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1 19:40:51

상호 의사 소통성

1. 개요2. 말, 글 둘 다
2.1. 서로 유사성이 많은 경우
3. 말로만4. 글로만5. 같이보기

1. 개요

상호의사소통성(, mutual intelligibility) 또는 상호이해가능성이란 어떤 언어를 모어로 하는 사람이 다른 어떤 언어를 특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이해할 수 있는 성질을 말한다.

2. 말, 글 둘 다

2.1. 서로 유사성이 많은 경우

3. 말로만

  • 위구르어 - 우즈베크어
    위구르어는 위구르 문자나 아랍 문자를, 우즈베크어는 로마자를 사용한다.
  • 우르두어 - 힌디어
    힌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를, 우르두어는 아랍 문자의 변형인 페르시아 문자를 사용한다.
  • 태국어 - 라오어 - 샨어
    라오어는 라오 문자를, 샨어는 버마 문자를, 태국어는 타이 문자를 사용한다.
  • 타지크어 - 페르시아어 - 다리어
    타지크어는 키릴 문자를, 페르시아어와 다리어는 페르시아 문자를 사용한다.
  • 관화 - 둥간어
    관화는 한자를, 둥간어는 키릴문자를 사용한다.[5]
  • 이누이트어 - 알류트어 - 서부 유픽어
    유픽어는 대부분 로마자나 캐나다 원주민 문자를 사용하나, 러시아 극동 지방의 유픽어는 키릴 문자를 사용한다. 알류트어는 로마자와 키릴 문자를 사용한다.
  • 몰타어 - 표준 구어체 아랍어 - 키프로스 마론파 아랍어 - 하싸니야 방언
    표준 구어체 아랍어는 아랍 문자를, 키프로스 마론파 아랍어는 그리스 문자를, 몰타어와 세네갈 한정으로 하싸니야 방언은 로마자를 사용한다.
  • 독일어 - 이디시어
    독일어는 로마자를, 이디시어는 히브리 문자를 사용한다.
  • 벵골어 - 치타공어 - 로힝야어
    벵골어와 치타공어는 동부 나가리 문자를, 로힝야어는 아랍 문자나 하니피 로힝야 문자를 사용한다.
  • 외몽골 몽골어 - 내몽골 몽골어
    외몽골 몽골어는 키릴문자를, 내몽골 몽골어는 몽골 전통문자를 사용한다.

4. 글로만

5. 같이보기


[A] 같은 언어로 취급하는 것이 통설이다.[A] [A] 같은 언어로 취급하는 것이 통설이다.[A] 같은 언어로 취급하는 것이 통설이다.[5] 둥간어 자체가 19세기 말 청나라의 혼란을 피해 회족들이 대거 중앙아시아로 이주하며 관화에서 분화된 것이기에 중국어의 그 어떤 방언보다도 관화와의 유사성이 높으며, 공식적으로는 중국어가 아님에도 정작 중국어의 다른 방언들조차 안되는 관화와의 의사소통이 가능한 언어인 것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