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29 12:59:31

요루바어

요루바어
'Èdè Yorùbá
Yoruba language
<colcolor=#fff,#000><colbgcolor=#22DD22> 서자방향 좌횡서
어순 주어-서술어-목적어 (SVO)
문자 로마자
주요 사용 지역
(또는 공용어 지정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나이지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나이지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남서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베냉|{{{#!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베냉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베냉}}}{{{#!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토고|{{{#!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토고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토고}}}{{{#!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원어민 약 5000만 명
계통 니제르콩고어족
대서양콩고어군
베누에콩고어군
요루바제어
요루바어
언어 코드 <colcolor=#fff,#000><colbgcolor=#00FF80> ISO 639-1 yo
ISO 639-2 yor
ISO 639-3 yor

1. 개요2. 대중문화에서3. 들어보기4. 관련 문서

1. 개요

나이지리아 서남부에서 요루바인이 쓰는 언어. 나이지리아에서는 하우사어이보어 등과 더불어 가장 많이 쓰이는 언어 중 하나이다. 화자수는 5,000만명 정도로 추정된다.

쓸 때는 로마자로 표기하며, 각각 /ɛ/, /ɔ/, /ʃ/ 발음을 나타내는 ẹ, ọ, ṣ가 추가로 사용되고, p는 /kp/로 발음된다. 또한 저-중-고의 성조를 가지고 있으며, 높은 성조는 á, 낮은 성조는 à처럼 표기한다. 그러나 입력이 어려운 추가 부호를 떼고 그냥 기본 로마자로만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문법적으로는 SVO 어순을 띄며, 고립어에 속한다.

2. 대중문화에서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Namuwiki, igi imo ti o n toju.
  • 비틀즈가 부른 노래 제목인 Ob-La-Di, Ob-La-Da가 요루바어 문장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이 말은 폴 매카트니가 해당 곡 녹음 당시 타악기 연주자였던 지미 스콧에게서 들은 말이었는데, 사실 이 말은 스콧의 가족 사이에서 통하던 일종의 아무 뜻 없는 농담성 어구였다.
  • 마블 코믹스 와칸다의 공용어 중 하나이다.[1]
  • 가라(Gara)는 영어의 Crystal에 해당하는 단어이다. 공교롭게도 Warframe의 워프레임, 가라는 일본어로 유리를 의미하는 가라스(ガラス)에서 유래된 명칭이지만 요루바어로써의 '가라'와도 연관성이 있는 셈이다.

3. 들어보기


4. 관련 문서



[1] 다만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에서는 공용어가 코사어로 바뀌었다.[2] 아킨지데(Akinjide) - 강한 사람이 돌아왔다 / 아데예미(Adeyemi) - 왕관 받을 자격이 있는 자 / 아칸데(Akande) - 장남 / 오군(Ogun) - 요루바족의 전쟁의 신 / 디무(dimu) - 잡다, 보유자. 이에 맞게 아칸데 오군디무는 소설 '눔바니의 영웅'에서 요루바어를 사용한 바 있다.[3] 초대인 아다부 응구미스와힐리어로 '응징의 주먹'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