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2 01:57:45

권설음

자음의 분류
{{{#!wiki style="margin: -2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bee,#033><colcolor=#000,#fff> 조음 방법 비음 · 파열음 · 파찰음 · 마찰음 · 접근음 · 탄음 · 전동음 · 내파음 · 흡착음 · 방출음 · 충격음
조음 위치 양순음 · 순치음 · 설순음 · 치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권설음 · 치경구개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인두음 · 후두개음 · 성문음 · 이중조음
조음 방향 중설음 · 치측음 · 설측음
성대 진동 여부 유성음 · 무성음
기식 흐름 여부 유기음 · 평음 · 무기음 · 비음
}}}}}}}}} ||
파일:권설음_기호0.png
1. 개요2. 설명3. 조음 방법
3.1. 권설 비음3.2. 권설 파열음3.3. 권설 파찰음3.4. 권설 마찰음3.5. 권설 접근음3.6. 권설 탄음3.7. 권설 전동음3.8. 설측 권설 파찰음3.9. 설측 권설 마찰음3.10. 설측 권설 접근음3.11. 설측 권설 탄음3.12. 권설 내파음3.13. 권설 흡착음

1. 개요

/ Retroflex consonant

음성학에 따른 조음 방법 분류.

혀말이소리라고도 부르며, (말 권) / (혀 설) / (소리 음)이라는 뜻 그대로 말아서 내는 소리.

2. 설명

외국어를 학습하는 한국인 중 대다수는 중국어를 공부할 때 성조와 더불어 권설음이라는 개념을 알게 되고[1], 처음 알게 되는 사람들에게는 매우 낯설게 들린다. 하지만 어떻게 해야 혀를 최대한 말 수 있을까 하며 혀 가지고 기행을 부릴 필요는 없고(...), 여기서 혀를 만다는 것은 혀끝을 앞쪽 경구개까지 치켜들인다는 뜻이다.[2] 또한 이 때 혓바닥은 입천장에 닿으면[3] 안 된다. 이 결과, 다른 종류의 음에 비해서 혀끝이 반대편에 위치한 기관(앞쪽 경구개)과 거의 직각으로(ㄴ자 형태로) 만나기 때문에, 혀를 만다고 하는 것이다. 그래서 중국어 음운론에서는 권설음에 속하는 성모에 대해 '들다'라는 뜻이 있는 뛰어날 교(翹) 자를 써서 교설음(翘舌音)이라고 칭한다.

치경음을 발음할 때의 혀 위치를 기억하고 혀끝을 계속 뒤로 이동시키다 보면 어느 순간부터 치경음에 r 비슷한 게 섞여들어간 소리를 들을 수 있는데, 그게 권설음이다. 실제로 권설음을 가지면서 라틴문자로 자기 언어의 음소를 표현하는 언어에서는 보통 '치경음 + r' 혹은 'r + 치경음' 형태로 권설음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베트남어의 tra는 왠지 '트라'라고 읽어줘야 할 것 같지만, 사실은 권설음 '짜'[ʈ͡ʂa]라고 읽어줘야 한다. 스웨덴어와 노르웨이어는 치경음과 /r/ 음운이 만나면 무조건 권설음으로 변하며, 단어 경계를 넘어선 문장 단위로도 자주 일어난다.

치경음 다음으로 음운 수가 많으며, 사실 IPA 기호도 보면 그냥 치경음 음운 기호의 아랫부분을 살짝 길게 늘어뜨리거나 거기에 갈고리를 추가한 것일 뿐이다.

표준 중국어, 산스크리트어, 힌디어, 스웨덴어, 러시아어, 폴란드어, 타밀어, 텔루구어 등에 많으며, 영어에서는 치경 접근음(/ɹ/) 앞의 치경 파열음이 권설음으로 발현될 때도 있다. 한국인들이 중국어를 발음할 때 가장 골때리는 자음 중 하나이며, 잘못 발음하면 설측음이 들어가 '~을'처럼 괴상한 발음을 하게 된다.

러시아어에서는 항상 경음으로 분류되어 뒤에는 /j/이나 /i/가 올 수 없고, 뒤에 연모음이 오더라도 경모음으로 발음한다. 표준 중국어에서도 권설음 다음에는 운모 ㄧ(i)가 오는 경우는 없고, 한어병음에서 보이는 shi, zhi, chi 등의 i는 우리말 'ㅡ'에 가깝게 발음한다.

한자문화권의 언어는 일본어를 제외하면 대부분 권설음을 하나 이상 가지고 있다. 한국어의 종성 , 중국어의 ch, zh, sh, r로 대두되는 권설음 4종, 베트남어의 tr 등이 그 예시.

참고로 권설음화 기호도 있다. 바로 ◌̢.[4] 비공식적으로 지금도 사용되는데, 그 예시가 바로 아래의 설측 권설 탄음.

3. 조음 방법

아주 직관적으로 말하면, 김 먹을 때 입천장에 기분 나쁘게 김이 들러붙는 위치가 권설음이 조음되는 위치이다. 이때 그 김을 떼어내고자 혀끝으로 입천장을 문지르는데 그 상태가 권설음 발음의 기본 세팅이라고 보면 된다.
좀 더 들어가면, 이하에서 다 같은 권설음으로 나타내는 자음의 조음 방식은 혀를 '얼마나 마느냐'에 따라 크게 세 종류로 나뉜다.
  • 설단 후치경(laminal postalveolar) 권설음: 혀를 살짝만 말아서 위혓바닥을 후치경부에 접촉하여 발음. 폴란드어의 권설음이 이에 해당하고, 몇몇 한국어 화자들이 ㅈ, ㅉ, ㅊ를 치경구개음 대신 이 방식으로 발음한다.
  • 설첨 후치경(apical postalveolar) 권설음: 혀를 조금 더 입 안쪽으로 말아서 혀끝을 후치경부에 접촉하여 발음. 힌디어 등 인도아리아어의 권설음이 이에 해당한다. 한국어의 종성 ㄹ과 표준 중국어의 권설음도 여기에 속한다.
  • 후설면 경구개(subapical palatal) 권설음: 혀를 완전히 둥글게 안쪽으로 말아서 아래혓바닥 부분을 경구개에 접촉하여 발음. 타밀어 등 드라비다어의 권설음이 이에 해당하며, 모음 뒤에서 발음되면 앞의 모음에 마치 r음이 따라붙는 것처럼 들린다(r-colored).

3.1. 권설 비음

[ruby(권설 비음, ruby=Retroflex Nasal)]

ɳ̊

ɳ

조음 위치 <colbgcolor=#ddd,#212121> 권설음
조음 방향 중설음
조음 방법 비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혀끝을 앞쪽 경구개까지 치켜올리고 ㄴ을 발음한다.


유성음은 주로 힌디어 등 인도아리아어와 드라비다어족에서 매우 흔하며, 자바어마두라어에도 존재한다. 이 외에도 북유럽 언어에서 많이 볼 수 있다. 가네샤의 "네"가 권설 비음. 반면 무성음은 극히 드물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대양어군에 속하는 야이어(Iaai)에서 무성 권설 비음이 발견되었다.

몇몇 한국어 화자들이 종성 (설측 권설 접근음, ɭ)의 혀 모양을 유지한 채 을 발음하기도 하는데('젤나가'를 발음해 보자.) 그러면 이 발음이 된다. 물론 표준 발음은 자음동화를 적용하여 ㄴ을 ㄹ로 설측음화시키는 것이다.

3.2. 권설 파열음

[ruby(권설 파열음, ruby=Retroflex Stop)]

ʈ

ɖ

조음 위치 <colbgcolor=#ddd,#212121> 권설음
조음 방향 중설음
조음 방법 파열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혀끝을 앞쪽 경구개까지 치켜올리고 '타'를 발음한다. 유성음은 여기서 성대를 울려 준다.
(ʈ)
(ɖ)

주로 힌디어나 북유럽 언어, 베트남어 남쪽 사투리, 자바어, 마두라어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영어를 인도 사람이 말하는 경우에도 권설음이 갑툭튀한다. 한국어에서는 종성 ㄹ 다음에 ㄷ, ㄸ, ㅌ이 후행할 때 극히 드물게 나오기도 한다.

무성 치경 파열음 [t]와 기호가 비슷해서 헷갈릴 수 있다. 무성 권설 파열음 기호는 끝부분이 좀 더 아래로 내려오고 좀 더 꼬부라져 있는 걸로 구분 가능.

꽤나 불안정한 발음이다. 권설음 탸를 발음해보면 원하는 발음은 안나오고 '챠'가 되는데, 파찰음화를 피하려면 '권설음 탸'를 기식을 줄이거나 근고모음으로 발음해야 한다.

힌디어, 네팔어의 ट/ʈ/, ठ/ʈʰ/, ड/ɖ/, ढ/ɖʱ/에서 이 소리가 난다.

일본어에서는 특이하게도 야마나시현의 나라다 마을에서 사용되는 방언에 존재하는데 야마나시현의 나라다 마을에서 사용되는 방언에 존재하는데 つ와 づ를 [ʈɯ]와 [ɖɯ]로 발음한다.[5]

3.3. 권설 파찰음

[ruby(권설 파찰음, ruby=Retroflex Affricate)]

ʈ͡ʂ / t͡ʂ

ɖ͡ʐ / d͡ʐ

조음 위치 <colbgcolor=#ddd,#212121> 권설음
조음 방향 중설음(치찰음)
조음 방법 파찰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혀끝을 앞쪽 경구개까지 치켜올리고 ㅊ를 발음한다. 유성음은 여기서 성대를 울려 준다.
(ʈ͡ʂ)
(ɖ͡ʐ)

주로 중국어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중국어 성모의 zh([ʈʂ])와 ch([ʈʂʰ]), 폴란드어의 cz와 dż가 이에 해당한다. 베트남어의 tr도 이 발음.

일본어에서는 특이하게도 야마나시현의 나라다 마을에서 사용되는 방언에 존재하는데 야마나시현의 나라다 마을에서 사용되는 방언에 존재하는데 ち와 ぢ를 [ʈ͡ʂi]와 [ɖ͡ʐi]로 발음한다.[6]

파열 부분을 권설음으로 쓰기도 하지만 후치경음이나 치경구개음처럼 t / d만 써도 된다.

3.4. 권설 마찰음

[ruby(권설 마찰음, ruby=Retroflex Fricative)]

ʂ

ʐ

조음 위치 <colbgcolor=#ddd,#212121> 권설음
조음 방향 중설음(치찰음)
조음 방법 마찰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혀끝을 앞쪽 경구개까지 치켜올리고 s/z를 발음한다.
(ʂ)
(ʐ)

중국어에서 많이 볼 수 있다. [ʂ]의 경우는 중국어의 sh의 음에 해당하며, [ʐ]같은 경우 성모 r의 역사적, 보수적 독법으로, 일부 방언에서 이 발음으로 발음하기도 한다.[7][8] 러시아어에서는 각각 ш, ж가 해당하며, 폴란드어에서는 각각 sz, ż(또는 rz)가 해당한다. 스웨덴어나 노르웨이어에서도 'första/førsta(첫번째)'처럼 단어 중간에서 'rs'식으로 철자될때 동화현상으로 이 발음이 나타난다. 자바어마두라어의 's' 역시 이 권설 마찰음으로 실현된다. 이 발음이 들어간 언어를 배우다가 익숙해지면 'sh'꼴을 이 발음으로 하게 되기도 한다.

치경 파찰음 /ts/처럼 언어별로 한국어 표기가 다른 발음이기도 하다. 대표적으로 러시아어와 중국어를 비교해보면 알 수 있는데 두 언어 모두 /s/-/ɕ/-/ʂ/를 철자상으로 구분함에도 러시아어는 그냥 다 무시하고 '시' '슈'등으로 통일해서 표기하는 반면(푸시킨, 보르시, 샤슬릭, 하라쇼(실제 표기법 상으론)호로쇼 등) 중국어는 /s/에 를 사용하면서까지 이 세 음운을 칼같이 구분해서 반영했다. 예) 四川-촨, 上海-하이, 喜- 이 때문에 중국어의 외래어 표기법 규칙을 모르는 사람들은 혼란을 겪기도 한다. 그런데 上의 발음은 '샹'에 가깝다는 게 아이러니.

3.5. 권설 접근음

[ruby(권설 접근음, ruby=Retroflex Approximant)]

ɻ

조음 위치 <colbgcolor=#ddd,#212121> 권설음
조음 방향 중설음
조음 방법 접근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혓바닥을 입안에 붕 띄워 두면 ㄹ과 구분하기 힘든 발음이 나오는데, 이걸 혀끝을 치켜올리고 발음하면 된다.


유성음은 상대적으로 흔하며, 주로 중국어, 영어, 브라질 포르투갈어에서 많이 볼 수 있다. 베이징 방언을 기반으로 한 표준 중국어의 현대 r의 음가에 해당한다.[9] 영어의 경우 -er의 경우 종종 이 발음이 나올 때가 있으며 일부 방언에서는 어두에서 나오기도 한다. 네덜란드어에서도 어말이나 자음 앞에 붙는 '-r'한정으로 이 발음이 나오는 경우가 있다.[10]

접근음이 많은 기식을 필요로 해서 대응되는 무성음이 없을 줄 알았으나[11] 페로어에서 /ɹ/의 변이음으로 특정 위치에서 실현된다.

3.6. 권설 탄음

[ruby(권설 탄음, ruby=Retroflex Tap)]

ɽ̊

ɽ

조음 위치 <colbgcolor=#ddd,#212121> 권설음
조음 방향 중설음
조음 방법 탄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위의 권설 파열음을 짧게, 그러니까 혀끝을 앞쪽 경구개에 살짝 대고 바로 떼는 발음이다.
(ɽ)
(ɽ̊)

유성음은 주로 힌디어 등 인도아리아어나 자바어, 북유럽 언어에서 많이 볼 수 있다. 불교의 "바라밀"에서 "라"가 이 음가. 이외에도 한자 음역을 통한 불교 용어에서 이런 음가였던 용어들이 많이 있다. 탄음이 많은 기식을 필요로 해서 대응되는 무성음이 없을 줄 알았으나 디베히어 일부 방언, 노르웨이어 일부 방언에서 발견되었다.

일본어행을 권설 탄음으로 보기도 한다. 주로 치경 탄음이나 설측 치경 탄음으로 보지만.

위키낱말사전 한국어판에서는 한국어 ㄹ을 이 발음이라고 보기도 한다.

원래 권설 탄음 기호는 치경 탄음 기호 [ɾ]에서 꼬리를 늘린 [ʗ]가 되어야겠지만, 당시에는 이 기호가 치경 흡착음을 뜻하는 기호로 사용중이었는데다(지금은 [ǃ]) 권설 전동음이 당시에 발견되지 않았기에 원래라면 권설 전동음을 뜻해야 할 기호 [ɽ]을 사용중이고 이후 발견된 전동음은 할 수 없이 [ɽr]로 밀려났다. [ʗ]가 폐지된 현재까지 고쳐지지 않고 있다.

3.7. 권설 전동음

[ruby(권설 전동음, ruby=Retroflex Trill)]

ɽ͡r̥

ɽ͡r

조음 위치 <colbgcolor=#ddd,#212121> 권설
조음 방향 중설음
조음 방법 전동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혀끝을 앞쪽 경구개까지 치켜올리고 혀를 떨면 된다.
들어보기

남부 인도를 비롯한 남아시아 지역의 드라비다어족에 속하는 토다어(Toda) 및 네덜란드어 일부 방언(노르트브라반트 방언, 노르트홀란트 방언)에서 유성 권설 전동음이 사용되고 있다. 무성 권설 전동음은 디베히어의 일부 방언에서 사용된다.

3.8. 설측 권설 파찰음

[ruby(설측 권설 파찰음, ruby=Retroflex Lateral Affricate)]

ʈ͡ɭ̊˔ / t͡ɭ̊˔

ɖ͡ɭ˔ / d͡ɭ˔

조음 위치 <colbgcolor=#ddd,#212121> 권설음
조음 방향 설측음
조음 방법 파찰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혀끝을 앞쪽 경구개에 대고 혀 옆으로 ts/dz 소리를 낸다.
들어보기(ʈ͡ꞎ)

파열 부분을 권설음으로 쓰기도 하지만 후치경음이나 치경구개음처럼 t / d만 써도 된다.

3.9. 설측 권설 마찰음

[ruby(설측 권설 마찰음, ruby=Retroflex Lateral Fricative)]

/ ɭ̊˔

𝼅 / ɭ˔

조음 위치 <colbgcolor=#ddd,#212121> 권설음
조음 방향 설측음
조음 방법 마찰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혀끝을 앞쪽 경구개에 대고 혀 옆으로 s/z 소리를 낸다.
들어보기(ꞎ)
혹시 기호가 안 보인다면 설측 치경 마찰음(ɬ)에서 꼬리를 ɭ처럼 길게 늘린 것이다. 유성음 기호는 유니코드 14.0 버전에서 추가되었다.

혀끝을 앞쪽 경구개에 대고 혀 옆구리를 어금니에 살짝 붙이고, 그 틈 사이로 공기를 살살 내보내는 소리다.

굉장히 희귀한 음운이긴 하지만 무성음, 유성음 모두 인도의 언어에서 발견되었다. 무성음은 드라비다어족 타밀코다구어군토다어(Toda)에서 사용하고, 유성음은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는 아오어(Ao)에서 사용한다.

3.10. 설측 권설 접근음

[ruby(설측 권설 접근음, ruby=Retroflex Lateral Approximant)]

ɭ̊

ɭ

조음 위치 <colbgcolor=#ddd,#212121> 권설음
조음 방향 설측음
조음 방법 접근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혀끝을 앞쪽 경구개까지 치켜올리고 '을'을 발음한다.
들어보기

한국어의 종성 이 이 발음이며, 자바어, 북유럽 언어에서도 많이 볼 수 있다.

무성음의 경우는 세계적으로 희귀하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대양어군야이어(Iaai) 및 드라비다어족토다어(Toda)[12]에서 발견되었다.

3.11. 설측 권설 탄음

[ruby(설측 권설 탄음, ruby=Retroflex Lateral Flap)]

ɺ̢ / ɭ̆

조음 위치 <colbgcolor=#ddd,#212121> 권설음
조음 방향 설측음
조음 방법 탄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혀끝을 앞쪽 경구개까지 치켜올리고 혀 옆구리를 어금니쪽으로 갖다대자마자 빠르게 떼면 된다.
이와자어, 그리고 파슈토어에 존재. 일부 인도 계열 언어에도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다. 조음 방법은, 혀끝을 앞쪽 경구개까지 치켜올린 뒤에 혀 옆구리를 어금니 쪽으로 갖다댄다. 그리고 닿는 순간 빠르게 떼면 된다. 무성음은 와흐기어에서 변이음으로 존재한다.

3.12. 권설 내파음

[ruby(권설 내파음, ruby=Retroflex Implosive)]

ᶑ̊/𝼉(ƭ̢)

조음 위치 <colbgcolor=#ddd,#212121> 권설음
조음 방향 중설음
조음 방법 내파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혀끝을 앞쪽 경구개까지 치켜올리고 후두부를 아래로 당겨 압력을 줄인 뒤 혀를 경구개에서 떼면 된다. '뻥'하는 뚫어뻥 비슷한 소리가 들리면 성공.
(ᶑ)
(ᶑ̊)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서 확인이 되었다고는 하지만, 그 외의 정보는 아직 전무한 상황.

3.13. 권설 흡착음

[ruby(권설 흡착음, ruby=Retroflex Click)]

ǃ̢ (‼ / ǃ˞)

조음 위치 <colbgcolor=#ddd,#212121> 권설음
조음 방향 중설음
조음 방법 흡착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혀 아랫면을 앞쪽 경구개에 붙인 뒤 아래로 강하게 끌어당긴다.

!! 놀랍다!
탁월수
한국어에 없지만 억지로 써보면 '끍' 내지는 '쫅' 같은 느낌. 편하게 있어에서 김준현이 내는 '똵' 소리와도 비슷하다.

치경 흡착음과 비슷해서인지 공식 기호는 아니지만 치경 흡착음을 의미하는 느낌표(ǃ)를 두 개 연속으로 붙인 것을 통째로 권설 흡착음을 의미하는 기호로 흔히 쓰고 있다.[13] 실제로 들어 보면 권설 흡착음은 파찰음형이라서, 파열음형인 치경 흡착음과 미묘하게 다르다.

jbdowse.com 한국어 웹사이트에선 치경 흡착음을 뜻하는 ! 기호 옆에 후치경 접근음화 기호인  ˞ 을 붙인 ǃ˞ 로 표기하고 있다.

확인된 바로는 중부 쿵어가 유일하게 이 발음이 있다고 한다.

대응하는 폐장기류음은 [ʈ͡ʂ]이다.

[1] 한국어 종성 ㄹ의 발음이 권설음 [ɭ\]로 실현되기도 하지만 한국어 화자 대부분은 이를 [l\]과 구분하지 않기 때문에 인식하긴 힘들다.[2] 경구개(Hard palate)란 입천장에서 비교적으로 단단한 앞쪽 부분을 말한다.[3] 권설음에서 혓바닥을 입천장에 대면 '권설 경구개음'이라는 이중자음이다.[4] 지금은 자음 발음 기호 옆에 ʵ을 붙인다.[5] 이런 특이한 발음 체계가 성립된 배경은 요츠가나 참고.[6] 이런 특이한 발음 체계가 성립된 배경은 요츠가나 참고.[7] 日本(일본)을 현대표준중국어로 발음하면 르뻔(표기법상으론 르번)인데, 이 중국 일부 방언으로 日本을 발음한 데에서 영어 표기인 Japan이 유래되었다는 얘기가 있다. 아니나 다를까 日의 자음 자체가 본래 옛날중국어에서 반치음으로 분류된 발음('日모'라고 한다)이기 때문에 시대, 지역과 시대에 따라 발음이 천차만별이었다.[8] 이러한 발음의 영향으로 러시아어의 Ж를 음차할 때 이 성모로 음차하는 경우가 있다. 가령 Жирино́вский : 日里諾夫斯基(Rìlǐnuòfūsījī)[9] 그러나 중국 음성학 서적에서는 역사적, 보수적 독법에 의거한 \[ʐ\]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10] 예를 들면 Nederland의 경우 네데를란드가 아닌 네이덜란트로 발음된다.[11] 그냥 하면 마찰음과 구별이 어렵다.[12] 위의 마찰음과 구별하지 않는다.[13] IPA의 규칙을 따른다면 ǃ̢ 정도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