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왕(동음이의어) 문서 참고하십시오.
황실 및 왕실의 구성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태상황 태상왕 | 태상황후 태상왕비 | 태황태후 대왕대비 | |
상황 상왕 | 상황후 상왕비 | 황태후 왕대비 | ||
대원왕 대원군 | 대원비 부대부인 | 국구 부원군 | 국태부인 부부인 | |
황제 국왕 | 황후 왕비 | 여제 여왕 | 국서 | |
후궁 | 남총 | |||
황태제 왕세제 | 황태자비 왕세자빈 | 황태녀 왕세녀 | 국서 부마 의빈[1] | |
태자 황태자 왕세자 | ||||
원자 | ||||
황태손 왕세손 | ||||
원손 | ||||
황제(皇弟) 왕제 | 친왕비 왕자비 | 장공주 | ||
황자 왕자 | 황녀 왕녀 | |||
친왕 대군 | 공주 옹주 | |||
군왕 군 | 군왕비 군부인 | 군주 현주 | ||
프린스 | 프린세스 | 프린스 | }}}}}}}}} |
[1] 기본적으로 임금의 사위를 일컫는 말.
[clearfix]
1. 개요
군왕은 백성이 함께하면 편안하고 백성이 도와주면 강성하며, 백성이 비난하면 위태로워지고 백성이 등을 돌리면 멸망한다.
(百姓與之卽安 輔之則強 非之則危 背之則亡)
전한 한영(韓嬰)의 <한시외전>(韓詩外傳)
(百姓與之卽安 輔之則強 非之則危 背之則亡)
전한 한영(韓嬰)의 <한시외전>(韓詩外傳)
사무엘은 이렇게 말하였다. "너희를 다스릴 왕의 권한은 이러하다. 그는 너희의 아들들을 데려다가 그의 병거와 말을 다루는 일을 시키고, 병거 앞에서 달리게 할 것이다. 그는 너희의 아들들을 천부장과 오십부장으로 임명하기도 하고, 왕의 밭을 갈게도 하고, 곡식을 거두어들이게도 하고, 무기와 병거의 장비도 만들게 할 것이다. 그는 너희의 딸들을 데려다가, 향유도 만들게 하고 요리도 시키고 빵도 굽게 할 것이다. 그는 너희의 밭과 포도원과 올리브 밭에서 가장 좋은 것을 가져다가 왕의 신하들에게 줄 것이며, 너희가 거둔 곡식과 포도에서도 열에 하나를 거두어 왕의 관리들과 신하들에게 줄 것이다. 그는 너희의 남종들과 여종들과 가장 뛰어난 젊은이들과 나귀들을 끌어다가 왕의 일을 시킬 것이다. 그는 또 너희의 양 떼 가운데서 열에 하나를 거두어 갈 것이며, 마침내 너희들까지 왕의 종이 될 것이다. 그때에야 너희가 스스로 택한 왕 때문에 울부짖을 터이지만, 그때에 주께서는 너희의 기도에 응답하지 않으실 것이다."
성경 사무엘기 8장 11~18
왕(王)은 고대부터 현재까지 주로 남성에게 쓰이는 한 나라의 군주, 임금을 뜻하는 가장 대표적인 한자다. 갑골문에선 王은 아래 변이 넓고 위는 도끼 모양을 하고 있다. 고대 중국에선 도끼가 권력을 상징했기 때문에[1] 도끼를 최고의 권력을 가진 왕의 상징으로 썼다. 이외에도 갑골문의 모양 해석에는 몇몇 이설이 있는데[2], 대표적으로 중국 한나라시대의 학자인 허신(許愼)은 갑골문을 보지 못했기에 전서(篆書) 등 이미 원형에서 많이 변형된 후세의 자체만 보고 하늘과 사람 사이(二)의 중간에 위치하여(一) 하늘과 백성을 연결하는 것(|)을 뜻하는 말로서 하늘의 명으로 만민을 통치하는 존재라고 풀이했다. 갑골문을 찾기 전까지는 이 허신의 해석이 널리 쓰였으나 갑골문이 나와 그 진짜 의미가 드러났다. 즉 '권력을 가진 높은 분'이라는 뜻.성경 사무엘기 8장 11~18
추가로 원래 한자문화권의 전통에서는 그리스 로마 신화 등 다신교 세계관에서의 '~~의 신'이란 개념은 '신'이 아니라 '왕'이라고 부른다. 우라누스의 이름을 딴 행성을 천왕성으로(넵투누스의 이름을 딴 해왕성, 플루토의 이름을 딴 명왕성 등도 같다.) 번역한 것을 보면 알 수 있듯이.
2. 왕국의 국가원수 국왕
일반적인 정의는 왕국의 군주. 흔히 사람들이 생각하는 왕이다. 보통 군주로서의 왕은 '국왕'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많다.훌륭한 업적을 세운 성군의 경우는 대왕이라고 부른다.[3] 유럽 역사에서 '대왕'은 위대한 왕을 부를 때 쓰는 단어일 뿐이었지만, 한국사에선 위대한 왕을 부를 때 뿐만 아니라 실제 군주의 칭호 자체가 '대왕'인 경우가 많았다.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지만 고려, 조선 왕조가 '대왕'을 자국 군주의 정식 칭호로 사용했고, 신라와 백제 역시 자국의 임금의 정식 칭호를 '대왕'이라고 했다.
황제의 개념이 여러 왕국들이 부대껴 하나의 문화권을 형성하게 되면서 일종의 대빵을 만든 것처럼, 왕의 개념 역시 일반적으로 여러 부족들이 통합해 여러 부족장들의 수장을 정하게 되면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실제 역사에서 왕의 권력은 초창기에는 그리 강하지 않은 경우가 많고, 왕이 여타 부족장이나 귀족들과 대립하면서 왕권을 강화하고 차츰 권위와 위상 또한 강해지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세상의 모든 왕이 사라지더라도 체스판의 왕과 트럼프의 왕 4명, 그리고 영국 국왕은 결코 사라지지 않는다는 말이 있다. 가말 압델 나세르가 이끄는 장교단의 쿠데타로 쫓겨난 이집트 국왕 파루크 1세가 "20세기에는 각국의 왕실이 사라질 것이나 5명의 왕만은 건재할 것이니 트럼프의 왕 넷[4]과 영국의 왕이다"라고 했다.[5]
3. 작위로서의 왕
자세한 내용은 왕(작위) 문서 참고하십시오.4. 창작물에서 왕인 캐릭터
자세한 내용은 왕/캐릭터 문서 참고하십시오.5. 호칭
한국의 역사에선 왕을 뜻하는 고유의 일반명사들이 있었는데 다음과 같다.국가 | 호칭 |
고조선 | 단군 또는 왕검 |
고구려 | 개차(皆次) |
백제 | 건길지, 어라하 |
신라 | 거서간(居西干) |
차차웅(次次雄) | |
이사금(尼師今) | |
마립간(麻立干) | |
매금(寐錦)[6] | |
가야 | 한기(旱岐)[7] |
발해 | 가독부(可毒夫) |
===# 언어별 명칭 #===
해외에서의 왕을 뜻하는 일반 명사는 다음과 같다.
<colbgcolor=#f5f5f5,#2d2f34> 언어별 명칭 | |||
한국어 | 임금,[8] 왕(王) | ||
구자라트어 | રાજા(rājā, 라자) | ||
그리스어 | βασιλιάς(vasiliás, 바실리아스) | ||
Βασιλεύς(basileús, 바실레프스),[9] ἄναξ(ánax)(고전 그리스어) | |||
qa-si-re-u(미케네 그리스어) | |||
네팔어 | राजा(rājā, 라자) | ||
독일어 | König(쾨니히) | ||
Kine(오스트로바이에른어) | |||
König, Keunig(저지 독일어) | |||
Künning(중부 프랑켄 방언) | |||
Keenich(펜실베이니아 독일어) | |||
kuning, cuning(고대 고지 독일어) | |||
달마티아어 | ra(라) | ||
라틴어 | rēx(렉스) | ||
러시아어 | царь(car', 차르), коро́ль(korólʹ), князь(knjazʹ) | ||
루마니아어 | rege(레제) | ||
vãsilje, bãsilãu(아루마니아어) | |||
마라티어 | राजा(rājā, 라자) | ||
마인어 | raja(라자), datu(다투), perabu, syah, malik, padsyah, narapati | ||
만주어 | ᠸᠠᠩ(wang, 왕) | ||
몽골어 | ᠬᠠᠨ(хан, 항), хаан(khaan), ван(van) | ||
미얀마어 | ဘုရင်(bhu.rang), မင်း(mang:), ရာဇ(raja., 라자.) | ||
벨라루스어 | каро́ль(karólʹ), цар(car) | ||
벵골어 | রাজা(raja, 라자), বাদশাহ(badśah) | ||
불가리아어 | Цар(car, 차르), крал(kral) | ||
산스크리트어 | राजा(raja, 라자), केसरी(kesarī), भूपति(bhūpati) | ||
세르보크로아트어 | Цар(car, 차르) | ||
세부아노어 | hari(하리) | ||
수메르어, 히타이트어 | 𒈗(lugal, 루갈) | ||
스페인어 | rey(레이) | ||
ריי/rey(레이)(라디노어) | |||
rei(레이)(아라곤어) | |||
rei(레이), re(아스투리아스어) | |||
rei(레이)(에스트레마두라어) | |||
싱할라어 | රජ(raja, 라자) | ||
아랍어 | ملك(malik, 말리크), سلطان(sulṭān, 술탄) | ||
ملك(malek)(이집트 아랍어) | |||
مَلِك(malik)(히자즈 방언) | |||
𐩣𐩡𐩫(mlk)(고대 남아랍어) | |||
아삼어 | ৰজা(roza) | ||
ৰাজা(raja, 라자), ৰাই(rai)(초기 아삼어) | |||
아통어 | raja(라자) | ||
암하라어 | ንጉስ(nəgus), ንጉሥ(nǝguś, 느구스) | ||
ንጉሥ(nəguś)(그으즈어) | |||
영어 | king(킹) | ||
keeng(스코트어) | |||
cyning(고대 영어) | |||
kyng, king(중세 영어) | |||
오리야어 | ରାଜା(raja, 라자) | ||
오크어 | regis(헤지스, 레지스), régis(헤지스, 레지스) | ||
우크라이나어 | коро́ль(korólʹ), цар(car, 차르) | ||
이탈리아어 | re(레) | ||
re(코르시카어) | |||
rré(나폴리어) | |||
re(레), rei(사르데냐어) | |||
re(레)(프리울리어) | |||
re(레), reghi(시칠리아어) | |||
인도유럽조어 | rḗḱs(렉스) | ||
일로카노어 | ari(아리) | ||
일본어 | [ruby(王, ruby=おう)](오ー), [ruby(大王,ruby=おおきみ)](오오키미), [ruby(帝,ruby=みかど)](미카도) | ||
자바어 | prabu, raja(라자), ratu | ||
haji, ratu(고대 자바어) | |||
중국어 | [ruby(王, ruby=wáng)], [ruby(国王, ruby=guówáng)], [ruby(國王, ruby=guówáng)](정자) | ||
카탈루냐어 | rei(레이) | ||
칸나다어 | ರಾಜ(rāja, 라자) | ||
타밀어 | மன்னன்(maṉṉaṉ), அரசன்(aracaṉ), ராஜா(rājā, 라자), கோ(kō) | ||
파슈토어 | سلطان(sultan, 술탄), شاه(šāh), پادشا(pādšã) | ||
페니키아어 | 𐤀𐤃𐤍(ʾdn), 𐤌𐤋𐤊(mlk, 말리크)(왕), 𐤓𐤁(릅)(군주), 𐤁𐤏𐤋(발)[10](군주) | ||
페르시아어 | شاه(šâh, shah(ʃɑː), 샤), پادشاه(pâdšâh, pâdešâh), کیا(kia), تاجور(tāǰvar) | ||
шоҳ(šoh), подшоҳ(podšoh)(타지크어) | |||
𐏋(XŠ /xšāyaθiya/)(고대 페르시아어) | |||
𐭬𐭫𐭪𐭠(mlkʾ /šāh/)(중세 페르시아어) | |||
펀자브어 | ਰਾਜਾ(rājā, 라자) | ||
포르투갈어 | rei(헤이) | ||
rei(갈리시아어, 미란다어, 카보베르데 크레올어) | |||
alê(앙골라 크레올어) | |||
alé(안노본 크레올어) | |||
re(크리스탕 크레올어) | |||
arê(프린시페 크레올어) | |||
프랑스어 | roi(후아, 루아)[11] | ||
roy(고대 프랑스어) | |||
roi, rei(중세 프랑스어) | |||
rwa(루이지애나 크레올어) | |||
lerwa(세이셸 크레올어) | |||
hué(카니푸라 크레올어) | |||
힌디어 | राजा(라자, rājā), बादशाह(bādśāh), पादशाह(pādśāh), सुलतान(sultān, 술탄), सुल्तान(sultān, 술탄), शाह(śāh), भूपति(bhūpti), केसरी(kesrī), मलिक(malik), पातशाह(pātśāh)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기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colbgcolor=#f5f5f5,#2d2f34> 고대 노르드어 | konungr, kongr | |
고대 동슬라브어 | король(korolĭ), цѣсарь(cěsarĭ) | ||
고전 이집트어 | nswt(/nijˈsiːwat/ → /niˈsiːwaʔ/ → /ʔənˈsiːʔəʔ/ → /ʔənˈsiːʔ/)(상이집트 왕), bjtj(/biˈjatVj/ → /biˈjatVj/ → /βəˈjat(ə)/)(하이집트 왕), ḥqꜣ m(/ħɛkɑ/, heqa) | ||
고트어 | 𐌸𐌹𐌿𐌳𐌰𐌽𐍃(þiudans) | ||
교회 슬라브어 | ⱌⱑⱄⰰⱃⱐ/цѣсарь(cěsarĭ) | ||
그린란드어 | kunngi | ||
기아나 크레올어 | rwè | ||
rei(기아나-비사우 크레올어) | |||
나바호어 | naatʼáanii | ||
나와틀어 | tlahtoāni | ||
네덜란드어, 아프리칸스어 | koning(코닝) | ||
wa(안틸레스 크레올어) | |||
노르만어 | rouai(저지식), roué(대륙식), rwe(사크 방언) | ||
노르웨이어 | konge | ||
누비아어 | ⲟⲩⲣⲟⲩ(고대 누비아어) | ||
ūru(노비인어) | |||
덴마크어 | konge | ||
konung(고대 덴마크어) | |||
둥간어 | вон(von) | ||
라오어 | ລາຊາ(lā sā), ກະສັດ(ka sat), ຣາຊາ(rā sā) | ||
라트갈레어 | kieneņš, karaļs | ||
라트비아어 | karalis, ķēniņš | ||
레즈긴어 | король(korol’) | ||
로망슈어 | retg | ||
로힝야어 | raza | ||
롬어 | thagar, kraj, raj | ||
král, krályo(블라흐 방언) | |||
룩셈부르크어 | Kinnek | ||
뤼디아어 | 𐤡𐤠𐤯𐤯𐤬𐤳(battos), 𐤲𐤠𐤷𐤪𐤷𐤰𐤳(qaλmλus) | ||
리투아니아어 | karalius | ||
마오리어 | kingi | ||
마카사르어 | karaeng | ||
마케도니아어 | крал(kral) | ||
말라가시어 | mpanjaka | ||
말라얄람어 | രാജാവ്(rājāvŭ), അരചൻ(aracaṉ) | ||
몰타어 | re | ||
몽어 | huab tais(중앙 후이수이 방언) | ||
메그렐어 | მაფა(mapa) | ||
바스크어 | errege | ||
바시키르어 | батша(batša) | ||
반달어 | rix, ricus | ||
베네토어 | re | ||
베르베르어 | agllid(실하어) | ||
agellid(커바일어) | |||
베트남어 | vua, quốc vương(國王) | ||
벱스어 | kunigaz | ||
보디어 | kunikaz, kunikõz | ||
볼라퓌크 | hireg | ||
부랴트어 | хаан(xaan) | ||
브르타뉴어 | roue | ||
roe(고대 브르타뉴어) | |||
빌라모비체어 | kyng | ||
사모아어 | tupu(투푸) | ||
사미어 | gånågis(룰레 사미어) | ||
gonagas(북부 사미어) | |||
kunâgâs(이나리 사미어) | |||
koonǥõs(스콜트 사미어) | |||
산탈어 | ᱨᱟᱡᱽ(rajᱽ) | ||
세마이어 | rajak | ||
소르브어 | kral(고지 소르브어) | ||
kral, kralik, krol(고어)(저지 소르브어) | |||
소말리어 | boqor | ||
소토어 | morena(모레나) | ||
쇼나어 | mambo(맘보) | ||
스반어 | ნეფე(nepe) | ||
스와티어 | 응웬야마 | ||
스와힐리어 | mfalme | ||
nfalume(음와니어) | |||
스웨덴어 | kung, konung(고어), drott | ||
슬로바키아어 | kráľ | ||
슬로베니아어 | kralj | ||
슬로빈키아어 | krȯ́u̯l, krȯl | ||
순다어 | raja | ||
신디어 | سُلطانُ(sultānu), بادشاھ | ||
아람어 | מַלְכָּא(malkā, 말카)(유대-바빌로니아 아람어) | ||
ܡܠܟܐ(malkā)(시리아어) | |||
아르메니아어 | թագավոր(tʿagavor), արքա(arkʿa) | ||
թագաւոր(tʿagawor), արքայ(arkʿay)(고대 아르메니아어) | |||
아바르어 | паччахӏ(pač̄aḥ) | ||
아이누어 | aekotenishpa/アエコテニシパ | ||
아이마라어 | malku | ||
아제르바이잔어 | kra, məlik, şah, padşah | ||
아이티 크레올어 | wa | ||
아이슬란드어 | konungur, kóngur | ||
아파치어 | nantʼán(서부) | ||
알바니아어 | mbret, mret(게그 방언) | ||
에르자어 | инязор(injazor) | ||
에스토니아어 | kuningas, kunn(속어) | ||
에스페란토 | reĝo(레조) | ||
rejulo(이도) | |||
에웨어 | fiaŋutsu | ||
엘프달리아어 | kunungg | ||
오세트어 | паддзах(padʒax) | ||
오지브웨어 | ogimaa, gichi- ogimaa | ||
오크어 | rei | ||
왈롱어 | rwè, roy(고어) | ||
요루바어 | oba | ||
우가리트어 | 𐎎𐎍𐎋(mlk) | ||
우즈베크어 | qirol, shoh, korol, podshoh, xon | ||
월로프어 | bûr | ||
위구르어 | پادىشاھ(padishah), شاھ(shah), خان(xan) | ||
유픽어 | uss'utali | ||
이디시어 | מלך(meylekh), קיניג(kinig) | ||
이보어 | eze | ||
인테르링구아 | rege | ||
조지아어 | მეფე(mepe, 메페), ხელმწიფე (xelmc̣ipe) | ||
მეუფე(meupe)(고대 조지아어) | |||
좡어 | vuengz | ||
줄루어 | inkosi 5 or 6 | ||
체로키어 | ᎤᎬᏫᏳᎯ(ugvwiyuhi) | ||
체와어 | mfumu | ||
체첸어 | ӏела(ʿela), паччахь(paččaḥ) | ||
체코어 | král | ||
추바시어 | король(korolʹ), патша(patša) | ||
카자흐어 | хан(xan), король(korolʹ), патша(patşa) | ||
캄베라어 | maramba | ||
캅카스 알바니아어 | üwx | ||
케추아어 | qhapaq | ||
켈트어파 | rí(아일랜드어) | ||
*rīx(rix, 릭스)[12](갈리아어) | |||
ree(맨어) | |||
rìgh(스코틀랜드 게일어) | |||
brenin(웨일스어), brenhyn, brenhin, breenhin(중세 웨일스어) | |||
mytern, my'tern, myghtern(콘월어) | |||
코모로어 | mfalume 1 or 2(은주아니 코모로어) | ||
코사어 | inkosi 5 or 6 | ||
콥트어 | ⲃⲁⲥⲓⲗⲉⲩⲥ(basileus), ⲟⲩⲣⲟ(ouro)(보하이라 방언) | ||
ⲃⲁⲥⲓⲗⲉⲩⲥ(basileus), ⲣⲣⲟ(rro)(사히디 방언) | |||
쿠르드어 | شاھ(şah), مەلیک(melîk)(소라니 방언) | ||
paşa, qiral, melik, şah(쿠르만지 방언) | |||
쿠순다어 | moŋ | ||
크메르어 | ស្ដេច(sdac), ព្រះមហាក្សត្រ(prĕəh mĕəʼhaaksat), ហ្លួង(luəng), ជននាថ(cŭən niət), រាជ(riəc), រាជា(riəciə) | ||
크난어 | קרל(krl) | ||
키르기스어 | король(qorolʹ), падыша(padışa), кан(qan) | ||
키쿠유어 | mũthamaki 1 | ||
타바사란어 | паччагь(pač̄ah) | ||
타오스어 | taláyna | ||
타타르어 | король(qorol’), патша(patşa), падишаһ(padişah) | ||
태국어 | ราชา(raa-chaa), กษัตริย์(gà-sàt), ราช(râat) | ||
텔루구어 | రాజు(rāju) | ||
토하라어 | wäl(토하라어 A: 아그니 방언) | ||
walo(토하라어 B: 쿠차 방언) | |||
투르크멘어 | şa, patyşa, korol | ||
투바어 | хаан(xaan) | ||
튀르키예어 | Kral, Padişah | ||
𐰴𐰍𐰣(qǧn¹ /qaɣan/)(고대 튀르키예어) | |||
شاه(şâh), قرال(qrāl), قرال(kral), ملك(melik)(오스만어) | |||
티그리냐어 | ንጉሥ(nəguś) | ||
티베트어 | རྒྱལ་པོ(rgyal po) | ||
འབྲུག་རྒྱལ་པོ(드루크걀포)(종카어) | |||
팔리스크어 | rex | ||
팔리어 | भूपालो(bhūpālo) | ||
페로어 | kongur | ||
폴란드어 | król | ||
프리지아어 | kening(서프리지아어) | ||
köning(북프리지아어) | |||
Köönich(자터란트 프리지아어) | |||
피지어 | tui | ||
핀란드어 | kuningas | ||
필리핀어 | datu(다투) | ||
하와이어 | aliʻi, mōʻī | ||
하우사어 | sarki | ||
하티어 | katte | ||
헝가리어 | király | ||
훈스리크어 | Keenich | ||
히브리어 | מסלם(mélekh) | ||
히타이트어 | ḫassu- | }}}}}}}}} |
자세한 내용은 군주의 칭호 문서로.
6. 관련 문서
- 곤룡포
- 공주
- 군주
- 군주의 칭호
- 군주제
- 궁전
- 로스엔젤레스 킹스[13]
- 대관식
- 대군주
- 대왕
- 대한제국 황실 복원론
- 레갈리아
- 명군
- 번국
- 부왕
- 사천왕
- 상급왕
- 새크라멘토 킹스[14]
- 성군
- 암군
- 양위
- 어명
- 어진
- 여왕
- 역성혁명
- 옥새
- 옥좌
- 왕관
- 왕권
- 왕권신수설
- 왕국
- 왕녀
- 왕당파
- 왕들의 취미
- 왕릉
- 왕비
- 왕실
- 왕위 계승의 법칙
- 왕위 요구자
- 왕자
- 왕정복고
- 왕조
- 왕조국가
- 왕족
- 외왕내제
- 입헌군주제
- 전륜성왕
- 전제군주제
- 전하(호칭)
- 정복왕
- 제왕
- 제왕학
- 제후
- 찬탈
- 창업군주
- 천왕
- 천자
- 천조
- 태왕
- 태자
- 패왕
- 폐하
- 폭군
- 황제
[1] 이는 중국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모든 고대 국가들이 비슷했다. 고대에서 도끼, 낫, 칼 등은 '언제든지 나의 목을 벨 수 있는 자', 즉, 언제든 나의 생명을 앗아갈 수 있는 자라는 의미였다.[2] 사람이 땅 위에 서 있는 모습이라는 설, 士 자의 분화자 설, 土 + 一/上 설 등. 사실 王자의 음이 도끼의 상형문자인 戉(도끼 월) 자와 음이 멀어서 도끼의 상형자라고 단정짓기는 어렵다.[3] 예를 들자면 삼국 시대의 광개토대왕과 조선 시대의 세종대왕.[4] 스페이드, 다이아몬드, 하트, 클로버.[5] 사실 영국의 왕도 그 전에 올리버 크롬웰에 의해 잠시 없었던 적이 있었다.[6] 충주고구려비와 봉평신라비에서 등장. 마립간의 다른 표기로 보기도 한다.[7] 사비회의 당시 참석자 기록을 봐선 가야 안에서 크고 강한 나라의 임금은 왕(王), 작은 나라의 임금을 한기(旱岐)로 부른 것으로 추정된다.[8] 순우리말[9] 중세 그리스어에서는 황제도 뜻한다. 현대에서는 역사 용어로만 쓰인다.[10] 바알에서 왔다.[11] 표준 발음의 실제 발음은 후아에 가깝다. '루아'는 비수도권에서 사용되는 방언 발음.[12] 부족장도 뜻한다. 베르킨게토릭스, 둠노릭스 등 고대 갈리아의 부족장의 이름은 릭스(rix)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 라틴어로 왕을 뜻하는 rex(렉스)와 마찬가지로 원시인구어로 왕을 뜻하는 rḗḱs가 어원이다.[13] NHL의 팀.[14] NBA의 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