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6 21:49:53

그린란드어

파일:지구 아이콘_Black.svg 세계의 언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0 auto; text-align:left''
관련 문서: [[:분류:개별 언어]] · [[언어 관련 정보]]
<colbgcolor=#eee,#000>·종류 (위키에 문서가 등재되어 있는 언어만 가나다순 정렬) ※ 원어민 5천만 명 이상 언어는 굵게 표시함.
갈리시아어객가어 · 게일어 · 광동어 · 구자라트어그리스어 · 그린란드어
나바호어 · 네덜란드어 · 네팔어노르웨이어
덴마크어 · 독일어
라다크어 · 라오어 · 라트비아어 · 라틴어 · 라파누이어 · 러시아어로망슈어롬바르드어 · 루마니아어 · 룩셈부르크어 · 류큐어 · 르완다어 · 리구리아어 · 리투아니아어
마라티어 · 마오리어 · 마인어 · 마케도니아어 · 맨어 · 몰타어 · 몽골어 · 미얀마어 · 민어(언어)
바스크어 · 반달어 · 베네토어 · 베트남어 · 벨라루스어 · 벵골어 · 불가리아어
상어(언어) · 세르보크로아트어 · 세부아노어 · 소닝케어 · 소말리어 · 소토어 · 스반어 · 스와힐리어 · 스웨덴어 · 스코트어 · 스페인어 · 슬로바키아어 · 슬로베니아어 · 시칠리아어
아디게어 · 아람어 · 아랍어 · 아르메니아어 · 아이누어 · 아이슬란드어 · 아일랜드어 · 아이티 크레올어 · 아제르바이잔어 · 아파르어 · 아프리칸스어 · 알바니아어 · 암하라어 · 에스토니아어 · 영어 · 오어 · 오크어 · 요루바어 · 우르두어 · 우즈벡어 · 우크라이나어 · 웨일스어 · 이보어 · 이디시어 · 이탈리아어 · 일본어
자메이카 파트와 · 자바어 · 저지 독일어 · 조지아어 · 줄루어 · 중국어
차모로어 · 체코어 · 축치어 · 츠와나어
카자흐어 · 카탈루냐어 · 캄보디아어 · 코르시카어 · 코만치어 · 코사어 · 콘월어 · 콥트어
타밀어 · 타지크어 · 태국어 · 텔루구어 · 통가어 · 튀르키예어 · 티베트어
펀자브어 · 페로어 · 페르시아어 · 포르투갈어 · 폴란드어 · 풀라어 · 프랑스어 · 프랑코프로방스어 · 프리지아어피에몬테어 · 피지어 · 핀란드어 · 필리핀어
하와이어 · 하우사어 · 한국어 · 헝가리어 · 히브리어 · 힌디어
기타 관련 문서통역 · 번역 · 사전}}}}}}}}}
그린란드어
Kalaallisut
Greenlandic language
파일:map_greenlandic.png
<colcolor=#000><colbgcolor=#e4f3ff> 유형 포합어
어순 SOV(주어-목적어-서술어)
서자방향 좌횡서
문자 라틴 문자
점자 스칸디나비아 점자
주요 사용 지역
(또는 공용어 지정 국가)

[[덴마크|]][[틀:국기|]][[틀:국기|]]

[[그린란드|]][[틀:국기|]][[틀:국기|]]
원어민 약 5만 명
계통 에스키모알류트어족
에스키모어파
이누이트어군
그린란드어
칼라흘리트어(Kalaallisut, 서부 그린란드어)
투누미트어(Tunumiisut, 동부 그린란드어)

이눅티툿어(동부 캐나다 이누이트어)
이눅툰어(Inuktun, 북부 그린란드어)
언어
코드
<colcolor=#000><colbgcolor=#e4f3ff> ISO 639-1 KL
ISO 639-2 KAL
ISO 639-3 KAL
글로톨로그 kala1399

1. 개요2. 명칭3. 계통4. 문자
4.1. 옛 철자법의 사용과 폐지4.2. 예시
5. 음운 및 표기
5.1. 모음5.2. 자음
5.2.1. 이중자음
5.3. 그 외5.4. 한글 표기
6. 문법7. 방언
7.1. 북그린란드 방언
7.1.1. 음운7.1.2. 어조7.1.3. 정서법 및 교육
7.2. 동그린란드 방언
7.2.1. 음운7.2.2. 어휘
8. 배우기9. 기본 단어 및 기본 회화10. 여담 및 들어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tumblr_b2a797ae2e5b6b702532018b8d1d538f_31c20204_1280.png
J. K. 롤링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의 그린란드어 번역본
그린란드어(Kalaallisut)는 그린란드의 공용어이다. 12~13세기경 현재의 이누이트인(툴레 문화)이 이주한 이래 그린란드에서 사용되어 온 이누이트어의 일종으로, 전형적인 포합어의 구조를 하고 있다.

같은 어군에 속하는 알류트어와 관계가 깊다. 과거에는 이래저래 부호를 많이 붙인 로마자를 썼으나 1973년부로 대대적인 철자법 개정이 이루어져 지금은 기본 자모로만 쓴다. 후술.

당연하다면 당연하지만, 툴레 문화권의 이누이트인이 이주하기 전 도싯(Dorset) 문화권이나 사카크(Saqqaq) 문화권 등에서 사용된 언어와는 별개의 언어로서, 당시에 사용된 언어가 어떠한지에 대해서는 알 방법이 없다.

포합어답게 온갖 접사를 붙여 단어를 만들어낼 수 있다. 이누이트 계열의 언어들에 눈(雪)을 가리키는 단어가 아주 많다는 이야기가 있는 것은, 실제로 개별 단어가 아주 많아서가 아니라 이런 식으로 단어와 문장의 경계가 모호할 만큼 많은 단어를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단적인 예시로 혀(oqaq)라는 어간에 접사를 잔뜩 이어붙여서 단어(oqaaseq), 문법(oqaasilerissutit) 같은 단어를 만들어내는 수준을 넘어 '그에 대해 나쁘게 이야기하다'(oqaatiginerluppaa) 같은 단어도 만들어낼 수 있다. 이론적으로 만들 수 있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실생활에서 이런 식으로 이야기하는 과정에서 그때그때 단어가 만들어지는 것이 그린란드어를 비롯한 포합어의 특징이다. 자세히는 해당 문서 참조.

그린란드어에 수(數)를 표현할 방법이 없지 않지만, 12까지만 그린란드어로 세고 그 이상의 숫자는 덴마크어를 차용하여 표현한다. 이는 13부터는 말이 너무 길어지기 때문이다.

2. 명칭

그린란드어로 칼라흘리수트(Kalaallisut)라고 한다. 칼라흘리트(Kalaallit)인의 언어라는 뜻으로, 칼라흘리트는 그린란드의 민족 구성 가운데 약 90%를 차지하는 그린란드 이누이트를 자칭하는 이름이다. 자세히는 그린란드 문서 참조.

영어를 비롯한 다른 언어에서는 아래의 표에서 볼 수 있듯 '그린란드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한국어 그린란드어
영어 Greenlandic language
프랑스어 Groenlandais
덴마크어 Grønlandsk
스페인어 Idioma groenlandés
독일어 Grönländische Sprache
러시아어 Гренландский язык
포르투갈어 Língua groenlandesa
중국어 格陵兰语/格陵蘭語
일본어 グリーンランド語
라틴어 Lingua Groenlandica

3. 계통

에스칼류트어족 에스키모어파에 속한 이누이트어의 일종이다.

그린란드 정부가 구체적으로 '그린란드어'를 공용어로 지정하고 표준화 작업을 진행했다는(그리고 지금도 진행 중이라는) 점에서 실질적으로는 개별 언어로 볼 수 있겠으나, 언어학적으로는 이누이트어의 방언으로도 보는 관점과 개별 언어로 보는 관점이 모두 존재한다. 이는 학자에 따라 이누이트어를 대규모 방언연속체로 구성된 단일 언어로 보는지, 혹은 기원을 공유하는 여러 개별 언어로 구성된 일종의 어군으로 보는지에 대한 관점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4. 문자

라틴 문자를 사용하며, 외래어를 적지 않는 한 다음의 자모가 사용된다.
Aa Ee Ff Gg Hh Ii Jj Kk Ll Mm Nn Oo Pp Qq Rr Ss Tt Uu Vv

외래어(주로 덴마크어)를 표기할 때는 다음의 자모도 사용한다.
Bb Cc Dd Hh Ww Xx Yy Zz Ææ Øø Åå

이는 1973년의 철자법 개정 이후의 것으로, 그전까지는 Qq를 대체하는 별도의 문자인 K’ĸ[1]가 쓰였으며, 장모음을 표기하는 데 곡절 악센트(◌̂) 부호를 사용했다.

이누이트어군에 속한 다른 언어들을 적는 데 많이 쓰이는 캐나다 원주민 문자는 일반적으로 그린란드어를 적는 데 잘 쓰이지 않으나, 옴니글롯에 철자법을 만들어 등록한 사람이 있다.#

4.1. 옛 철자법의 사용과 폐지

앞서 언급한 크라와 곡절 악센트를 사용하는 구 표기법은 독일인/덴마크인 선교사 겸 언어학자인 자무엘 클라인슈미트(Samuel Kleinschmidt, 1814-1886)가 확립한 것이다. 클라인슈미트는 그린란드 출신으로 당시의 그린란드어 표기법을 제정했는데, 이 표기법은 각 형태소의 어원을 살려서 표기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직관성이 상당히 낮다는 문제가 있었고, 또 전산화하게 되면 입력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어 1973년 그린란드 자치정부가 수립됨에 따라 현행 표기법으로 변경되었다.

클라인슈미트의 표기법에서 사용하는 크라(K’ĸ)는 그 글자의 형상에서 알 수 있듯 대문자를 표현하는 별도의 글자가 없이 상하반전된 뒤집힌 콤마(ʻ)를 대문자 K에 덧붙여 쓰게 되어 있었다. 소문자는 개별 문자로서, 그리스의 소문자 카파(ĸ)와 비슷하게 생겼다. 이 글자는 오로지 그린란드어에서만 쓰였으며, 또 일반적인 k와 분간하기도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 외에 클라인슈미트의 표기법에서 장음을 표기하는 곡절 악센트 부호는 개정되면서 같은 글자를 두 번 쓰는 식으로 바뀌었다.

4.2. 예시

다음은 현행 표기법을 준용하여 세계 인권 선언 제1조를 그린란드어로 표기한 것이다.
Inuit tamarmik inunngorput nammineersinnaassuseqarlutik assigiimmillu ataqqinassuseqarlutillu pisinnaatitaaffeqarlutik. Silaqassusermik tarnillu nalunngissusianik pilersugaapput, imminnullu iliorfigeqatigiittariaqaraluarput qatanngutigiittut peqatigiinnerup anersaavani.
모든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로우며 그 존엄과 권리에 있어 동등하다. 인간은 천부적으로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으며 서로 형제애의 정신으로 행동하여야 한다.

다음은 주기도문을 그린란드어로 표기한 것이다.
Ataatarput qilammiusutit,
aqqit illernarsili,
naalagaaffiit tikiulli,
peqqusat qilammisut nunamissaaq pili,
inuutissatsinnik ullumi tunisigut,
akiitsukkatsinnillu isumakkeerfigitigut,
soorlu uvaguttaaq akiitsortivut isumak keerfigigivut,
ussernartumullu pisinnata,
ajortumilli annaatsigut.
Amen.

5. 음운 및 표기

그린란드어의 모음은 기본적으로 a, i, u의 세 개로 구성되며, 장단음의 구분이 존재한다.
자음은 다음의 표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다.
순음 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구개수음
비음 m ⟨m⟩ n ⟨n⟩ ŋ ⟨ng⟩ ɴ ⟨rn⟩
파열음 p ⟨p⟩ t ⟨t⟩ k ⟨k⟩ q ⟨q⟩
파찰음 t͡s
마찰음 v ⟨v⟩ s ⟨s⟩ / ɬ ⟨ll⟩ ʃ ɣ ⟨g⟩ ʁ ⟨r⟩
유음 l ⟨l⟩
반모음 j ⟨j⟩

음절 구조는 CVC, 즉 단자음-모음-단모음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삼중자음은 존재하지 않는다.

5.1. 모음

파일:Greenlandic_Vowel_Table.svg
그린란드어의 모음 구성
모음의 수가 적음에도 발음이 상당히 난해한 편인데, 이는 한국인이 접하기 어려운 모음이 많아서인 탓도 어느 정도 있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정한 음가를 가지지 않고 그때그때 발음이 조금씩 변하기 때문이다.

앞서 언급하였듯 장단음이 존재하며, 장음은 두 모라(mora)로 발음된다.
aa ii uu
이중모음은 ai 하나뿐이다. 그 외에 일견 이중모음처럼 보이는 경우는 실제로는 음절 단위로 분리된다.

모음 구성을 표시한 도식에서 볼 수 있듯 각 모음을 콕 짚어서 일대일로 대응되는 음성기호로 표기하는 것은 곤란한데, 이는 발화할 때 주변 음운의 영향을 받아 발음이 조금씩 달라지기 때문이다.
a
모음
구개수음 앞에서 [ɑ]로 발음
어말 및 구개수음이 아닌 자음 앞의 어두에서 [a]로 발음
그 외에는 [ə]로 발음
i
모음
구개수음 앞에서 [ɐ]로 발음
구개수음이 아닌 자음 앞의 어두에서 [i]로 발음
순음 앞에서 [y]로 발음
그 외에는 [ɪ]로 발음
u
모음
구개수음 앞에서 [o~ɔ]로 발음
설단음(혀끝소리)에서 [ʉ]로 발음
순음, 구개수음이 아닌 자음 앞의 어두에서 [u]로 발음
그 외에는 [ʊ]로 발음

구개수음 앞에서 발음이 전체적으로 저모음에 가깝게 변하는 것은 표기법에 반영되어 있다. 현행 표기법에서 q와 r 앞에서는 /i/ 모음이 [ɐ]로 발음되므로 〈e〉로 표기하며, /u/는 [o~ɔ]로 발음되어 〈o〉로 표기한다.
  • /ui/(남편) → ui로 표기.
    • /uiqarpuq/(그녀는 남편이 있다) → ueqarpoq로 표기.
  • /illu/(집) → illu로 표기.
    • /illuqarpuq/(그녀는 집이 있다) → illoqarpoq로 표기.

예외적으로 r 앞이라고 하더라도 rl 앞에서는 제대로 〈i〉나 〈u〉로 표기하는데, 이는 〈rl〉은 구개수음이 아니라 〈ll〉과 같이 치경음의 일종인 설측 치경 마찰음 [ɬ]이기 때문이다.

본래 옛 그린란드어에는 /au/ 이중모음이 존재하였으나, 현대로 넘어오면서 aa로 발음이 변하였다. 이는 표기법에도 반영되어, 단모음 a에 후행되는 u는 a로 표기된다. 단, 이는 장모음 aa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 가령 aau라는 글자가 있다고 하면, 이는 중간에 반모음 j를 삽입하여 아유/aaju/로 발음된다. 그 외의 경우 au는 aa로 발음된다.

가끔 i 모음을 가지고 있음에도 실제 발음에서는 상황에 따라 a와 같이 발음되는 예외적인 경우가 있는데, 이는 그린란드어가 현대로 넘어오면서 모음이 4개에서 지금의 3개로 줄었기 때문이다. 이 네 번째 모음을 어원으로 가지고 있는 경우에 이러한 변칙적인 발음을 가지게 된다. 이 네 번째 발음은 에스칼류트조어(Proto-Eskaleut)에 존재한 것으로 여겨지는 *ɪ 음운으로부터 유래하였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5.2. 자음

자음 표를 다시 보겠다.
순음 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구개수음
비음 m ⟨m⟩ n ⟨n⟩ ŋ ⟨ng⟩ ɴ ⟨rn⟩
파열음 p ⟨p⟩ t ⟨t⟩ k ⟨k⟩ q ⟨q⟩
파찰음 t͡s
마찰음 v ⟨v⟩ s ⟨s⟩ / ɬ ⟨ll⟩ ʃ ɣ ⟨g⟩ ʁ ⟨r⟩
유음 l ⟨l⟩
반모음 j ⟨j⟩

크게 순음, 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구개수음으로 나누어 볼 수 있고, 경구개음을 제외한 나머지 조음위치별로 파열음, 마찰음, 비음의 세 발음씩 묶어서 볼 수 있다.

이 중 [ʃ] 자음은 s로 표기되며, 대부분의 지역에서 소멸되어 [s]로만 발음된다. 실제로 [ʃ]를 발음하는 것은 서부 그린란드, 즉 시시미우트부터 파미우트까지 일대의 방언에 해당한다.

외래어가 아니라면 어두자음은 p, t, k, q, s, m, n만이, 어말자음은 p, t, k, q, m만이 위치할 수 있다.

자음 v는 u에 후행하고 i나 a에 선행할 때 표기되지 않는다. 이를테면 접사가 va-나 vi-로 시작하는데, 그 앞의 어간이 -u로 끝나면 접사 부분은 v 없이 a-나 i-로 시작하는 것으로 실현되며 그에 맞게 발음된다.

음절과 음절 사이에서 발생하는 이중자음은 역행동화를 일으켜 후행하는 자음만 발음하되 강세가 붙는다. 강세가 붙은 자음은 두 배 길이로 발음하게 된다. 때문에 그린란드어 단어의 실제 발음을 국제음성기호로 표기한 것을 보면 종종 자음에 장음(:) 표시가 들어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극단적인 예시를 들자면 그린란드 동부의 도시 이름인 Ittoqqortoormiit [itːɔqːɔtːɔːmːiːt] 가 있겠다.

5.2.1. 이중자음

표기상으로 이중자음이 존재하기는 하지만, 실제로는 앞서 언급했듯 /C¹C²/는 [C²C²]의 형태로만 실현된다.
이하 이중자음을 표기함에 있어, 선행하는 자음을 C¹이라 표기하겠다.
  • ll은 [ɬ:]로 발음된다. 따라서 C¹l 역시 그렇게 발음되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rl이 ll과 같은 발음을 가지는 이유가 이것이다.
  • gg, 혹은 다른 자음(이하 선행하는 자음을 C¹이라 표기하겠다)이 붙은 C¹g는 [çː ~ xː]로 발음된다.
  • C¹r는 [χː]로 발음된다.
  • C¹f는 [f:]로 발음된다.

이러한 일련의 규칙은 그린란드어에 실질적인 이중자음을 존재하지 않게 하며, 유명한 이누이트어 단어인 이글루(iglu; 집)이 그린란드어에서 이흘루(illu)라 표기되고 발음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린란드어에는 gl 발음이 없고, 본래 그런 발음이었을지라도 그린란드어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ll로 발음이 변했기 때문이다.

앞에서 표기한 /C¹C²/는 어원을 살폈을 때의 이야기이고, 실제로 표기된 그린란드어를 살펴보면 대부분 〈C¹C¹〉의 형태로 표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여기서 예외적으로 /rC²/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에만 형태를 밝혀 적는데, 이는 이 r의 존재로 인해 선행하는 모음의 발음이 바뀌기 때문이다. 앞서 구개수음 앞에서 모음의 발음이 변하는 것에 대하여 서술했는데, 그것을 표기로써 변별하기 위한 방편이다.

여기서 rq만은 예외적으로 밝히지 않고 〈qq〉로 표기하는데, 이는 q 또한 구개수음으로서 r의 존재를 밝히지 않아도 발음이 다름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 C¹r는 〈qq〉로 표기한다.
  • C¹v는 〈pp〉로 표기한다. 앞서 언급한 대로 rv와 qv는 예외가 되어 〈rp〉로 표기된다.
  • C¹g는 〈kk〉로 표기하고 발음된다. 예외적으로 rg와 qg는 〈r〉로 표기되고 /r/로 발음된다.

5.3. 그 외

덴마크 차용어는 본래의 표기법을 따라가지만, 발음은 그린란드어의 음운에 맞추어 바뀌게 된다.

5.4. 한글 표기

그린란드어는 한국에서 잘 알려진 언어와는 거리가 멀어 공신력 있는 표기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실제 소릿값을 밝혀서 한글로 최대한 근사해 적는 것 또한,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 특히 모음의 - 복잡한 음운 규칙 때문에 쉽지 않은 일이다.

현재 나무위키에서 그린란드 문서를 비롯해, 그린란드 내의 지명, 행정구역 등을 다루는 문서, 혹은 기타 그린란드 관련 문서들 일체에서는 일관된 표기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 문교부 고시 《외래어 표기법》제7장 〈기타 언어 표기의 일반 원칙〉등을 준용한다.
    • 철자 a, e, i, o, u는 '아', '에', '이', '오, '우'라 적는다.
    • 철자 j는 뒤의 모음과 합쳐 '야', '예' 등으로 적으며, 앞에 자음이 있는 경우 그 자음까지 합쳐 적는다.
    • 철자 u는 뒤의 모음과 합치지 않고 '우'로 적는다.
    • 어말의 파열음은 '으'를 붙여 적는다.
    • ts는 'ㅊ'로 적는다.
    • 같은 자음이 겹치더라도 겹쳐 적지 않는다. 단 mm과 nn은 음가와 관계없이 겹쳐 적는다.
  • 자음은 앞의 자료와 제2장에 따른 〈국제 음성 기호와 한글 대조표〉를 참조하되, 여기에 없는 자음은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 /q/는 'ㅋ'로 표기한다.
    • /ʁ/는 'ㄹ/르'로 표기한다.
    • /ɬ:/는 '흘ㄹ'로 표기한다.

결론적으로 다음의 표와 같다.
A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LL/RL
ㅋ/크 ㄹ/ㄹㄹ ㅍ/프 ㅋ/크 ㅌ/트 흘ㄹ

이를 적용한 예시는 다음과 같다.
  • Appaalissiorfik - 아팔리시오르피크[2]
  • Inatsisartut - 이나치사르투트[3]
  • Kalaallit Nunaat - 칼라흘리트 누나트[4]
  • Maniitsoq - 마니초크[5]
  • Naalassartoq - 날라사르토크[6]
  • Paamiut - 파미우트[7]
  • Qaasuitsup Ulloriaa - 카수이추프 우흘로리아[8]
  • Sisimiut - 시시미우트[9]
  • Tamatuma - 타마투마[10]
  • Ui - 우이[11]

6. 문법

포합어, 그 중에서도 복통합적언어(Polysynthetic Language)의 범주에 들며, 능격-절대격 언어의 구조를 가진다.

격은 절대격, 능격, 도구격, 방향격, 처격, 탈격, 조격, 비교격의 8가지로 구분된다.

한국어와 비슷하게 상황, 분위기, 문장 간 결합관계 등을 가리키는 접사들이 꽤 많다. 이는 이누이트 제어의 일반적인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문법에 관하여서는 영어판 위키백과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니 참조하면 좋다.

7. 방언

크게 북부 방언(Avanersuarmiutut)과 동부 방언(Tunumiisut), 그리고 표준어인 서부 그린란드어(Kalaallisut)로 나뉜다. 관점에 따라서는 세 방언이 각각 별개의 언어로 분류되기도 한다.

특히 북부 방언은 달리 이눅툰어(Inuktun)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칼라흘리수트(Kalaallisut)는 서부 그린란드어 방언, 그 중에서도 표준어만 짚어서 일컫기도 하고 그린란드어 자체를 이르기도 하는데, 이는 지금의 그린란드어가 서부 그린란드어를 기준으로 표준화되었기 때문이다. 즉 그린란드어라 하면 일반적으로 서부 그린란드어를 이른다고 이해해도 크게 틀리지 않는다. 그린란드어로 정확히 서부 그린란드어만 짚을 경우에는 키타미우트어(Kitaamiusut)라 한다. 직역하면 말 그대로 '서부 말씨'라는 뜻이 된다.

더 상세히 보자면 서그린란드어 또한 다시 세 그룹으로 나뉘는데, 여기서 표준어로 구실하는 누크 방언을 논외로 하면 우페르나비크부터 캉아치아크까지의 북서부 방언, 파미우트부터 그린란드 최남단까지 이어지는 남부 방언으로 세분할 수 있다.

북서부 방언은 다시 우페르나비크 방언, 캉아치아크-움만나크 방언으로, 남부 방언은 또 파미우트 방언, 나노르탈리크-나르사크-카코르토크 방언, 그리고 그린란드 최남단인 카프파르벨(Kap Farvel) 방언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린란드의 면적이 워낙 넓고, 사람들이 띄엄띄엄 사는 곳이다 보니 생기는 방언의 다양화이다.[12]

서부의 이러한 현상과는 달리 동그린란드 방언은 암마살리크 지구부터 최동단 이토코르토르미트까지 약 800킬로미터의 거리를 두고도 따로 방언의 분화가 일어나지 않았는데, 이는 이토코르토르미트가 비교적 최근에 타실라크(당시 명칭 암마살리크)로부터 이주한 시민들로 개척된 지역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에 관해서는 이토코르토르미트 문서 참조.

이를 정리하여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파일:Dialects_of_Greenland.png
각 방언의 사용 지역을 나타낸 지도.
황색은 북그린란드 방언,
자색은 우페르나비크 방언,
주황색은 캉아치아크-움만나크 방언,
적색은 표준어,
분홍색은 파미우트 방언,
청색은 나노르탈리크-나르사크-카코르토크 방언,
하늘색은 카프파르벨 방언,
녹색은 동그린란드 방언을 나타낸다.
칼라흘리트어(그린란드어)
이눅툰어Inuktun
북그린란드 방언
키타미우트어Kitaamiusut
서부 그린란드어
투누미트어Tunumiisut
동그린란드 방언
북서부 방언 중서부 방언
표준어
남부 방언
우페르나비크 방언 파미우트 방언
캉아치아크-움만나크 방언 나노르탈리크-나르사크-카코르토크 방언
카프파르벨 방언

7.1. 북그린란드 방언

이른바 북극 이누이트어(Polar Inuit). 카나크 지구에서 일상언어로 쓰이며, 현재 화자는 750여명으로 추산된다.[13] 달리 이눅툰어(Inuktun)라고도 하며, 표준 그린란드어로는 '아바네르수아르미우투트(Avanersuarmiutut)'라 한다. 말 그대로 '극북 말씨'. 다른 방언들에 비해 캐나다 일대에서 쓰이는 이누이트어의 특징이 강하게 나타난다. 이는 그린란드 북부에 사는 사람들 가운데 상당수가 상대적으로 최근에 배핀 섬 일대에서 이주해온 이들의 후손이라는 점과도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여겨진다. 키틀라르수아크 문서 참조.

이 때문에, 문서 초입의 표에서도 볼 수 있듯 누나부트 준주 일대의 이누이트어인 이눅티툿(Inuktitut)의 한 갈래로 분류되기도 한다.

후술하겠으나, 젊은 세대로 넘어오면서 표준어와의 괴리가 눈에 띄게 줄어들고 있다. 이는 20세기 초에 북부 그린란드가 식민지화된 이래 서부 그린란드어 가운데 우페르나비크 방언과의 언어적 접촉이 증가한 것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

7.1.1. 음운

모음의 특징은 표준 그린란드어와 별다른 차이가 없으나, 표준 그린란드어에서는 사라진 /au/ 이중모음이 존재한다. 또한 서부 그린란드어보다 /ai/ 이중모음의 사용이 잦은 편이다.
  • 북부 방언에서 /ai/는 표준어로는 /aa/ 혹은 /ai/에 해당한다.
  • 북부 방언에서 /au/는 표준어로는 반드시 /aa/에 해당한다.

발음에는 차이가 없으나, 북부 방언을 표기할 때는 구개수음에 선행하는 i와 u의 발음이 변하는 것을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 즉 e와 o 없이 전부 i와 u로만 표기한다.
순음 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구개수음 성문음
비음 m ⟨m⟩ n ⟨n, -t[어말] ŋ ⟨ng, -k[어말] ɴ ⟨rng[장], -q⟩
파열음 p ⟨p⟩ t ⟨t⟩ k ⟨k⟩ q ⟨q⟩ ʔ
파찰음 t͡s⟨t⟩[17] / t:s ⟨ts⟩
마찰음 v ⟨v⟩ / β[18] s: ⟨ss⟩[장] ç ⟨h⟩[20] ɣ ⟨g⟩ / x: ⟨gh⟩ ʁ ⟨r⟩ / χ: ⟨rh⟩ h ⟨h⟩
탄음 ɾ ⟨l⟩
반모음 j ⟨j⟩
자음에서 가장 주요한 특징이라 하면 표준 그린란드어의 단자음 /s/가 대부분 /h/로 바뀌는 것을 볼 수 있다. [ç]로 발음된다. 다만 장자음으로서 표준어에서 /s:/로 발음되는 것들은 그대로 /s:/로 남는다.

앞선 표에서 볼 수 있듯, 그린란드 방언 가운데 유일하게 성문 파열음[ʔ]을 음소로 가지고 있다. 이는 비음이 아니며 유성음인 장자음(gg, vv, ll, rr)을 발음할 때 발생하는데, 서부 그린란드어에서는 이러한 발음을 그대로 장자음으로(각기 [x:], [f:], [ɬ], [χ:]) 발음하나 북부 방언에서는 성문 파열음이 선행하는 단자음으로 발음한다(각기 [ʔɣ], [ʔv], [ʔɾ], [ʔʁ]).

표준 그린란드어에서 /l/로 발음되는 음소는 북부 방언에서 치경 탄음[ɾ]으로 발음된다. 이는 한국어의 초성 /ㄹ/의 발음과 같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표준어에서는 장자음을 제외하면 이중자음을 허용하지 않는다. 북부 방언에서는 몇 가지 이중자음 형태가 존재할 수 있는데, 개중 몇몇 음가는 젊은 세대에 들어서 표준어화하고 있다. 상세히는 다음과 같다.
  • 북부 방언에서 gl은 [ɣɾ]의 음가를 가지며, 표준어의 ll에 해당한다. 앞선 자음 음운표에서 볼 수 있듯, 북부 방언에 [ɬ] 음운은 존재하지 않는다.
  • 북부 방언에서 kp는 [kp] 내지 [xp]의 음가를 가진다. 표준어의 pp에 해당한다.[표준화]
  • 북부 방언에서 kt는 [kt] 내지 [xt]의 음가를 가진다. 표준어의 tt에 해당한다.[표준화]
  • 북부 방언에서 ngm은 [ŋm]의 음가를 가지며, 표준어의 mm에 해당한다.[표준화]
  • 북부 방언에서 ngn은 [ŋn]의 음가를 가지며, 표준어의 nn에 해당한다.[표준화]
  • 북부 방언에서 qp는 [qp] 내지 [χp]의 음가를 가지며, 표준어의 rp 즉 [p:]에 해당한다.
  • 북부 방언에서 qt는 [qt] 내지 [χt]의 음가를 가지며, 모음 i에 선행할 때 [qt͡s~χt͡s]의 음가를 가진다. 이는 표준어의 rt 즉 [t:] 및 모음 i와 e에 선행할 때의 [tt͡s]에 해당한다.
  • 북부 방언에서 rl은 [ʁɾ]의 음가를 가진다. 표준어에서는 [ɬ:]로 발음된다.
  • 북부 방언에서 rm은 [ʁm]의 음가를 가진다. 표준어에서는 [m:]으로 발음된다.
  • 북부 방언에서 rn은 [ʁn]의 음가를 가진다. 표준어에서는 [ɴ]으로 발음된다.
  • 북부 방언에서 rv는 [ʁv] 내지는 [ʁβ]의 음가를 가진다. 앞서 언급했듯 노인 세대에서는 후자와 같게 발음되기도 한다. 이들은 표준어의 rf 즉 [f:]에 해당한다.

7.1.2. 어조

이 또한 표준 그린란드어보다는 캐나다 북동부의 이누이트어에 더 가까운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표준어에서 평서문을 말할 때는 마지막 음절의 어조가 약간 하강 후 다시 상승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북부 방언에서는 그대로 하강한다. 이는 표준어에서는 의문문의 어조이다.

반면, 표준어에서 진술을 마칠 때와 같이 어조가 다시 상승하는 것은 북부 방언에서 문장이 완성되지 않았을 때의 어조이다. 즉 그 뒤로 아직 단어가 더 붙는다는 뜻으로 볼 수 있다.

7.1.3. 정서법 및 교육

카나크 지구 일대에서 일상언어로 쓰이지만, 공식적인 정서법은 확립되지 않았으며 지역문화 보존 차원에서 별도로 교육되지도 않는다.

현지 주민들은 모두 표준 그린란드어를 교육받기 때문에 타 지역 사람과의 의사소통에는 지장이 없다.

7.2. 동그린란드 방언

이른바 투누미트어(Tunumiisut), 혹은 동그린란드어(East Greenlandic)라 한다. 화자는 3000명이 좀 넘는 것으로 추산되며, 앞서 언급했듯 별개의 언어인지는 관점에 따라 다르다.

동그린란드 일대의 방언이 서그린란드어와 비교하여 이질적으로 발달한 것은 이들이 이주해오는 과정에서 그린란드의 (당시 절멸해가던) 선주민인 도싯 문화권(Dorset Culture) 사람들과 접촉하여 영향을 받은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이주민들 가운데 일부가 동부로 이동하지 않고 그대로 눌러앉은 우페르나비크 일대의 방언은 동부 그린란드어의 특징과 서부 그린란드어의 특징이 혼재된 양상을 보인다.

7.2.1. 음운

동그린란드 방언의 가장 주요한 특징은 /i/ 발음으로, 서부 그린란드어의 /u/ 발음이 종종 /i/에 해당하게 변한다.
  • 이 현상은 첫 음절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 이 음운이 속한 형태소 내에 /u/가 포함된 음절이 또 존재하는 경우에도 발생하지 않는다.
  • 선행하는 음절을 분석했을 때 (문장으로 형성되는 과정에서 여러 규칙에 의해 발음되지 않더라도) /u/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도 발생하지 않는다.
  • 순음(p, v, m)에 후행하는 경우에도 발생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다음과 같이 예를 들어볼 수 있다.
  • 투누미트(Tunumiit), 즉 동부 그린란드인을 가리키는 동부 그린란드 방언은 표준 그린란드어로는 투누미우트(Tunumiut)에 해당한다.
위와 같은 특징은 다음과 같이 반대로 발생하거나 과도교정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 동부 그린란드어로 '도끼'를 뜻하는 울루마트(ulumaat)는 표준 그린란드어로는 울리마트(ulimaat)에 해당한다. 서부 방언으로는 i인데 오히려 동부 방언에서 u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 다른 특징으로는 표준 그린란드어에서는 /⁠ɜ⁠/라 발음되고 〈e〉라 표기되는 발음 중 일부가 /⁠ɑ⁠/, 〈a〉로 변하는 경우가 있다.
  • 가령, '옆'을 의미하는 서부 방언 사네라크(saneraq)는 동부 방언으로는 사낭가크(sanarngaq)에 해당한다.

자음은 서부 방언과 비교했을 때 차이가 크다.
순음 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구개수음
비음 m ⟨m⟩ n ⟨n⟩ ŋ ⟨ng⟩ ɴ ⟨rn⟩
파열음 p ⟨p⟩ t ⟨t⟩ / tˢ k ⟨k⟩ q ⟨q⟩
파찰음 t͡:s
마찰음 v ⟨v⟩ s ⟨s⟩ ɣ ⟨g⟩ ʁ ⟨r⟩
유음 l ⟨l⟩
탄음 ɾ
반모음 j ⟨j⟩
  • 동부 방언에서 일부 무성 마찰음은 파열음으로 변하게 된다.
  • 또한 모음 사이에 위치하는 단자음 가운데 파열음(t, k ,q)는 연화되어 ɾ, ɣ, ʁ로 발음되며, 본래의 ɣ와 ʁ는 비음화하여 ŋ과 ɴ⁠로 발음되게 된다.
  • 서그린란드어의 /s/는 어두에서 /tˢ/로 발음된다.
    • 정작 서그린란드어에서 /tˢ/로 발음되는 부분 가운데 동그린란드어에서 /i/에 선행하는 경우에는 /t/에 가깝게 발음한다.
  • 서그린란드어 중에서도 일부 지역에서만 /⁠ʃ⁠/로 발음되는, 그리고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s/로 발음이 변한 음운은 동그린란드어에서 /ɾ/로 발음된다.
  • 서그린란드어의 장자음 /s:/(와 /⁠ʃ:/)는 동부 방언에서 각각 /t͡:s/와 /t:/에 상당한다.
  • 서그린란드어의 단자음 /l/은 동부 방언에서 /ɾ/로 발음된다.
  • 서그린란드어의 장자음 /ɬː/는, 어원을 밝혔을 때 /l/에서 유래한 경우, 앞서 언급한 /⁠ʃ:/와 마찬가지로 동부 방언에서 /t:/로 발음된다.
    • 어원적으로도 /ɬː/인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t͡:s/로 발음되되, 경우에 따라 /s:/로 발음한다.

이외에도 전반적으로 동부 방언에서는 서그린란드어와 비교했을 때 생략되어 없어진 자음이 상당히 많은 편으로, 자음의 앞뒤로 같은 모음이 둘러싸고 있는 경우에 그 사이에 낀 자음이 아예 없어지는 경우가 잦다. 이는 /n/, /ŋ/, /ɴ/, /j/에서 특히 자주 발생한다.
가령:
* (서그린란드어) inuk사람 → (동부 방언) iik
* (서그린란드어) ingerlavoq그가 가다 → (동부 방언) eertavoq
* (서그린란드어) tiguaa그녀가 가져가다 → (동부 방언) tiivaa
* (서그린란드어) pujortaat파이프 담배 → (동부 방언) poortaat

7.2.2. 어휘

서그린란드어 어휘 중 상당수가 동부 방언에서 통용되지 않는다. 특히 죽음에 관한 터부가 투누미트 일대의 문화에서 매우 강했기 때문에, 장례 기간 동안에는 죽은 사람의 이름을 포함해 죽은 사람과 관련된 대부분의 단어가 금기어가 되곤 했다.

이러한 금기는 동부 방언에서만 통용되는 여러 우회적 표현이 발달되도록 촉진하였으며, 그렇게 발생한 동부 방언의 특징적 어휘에 대해 몇 가지 예를 들자면 다음과 같다.
  • (서그린란드어) ataata아버지 → (동부 방언) nakkivik유래한 곳, 출신
  • (서그린란드어) anaana어머니 → (동부 방언) annivik나온 곳, 유래
  • (서그린란드어) qajaq카약 → (동부 방언) saqqit탈것
  • (서그린란드어) umiaq우미악(여성이 타는 카약) → (동부 방언) aattaarit사냥 여정의 탈것
  • (서그린란드어) qeqertaq → (동부 방언) immikkoortoq떨어진 곳
  • (서그린란드어) taseq호수 → (동부 방언) imeq

이와 무관하지 않은 특징으로, 옛 투누미트 샤먼들은 현대어로는 해석하기 어려운 독특한 고어들로 구성된 어휘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를 의식에 활용하였다. 일종의 종교 용어라고 이해할 수 있을 듯하다.

8. 배우기

한국어로 배울 방법은 없다. 영어로 하려면 Memrise에서 사용자들이 만들어 둔 그린란드어 코스를 이수하거나 《An Introduction to West Greenlandic》이나 《West Greenlandic: An Essential Grammar》과 같은 책을 온라인으로 구해서 공부해볼 수는 있으나, 이 또한 아무래도 본격적인 공부를 하기에는 다소 부족하고, 실질적으로는 먼저 덴마크어를 배우고 나서 접할 필요성이 있다.

덴마크어를 안다는 전제 하에 그린란드어의 맛보기 과정을 공부해볼 수 있지만, 정말 전문적으로 배우려면 아예 덴마크의 관련 대학교 과정을 이수하거나, 본인이 그린란드에 거주해야 할 것이다. 그린란드어 학습 자료는 (영어로 할지라도) 구하기 상당히 어려운 편이다.

2024년부터 구글 번역기가 그린란드어 또한 지원하게 되었으나, 품질이 좋은 편은 아니다. 좀 찾아보면 그린란드어-영어 혹은 그린란드어-덴마크어 사전을 인터넷에서 찾아볼 수 있기는 하다. 그린란드 언어사무국 제공 사전[25]

그린란드의 공영 방송사인 KNR(Kalaallit Nunaata Radioa)에서 제공하는 TV, 라디오를 들어볼 수 있으며, 뉴스(Nutaarsiassat) 항목에 게재되는 전자신문은 TTS 기능을 제공하므로[26] 이 또한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KNR 공식 웹사이트

9. 기본 단어 및 기본 회화

아래는 그린란드어 기본 단어를 정리한 것이다.
출처 1, 출처 2
숫자
1 ataaseq
2 marluk
3 pingasut
4 sisamat
5 tallimat
6 arfineq(시간), arfinillit(사물의 수)
7 arfineq marluk
8 arfineq pingasut
9 gulingiluat(계산, 시간), qulaaluat(사물의 수)
10 qulit
색깔
빨간색 aappaluttoq
파란색 tungujortoq
노란색 sungaartoq
초록색 qorsuk
갈색 kajortoq
분홍색 aappaluttoq qaamaso
주황색 sungaartoq aappaluaartoq
보라색 tunguusaq
흰색 qaqortoq
검은색 qernertoq

출처/출처 2[27]/출처 3
안녕하세요 <colbgcolor=#ffffff,#1f2023>Aluu(비격식)/kutaa(격식)
잘 가요 Baj[28]
여보세요? Haluu?
좋은 아침 kmoorn[29]
지금 기분 어떤가요? Qanoq ippit?
만나서 반가워요 Nuanneq naapillutit
그린란드어 할수있나요? Kalaallit oqalusinnaavit?
네, 조금은요 Aap, immannguaq
이름이 무엇인가요? Qanoq ateqarpit?
제 이름은 @@입니다. @@(i)mik ateqarpunga
당신은 몇살인가요? Qassinik ukioqarpit?
감사해요 Qujanaq
도와줘요!Ikiunnga!
Aap(비격식)/Suu(격식)
아니오 Naagga(비격식)/Naamik(격식)
이거 얼만가요? Qanoq akeqarpa?
당신은 어디에서 왔나요? Suminngaaneerpit?
저는 @@에서 왔습니다 (@@)minngaaneerpunga
이거 뭐죠? Sunaana?
축하해요 Pilluarit
행운을 빌어요 Iluatitsilluarina/Pilluarit
죄송합니다 Utoqqatsissutigaa[30]

더 자세한 대화는 위의 3개 자료 참조.

10. 여담 및 들어보기

  • 현대 그린란드어로 '그린란드인'을 뜻하는 단수형 명사는 칼랄레크(Kalaaleq)이다.[31] 이 단어의 어원에 관해서 확실하게 밝혀진 바는 없지만, 바이킹 시대 그린란드에 이주한 노르드인들이 원주민을 일러 스크랠링(skrælingi)이라 불렀던 것에서 유래한 오래된 차용어라는 설이 있다. 고대 노르드어에서 이 단어는 그린란드빈란드 원주민을 싸잡아 이르는 말로, 대략 '야만인' 정도의 뜻을 가졌다. 이는 현대 아이슬란드어에 그대로 남아 '야만인'이라는 의미로 존재한다.[32]


ILoveLanguages!의 영상.


그린란드의 밴드인 NanookIngerlaliinnaleqaagut(우리는 그렇게 계속 걸어간다)라는 곡이다. 가사를 보면 포합어답게 매우 긴 단어들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린란드 국가. 이 노래 역시 단어들이 매우 길다.


Wikitongues에서 제작된 영상.


Q's Greenland라는 채널에서 Qupanok Olsen이라는 여성이 그린란드어를 말하는 영상.


유튜버 Nivikka의 영상.


그린란드어 방언에 대해 설명하는 영상.

[1] 이 글자를 크라(kra)라고 한다.[2] 지명이다. 아팔리시오르피크 문서 참조.[3] 그린란드 의회를 뜻한다. 그린란드 문서 참조.[4] 그린란드를 뜻하는 그린란드어이다.[5] 지명이다. 마니초크 문서 참조.[6] 태양계의 행성인 금성을 의미한다.[7] 지명이다. 파미우트 문서 참조.[8] 북극성을 의미한다.[9] 지명이다. 시시미우트 문서 참조.[10] '이것'이라는 뜻이다.[11] '남편'이라는 뜻이다.[12] 카프파르벨 자체에는 사람이 살지 않는다. 여기서 카프파르벨 방언이라 함은 아필라토크와 같은 쿠야흘레크주 남동쪽 끝에 위치한 정착촌에서 쓰이는 방언을 의미한다. 카프파르벨 방언은 19세기 키타미우트어 화자(서부)와 투누미트어 화자(동부)가 접촉함에 따라 언어적, 민족적 소집단을 형성한 데서 유래한다. 때문에 카프파르벨 방언은 동그린란드 방언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여타 남부 방언과는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13] 카나크 일대 인구를 합치면 대략 이 정도 숫자가 나온다. 그러니까 표준어의 사용이라든가 이런저런 이유로 화자가 급격히 줄어서 750명밖에 없는 게 아니라 그냥 거기 사는 사람이 매우 적다는 것이 적절한 이해가 되겠다.[어말] 어말에 한해서[어말] [장] 장자음에 한해서[17] 단모음 /i/에 선행하는 경우에 한해서. /t/와는 상보적 분포를 이룬다.[18] 가끔 v 대신 이렇게 발음하기도 한다. 화자의 습관에 따라 다르나, 노인 세대, 즉 옛 발음법에서 이 특징이 좀 더 강하게 나타난다.[장] [20] 성문음 /h/와 분간하기 위해 hj라고 쓰기도 하나, 두 음운의 활용에는 어느 정도 규칙성이 있다.[표준화] 젊은 세대에 들어서면서 표준어와 그 발음이 같게 변하는 추세이다.[표준화] [표준화] [표준화] [25] 수록된 여러 사전의 검색결과를 동시에 보여준다. 그린란드어-영어 사전도 하나 존재하며, 이는 시카고 대학교와 언어사무국에서 펴냈다.[26] '뉴스 듣기(Nutaarsiassaq tusarnaaruk)'라 쓰여 있다.[27] 오디오를 통해 발음도 들을 수 있다.[28] 영어 단어 Bye에서 파생.[29] 덴마크어 아침 인사 God morgen에서 파생.[30] 진심으로 미안할 때 쓰는 말이다.[31] 칼라흘리트 누나트, 칼라흘리수트('그린란드어') 등의 단어에서 줄기차게 등장하는 단어 '칼라흘리트(Kalaallit)'는 복수형이다.[32] 고대 노르드어와의 차이가 거의 없다시피한 아이슬란드어의 특성상 이 단어에 이누이트라는 뜻은 사어死語로서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