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슬라브어파|슬라브어파 Slavic Languages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동슬라브어군 | 러시아어 · 벨라루스어 · 우크라이나어 · 루신어 · 루테니아어† · 고대 동슬라브어† | ||
| 서슬라브어군 | 폴란드어 · 체코어 · 슬로바키아어 · 소르브어 (고지 소르브어 · 저지 소르브어) · 카슈브어 · 실레시아어 · 크난어† · 폴라브어† · 포메라니아어† | |||
| 남슬라브어군 | 동부 남슬라브어군 | 마케도니아어 · 불가리아어 · 교회 슬라브어† | ||
| 서부 남슬라브어군 | 세르보크로아트어 (세르비아어 · 크로아티아어 · 몬테네그로어 · 보스니아어) · 슬로베니아어 | |||
| † 표시가 된 것은 사멸된 어군 혹은 언어 |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colbgcolor=#171796> 상징 | <colcolor=#000,#fff>국가 · 국호 · 국기 · 체크무늬 |
| 역사 | 역사 전반 · 슬라브족의 이동 · 크로아티아 공국 · 크로아트 왕국 · 크로아티아 왕국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 · 유고슬라비아 왕국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 |
| 문화 | 크로아티아 요리 ·플리트비체 호수 국립공원 · 크로아티아어 · 관광 ·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 · 프르바 HNL · 라틴 문자 | |
| 정치 | 대통령 · 총리 · 사보르 · 행정구역 | |
| 경제 | 경제 전반 · | |
| 지리 | 자그레브 · 두브로브니크 · 달마티아 · 플리트비체 호수 국립공원 | |
| 외교 | 외교 전반 · 여권 · 유럽연합 | |
| 군사 | 크로아티아군 | |
| 민족 | 슬라브 · 크로아티아인(크로아티아계 미국인 · 크로아티아계 호주인 · 크로아티아계 아르헨티나인 · 크로아티아계 칠레인 · 크로아티아계 러시아인 · 크로아티아계 브라질인 · 크로아티아계 캐나다인) |
| Hrvatski | |
| 크로아티아어 | |
| 언어 기본 정보 | |
| 주요사용국 |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 화자 수 | 약 560만 명 |
| 어족 | 인도유럽어족 슬라브어파 남슬라브어군 서부 남슬라브어군 세르보크로아트어 크로아티아어 |
| 문자 | 로마자 |
| 언어 코드 | |
| ISO 639-1 | HR |
| ISO 639-2 | HRV |
| ISO 639-3 | HRV |
| 주요 사용 지역 | |
| [1] | |
| 크로아티아어 | Hrvatski jezik |
| 세르비아어 | Хрватски језик |
| 슬로베니아어 | Hrvaščina |
| 불가리아어 | Хърватски език |
| 헝가리어 | Horvát nyelv |
| 영어 | Croatian language |
| 그리스어 | Κροατική γλώσσα |
| 폴란드어 | Język chorwacki |
| 루마니아어 | Limba croată |
| 알바니아어 | Gjuha kroate |
| 프랑스어 | Croate |
| 독일어 | Kroatische Sprache |
| 이탈리아어 | Lingua Croata |
| 러시아어 | Хорватский язык |
| 스페인어 | Idioma croata |
| 포르투갈어 | Língua croata |
| 중국어 | 克罗地亚语 |
| 일본어 | クロアチア語 |
| 에스페란토 | Kroata lingvo |
| 에스토니아어 | kroaatia keel |
1. 개요
인도유럽어족 남슬라브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크로아티아의 공용어이자 크로아티아인들의 모국어이다. 유럽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채택되어 있다.한국외국어대학교 세미오시스 연구센터에서 펴내고 네이버 지식백과에 제공한 세계 언어백과의 크로아티아어 페이지에서 크로아티아어가 속한 언어군의 갈래와 사용 현황, 문자와 발음, 크로아티아어를 배울 때 알아야 할 10가지(기본 문법 구조), 기본적인 표현, 기타 언어적 특징, 크로아티아어의 발생과 역사 등을 확인할 수 있다.
2. 설명
세르보크로아트어를 정치적인 이유로 다르게 부르는 말이다. 언어학적으로는 세르비아어, 보스니아어, 몬테네그로어와 같은 언어이다.크로아티아인과 세르비아인이 서로의 언어로 말했을 때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그래서 일부 언어학자들은 두 언어를 분리하지 않는다. 크로아티아인과 세르비아인 모두 남슬라브족에서 갈라졌고, 세르비아와 크로아티아 둘다 동부 헤르체고비나 방언을 표준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역별 차이점은 분명 있고, 유고슬라비아 전쟁으로 원수가 된 이상 앞으로 이러한 차이점은 시간이 흐를수록 더욱 커질 가능성이 높다. 특히 세르비아어와 비교했을 때 언어 순수주의를 강조하여 슬라브 고유의 단어가 더 많다.
ijekavski가 표준어이다.
3. 들어보기
크로아티아 라디오텔레비전(HRT) 뉴스
크로아티아의 국가, "아름다운 우리 조국(리예파 나샤 도모비노, Lijepa naša domovino)".
겨울왕국의 Let It Go 크로아티아어 더빙판.
4. 관련 문서
[1] 청록색으로 표시된 방언이 크로아티아어를 포함한 세르보크로아트어 전체에서 표준어의 바탕이 되는 동부 헤르체고비나 방언이다.[2] 출처: ILoveLangu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