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02 03:33:18

이도

1. 인명
1.1. 조선의 제4대 국왕 세종의 본명1.2. 고려의 인물이자, 전의 이씨의 시조1.3. 그룹 원어스의 멤버 이도1.4. 이투스 사회탐구 영역 강사 이도1.5. 인터넷 방송인 타니의 본명1.6. 중국의 사학자 이도1.7. 삼국시대 위나라의 인물 이도1.8. 일본의 정치인 이도 도시조1.9. 한국의 여성 틱톡커 이도1.10. 리그 오브 레전드 감독 박준석의 닉네임 Edo
2. 가상인물의 인명
2.1. 나루토의 등장인물2.2. 가면라이더 오즈마키 키요토(로컬명 하이도)2.3. 로봇소녀 노이도의 등장인물 노이도
3. 동음이의어
3.1. 지명3.2. 이도(, Dip)3.3. 두 개의 검()3.4. 에스페란토를 개조한 인공어
4. O&M회사 이도

1. 인명

1.1. 조선의 제4대 국왕 세종의 본명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세종(조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세종(조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세종(조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고려의 인물이자, 전의 이씨의 시조


고려 초 개국 공신. 초명은 치(齒)이며, 시호는 성절(聖節).

본래 공주[1]에 세거했는데 고려 태조 왕건이 견훤을 정벌하고자 남하하여 금강에 도착했을 때, 강물이 범람하자 태조를 도와 무사히 강을 건너게 했다.[2]

그래서 태조로부터 도라는 이름을 하사받고, 고려통합삼한개국 익찬2등공신(高麗統合三韓開國翊贊二等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벼슬이 삼한삼중대광태사(三韓三重大匡太師)에 이르고 전산후(全山侯), 성절공에 봉해졌다.

그 후 전의(全義) 이성산(李城山) 아래로 이거(移居)하여 정착 세거하니 후손들은 본관을 전의로 하여 세계(世系)를 이어왔다.

그의 묘소는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유천리에 있으며, 묘소는 호랑이가 엎드려 있는 형상을 자랑할 정도로 명당이다. 철도를 끼고 건너편에는 사당이 자리하고 있고, 향사일은 음력 3월 3일과 10월 2일이다.

KBS 대하드라마 태조 왕건에서는 배우 장기용이 연기했다. 나주 공략, 운주 전투에서 왕건을 도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1.3. 그룹 원어스의 멤버 이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도(원어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도(원어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도(원어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이투스 사회탐구 영역 강사 이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도(강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도(강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도(강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5. 인터넷 방송인 타니의 본명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타니(인터넷 방송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타니(인터넷 방송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타니(인터넷 방송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6. 중국의 사학자 이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도(사학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도(사학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도(사학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7. 삼국시대 위나라의 인물 이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도(삼국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도(삼국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도(삼국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8. 일본의 정치인 이도 도시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도 도시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도 도시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도 도시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9. 한국의 여성 틱톡커 이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도(틱톡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도(틱톡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도(틱톡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0. 리그 오브 레전드 감독 박준석의 닉네임 Edo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박준석(1987)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박준석(1987)#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박준석(1987)#|]]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 가상인물의 인명

2.1. 나루토의 등장인물

나루토의 등장인물로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에피소드에서 등장했다.

쿠라마 야쿠모의 심층 의식이 구현화된 괴물로 어릴 적부터 기대를 받아온 야쿠모가 그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모든 것을 없애버리려고 하였고 그 마음의 빈 틈에서 나왔다.

이 때문에 유우히 쿠레나이로부터 환술을 배우지 못하게 하여 그 야쿠모가 쿠레나이를 죽이려고 환술의 공간으로 끌어들였을 때 나타나 우즈마키 나루토와 쿠레나이를 죽이려 했지만 모든 진실을 알게 된 야쿠모의 공격으로 사라진다.

2.2. 가면라이더 오즈마키 키요토(로컬명 하이도)

항목 참조.

2.3. 로봇소녀 노이도의 등장인물 노이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노이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노이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노이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동음이의어

3.1. 지명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도동(제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도동(제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도동(제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도동(동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도동(동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도동(동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이도(, Dip)

전선이 전선의 지지점을 연결하는 수평선으로부터 밑으로 내려가 있는 길이를 말한다. 쉽게 말해서 전선이 수평 대비 아래로 처져 있는 정도.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식으로 정의된다.
[math(D = \displaystyle \frac {WS^2}{8T})]
[math(D)]: 전선의 이도 [m], [math(W)]: 전선의 단위길이당 하중 [kg/m]
[math(S)]: 두 전주 경간 [m], [math(T)]: 수평장력(= 인장하중/안전율) [kg]

한편 이도가 [math(D)]일 때 전선의 실제 길이 [math(L)] [m]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math(L = S + \displaystyle \frac {8D^2}{3S})]

송전탑이나 전선주의 전선들은 일부러 늘어트려 놓는 것이 아니라 전선의 온도에 따른 특성 때문이다. 여름에는 온도가 올라가 늘어나 전선이 길어지고 겨울에는 길이가 감소하는 특성을 보이므로 이 길이 변화에 대한 전선의 보호를 위하여 적정한 이도를 설계하여 설치할 필요가 있다.

3.3. 두 개의 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도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도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도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4. 에스페란토를 개조한 인공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도(언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도(언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도(언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O&M회사 이도

통합운영관리(O&M) 전문회사 이도.


[1] 때문에 본래 공주 이씨에서 분파되었을 가능성 역시 있다.[2] 드라마 태조 왕건에서는 이도가 왕건을 도운 것을 운주성 전투때로 각색했으나 애초에 운주(홍성)는 금강보다 훨씬 북쪽에 있다는 점을 생각하면 실제로 그랬을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