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4 17:57:22

헝가리어


파일:지구 아이콘_Black.svg 세계의 언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0 auto; text-align:left''
관련 문서: [[:분류:개별 언어]] · [[언어 관련 정보]]
<colbgcolor=#eee,#000>·종류 (위키에 문서가 등재되어 있는 언어만 가나다순 정렬) ※ 원어민 5천만 명 이상 언어는 굵게 표시함.
가가우즈어 · 갈리시아어 · 객가어 · 게일어 · 고라니어 · 광동어 · 구자라트어 · 그리스어 · 그린란드어
나바호어 · 나와틀어 · 나우루어 · 네네츠어 · 네덜란드어 · 네팔어 · 노르웨이어 · 니브흐어
다리어 · 다우르어 · 덴마크어 · 독일어 · 둥샹어 · 디베히어 · 딩카어
라다크어 · 라오어 · 라트비아어 · 라틴어 · 라파누이어 · 러시아어 · 레즈긴어 · 로망슈어 · 롬바르드어 · 루마니아어 · 룩셈부르크어 · 룬디어 · 류큐어 · 르완다어 · 리구리아어 · 리투아니아어
마니푸르어 · 마라티어 · 마오리어 · 마인어 · 마케도니아어 · 말라얄람어 · 맨어 · 몰타어 · 몽골어 · 몽어 · 미얀마어 · 민어
바스크어 · 반달어 · 발루치어 · 발리어 · 베네토어 · 베트남어 · 벨라루스어 · 벵골어 · 부랴트어 · 불가리아어 · 브르타뉴어
사하어 · 상어 · 샨어 · 세르보크로아트어 · 세부아노어 · 소닝케어 · 소말리어 · 소토어 · 스반어 · 스와힐리어 · 스웨덴어 · 스코트어 · 스페인어 · 슬로바키아어 · 슬로베니아어 · 시버어 · 시칠리아어 · 신드어 · 싱할라어
아디게어 · 아람어 · 아랍어 · 아르메니아어 · 아삼어 · 아이누어 · 아이슬란드어 · 아일랜드어 · 아이티 크레올어 · 아제르바이잔어 · 아체어 · 아파르어 · 아프리칸스어 · 알바니아어 · 암하라어 · 압하스어 · 어웡키어 · 에스토니아어 · 영어 · 오리야어 · 오어 · 오크어 · 요루바어 · 우르두어 · 우즈베크어 · 우크라이나어 · 웨일스어 · 위구르어 · 이보어 · 이디시어 · 이탈리아어 · 인구시어 · 일본어
자메이카 파트와 · 자바어 · 자자어 · 저지 독일어 · 조주어 · 조지아어 · 줄루어 · 중국어 · 지르발어
차모로어 · 차바카노어 · 체와어 · 체첸어 · 체코어 · 축치어 · 츠와나어
카라칼파크어 · 카빌어 · 카슈미르어 · 카자흐어 · 카탈루냐어 · 칸나다어 · 칼미크어 · 코르시카어 · 코만치어 · 코사어 · 콘월어 · 콥트어 · 쿠르드어 · 크메르어 · 키르기스어
타밀어 · 타이담어 · 타지크어 · 타타르어 · 타히티어 · 태국어 · 테툼어 · 텔루구어 · 통가어 · 튀르키예어 · 티그리냐어 · 티베트어
파슈토어 · 파피아멘토어 · 팔라우어 · 펀자브어 · 페로어 · 페르시아어 · 포르투갈어 · 폴란드어 · 풀라어 · 프랑스어 · 프랑코프로방스어 · 프리지아어 · 피에몬테어 · 피지어 · 핀란드어 · 필리핀어
하와이어 · 하우사어 · 한국어 · 헝가리어 · 히브리어 · 힌디어
기타 관련 문서통역 · 번역 · 사전}}}}}}}}}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436F4D>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국기 · 국호 · 국장 · 성 이슈트반 왕관
역사 역사 전반 · 마자르족 · 헝가리 대공국 · 헝가리 왕국 · 트란실바니아 공국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헝가리 왕국(1920~1946) ·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 헝가리 공화국(제1공화국 · 평의회 공화국 · 제2공화국 · 인민공화국 · 제3공화국)
정치 정치 전반 · 대통령 · 총리 · 입법부
외교 외교 전반 · 유럽연합 · 비셰그라드 그룹
경제 경제 전반 · 헝가리 포린트
지리 행정구역 · 푸스타 · 다뉴브강 · 티서강 · 카르파티아산맥 · 벌러톤호
교통 철도 환경 · 부다페스트 지하철
국방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군복) · 헝가리군 · 육군 · 공군 · NATO
문화 문화 전반 · 관광 · 영화 · 헝가리 신화 · 요리 · 구야시 ·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 · 부다페스트 혼베드 FC · 헝가리어 · 헝가리 그랑프리 · 헝가리 개혁교회
민족 헝가리인 · 세케이인 · 헝가리계 미국인 · 헝가리계 우크라이나인 · 헝가리계 아르헨티나인 · 헝가리계 브라질인 · 헝가리계 러시아인 · 헝가리계 루마니아인 · 헝가리계 캐나다인 · 헝가리계 호주인 · 헝가리계 영국인
}}}}}}}}} ||
'''[[우랄어족|우랄어족
Uralic Languages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2px"
사모예드어파 네네츠어 · 셀쿠프어 · 에네츠어 · 응가나산어
핀우그르어파 핀페름어파 발트핀어군 핀란드어 · 카렐어 · 루드어 · 크벤어 · 잉그리아어 · 벱스어
에스토니아어 · 버로어 · 세토어 · 리보니아어 · 보트어
사미어군 남부 사미어 · 우메 사미어 · 북부 사미어 · 피테 사미어 · 룰레 사미어
이나리 사미어 · 아칼라 사미어† · 케미 사미어† · 스콜트 사미어 · 카이누 사미어† · 킬딘 사미어 · 테르 사미어
마리어군 마리어
모르드바어군 에르자어 · 목샤어
페름어군 코미어 · 우드무르트어
우그르어파 헝가리어
오브우그르어군 한티어 · 만시어
미분류 메랴어† · 메쇼라어† · 무롬어
†: 사멸된 어군 혹은 언어 }}}}}}}}}

헝가리어
Magyar nyelv(Magyar)
Hungarian language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0px-Dist_of_hu_lang_europe.svg.png
<colcolor=#fff,#000><colbgcolor=#83dfbd> 유형 교착어
어순 자유 어순 (지배적인 어순 없음)[1]
서자방향 좌횡서 (왼쪽부터 가로쓰기)
문자 로마자
로바시 문자(과거)
주요 사용 지역
(또는 공용어 지정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헝가리|{{{#!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헝가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슬로바키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슬로바키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슬로베니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슬로베니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크로아티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크로아티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루마니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루마니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세르비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세르비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우크라이나|{{{#!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우크라이나}}}{{{#!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원어민 약 1300만 명
계통 우랄어족
우그르어파
헝가리어
언어 코드 <colcolor=#fff,#000><colbgcolor=#93edca> ISO 639-1 HU
ISO 639-2 HUN
ISO 639-3 HUN

1. 개요2. 역사3. 문자
3.1. 기본 문자3.2. 구식 철자
4. 음소
4.1. 자음4.2. 모음
5. 문법6. 기본 회화7. 한국어에서 자주 쓰이는 외래어 단어8. 한국에서의 학습9. 여담10. 구사자11. 들어보기12. 관련 문서

1. 개요

헝가리어로 읽은 세계 인권 선언 제 19조[2]
Namuwiki: A tudás fája, amelyre mi együtt vigyázunk.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헝가리루마니아, 슬로바키아, 세르비아, 우크라이나,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등지의 헝가리인들 사이에서 쓰이는 언어. 헝가리의 공용어이며 헝가리 인구의 절대다수가 이 언어를 사용한다. 그밖에 루마니아 트란실바니아[3]에 화자 약 150만여 명이 있고 슬로바키아 남부(50만 명), 세르비아 보이보디나 자치주(30만 명), 우크라이나 자카르파탸주(15만 명)[4], 미국(10만 명)에도 상당한 화자가 있다.

언어학적 계통상 우랄어족 우그르어파에 속한다. 가까운 언어로는 러시아 연방 시베리아 서부지역, 한티-만시 자치구에서 쓰이는 한티어만시어가 있지만 의사소통은 되지 않는다. 유럽 내의 핀란드어에스토니아어도 헝가리어와 같은 우랄어족에 속하는데, 전반적으로 헝가리어와 차이가 매우 커서 상호 의사 소통성은 0에 수렴한다.[5]

한국외국어대학교 세미오시스 연구센터에서 펴내고 네이버 지식백과에 제공한 세계 언어백과헝가리어 페이지에서 헝가리어의 기원, 분포와 사용 인구, 문자와 발음, 헝가리어를 배울 때 알아야 할 10가지(기본 문법), 기본적인 표현, 기타 언어적 특징 등을 확인할 수 있다.

2. 역사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Szekely_Hungarian_Rovas_alphabet_Szekely_magyar_rovas_ABC.svg.png


17세기까지 헝가리 전통 문자인 로바시 문자(rovásírás)로 표기했다. 형상이 룬 문자를 닮았다 하여 헝가리 룬 문자라고도 부르며 계통상으로는 돌궐 문자에 가깝고 아랍 문자처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는 문자였다.

12세기부터 로마자에 밀려 사용 빈도가 줄어들기 시작했고 17세기부터는 일상에서 잘 쓰이지 않게 되었다. 소수지만 로바시 문자를 사용하는 사람이 무려 20세기 초반까지 남아 있었다고 한다. 현대에도 민족주의와 관련해 로바시 문자를 되살리려는 움직임이 있으며, 실제로 일부 소도시에서는 로바시 문자로 된 간판을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헝가리 학교에서도 가르치지 않기 때문에 읽을 줄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

3. 문자

현대 헝가리어는 로마자로 표기한다. 다중 문자 9개[6]를 포함한 총 44개의 문자가 존재하며 Q, W, X, Y[7]외래어고유명사[8]에만 사용한다.

특정 모음을 표기하는 데 다이어크리틱이 사용된다. 전설 원순모음(/ø/, /y/)은 움라우트(ö, ü)를 사용하여 나타내고, 장음(/aː/, /eː/, /iː/, /oː/, /uː/)은 어큐트(á, é, í, ó, ú)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전설 원순모음의 장음(/øː/, /yː/)은 움라우트와 어큐트가 합쳐진 더블 어큐트(ő, ű)로 나타낸다.

정식 문자는 아니지만 일부 방언에서 /e/를 표기하는 데 Ë, ë가 사용되기도 하고 /æ/에 가까운 /ɛ/를 표기하는 데 Ä, ä가 사용되기도 한다.

3.1. 기본 문자

문자
(대문자/소문자)
명칭 발음
A a 어(a) /ɒ/
Á á 아(á) /aː/
B b 베(bé) /b/
C c 체(cé) /t͡s/
Cs cs 쳬(csé) /t͡ʃ/
D d 데(dé) /d/
Dz dz 제(dzé) /d͡z/
Dzs dzs 졔(dzsé) /d͡ʒ/
E e 에(e) /ɛ/
É é 에(é) /eː/
F f 에프(ef) /f/
G g 게(gé) /ɡ/
Gy gy 뎨(gyé) /ɟ/
H h 하(há) /h/, /ɦ/, /ç/, /x/[A], 묵음[A]
I i 이(i) /i/
Í í 이(í) /iː/
J j 예(jé) /j/, /ç/[B], /ʝ/[B]
K k 카(ká) /k/
L l 엘(el) /l/
Ly ly 에이(elly) /j/, /ʎ/
M m 엠(em) /m/
N n 엔(en) /n/, /ŋ/[C]
Ny ny 에니(eny) /ɲ/
O o 오(o) /o/
Ó ó 오(ó) /oː/
Ö ö 외(ö) /ø/
Ő ő 외(ő) /øː/
P p 페(pé) /p/
Q q 쿠(kú) /k/[14]
R r 에르(er) /r/
S s 에시(es) /ʃ/
Sz sz 에스(esz) /s/
T t 테(té) /t/
Ty ty 톄(tyé) /c/
U u 우(u) /u/
Ú ú 우(ú) /uː/
Ü ü 위(ü) /y/
Ű ű 위(ű) /yː/
V v 베(vé) /v/
W w 두플러베(dupla vé) /v/
X x 익스(iksz) /ks/
Y y 입실론(ipszilon) /i/
Z z 제(zé) /z/
Zs zs 졔(zsé) /ʒ/

3.2. 구식 철자

  • cz - /t͡s/, /t͡ʃ/
  • ch - /t͡ʃ/, /h/
  • gh - /ɡ/
  • tz - /t͡s/
  • ts - /t͡ʃ/
  • th - /t/
  • y - /j/, /i/[15]
  • aa - /aː/[16]
  • eö - /ø/
  • ew - /øː/

4. 음소

4.1. 자음

헝가리어 자음은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주위 국가와 유사한 체계를 쓰나 s가 /ʃ/ 발음, sz가 /s/ 발음이 난다는 것이 특징이다. 폴란드어의 sz가 러시아어 ш 발음이 나고 s가 /s/인 것과는 정반대. y가 경구개음을 나타내기 위해 다중 문자로 많이 쓰이지만 홀로 쓰이는 일은 없다.
양순음 순치음 치경음 후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비음 m n ny
무성파열음 p t ty k
유성파열음 b d gy g
무성파찰음 c cs
유성파찰음 dz dzs
무성마찰음 f sz s h
유성마찰음 v z zs
전동음 r
접근음 j=ly[17]
설측음 l

4.2. 모음

헝가리어의 전설 비원순모음.
글자 발음 글자 발음
e /ɛ/. ㅐ와 유사한 음가이다. é /e:/. ㅔ를 길게 발음하는 것과 비슷하다.[18]
i /i/. 'ㅣ'와 유사한 음가이다. í /i:/. ㅣ를 길게 발음하는 것과 비슷하다.

헝가리어의 전설 원순모음.
글자 발음 글자 발음
ö /ø/. 'ㅚ'[19]와 유사한 음가이다.[20] ő /ø:/ ㅚ를 길게 발음하는 것과 비슷하다.
ü /y/. 'ㅟ'[21]와 유사한 음가이다.[22] ű /y:/ ㅟ를 길게 발음하는 것과 비슷하다.

헝가리어의 후설모음.
글자 발음 글자 발음
a /ɒ/. 'ㅓ'[23]와 유사한 음가이다. á /a:/. ㅏ를 길게 발음하는 것과 비슷하다.
o /o/. 'ㅗ'와 유사한 음가이다. ó /o:/. ㅗ를 길게 발음하는 것과 비슷하다.
u /u/. 'ㅜ'와 유사한 음가이다. ú /u:/ ㅜ를 길게 발음하는 것과 비슷하다.

헝가리어에는 다른 우랄어족 언어과 유사하게 모음조화 현상이 존재하며 핀란드어와도 비슷한 모양새를 띠고 있다.

5. 문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헝가리어/문법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헝가리어/문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헝가리어/문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기본 회화

안녕. <colbgcolor=#ffffff,#1f2023>Szia. 시어.[24]
안녕하세요. (아침 인사) Jó reggelt kívánok. 요 레겔트 키바녹.[25][26]
안녕하세요. (낮 인사) Jó napot kívánok. 요 너폿 키바녹.[27]
안녕하세요. (저녁 인사) Jó estét kívánok. 요 에슈티트 키바녹.[28]
안녕히 주무세요. Jó éjszakát kívánok. 요 에이서카트 키바녹.[29]
예. Igen. 이겐.
아니요. Nem. 넴.
있다. Van. 번.
없다. Nincs. 닌치.
좋다. Szeretem. 세레템.
싫다. Nem szeretem 넴 세레템.
만나서 반갑습니다. Örülök, hogy megismerhetem. 외륄뢱, 호지 메기슈메르헤템.
이름이 무엇입니까? Mi a neve? 미 어 네베?
내 이름은 @@입니다. @@ vagyok. @@ 버족.
어떻게 지냅니까? Hogy van? 호지 번?[30]
안녕히 계세요. Viszontlátásra. 비손틀라타슈러.[31]
감사합니다. Köszönöm. 쾨쇠뇜.[32][33]
저는 잘 지내고 있습니다. 당신은요? Jól vagyok. És ön? . 욜 버족. 이슈 왼?
저도 잘 지내고 있습니다. Én is jól vagyok. 인 이슈 욜 버족.
미안합니다. Bocsánat. 보차너트.
천만에요. Szívesen. 시베셴.
이것은 무엇입니까? Mi ez? 미 에즈?
저 사람은 누구입니까? Ki az? 키 어즈?
당신은 한국인입니까? Ön koreai? 왼 코레어이?
나는 한국인입니다. Koreai vagyok. 코레어이 버족.
무슨 일을 하세요? Mi a foglakozása? 미 어 포글러코자셔?
나는 학생입니다. Diák vagyok. 디악 버족.
나는 회사에서 일합니다. Egy vállalatnál dolgozom. 에지 발러러트날 돌고좀.
도와주세요! Segítség! 세기취그!
화장실은 어디에 있습니까? Hol van a mosdó? 홀 번 어 모슈도?[34]
뭐라고요? Micsoda? 미초더?
모르겠습니다. Nem tudom. 넴 투돔.
이해합니다. Értem. 에르템.
이해할 수 없습니다. Nem értem. 넴 에르템.
실례합니다. Elnézést! 엘니지슈트!
이거 얼마입니까? Ez mennyibe kerül? 에즈 멘니베 케륄?
쌉니다. Olcsó. 올초.
비쌉니다. Drága. 드라거.
헝가리어를 할 줄 아세요? Beszél magyarul? 베씰 머저룰?
영어를 할 줄 아세요? Beszél angolul? 베실 앙고룰?
나는 헝가리어를 못합니다. Nem beszélek magyarul. 넴 베셀렉 머저룰.
네, 그렇지만 아주 조금 밖에 못합니다. 지금 공부하는 중입니다. Igen, de csak egy kicsit. Most tanulok. 이겐, 데 처크 에지 키치트. 모슈트 터눌록.
정말입니까? Tényleg? 테닐레그?
...를 헝가리어로 뭐라고 합니까? Hogyan mondjam magyarul ...? 호전 몬뎜 머저룰 ...?
못 알아들었습니다. Nem értem. 넴 이르템.
환영합니다! Isten hozta! 이슈텐 호즈터!
한국에서는 어디에 사세요? Hol lakik koreában? 홀 러킥 코레아번?
당신은 부다페스트에 사세요? Ön Budapesten lakik? 왼 부더페시텐 러킥?
사랑합니다. Szeretlek. 세레틀렉.

7. 한국어에서 자주 쓰이는 외래어 단어

한국어의 외래어/기타 참조.

8. 한국에서의 학습

한국에서는 특수외국어에 포함된 언어이다. 한국외국어대학교 헝가리어과에서 헝가리어를 가르친다. 이외에 단국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에서 교양 과목으로 개설되기도 했다. 그리고 민간 취업 연수인 신한GYC에서 헝가리 취업 목적의 헝가리어를 학습할 수도 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헝가리어가 매우 생소한 언어라서 한국어로 된 교재가 몇 권 없다. 그마저도 수요가 얼마 없어 하나둘씩 절판되는 상황이다.
제목 출판연도 분량 내용
외국인을 위한 헝가리어 1995 452쪽 독일어로 쓰인 헝가리어 교재 'Ungarisch für Ausländer'(1974)를 번역한 것. 현재는 절판되었다.
알기 쉬운 헝가리어 입문 1996 134쪽 일본 하쿠스이샤의 익스프레스 시리즈를 번역한 일상 회화 교재. 역시 절판되었다.
헝가리어 회화 1998 284쪽 회화 교재. 2015년경부터 잘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절판된 듯 하다.
헝가리어 문법 연구 2002 328쪽 언어학 서적
꿩먹고 알먹는 헝가리어 첫걸음 2014 276쪽 기초 종합 교재
The 바른 헝가리어 첫걸음 2018 232쪽 기초 종합 교재. 개정판 발매로 절판되었다.
New The 바른 헝가리어 첫걸음 2021 232쪽 기초 종합 교재[35]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헝가리어->한국어 사전(2000), 한국어->헝가리어 사전(2012)을 출판했으며, 2015년 이후 다음 사전네이버 사전에서 온라인으로도 이용할 수 있다. [36]

참고로 북한의 사전 편찬이 더 빠르다. 1957년에 웽조사전(웽그리아[37]말-조선말 사전, MAGYAR-KOREAI SZÓTAR)을 출판해 2만 3천 단어를 등재했다. 당시 같은 공산권 국가라 교류가 많았으니 빠른 것이다.


어린 시절 9년간 헝가리에 거주했던 배우 한수연이 헝가리어를 잘 구사한다. EBS1 세계테마기행 헝가리편(2014.2.10 ~ 2.13, 총 4부)의 1부 초반 영상.

2022년 11월 21일, 한국에서 처음 헝가리어 시험이 실시됐다.#

9. 여담

파일:유럽인들이꼽은유럽에서가장이상한언어.jpg
  • 인도유럽어족이 장악한 유럽 대륙 한가운데에 자리잡은 우랄어족 언어이다.[38]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의 유럽 국가에서 가장 이상하고 이질적인 유럽 언어로 헝가리어를 꼽곤 한다. 심지어 헝가리 본국에서도 자국어가 제일 이상한 언어로 꼽혔다! 출처 발음은 물론이고, 구문과 문장 구조도 유달리 차이가 많이 난다. 일례로 어미의 형태는 뒤에 정관사가 따라오는가에 좌우된다. 모음 변화는 동사의 시제에 좌우된다. 여타 유럽의 언어들과 가장 두드러지게 차이나는 부분으로는, 모든 음절이 말 그대로 한 글자로 이루어진 음절까지 발음된다는 사실이다.[39] 그 외에는 핀란드어바스크어가 많이 꼽혔다. 핀란드어도 헝가리어와 같은 우랄어족 언어이며, 바스크어는 고립어이다. 폴란드어인도유럽어족에 속하지만 특유의 복자음 철자로 악명이 높다.
  • 일부 환빠들의 주장과는 다르게 핀란드인들은 헝가리어를 이해하지는 못한다.
  • 또한 다이어크리틱이 많은 유럽대룩 쪽 언어에서 거의 유일하게 Q,W가 있다

10. 구사자

모어 화자는 제외한다.

11. 들어보기


ILoveLanguages!의 헝가리어 소개 영상.


ILoveLanguages!의 현대 헝가리어와 고대 헝가리어 비교 영상.[40]


Wikitongues의 헝가리어 기록 영상.


헝가리의 국가 Himnusz(찬가). 단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우 장엄하다.


밈으로도 유명한 <Danika House>.


헝가리 가수 즈세다(본명 즈세데니 아드리엔)의 노래 <Ajtók mögött>.


바바라 팔빈이 말하는 헝가리어.


일디코 옌예디의 우리는 같은 꿈을 꾼다 중.


헝가리 가수 Jolly의 노래 <bulikirály> 파티피플 공명의 대표적인 OST가 원곡이다.

한편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 (정규) 13회[41]에서는 헝가리 국립 영상 보관소에서 제공받은 1954 FIFA 월드컵 대한민국 대 헝가리 경기 기록 영화가 공개되었는데, 여기에서도 헝가리어를 들어볼 수 있다.

12. 관련 문서


[1] 네이버 세계 언어백과, 위키피디아 헝가리어 문서, 세계 언어별 지배적 어순 정리 지도 등의 자료들을 참고할 것.[2] 한국어 해석: 모든 사람은 의견의 자유와 표현의 자유에 대한 권리를 가진다. 이러한 권리는 간섭없이 의견을 가질 자유와 국경에 관계없이 어떠한 매체를 통해서도 정보와 사상을 추구하고, 얻으며, 전달하는 자유를 포함한다.[3] 트란실바니아는 원래 헝가리 왕국의 영토였으나 1920년 트리아농 조약 이후 루마니아의 땅이 되었다.[4] 이상의 인구는 트리아농 조약으로 헝가리 국외에 잔존하게 된 헝가리인의 후손들이 대다수다.[5] "핀란드어와 헝가리어의 관계를 인도유럽어족의 언어에 비유해서 말한다면, 대략 영어(혹은 독일어)와 페르시아어의 관계와 같이 아주 멀다고 할 수 있다." Fred Karlsson 저, 송기중 역주, <핀란드어 필수 문법> 중에서 인용[6] 다중 문자들은 하나의 독립적인 문자로 간주한다.[7] 다만 Y는 경구개음을 나타내는 다중 문자 표기에도 쓰인다.[8] 구식 철자로 된 성씨, 지명 등등[A] 어말에 올 경우[A] 어말에 올 경우[B] 자음 뒤에 올 경우[B] [C] /k/, /ɡ/ 앞에 올 경우[14] 뒤에 u가 따라오면 /kv/로 발음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quiz'라는 단어는 헝가리어로 '크비즈(kviz)'라고 읽는다.[15] 현대 헝가리어 철자에서 y를 다중 문자 표기에만 사용하는 것과 달리 과거에는 보통의 -i로 끝나는 철자를 -y로 쓰기도 했다.[16] 장모음 표기로 같은 모음 두 개를 겹쳐서 나타낸다. 이는 다른 모음도 동일하다.[17] 같은 발음이다.[18] 실제로는 거의 '에이' 혹은 '이'로 들린다.[19] 이중 모음 ㅞ가 아니다.[20] 발음팁으로 입모양을 o로 만들고 e 발음을 내면된다.[21] 이중 모음 ㅜㅣ가 아니다.[22] 발음팁으로 입모양을 u로 만들고 i 발음을 내면된다.[23] 'ㅓ' 보다는 제주도 방언의 아래아 발음에 가깝다.[24] 상대가 여럿일 경우는 Sziasztok.(시어스톡)이라 한다. 시간에 관계없이 만났을 때나 헤어질 때 사용할 수 있는 스스럼없는 표현이다. 윗사람 등에게 인사할 때 이를 사용하면 실례가 되므로 주의하도록 한다.[25] 직역하면 "나는 좋은 아침을 기원하겠습니다."[26] 비격식체로 바란다는 뜻의 kívánok을 생략할 수 있다. 이는 아침 인사뿐만 아니라 낮, 저녁 인사 표현도 동일하다.[27] 직역하면 "나는 좋은 날을 기원하겠습니다."[28] 직역하면 "나는 좋은 저녁을 기원하겠습니다."[29] 비격식체로 Jó éjt.(요 에이트)라고 줄이기도 한다.[30] 친근한 사이일 경우엔 Hogy vagy? (호지 버지?)라고 쓴다.[31] 비격식체로는 Viszlát.(비슬랏)이라고 줄이기도 한다.[32] 더 정중하게는 Köszönöm szépen.(쾨쇠뇜 시펜)이라고 한다.[33] 비격식체로는 Köszi.(쾨시)라고 줄이기도 한다.[34] 'mosdó'를 'WC(vécé)'라고도 한다.[35] The 바른 헝가리어 첫걸음의 개정판[36] 다음 2014.2, 네이버 2015.4.9[37] 현재의 문화어에서는 헝가리를 '마쟈르'라고 쓴다.[38] 여기에는 우랄산맥에서부터 건너온 헝가리인의 역사적 배경이 있다.[39] 출처 : 부다페스트 / 빅터 크리스티엔 저[40] 오래된 텍스트를 읽은 것이기 때문에 영상에서 대표된 현대 헝가리어 역시 매우 고풍스러운 어체로 되어 있다.[41] 2022년 1월 13일 방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