | 영부인 | 엘살바도르 | ||
1975년 | 6월 27일 | 7월 5일 | 오마르 봉고 | 대통령 | 가봉 | ||
1975년 | 6월 27일 | 7월 5일 | 조세핀 봉고 | 영부인 | 가봉 | ||
1979년 | 4월 17일 | 4월 23일 |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 대통령 | 세네갈 | ||
1979년 | 4월 17일 | 4월 23일 | 콜레테 위베르트 상고르 | 영부인 | 세네갈 | ||
1980년 | 5월 11일 | 할리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드 | 국왕 | 사우디아라비아 | |||
1980년 | 5월 14일 | 자베르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 국왕 | 쿠웨이트 | |||
1981년 | 6월 25일 | 수하르토 | 대통령 | 인도네시아 | |||
1981년 | 6월 25일 | 시티 하티나 | 영부인 | 인도네시아 | |||
1981년 | 6월 29일 | 아마드 샤 이브니 아부 바카르 | 국왕 | 말레이시아 | |||
1981년 | 6월 29일 | 틍쿠 아프잔 | 왕비 | 말레이시아 | |||
1981년 | 7월 6일 |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 대통령 | 필리핀 | |||
1981년 | 7월 6일 | 이멜다 마르코스 | 영부인 | 필리핀 | |||
1981년 | 10월 13일 | 로드리고 카라소 | 대통령 | 코스타리카 | |||
1981년 | 10월 13일 | 에스트레야 셀레돈 리사노 | 영부인 | 코스타리카 | |||
1982년 | 5월 10일 | 사무엘 도 | 대통령 | 라이베리아 | |||
1982년 | 6월 7일 | 모부투 세세 세코 | 대통령 | 자이르 | |||
1982년 | 6월 7일 | 보비 라다와 | 영부인 | 자이르 | |||
1982년 | 8월 25일 | 압두 디우프 | 대통령 | 세네갈 | |||
1982년 | 12월 21일 | 케난 에브렌 | 대통령 | 튀르키예 | |||
1983년 | 3월 10일 | 3월 15일 | 자파르 모하메드 니메이리 | 대통령 | 수단 | ||
1983년 | 3월 10일 | 3월 15일 | 부띠나 칼릴 압불핫산 | 영부인 | 수단 | ||
1983년 | 9월 10일 | 후세인 1세 | 국왕 | 요르단 | |||
1983년 | 9월 10일 | 누르 | 왕비 | 요르단 | |||
1984년 | 4월 9일 | 하사날 볼키아 | 국왕 | 브루나이 | |||
1984년 | 4월 21일 | 할리파 빈 하마드 알타니 | 국왕 | 카타르 | |||
1984년 | 8월 30일 | 9월 13일 | 다우다 자와라 | 대통령 | 감비아 | ||
1984년 | 8월 30일 | 9월 13일 | 치렐 자와라 | 영부인 | 감비아 | ||
1985년 | 5월 17일 | 무함마드 지아울하크 | 대통령 | 파키스탄 | |||
1985년 | 5월 20일 | 루이스 알베르토 몽헤 | 대통령 | 코스타리카 | |||
1986년 | 9월 4일 | 4월 10일 | 엘리자베스 2세 | 국왕 | 영국 | ||
1986년 | 9월 4일 | 4월 16일 | 보두앵 | 국왕 | 벨기에 | ||
1987년 | 4월 7일 | 아메드 압달라 | 대통령 | 코모로 | |||
1988년 | 11월 3일 | 이스칸다르 | 국왕 | 말레이시아 | |||
1988년 | 11월 3일 | 자나리아 | 왕비 | 말레이시아 | |||
1989년 | 11월 3일 | 11월 20일 | 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 | 대통령 | 서독 | ||
1989년 | 11월 3일 | 11월 30일 | 프랑수아 미테랑 | 대통령 | 프랑스 | ||
1989년 | 11월 3일 | 11월 30일 | 다니엘 미테랑 | 영부인 | 프랑스 | ||
1990년 | 6월 21일 | 안드레스 로드리게스 | 대통령 | 파라과이 | |||
1990년 | 11월 5일 | 괸츠 아르파드 | 대통령 | 헝가리 | |||
1991년 | 9월 13일 | 아즐란 샤 | 국왕 | 말레이시아 | |||
1991년 | 9월 13일 | 투안쿠 바이눈 | 왕비 | 말레이시아 | |||
1991년 | 9월 25일 | 카를로스 살리나스 데 고르타리 | 대통령 | 멕시코 | |||
1992년 | 8월 13일 | 호르헤 안토니오 세라노 엘리아스 | 대통령 | 과테말라 | |||
1993년 | 5월 20일 | 5월 25일 | 피델 라모스 | 대통령 | 필리핀 | ||
1993년 | 5월 20일 | 5월 25일 | 이멜리타 마르티네스 라모스 | 영부인 | 필리핀 | ||
1994년 | 11월 7일 | 11월 21일 | 에두아르도 프레이 루이스 타글레 | 대통령 | 칠레 | ||
1994년 | 12월 5일 | 12월 9일 | 레흐 바웬사 | 대통령 | 폴란드 | ||
1995년 | 2월 7일 | 2월 16일 | 이슬람 카리모프 | 대통령 | 우즈베키스탄 | ||
1995년 | 2월 21일 | 3월 6일 | 로만 헤어초크 | 대통령 | 독일 | ||
1995년 | 3월 28일 | 4월 3일 | 젤류 젤레프 | 대통령 | 불가리아 | ||
1995년 | 6월 26일 | 7월 7일 | 넬슨 만델라 | 대통령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1995년 | 9월 26일 | 9월 29일 | 카를로스 메넴 | 대통령 | 아르헨티나 | ||
1996년 | 7월 23일 | 9월 4일 | 알바로 아르수 | 대통령 | 과테말라 | ||
1996년 | 7월 23일 | 페르난두 카르도주 | 대통령 | 브라질 | |||
1996년 | 10월 8일 | 10월 20일 | 후안 카를로스 1세 | 국왕 | 스페인 | ||
1996년 | 10월 8일 | 10월 20일 | 소피아 마르가리타 빅토리아 프리데리키 | 왕비 | 스페인 | ||
1996년 | 11월 26일 | 자파 이브니 압둘 라만 | 국왕 | 말레이시아 | |||
1996년 | 12월 10일 | 12월 15일 | 레오니드 쿠치마 | 대통령 | 우크라이나 | ||
2000년 | 2월 22일 | 3월 3일 | 카를로 아첼리오 참피 | 대통령 | 이탈리아 | ||
2000년 | 2월 22일 | 3월 6일 | 자크 시라크 | 대통령 | 프랑스 | ||
2006년 | 3월 12일 | 압델아지즈 부테플리카 | 대통령 | 알제리 | |||
2007년 | 3월 26일 | 사마 알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 국왕 | 쿠웨이트 | |||
2007년 | 3월 28일 | 하마드 빈 할리파 알사니 | 국왕 | 카타르 | |||
2009년 | 5월 13일 |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 대통령 | 카자흐스탄 | |||
2009년 | 11월 12일 | 알란 가르시아 | 대통령 | 페루 | |||
2012년 | 5월 30일 | 칼 16세 구스타프 | 국왕 | 스웨덴 | |||
2012년 | 11월 21일 | 할리파 빈 자이드 나하얀 | 대통령 | 아랍에미리트 | |||
2018년 | 10월 8일 | 에마뉘엘 마크롱 | 대통령 | 프랑스 | |||
2019년 | 하랄 5세 | 국왕 | 노르웨이 | ||||
2021년 | 6월 14일 | 알렉산더 판데어벨렌 | 대통령 | 오스트리아 | |||
2021년 | 6월 16일 | 펠리페 6세 | 국왕 | 스페인 | |||
2021년 | 6월 16일 | 레티시아 오르티스 로카솔라노 | 왕비 | 스페인 | |||
2021년 | 8월 25일 | 이반 두케 | 대통령 | 콜롬비아 | |||
2021년 | 9월 21일 | 보루트 파호르 | 대통령 | 슬로베니아 | |||
2023년 | 7월 13일 | 안제이 두다 | 대통령 | 폴란드 | |||
2023년 | 11월 21일 | 찰스 3세 | 국왕 | 영국 | |||
2024년 | 11월 16일 | 디나 볼루아르테 | 대통령 | 페루 | }}}}}}}}} |
파키스탄 이슬람 공화국 제6대 대통령 무함마드 지아울하크 محمد ضياء الحق Muhammad Zia-ul-Haq | ||
출생 | 1924년 8월 12일 | |
인도 제국 잘란다르 (현 인도 펀자브 주 잘란다르) | ||
사망 | 1988년 8월 17일 (향년 64세) | |
파키스탄 수틀레지 강 인근 | ||
국적 | 파키스탄 | |
학력 | 영국령 인도 제국 육군사관학교 | |
배우자 | 샤피크 지아 | |
자녀 | 슬하 2남 3녀 | |
정당 | 자마아티 이슬라미 | |
재임기간 | 제6대 대통령 | |
1978년 9월 16일 ~ 1988년 8월 17일 | ||
종교 | 이슬람 | |
주요 경력 | 파키스탄 육군참모총장 파키스탄 계엄사령관 파키스탄 6대 대통령 |
[clearfix]
1. 개요
파키스탄의 6대 대통령이자 독재자. 1977년 7월 쿠데타를 일으켜 줄피카르 알리 부토 총리를 몰아내고 계염령을 내려 계엄사령관으로 있다가 이듬해 대선에 출마해 당선되면서 대통령이 되었고 1988년 비행기 추락 사고로 사망할 때까지 대통령을 지냈다. 나름 세속주의 국가였던 파키스탄을 지금처럼 막장 이슬람 국가로 만든 장본인이다.2. 생애
영국령 인도 제국의 펀자브 지방의 잘란다르의 독실한 무슬림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가 어렸을 때 인도와 파키스탄은 같은 나라였고 영국의 식민지였는데 그는 지금의 인도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했다. 1943년 식민군에 입대해 버마 전선에서 일본군과 싸운 전적도 있다. 1947년 인도와 파키스탄이 분할 독립하는 와중에 펀자브 지방이 별 다른 준비나 예고도 없이 파키스탄 영토와 인도 영토로 갑자기 분할되는 과정에서 대규모 유혈 사태와 피난민이 발생했는데[1] 이 과정에서 그도 실향민이 되었다.1947년 파키스탄군이 창설되자 소령 신분으로 합류했고 1962년부터 1964년까지 미국으로 군사 유학을 다녀오기도 했다. 1965년 3월 2차 인도-파키스탄 전쟁이 터지자 참전하기도 했고 1967년부터 1970년까지 준장 신분으로 요르단에 머물며 요르단군을 훈련시키기도 했다.
1975년 중장으로 진급했고 이듬해인 1976년 3월 줄피카르 알리 부토 총리는 그를 대장으로 진급시킴과 동시에 육군참모총장에 임명했다.
2.1. 쿠데타
1977년 7월 페어플레이 작전이라고 불리는 무혈 쿠데타를 일으켜 부토 정권을 뒤엎어버리고 계염령을 선포한 후 계엄 사령관을 맡았으며 육군참모총장직도 계속 유지했다. 이듬해인 1978년 9월에 대통령으로 취임했고 국방장관, 육군 참모총장, 계엄사령관을 맡으며 군권을 계속 장악했다. 부토 총리는 1979년에 사형시켜 버렸다. 쿠데타 이후에는 아예 총리 직책을 없애 버렸다가 1985년에야 부활시켰다.2.2. 대통령 취임 이후의 행적
대통령이 된 후 정당활동을 정지시켰고 파업을 금지했으며 언론에 엄격한 검열을 가하면서 계엄령을 계속 유지했다.그는 미국과의 관계도 중시하며 친미, 반공주의를 내세워 소련 같은 공산권을 견제했는데 1980년대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무자헤딘을 지원한 것이 대표적이다. 이렇게 보면 좋은 대통령으로 보이지만 이 사람도 정적을 탄압하고 무자비하게 고문하고 죽인 사람이다. 1979년 4월에는 줄피카르 알리 부토 전 총리를 사형시켜 버렸다. 반공주의 정책의 경우 전임자인 부토가 이끌던 파키스탄 인민당은 이슬람 사회주의 노선이었기 때문에 자신이 쿠데타로 뒤엎은 전임자의 노선을 거부한다는 뜻도 있었다. 파키스탄 인민당이 소련과 친교 관계를 강화했던 것과 반대급부로 그는 당시 소련을 수정주의자라고 비난하던 중국의 노선을 타서 소련을 적극적으로 견제하였다.
젊었을 때의 트라우마 때문인지 이슬람 극단주의적 성격도 있어서 극우 이슬람주의 정당 자마아티 이슬라미를 지원하였고 이를 통해 아불 알라 마우두디의 이슬람 근본주의 사상을 유행시키면서 파키스탄/아프가니스탄의 탈레반의 토대를 만든 것으로 현재도 비난받고 있다. 국가를 이슬람화할 것인지에 대한 국민투표를 1984년 12월 19일 시행했는데 투표 결과 유권자의 97%가 이슬람화 정책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지아울하크 정권 시절 파키스탄은 이슬람 국가 건설 프로그램을 추진했다. 이에 기존의 모든 법제도는 샤리아에 부합되도록 변경되었으며 이 정책의 영향으로 인해 파키스탄은 이슬람권에서도 꼴통 취급받는 국가가 되어 지금까지 이르고 있다.
1985년 3월에야 계엄령을 해제하고 비당원 선거를 치른 뒤 무함마드 칸 주네조(Muhammad Khan Junejo)를 총리를 임명했는데 1988년 주네조 총리가 지아울하크 대통령과 사사건건 반목하자 지아울하크는 주네조 내각을 해체시키고 11월에 새로운 선거를 치를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그러나...
3. 의문의 추락사고로 사망
자세한 내용은 파키스탄 공군 C-130B 추락 사고 문서 참고하십시오.1988년 8월 17일 지아울하크와 파키스탄군 합참의장, 아놀드 라펠 파키스탄 주재 미국 대사 등 승객 17명과 승무원 13명 총 30명을 태운 C-130B 수송기에 탑승하여 펀자브 주 바하왈푸르 공항에서 이슬라마바드로 가던 중 추락해 그를 포함한 탑승객 30명 전원이 사망했다. 향년 64세. 이륙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컨트롤 타워와 교신이 끊겼으며 목격자들의 말로는 비행기가 매우 불규칙하게 날았다고 한다. 이 사고의 진상은 미스테리인데 정적들이 그를 암살하려던 시도거나 그냥 단순한 사고인가라는 의견들이 있다. 진실은 저 너머에 있다.
4. 여담
파키스탄으로 쏟아지는 대외 원조금을 방산비리로 해먹고 이웃나라 아프가니스탄을 예속화하려는 시도를 통해 탈레반의 토대를 마련한 것, 파키스탄을 이슬람 근본주의 국가로 만든 것으로 비판을 받는다. 자마아티 이슬라미 문서 참조.세속주의를 펼치던 여타 이슬람권 군사 독재자들과 다르게 이 양반은 특이하게 군인이면서 이슬람 근본주의자의 모습을 보였다.
1950년 친척인 샤피크 자한(Shafiq Jahan)과 결혼했다.[2] 1988년 지아울하크가 죽으면서 사별했고 부인은 1996년 1월 6일에 사망했다. 2남 3녀를 낳았는데 아들인 무함마드 이자즈 울하크(Muhammad Ijaz-ul-Haq)는 1953년생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샤리프 정권과 무샤라프 정권 시절 각료를 지냈으며 1960년생 아들 안와르가 있다. 딸 자인(Zain)은 1972년생으로 꽤 늦둥이인데 선천적인 장애가 있고 은행가와 결혼했으며 또다른 딸 루비나 살렘(Rubina Saleem)은 1980년부터 미국에서 살고 있고 또다른 딸인 쿠라툴린 지아(Quratulain Zia)는 파키스탄인 의사인 아드난 마지드와 결혼해 런던에서 살고 있다고 한다.
1985년 5월 방한하기도 했다.
[1] 오늘날 기준으로는 파키스탄령 펀자브 지역 인구의 90% 이상이 무슬림이고 인도 펀자브주는 인구 상당수가 시크교도와 힌두교도지만 파키스탄과 인도가 분할되기 전에는 서로 종교가 다른 사람들이 마을과 마을을 경계로 어울려 살았다.[2] 장인이 우간다 캄팔라 출신의 인도계 의사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