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태론에 따른 언어 유형의 분류 | |||
분석어 | 종합어 | ||
고립어 | 교착어 | 굴절어 | 포합어 |
교착어인 한국어와 일본어의 어휘와 형태소. |
[clearfix]
1. 개요
교착어(膠着語, agglutinative language) 또는 첨가어(添加語)는 언어유형학상의 언어 분류 중 하나로, 어근(語根, root word)에 접사(接辭, affix)가 결합하여 단어의 기능이나 의미가 변화하는 형태의 언어이다. 한국어를 포함한 알타이 제어가 여기에 속한다.2. 특징
언어유형학(linguistic typology)에는 언어를 분류하는 데 사용하는 여러 가지 기준이 있는데, 그중 하나가 어절의 형태론적 구조(morphological structure)에 따른 언어의 분류다. 형태론적 구조에 따라 언어를 분류하면 세계 언어는 교착어, 굴절어, 고립어, 포합어의 네 유형으로 나뉜다. 한 언어가 네 특성 중 두 개 이상을 함께 가지고 있는 것도 가능하다.[1]교착어란 하나의 낱말(엄밀히는 하나의 어절)이 하나의 어근(root, 혹은 어간[stem])[2]과 각각 단일한 기능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접사(affix)로 이루어져 있는 언어를 말한다. 어간과 접사 사이의 경계를 분명히 설정할 수 있고, 하나의 접사가 대체로 하나의 기능만을 가지고 있으면 그 언어를 교착어라고 한다.
교착어에만 있는 품사가 바로 조사인데, 체언 뒤 혹은 앞에 조사가 붙는 것 또한 전형적인 교착어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2.1. 한국어의 예
쉬운 예로 우리말 "잡히시었겠더라(잡히셨겠더라)"를 생각해 보자.어근 | 접사 | ||||
파생 접사 | 굴절 접사 | ||||
잡- | -히- | -(으)시- | -었- | -겠- | -더라[3] |
어간 | 선어말 어미 | 어말 어미 | |||
어미 |
각 파생+굴절 접사의 기능이 앞에서부터 피동, 주체 높임, 과거 시제, 추측, 전달임을 알 수 있다. 각각의 쓰임새가 분명하기에 여러 접사가 줄줄이 붙는다.
2.2. 음운론적 자립성과의 관계
어간의 음운론적 자립성은 교착어를 변별하는 기준이 되지 않는다. 한국어의 용언(동사, 형용사) 어간은 음운론적으로 자립적이지 않다. 즉 독자적인 운율 구조를 형성하지 못하며 일상 발화에서 단독으로 쓰이는 일이 없다. 그러나 어간에 각각 하나씩의 기능을 가진 어미가 여럿 결합되어 어절을 이루기 때문에 교착어적 특성을 가진다고 말할 수 있다. 어간의 음운론적 자립성은 오히려 고립어에 두드러지는 특성이다.따라서 한국어 등의 교착어와 라틴어 등의 굴절어를 비교하여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만의 음운론적 자립성을 들어 교착어의 특징을 설명하는 것은 오류이다. 물론 상당수의 교착어에서 체언이 음운론적으로 자립적이고, 상당수의 굴절어에서 체언이 음운론적으로 의존적이기는 하나, 이것은 유형학적, 확률적 함의 관계(implication)에 해당하는 것으로 교착어나 굴절어의 정의와는 관계없다. 용언 어간의 경우 교착어와 굴절어 모두에서 음운론적 비자립성을 보이기 때문.
2.3. 굴절어와의 차이
교착어와 달리 굴절어는 어간과 접사의 경계가 불분명하고, 하나의 접사가 여러 개의 기능을 겸하고 있으며 하나의 어간에 여러 개의 접사가 붙는 일이 매우 드물다. 그래서 굴절어를 융합어(fusional language)라고도 한다. '굴절'이라는 단어는 곡용과 활용을 포괄하는 단어로 다소 넓게 쓰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런 경우 (협의의) 굴절어와 교착어 모두 (광의의) 굴절어에 들어가고, (협의의) 굴절어를 융합어라고 부른다.굴절어와 교착어는 얼핏 보면 비슷해 보이나 실제로는 상당히 다르다. 굴절어는 기본적으로 형태를 바꾸어 의미를 완성시키고, 교착어는 접사를 붙여서 의미를 완성해 나간다. 한국어를 모어로 쓰는 한국인들은 '하다', '했다', '한' 등의 어형을 볼 때, 비록 뜻을 나타내는 '하-'와 그 뒤의 '-였-', '-(으)ㄴ' 등이 서로 의존적일지언정 분명히 구별되는 영역임을 인지한다. 하지만 굴절어 화자에게는 그렇지 않다.
교착어인 한국어에서 굴절어의 특징이 드러나는 예시를 들자면 '나'와 '내'를 들 수 있겠는데, 우리는 '내가'의 '내'를 '나'와 'ㅣ'로 분리해 인식하지 않는다. '내'는 이 자체로 단일한 형태일 뿐, '나'와는 그 자체로 구별되는 것이다. 한국어의 큰 구조는 교착어임에도 일부 예외가 발생하는 것으로, 어원적으로 '내'는 '나'에 중세의 주격 조사 'ㅣ'가 붙어 이루어진 것이다. 이는 '네, 제'도 동일하다. 즉 중세 한국어나 그 이전까지는 구별되는 영역임을 인지하고 사용했으나 점차 희석되어 그것이 표면상으로는 드러나지 않게 된 것이다. 물론 표면상으로 드러나지 않았다뿐이지 '내'에는 엄연히 어근인 '나'가 안에 들어있으며, 이러한 특징 몇 가지가 있다고 해서 한국어가 교착어가 아닌 것은 아니다.
반면 한때 굴절어였다가 현재는 고립어가 된 영어를 예로 들면, 영어 화자들은 'have'와 'has'를 볼 때 'ha-'와 뒷부분을 분리해서 인식하지 않는다. 그렇게 나눈다면 영어 모어 화자들뿐만 아니라 언어학자들도 순 어거지로 나눴다는 생각을 한다. 바로 이것이 교착어와 굴절어의 근본적인 인식상의 차이이다. 이걸 조립에 비유하자면, 교착어가 나사로 대충 조이는 느낌이라면 굴절어는 아예 용접을 해 버리는 느낌이다.
재밌는 점은 영어에도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약간의 예외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다만 차이가 있다면, 한국어는 태생부터 교착어였는데 언어 사용을 편하게 하려고 줄여 쓰던 것이 원형이 되어버렸기 때문에 교착어의 성질을 일부 잃은 어형이 존재한다면, 영어는 태생은 굴절어였기 때문에 고립어가 되었음에도 살아남은 굴절어적 특징이 있다. 위의 'have'와 'has'도 그런 예시들 중 하나이며, 또 다른 예시로는 인칭 대명사의 격에 따른 활용을 들 수 있다. 'I like you(나는 너를 좋아한다)'와 'You like me(너는 나를 좋아한다)'를 비교해 보면, 'You'는 위치에 따라서 주격이 되거나 목적격이 될 뿐 그 형태는 변하지 않는다. 이것은 고립어의 대표적인 특징이다. 형태가 아닌 위치가 격을 만드는 것. 하지만 'I'와 'me'를 비교하면 고립어임에도 격에 따라 형태가 변화한다. 이것은 굴절어의 특징으로, 만약 영어가 순수한 고립어였다면 'You like I'가 올바른 문장이었을 것이다.
이러한 '인식'이 비과학적이라는 생각이 들 수도 있다. 그런데 언어학에서는 모어 화자들의 인식이 굉장히 중요하다. 문법성 판단을 예로 들면, 특정 단어를 특정 문형에서 특정 형태로 쓰는 것이 정문인지 비문인지 가르는 것은 결국 모어 화자들의 인식이다. 인공어를 제외하면, 문법이라는 것은 결국 모어 화자들의 관습을 통해 귀납적으로 정의되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특정 언어의 최고 권위자는 그 언어를 연구하는 저명한 학자가 아니라 그 언어를 실제로 쓰고 생활하는 모어 화자 집단이다. 근본적으로 이 '인식상의 차이'라는 것이 하늘에서 뚝 떨어지는 게 아니라, 그들의 언어 속에 담긴 어떤 미묘한 근본적 자질에서 비롯되기 때문이고, 이 추상적이고 모호한 것들을 탐구, 규명, 명료화, 객관화해 설명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 언어학자들의 일 중 하나이다.
즉, 교착어와 굴절어는 얼핏 개념만 보기에 별 차이가 없고 그저 유사한 것을 설명만 달리한 것 같지만, 실제로는 서로 엄청나게 큰 차이를 보인다. 교착어와 굴절어, 고립어의 차이를 다루는 블로그 글 교착어에 굴절어의 관점에서 접근하고, 굴절어에 교착어의 관점에서 접근하려 하면 큰코다친다.
2.4. SOV 어순과 교착어
알타이 제어 언어들에게서 흔히 관찰되는 주어-목적어-서술어(SOV) 어순과 형태론적 분류인 교착어 간의 상관관계는 명확하게 입증되지 않았다.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언어 진화의 관점에서 교착어 화자들에게 SOV 어순이 선호되었다고 추정한다. 그 이유로는 교착어 언어들은 복잡한 문법 장치가 포함된 긴 동사구를 갖는 경우가 많으며, 이 때문에 의미 전달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동사를 가장 마지막으로 빼는 것이 적절하다고 여겨졌다는 가설이 제시된다.[4] 이러한 '긴 동사'는 포합어인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에서도 관찰되는데, 이들 언어도 SOV 어순의 경향을 갖고 있다.3. 언어 순환 진화 가설
자세한 내용은 언어 순환 진화 가설 문서 참고하십시오.4. 교착어 목록
물론 여느 경험적 범주가 그렇듯 구성원의 성질이 모두 동질적이지는 않으며, 교착어의 전형적인 특성을 얼마나 보여주는가의 정도도 모두 다르다. 예를 들면 한국어나 일본어에는 외형적인 주격 조사가 있지만 몽골어나 튀르키예어에는 없는 등, 같은 교착어라 하더라도 일부 차이가 있다.
상술한 언어만 교착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아니다. 스페인어, 프랑스어, 독일어[13] 등의 언어도 일부 교착성을 띤다.
5. 기타
- 교착어는 여러 접사가 붙기 때문에 가상의 접사를 말버릇처럼 붙이는 게 매우 쉽다. 흔히 일본 서브컬처 작품에서 캐릭터가 말끝마다 반복되는 요소를 붙이는 것을 한국어로는 쉽게 번역할 수 있는데, 한국어와 일본어 둘 다 교착어이기 때문이다. 반면 영어로는 그 표현을 살리기가 쉽지 않은데, 영어가 사실상 이런 형태소의 부가와는 거리가 먼 고립어이기 때문이다.(영변화) 그렇기 때문에 영어로 번역할 경우에는 이러한 특징들을 라임을 붙이는 식으로 간접적으로 번역하는 편이다.[14] 다만, 앞서 언급했듯 언어라는 것이 칼같이 분류되는 것이 아니며, 시간이 지나며 그 유형이 충분히 변화할 수 있다. 고립어인 중국어에서 단어나 문장 끝에 얼화(儿化)와 같은 특수 어미 발화 현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대표적인 예시이다.
- 언어학계 일부에서 주장된 학설이지만, 교착어는 현생 인류가 구사하는 언어 유형 중에서도 가장 오래된 언어 유형일 가능성이 있다. 기계적으로 어근과 어간에 접사를 붙여나가며 단어와 문장을 만드는 교착어의 방식에 비해 어떤 원형을 놓고 일률적이지 않은 규칙을 잔뜩 만들어 굴절된(변형의) 형태에 각각 특정한 용례에만 그것을 쓰는 굴절어는 언어의 전파성과 정착 면에서는 뛰어나지만 아무래도 가장 변질되기 쉽고 복잡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원시 중국티베트어족, 인도ㆍ유럽 조어도 (굴절어라는 학설이 우선이지만) 교착어였을 가능성이 제시되기도 한다. 또, 중국을 빙 둘러싼 많은 나라들(일본, 한국, 몽골, 티베트, 튀르키예, 헝가리 등)의 언어가 모두 교착어이며, 이 언어들이 하나같이 교류와 융화보다는 오랜 세월 동안 교착어의 구조만큼은 거의 그대로 유지한 상태로 독자적인 발전이 이루어졌다. 교착어는 기계적인 언어의 특성상 발생 당시의 원형을 가장 잘 보존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5.1. 굴절어를 모어로 하는 학습자의 오해
흔히 한국어의 다양한 어미 합성 예를 보이면서 마치 이것이 모두 별개의 굴절형인 것처럼 하여 혼란을 주곤 한다. 그러나 이는 오해로, 한국인조차도 위의 형식을 모두 외우지 않는다. '-어-'와 '-요'가 있으면 '했어' 뒤에 '-요'가 있다는 것을 습득할 뿐, '했어요'를 별개의 어형으로 외우지 않는다. 위에서 보듯 굴절어는 분리할 수 없는 굴절형들을 다 외워야 하기 때문에 종종 교착어의 어미 합성 표현들도 그런 굴절형들로 이해하곤 하는데 그러면 교착어는 수십, 수백, 수천, 수만 개의 굴절형이 존재하는 미지의 언어처럼 여겨지게 된다. 그래서 굴절어가 대다수인 유럽권에서는 20세기까지만 해도 교착어에 해당하는 언어들은 "이상하다"고 생각했다.[15] 21세기에도 다민족 국가인 미국조차 영국계 노인들의 경우는 교착어를 접하면 굉장히 이상하게 여기는 경우가 있다. 물론 이는 대놓고 멸시를 하는 것보다는 그저 교착어들 자체를 "외계적"으로 판단하는 선입견에 가깝다. 포합어는 21세기에도 이런 비슷한 취급을 받고 있는 걸 생각해 보면 될 듯.
21세기 들어서는 사정이 현저히 개선되었다. 이는 한국어, 일본어 등 교착어 언어가 20~21세기를 전후해서 널리 알려진 영향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여전히 이질적이거나 마법적인 느낌도 주는 듯하다.
[1] 예를 들어 현대 영어는 고립어 특성이 강하지만 그 외의 특성을 보이는 경우도 충분히 있다. 굴절어에 가까웠던 고어의 흔적이 남아서 대명사의 활용에서 나타나고, 전치사구 등에서 교착어 성격이 일부 나타나기도 하며(예를 들면 "to 위치" 형태), 속어·욕설 등 규범에 어긋나는 담화에 한정되긴 하지만 포합어적인 용법들도 나타난다. 단어 사이에 fucking 같은 단어를 넣어서 home-fucking-work(숙-씨발-제) 따위로 사용하는 등.[2] 언어학 일반에서는 어간(말의 줄기)이라는 표현을 자주 쓰지만 더 정밀한 분류가 필요할 때는 어근(말의 뿌리)이라는 표현을 쓴다. 국어에서는 낱말을 활용할 때 바뀌지 않는 부분을 어간이라고 하고, 그 어간은 어떤 조어 방식을 거쳤는지에 따라 다시 어근-접사로 나뉠 수 있다. 낱말 형성(조어)의 측면에서는 어근-접사로 나뉘고, 활용의 측면에서는 어간-어미로 나뉜다. 어떤 관점에서는 활용에 기여하는 어미를 '접사'의 테두리 내에서 '굴절 접사'로 이해하기도 한다. 즉 협의의 '접사'는 낱말 형성에 기여하는 파생 접사만을 이르는 것이고, 광의의 '접사'는 파생 접사는 물론 어미인 굴절 접사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3] 어원적으로는 선어말 어미 '-더-'와 어말 어미 중 종결 어미 '-라(<다)'의 결합이다.[4] Fenk-Oczlon, Gertraud. “Iconic and Economic Motivation in Language Structure.” Paper presented at the XIVth Congress of Linguists, Berlin, 1983. “Word Frequency and Word Order in Freezes.” Linguistics 27, no. 3 (1989): 517-556. “A Cognitive and Typological Account of Word Order.” Journal of Linguistics 39, no. 4 (2001): 467-490.[포합어] [포합어] 교착어의 성격을 띄는 포합어[포합어] [포합어] [9] 이 어족에 속한 교착어들은 고립어의 특징을 띈다.[10] 페르시아어가 속한 인도유럽어족 언어들 대다수는 굴절어지만, 페르시아어는 교착어의 특성이 더 강하다.[11] 문법적으로 교착어와 고립어의 특성이 공존하지만 실제 언어에서는 고립어적인 특성이 지배적이다.[12] 조사가 앞에 붙는다. 즉 후치사가 아니라 전치사라는 얘기다.[13] 특히 관사가 격에 따라서도 변화하는 독일어와 같은 경우에는 정관사가 교착성을 띠기도 한다.[14] 고양이 캐릭터의 무엇무엇하다+"냥"은 무엇무엇하다, "냥"이라고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식.[15] 일례로 레젠다리움의 모르도르의 언어인 암흑어는 이질적인 느낌을 주기 위해 교착어로 설정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