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음의 분류 | ||
{{{#!wiki style="margin: -2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bee,#033><colcolor=#000,#fff> 조음 방법 | 비음 · 파열음 · 파찰음 · 마찰음 · 접근음 · 탄음 · 전동음 · 내파음 · 흡착음 · 방출음 · 충격음 |
조음 위치 | 양순음 · 순치음 · 설순음 · 치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권설음 · 치경구개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인두음 · 후두개음 · 성문음 · 이중조음 | |
조음 방향 | 중설음 · 치측음 · 설측음 | |
성대 진동 여부 | 유성음 · 무성음 | |
기식 흐름 여부 | 유기음 · 평음 · 무기음 · 비음 |
1. 개요
兩脣音 / Bilabial consonant음성학에 따른 조음 방법 분류이다. 두입술소리라고도 부르며, 말 그대로 입술에 기식을 넣어 만드는 발음이다. 양순 비음 (\[m\])이나 양순 파열음(\[p\],\[b\])는 내기 간단한 소리라서 아기들이 가장 먼저 배우며, 그만큼 많은 언어에 분포하고 있는 소리지만, 극히 예외적으로 없는 언어도 있다. (예: 모호크어[1][2])
한글에는 ㅁ, ㅂ, ㅃ, ㅍ, 그리고 사람에 따라서 [u] 또는 반모음 [w] 앞의 ㅎ이 가끔씩 변이음으로 나오는 경우가 있으며, 반모음인 [w]도 양순음과 연구개음을 합친 소리이다. 한글에서는 이 자질의 음을 입술의 모양을 따서 'ㅁ(입구)'자 모양으로 만들었다.
양순음이 없는 단어들은 입술을 아예 붙이지 않고도 발음이 다되므로 너 코카콜라, 칠성사이다, 오렌지 주스, 사과 주스, 게토레이, 초코 우유, 딸기 우유, 녹차, 슬러시, 와인, 소주 등등의 것들을 입술 안붙이고 해봐 라고 할땐 절대 속지 말것.[3][4][5]
ㅁ, ㅂ, ㅃ, ㅍ 모두 단어 내 모양이 사각형이 포함된다는 공통점이 있다.(ㅁ에서 갈라져 나왔기때문)
2. 조음 방법
2.1. 양순 비음
[ruby(양순 비음, ruby=Bilabial Nasal)] | |
m̥ m | |
조음 위치 | <colbgcolor=#ddd,#2d2f34> 양순음 |
조음 방향 | 구분 없음 |
조음 방법 | 비음 |
| |
듣기 |
두 입술을 붙이고, 코로 공기를 내보내면서 입술을 떼서 내는 소리다.
한국어에서는 ㅁ과 음가가 같으며,[6] 영어의 m, 일본어의 ま행 등, 여러 언어에서 익숙하게 볼 수 있는 음이다.
버마어, 몽어, 이어, 아이슬란드어 등에서는 무성음으로도 존재하며 [m̥]라는 글자로 표기한다. 중국 남부, 베트남 북부, 미얀마 등지의 언어를 로마자로 표기할 때 hm이라는 자음 합자가 종종 보이는데, 바로 이 무성 양순 비음을 표기하기 위한 것이다.
사실상 인류조어의 대표적인 특징[7]이라 볼 수 있다. 뭔지 잘 모르겠다면 입을 다물고 소리를 내면 자동으로 m(음)이라고 발음될 것이다. 구순구개열 환자가 아닌 이상, 처음으로 접하는 발음이다. 전 세계 언어의 96%가 이 음운을 보유하고 있다.
2.2. 양순 파열음
자세한 내용은 양순 파열음 문서 참고하십시오.2.2.1. 유기 양순 파열음
[ruby(유기 양순 파열음, ruby=Aspirated Bilabial Stop)] | |
pʰ bʱ | |
<colcolor=#fff> 조음 위치 | <colbgcolor=#ddd,#2d2f34> 양순음 |
조음 방향 | 중설음 |
조음 방법 | 파열음(유기음) |
|
(pʰ)
(bʱ)
2.3. 양순 파찰음
[ruby(양순 파찰음, ruby=Bilabial Affricate)] | |
p͡ɸ b͡β | |
조음 위치 | <colbgcolor=#ddd,#2d2f34> 양순음 |
조음 방향 | 구분 없음 |
조음 방법 | 파찰음 |
|
유성음 (b͡β)
boko 시피보어['b͡βo̽ko̽]
up 네덜란드어[*ʊp͡ɸ ]
두 입술을 붙이고 빵 터트리자 마자 사이로 공기를 내보내 기식을 마찰시켜 내는 소리다.
양순 마찰음이 양순 파열음과 결합하면(정확히는 양순 파열음이 나오려다가 기류가 마찰되면) 양순 파찰음이 된다. 순치 파찰음도 희귀하지만 양순 파찰음은 더 희귀하다. 한국어의 경우 ㅂ, ㅃ, ㅍ 다음에 ㅜ 또는 [w]가 포함된 이중 모음이 왔을 때[8] 무의식적으로 양순 파찰음이 발현되는 경우가 있다. (예: 염불 - [jʌ̹ːm.buɭ] → [jʌ̹ːm.b͡βuɭ]).
한국인/일본인은 순치 파찰음(/p̪͡f/)을 발음할 때 양순 파찰음으로 발음하려는 경향이 있다. 순치 파찰음을 구성하는 음가 중 순치 마찰음(/f/)이 한국어에서는 양순 파열음(ㅍ), 일본어에서는 양순 마찰음(フ)으로 옮겨지는데, 분명히 터지고 마찰되는데 ㅍ, フ 홀로는 파찰음을 발음할 수 없으니 양순 파열음에 마찰음을 섞어서 이렇게 발음하게 되는 것. 마침 양순 파열음과 양순 마찰음은 한국어와 일본어에 둘 다 있다.
2.4. 양순 마찰음
자세한 내용은 양순 마찰음 문서 참고하십시오.2.5. 양순 접근음
[ruby(양순 접근음, ruby=Bilabial Approximant)] | |
β̞/ʋ̟ | |
<colcolor=#fff> 조음 위치 | <colbgcolor=#ddd,#2d2f34> 양순음 |
조음 방향 | 구분 없음 |
조음 방법 | 접근음 |
|
(β̞)
Lava[스페인어][ˈläβ̞ä]
두 입술이 닿을락 말락하는 상태에서 공기를 내보내는 소리다.
한국어에는 ㅜ계 이중모음이나 일본어의 わ행에서 변이음으로 이 소리가 나기도 한다. 양순 연구개 접근음 ([w])과 거의 구분이 안 갈 정도. 차이점이라면 w는 입술이 튀어 나온다. 아직 이 음을 표기하는 기호가 없으므로 유성 양순 마찰음 ([β]) 기호 아래쪽에 ㅜ[11]를 붙인 형태로 사용중이다. 대응되는 무성음이 없다.
입술이 튀어나오지는 않지만 둥근 특성이 있어서 모음과 β̞를 이음선으로 묶거나 위첨자 ᵝ를 써서 원순모음 중 압축모음을 나타낼 때 쓴다. 위첨자는 개별 기호가 없어서 마찰음 기호를 쓴다.
2.6. 양순 탄음
[ruby(양순 탄음, ruby=Bilabial Flap)] | |
ⱱ̟ | |
조음 위치 | <colbgcolor=#ddd,#2d2f34> 양순음 |
조음 방향 | 구분 없음 |
조음 방법 | 탄음 |
|
vbwah[ⱱ̟wâˁħ]
맘베이어의 vb에서 이 음가가 실현된다.
연구개 폐쇄음인 /k̚/가 선행되기도 한다. 이 경우에는 혀뿌리로 연구개를 막고서 '빡' 소리를 내준다.
대응되는 무성음이 없다. 아직 이 음을 표기하는 기호가 없으므로 순치 탄음 기호 아래쪽에 +[13]를 붙인다. 그나마도 순치 탄음은 공식 기호로 지정된 지 얼마 되지 않아서 이 기호를 볼 수 있는 컴퓨터는 많지 않다.
이런 모양이다.
2.7. 양순 전동음
[ruby(양순 전동음, ruby=Bilabial Trill)] | |
ʙ | |
조음 위치 | <colbgcolor=#ddd,#2d2f34> 양순음 |
조음 방향 | 구분없음 |
조음 방법 | 전동음 |
|
무성음 (ʙ̥)
Бунгаг[코미페르먀크어][ʙuŋɡaɡ]
두 입술을 부르르 떨어주면서 공기를 내보내는 소리다.
한국어에는 없는 발음이나, 아이들이 자동차 시동 거는 소리를 흉내낼 때 간혹 내곤 한다. 감이 안 온다면 직접 들어보자. 트럼펫, 트롬본, 부부젤라 등의 악기를 불 때나 노래 발성 연습에 쓰이는 립트릴이 이 음가이다.
침이 굉장히 잘 튀는 발음이다. 아무 발음이나 연습할 때 함부로 이 발음을 조음하지는 말자.
2.8. 양순 흡착음
[ruby(양순 흡착음, ruby=Bilabial Click)] | |
ʘ ʘ̬ | |
조음 위치 | <colbgcolor=#ddd,#2d2f34> 양순음 |
조음 방향 | 구분 없음 |
조음 방법 | 흡착음 |
|
연구개를 닫을때 |
(k̚͜ʘ) (g̚͜ʘ̬) |
구개수를 닫을때 |
(q̚͜ʘ) (ɢ̚͜ʘ̬) |
한국어로는 의성어인 '쪽' 또는 '뽁'으로 표현되는 발음이다.
뽀뽀는 '사순(四脣) 흡착음'(quadrilabial click)이라는 우스개도 있다.
대응하는 폐장기류음은 [p] 또는 [p͡ɸ]이다. 전자는 '뽁'이고 후자는 뽀뽀와 같은 '쪽'이다. 후자는 의성어에서만 쓰이고 코이산 제어에 쓰이는 건 전자.
사족으로 원래 이 글자의 세리프체는 위에 있는 이미지로 된 표에서 보듯 ⊙ 모양이었는데 다른 세리프체 글자들과 모양을 맞추기 위해 대문자 O 안에 점이 들어간 모습으로 바뀌었다. 산세리프도 마찬가지. 이 글자의 이름은 '정곡을 찌르다' 할 때 '정곡'이며 영어로는 bullseye이다.
2.9. 양순 내파음
[ruby(양순 내파음, ruby=Bilabial Implosive)] | |
ɓ̊/ƥ ɓ | |
조음 위치 | <colbgcolor=#ddd,#2d2f34> 양순음 |
조음 방향 | 구분 없음 |
조음 방법 | 내파음 |
|
(ɓ̊)
유성음의 예시 | ||
언어 | 예시 | IPA |
베트남어 | bạn | /ɓan˧ˀ/ |
크메르어 | បោះ | /ɓɑh/ |
줄루어 | ubaba | /ˌuˈɓaːˌɓa/ |
파트와 | beat | /ɓiːt/ |
신디어 | ٻر | /ɓaˑrʊ/ |
무성음의 예시 | ||
언어 | 예시 | IPA |
칵치켈어 | b'ojoy | /ɓ̥oχoj/ |
맘어 | b'aj | /ɓ̥aχ/ |
유니코드는 U+0253.
영어로는 B WITH HOOK이다.
유성음이며, 대립되는 무성음을 나타내는 기호 [ƥ]는 현재 폐지되었다.
발음 방법: 입을 꽉 다물고서 '읍읍' 소리를 내거나 입술을 다물고 목에 힘을 줘서 후두부를 아래쪽으로 움직인다.(보통 그렇게 하면 성대가 울린다.) 그 상태에서 입술을 떼면 된다. 이 때 살짝 '뻑' 소리가 나는 건 덤.
2.10. 양순 방출음
[ruby(양순 방출음, ruby=Bilabial Ejective Stop)] | |
pʼ | |
조음 위치 | <colbgcolor=#ddd,#2d2f34> 양순음 |
조음 방향 | 구분 없음 |
조음 방법 | 방출음 |
|
պոչ[아르메니아어][pʼotʃʰ]
비웃을 때 내는 '풉'으로 비유할 수 있다. 방귀 소리를 입으로 흉내낼 때에도 이 음소가 나온다.
2.11. 양순 충격음
[ruby(양순 충격음, ruby=Bilabial Percussive)] | |
ʬ | |
조음 위치 | <colbgcolor=#ddd,#2d2f34> 양순음 |
조음 방향 | 구분 없음 |
조음 방법 | 충격음 |
|
의성어 '뻐끔뻐끔'을 하는 소리다. 당장 뻐끔의 뜻을 봐도 입을 벌렸다 오므린다는 뜻이므로 이 양순 충격음과 일맥상통한다.
발음 방법: 입을 벌렸다가 입술을 빠르게 쾅 다문다. 이때 '텁' 비슷한 소리가 나면 된다. 또는 금붕어가 뻐끔거릴때처럼 입모양을 한다. 이 분야에선 팝캣이 유명하다.
3. 관련 문서
[1] 모호크어는 양순음 뿐만 아니라 순치음도 없다. 즉, 아예 순음 자체가 없다.[2] 여담으로 이들 스스로는 가년게하가라고 한다.[3] 그외에 여러 음식종류들 중에서도 양순음이 없어서 원래 입술을 전혀 붙이지 않고 발음할 수 있는 것들이 꽤 많다.[4] 한편 여기서 파생된 넌센스 퀴즈도 있다. #[5] 한편 무한도전 서울 한바퀴 빙고 특집에서도 비슷한 게 있는데 웃긴 개구기를 껴야 하는 상황에서 입술을 붙이는 것 자체가 불가능해서 양순음을 그냥 자음없이 말하거나 치경음으로 말하기도 한다. #[6] 다만 한국어에서는 어두에서 비음의 정도가 약해져 [m͊\]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이것을 다른 언어 화자들은 [b\]로 인식하기도 한다. 참고, 영상. 이와 관련해서 유튜버 영국남자의 영상 중 한국어를 처음 배우는 영국인이 초성의 ㅁ 발음을 b로 인식하는 상황이 나온다.[7] 인간이 최초로 발음할 수 있는 자음이다. 이 때문에 엄마를 뜻하는 단어의 발음이 인류 전체가 유사하다.[8] 이때는 접근음이 탈락하고 파열음이 파찰음화한다.[스페인어] [ˈläβ̞ä] [11] 음역을 내리라는 의미의 기호이다. 이와 반대 기능을 하는 기호는 ㅗ.[ⱱ̟wâˁħ] [13] 조음 위치를 앞으로 옮기라는 기호이다. 반대 기능을 하는 기호는 -.[코미페르먀크어] [ʙuŋɡaɡ] [아르메니아어] 아르메니아어[pʼotʃ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