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0 01:26:54

페로어

게르만어파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2px"
북게르만어군 고대 노르드어
OId Norse
동스칸디나비아어군노르웨이어(보크몰) · 덴마크어 · 스웨덴어
서스칸디나비아어군 노르웨이어(뉘노르스크) · 아이슬란드어 · 페로어 · 노른어
서게르만어군 북해 게르만어군
Ingvaeonic
앵글어군 영어(고대 영어†) · 스코트어 · 욜라어† · 핑갈어
프리지아어군 프리지아어
저지 독일어
저지 프랑크어군
Istvaeonic
네덜란드어 · 플람스어 · 림뷔르흐어 · 아프리칸스어
고지 독일어
Irminonic
중부 독일어 룩셈부르크어 · 표준 독일어 · 펜실베이니아 독일어
상부 독일어 오스트로바이에른어 · 알레만어(스위스 독일어) · 오스트리아 독일어
이디시어 · 랑고바르드어†
동게르만어군고트어† · 크림 고트어† · 반달어† · 부르군트어†
* †: 사멸된 어군 혹은 언어 }}}}}}}}}
Føroyskt
페로어
언어 기본 정보
주요 사용 지역 페로 제도
원어민 약 5만 3천 명
어족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
북게르만어군
서스칸디나비아어군
페로어
사용 문자 로마자
점자 페로어 점자
언어 코드
ISO-639 FO
주요 사용 지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70px-LocationFaroeIslands.png
1. 개요2. 문자3. 특징4. 들어보기

[clearfix]

1. 개요

[1]
Namuwiki, træið av vitan, sum øll vaksa.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페로어(Føroyskt mál, Faroese language)는 페로 제도에서 쓰이는 언어로 게르만어파에 속한다. 덴마크어, 스웨덴어, 노르웨이어, 아이슬란드어처럼 고대 노르드어에서 파생된 언어이다. 한동안 페로 제도에선 덴마크의 지배를 받으며 덴마크어가 공식 언어였지만 1937년부터 페로어를 학교에서 가르치기 시작했고 1948년 페로 제도의 공용어가 되었다. 사실 이 과정에서 괴투당크스트라는 사투리가 생겨나기도 했지만 젊은 세대들은 페로어와 표준 덴마크어를 쓰기 때문에 사실상 사어가 되었다.

2. 문자

페로어는 총 29개 알파벳을 사용한다.
철자 이름 IPA
Aa Fyrra a(Leading a) [ˈfɪɹːa ɛaː]
Áá á [ɔaː]
Bb be [peː]
Dd de [teː]
Ðð edd [ɛtː]
Ee e [eː]
Ff eff [ɛfː]
Gg ge [keː]
Hh [hɔaː]
Ii fyrra i(Leading i) [ˈfɪɹːa iː]
Íí fyrra í(Leading í) [ˈfɪɹːa ʊiː]
Jj jodd [jɔtː]
Kk [kʰɔaː]
Ll ell [ɛlː]
Mm emm [ɛmː]
Nn enn [ɛnː]
Oo o [oː]
Óó ó [ɔuː]
Pp pe [pʰeː]
Rr err [ɛɹː]
Ss ess [ɛsː]
Tt te [tʰjɛ]
Uu u [uː]
Úú ú [ʉuː]
Vv ve [veː]
Yy seinna i(Leading i) [ˈsaiːtna iː]
Ýý seinna í(Leading i) [ˈsaiːtna ʊiː]
Ææ seinna a(Leading a) [ˈsaiːtna ɛaː]
Øø ø [øː]

아래는 안쓰는 알파벳이다.
철자 이름 IPA
Xx eks [ɛʰks]

3. 특징

R이 권설 접근음으로 소리나기 때문에 영어 못지 않게 혀 말리는 소리를 자주 들을 수 있다. 그리고 스웨덴어나 노르웨이어처럼 r 뒤에 s가 따라올 경우 sh처럼 되기도 한다.

아이슬란드어와 달리 'þ'가 존재하지 않으며[2] 'ð'의 경우 튀르키예어의 'ğ'처럼 일정한 음가가 존재하지 않고 철자 위치에 따라서 묵음이 되거나 /v/, /w/가 되기도 한다.

방언차가 있는 편이나 문법적인 차이가 아닌 발음 차이에서 그치는 편이다. 또한 덴마크어, 아이슬란드어처럼 파열음과 파찰음은 무기음-유기음 대립이다.

영어 철자법처럼 상당히 꼬인 철자법을 사용한다. 가령 Gjógv라는 지명을 '젝브'라고 읽고 kvæði라는 단어를 '크베아예'라고 읽는 식. 철자법이 어원을 중시하기 때문인데 덕분에 실제 발음과는 심각한 괴리가 일어난다. 아이슬란드어도 변화를 아주 안 겪은건 아니지만 페로어는 훨씬 더 심한 변화를 겪었던 것. 문법은 스웨덴어나 노르웨이어에서는 사라지거나 거의 희미해진 성구별, 격표지가 확실하게 남아있는 등 아이슬란드어와 매우 비슷하다고 하나 두드러지는 차이점으로써 부정관사가 존재하며[3] 복수형에서는 동사굴절을 하지 않는다.[4] 그리고 페로어는 3성으로 나뉜다. 덴마크의 영향인지 아이슬란드어와 다르게 (상대적으로) 은근히 외래어를 많이 쓰는 편이다. 예를 들어서 전화를 아이슬란드어로는 sími라는 고유어를 쓰지만 페로어에서는 덴마크어처럼 'telefon'이다.

한편 페로어를 처음으로 본격 연구한 언어학자는 야쿱 야콥센(Jákup Jakobsen, 1864~1918)[5] 박사로, 페로 제도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박사 학위라는 걸 받아 본 사람이다. 그는 페로어 연구뿐만 아니라, 페로 제도의 전설들을 수집해 근대 페로어 문학의 형성에도 기여했다고. 그래서 페로 제도에서 1980년대에 그의 초상화를 담은 우표를 발행하기도 했다. 야콥센 박사는 셰틀랜드에 체류하면서 친척 언어인 노른어 연구에도 큰 업적을 남겼다고 한다.

4. 들어보기



[1] 출처: ILoveLanguages![2] 아이슬란드어에서 'þ'가 들어가는 단어는 페로어에서는 그냥 'T'로 표기하고 발음한다. 페로제도의 수도인 'Tórshavn(토르스하운)'이 아이슬란드어로 'Þórshöfn(소르스회픈)'이 되는것이 그 예이다.[3] Ein(남성/여성), Eitt(중성) 등. 참고로 아이슬란드어는 부정관사가 없다.[4] 아이슬란드어는 복수형 굴절이 존재한다.[5] 또는 야콥 야콥센(Jakob Jakobs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