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르크어족 Turkic Languages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2px" | 보편 튀르크어파 | 차가타이어파 | 동부 차가타이어파 | 위구르어 · 에이누어 · 일리 투르키어 | |
서부 차가타이어파 | 우즈베크어 · 우즈베크 남부 방언 | ||||
차가타이어† | |||||
오구즈어파 | 동부 오구즈어파 | 투르크멘어 · 우즈베크 오구즈 방언 · 호라산 튀르크어 | |||
서부 오구즈어파 | 튀르키예어 · 아제르바이잔어 · 가가우즈어 · 오스만어† | ||||
남부 오구즈어파 | 카슈카이어 · 아프샤르어 · 차하르마할어 · 아이날루어† | ||||
살라르어 | |||||
시베리아어파 | 남시베리아어파 | 사얀어파 | 투바어 · 토파어 · 두하어 | ||
알타이어파 | 북부 알타이어 | ||||
예니세이어파 | 서유구르어 · 하카스어 · 푸위 키르기스어 · 쇼르어 | ||||
출름어파 | 출름어 | ||||
북시베리아어파 | 돌간어 · 사하어 | ||||
킵차크어파 | 킵차크-노가이어파 | 카자흐어 · 시베리아 타타르어 · 노가이어 · 카라칼파크어 · 페르가나 킵차크어† | |||
킵차크-불가르어파 | 바시키르어 · 타타르어 | ||||
킵차크-쿠만어파 | 카라차이-발카르어 · 쿠미크어 · 크림 타타르어 · 카라임어 · 우룸어 | ||||
킵차크-키르기즈어파 | 남부 알타이어 · 키르기스어 | ||||
아르구어파 | 할라지어 | ||||
오구르어파 | 추바시어 · 불가르어† |
타타르어 Татарча | Tatarça | تاتارچه Татар теле | Tatar tele | تاتار تلی Tatar language | ||
<colcolor=#fff,#000><colbgcolor=#00b5cc> 유형 | 교착어 | |
어순 | 주어-목적어-서술어 (SOV) | |
서자방향 | 좌횡서(로마자, 키릴 문자) 우횡서(아랍 문자) | |
문자 | 키릴 문자(러시아) 로마자(폴란드, 튀르키예) 아랍 문자(중국) | |
주요 사용 지역 (또는 공용어 지정 국가) | [[러시아| ]][[틀:국기| ]][[틀:국기| ]] └ [[타타르스탄 공화국| ]][[틀:국기| ]][[틀:국기|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폴란드| ]][[틀:국기| ]][[틀:국기| ]] [[튀르키예| ]][[틀:국기| ]][[틀:국기| ]] | |
원어민 | 약 520만 명[1] | |
계통 | 튀르크어족 킵차크어파 킵차크-불가르어 타타르어 | |
언어 코드 | <colcolor=#fff,#000><colbgcolor=#00b5cc> ISO 639-1 | TT |
ISO 639-2 | TAT | |
ISO 639-3 | TAT | |
글로톨로그 | tata1255 |
[clearfix]
1. 개요
[2]러시아의 타타르스탄 공화국을 중심으로 한 볼가 타타르인 사이에서 쓰이는 언어. 카잔, 아스트라한, 바시키르 공화국의 타타르인들도 사용한다.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튀르키예, 우크라이나[3]의 타타르인들도 사용하고 있고, 중국에 거주하는 소수의 타타르족들도 쓰고 있다.
바시키르어와 함께 튀르크어족 킵차크어파 킵차크-불가르어군에 속하며, 사용자 수는 약 500만여 명이다. 2010년 통계에 의하면 러시아에 거주하는 타타르인 중 69%가 타타르어를 할 수 있으며, 타타르스탄 내에서는 그 비율이 93%에 달한다고 하지만 공식적인 언어로는 잘 쓰이지 않는다.
시베리아 타타르어나 크림 타타르어와는 서로 다른 언어로, 킵차크-불가르어군에 속하는 타타르어와 달리 시베리아 타타르어는 카자흐어와 같이 킵차크-노가이어군으로, 크림 타타르어는 카라차이발카르어나 쿠미크어와 같이 킵차크-쿠만어군으로 분류된다.
2. 문자
문자는 구소련시절인 1928년까지는 아랍 문자를 사용하다가 양알리프(Яңалиф)[4]라 불리는 라틴 문자가 도입되었으나, 이오시프 스탈린 시기 소수민족 언어 문자를 키릴 문자로 전환하면서 타타르어를 적는 문자 역시 키릴 문자로 바뀌었다. 소련 붕괴 이후 타타르스탄 공화국에서 90년대 라틴 문자 표기를 완전히 공식적으로 도입하려 했으나 러시아 연방측에서 이를 헌법 위반으로 보아서 무산되었다.[5] 소련 붕괴 이후 새로 도입이 시도된 라틴 문자들은 1920년대 쓰였던 양알리프와는 다소 차이가 있는데, 가령 '양알리프'라는 단어는 양알리프로는 'Jaꞑalif'로 쓰지만 현재 일반적으로 쓰이는 라틴 문자로는 'Yañalif'라 적는다.현재는 보통 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러시아어에 없는 발음을 표기하기 위해 ә, җ, ө, ү, һ, ң 같은 글자를 추가해서 쓴다. 중국의 타타르족들은 지금도 아랍 문자로 된 타타르어를 사용하고 있다. 튀르키예, 폴란드, 리투아니아 등 라틴 문자를 사용하는 국가의 타타르인들은 라틴 문자를 사용한다. 타타르어 위키백과에서는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를 동시에 사용하나, 상호변환은 지원하지 않는다. 그러기에 Татарстан과 Tatarstan처럼 같이 문서가 나뉘어 있는 경우도 있다.
현재 타타르어에서 쓰이는 키릴 문자와 자마낼리프(Zamanälif) 라틴 문자(2012 개정)는 다음과 같다. 다만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는 완전히 1대 1로 대응되지는 않는다.
키릴 문자 | 라틴 문자 | 발음 | 키릴 문자 | 라틴 문자 | 발음 | |
А а | A a | /ɑ/ | П п | P p | /p/ | |
Ә ә | Ä ä | /æ/ | Р р | R r | /r/ | |
Б б | B b | /b/ | С с | S s | /s/ | |
В в | W w V v | /w/ /v/ | Т т | T t | /t/ | |
Г г | G g Ğ ğ | /ɡ/ /ʁ/ | У у | U u | /u/ | |
Д д | D d | /d/ | Ү ү | Ü ü | /y/ | |
Е е | E e | /ĕ/ | Ф ф | F f | /f/ | |
Ё ё | /jo/ | Х х | X x | /x/ | ||
Ж ж | J j | /ʒ/ | Һ һ | H h | /h/ | |
Җ җ | C c | /ʑ/ | Ц ц | /ts/ | ||
З з | Z z | /z/ | Ч ч | Ç ç | /ɕ/ | |
И и | İ i | /i/ | Ш ш | Ş ş | /ʃ/ | |
Й й | Y y | /j/ | Щ щ | /ʃɕ/ | ||
К к | K k Q q | /k/ /q/ | Ъ ъ | |||
Л л | L l | /l/ | Ы ы | I ı | /ɤ̆/ | |
М м | M m | /m/ | Ь ь | |||
Н н | N n | /n/ | Э э | /ĕ/ | ||
Ң ң | Ñ ñ | /ŋ/ | Ю ю | /ju/ | ||
О о | O o | /ŏ/ | Я я | /jæ/ | ||
Ө ө | Ö ö | /ø̆/ |
타타르어의 키릴 문자 정서법을 읽을 때 유의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다.
- 키릴 문자로 된 정서법에서는 연구개음 /k/, /ɡ/와 구개수음 /q/, /ʁ/가 구별되지 않고 к /k~q/, г /ɡ~ʁ/로 표기된다. 이 경우에는 같이 오는 모음이 а, о, у, ы일 때는 구개수음, ә, ө, ү, э일 때는 연구개음으로 발음하면 된다. (예: кыш /qɤ̆ʃ/ '겨울', көз /kø̆z/ '가을'). 다만 주로 아랍어 차용어에서 구개수음와 모음 ә 발음이 같이 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는 모음이 ә로 발음되더라도 이들 글자 대신 а를 써서 표기한다. (예: гадел /ʁædĕl/ '정의로운') 그 외에 불규칙하게 /q/, /ʁ/가 오는 경우 к, г 뒤에 ъ를 붙여서 표기한다. (예: мәгънә /mæʁnæ/ '뜻' ) 라틴 문자에서는 이런 복잡한 구분이 없고, 연구개음이면 k와 g, 구개수음이면 q와 ğ를 써서 표기하면 된다.
- 모음 /ĕ/의 경우 자음 뒤에 올 때에는 е로, 그 외 경우에는 э로 표기한다.
- я, е(어두나 모음 뒤), ю의 경우 후설모음 /jɑ/, /jɤ̆/, /ju/를 나타내는 데에도, 혹은 전설모음 /jæ/, /jĕ/, /jy/를 나타내는 데에도 쓰일 수 있다. (예: ел /jɤ̆l/ '해(年)', биек /bijĕk/ '높은') 이 둘은 보통 같이 오는 모음이 а, о, у, ы냐 아니면 ә, ө, ү, э냐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음절 뒤에 ь가 붙어있는 경우에도 전설모음이다. (예: табигать /tɑbiʁæt/ '자연')
- 키릴 문자에서는 /w/를 표시하는 글자가 따로 없는데, 일반적인 경우 в로 표기하고 음절 끝에 나오는 경우 앞의 모음이 а면 у, 앞의 모음이 ә면 ү로 적는다. (예: вакыт /wɑqɤ̆t/ '시간', тау /tɑw/ '산', дәүләт /dæwlæt/ '국가') /v/ 역시 в로 표기하지만 타타르어 고유어에는 /v/ 발음이 없기 때문에 이 경우는 러시아어 차용어들이다.
세계 인권 선언 1조를 타타르어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로 적으면 다음과 같이 표기된다.
키릴 문자 | Барлык кешеләр дә азат һәм үз абруйлары һәм хокуклары ягыннан тиң булып туалар. Аларга акыл һәм вөҗдан бирелгән һәм бер-берсенә карата туганнарча мөнасәбәттә булырга тиешләр. |
라틴 문자 | Barlıq keşelär dä azat häm üz abruyları häm xoquqları yağınnan tiñ bulıp tualar. Alarğa aqıl häm wöcdan birelgän häm ber-bersenä qarata tuğannarça mönasäbättä bulırğa tieşlär. |
해석 | 모든 사람들은 자유롭고, 스스로의 존엄과 권리에 있어 동등하게 태어난다. 그들에겐 이성과 양심이 주어졌으며, 서로에게 형제와 같은 태도로 대하여야 한다. |
3. 특징
방언으로는 서부 방언(미섀르 방언)과 중부 방언이 있다. 표준 타타르어의 기반이 된 중부 방언에서 ч, җ는 /ɕ/, /ʑ/로 발음되지만, 미섀르 방언에선 /tʃ/, /dʒ/로 발음된다고 한다.다른 튀르크어와 비교하면 모음에서 e와 i, o와 u, ö와 ü가 서로 뒤바뀌어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가령 같은 킵차크어 계열인 카자흐어로는 kül(퀼)은 재를, köl(쾰)은 호수를 뜻하지만, 타타르어에서는 köl(쾰)이 재를, kül(퀼)이 호수를 나타내는 말이다. 참고로 타타르어에서 ы에 대응하는 전설모음은 и가 아니라 е이다.
카잔 지하철에는 타타르어가 각종 안내표지에 병기되고 있다.
4. 문학
타타르 문학의 아버지 중 한 명으로 불리는 '카윰 나스이리(Каюм Насыйри / Qayum Nasıyri, 1825년 2월 2일 ~ 1902년 8월 20일)'가 유명하다. 농촌 종교교사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카잔과 부하라의 마드라사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아랍어, 페르시아어, 우즈베크어를 공부했다. 러시아어는 독학으로 공부하였으며, 한동안 러시아 신학교에 비교종교학 강의를 하기도 했다. 1871년 신학교를 떠나 학교를 설립하고 자신의 교육관에 입각하여 이슬람 과목 뿐만 아니라 러시아어, 산수, 지리, 역사, 음악, 미술 등도 가르쳤다.[6] 이 외에도 타타르어로 된 러시아어 학습 교재와 타타르어-러시아어 사전을 저술하고 볼가 타타르인들의 구전 문학을 수집하여 기록한 등 엄청난 업적을 남겼다.5. 들어보기
타타르스탄 공영방송 뉴스 프로그램.
Tatarka의 Au.
6. 외부 링크
[1] 제2언어로 쓰는 사람도 포함.[2] 출처: ILoveLanguages![3] 크림 반도의 크림 타타르인은 볼가 타타르어와는 다른 크림 타타르어를 쓴다. 한편 우크라이나 서부 지역은 과거에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지배를 받았던 영향으로 립카 타타르인이 산다.[4] 새로운 (яңа) + 알파벳 (əлифба)[5]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식적인 표기법 자체는 존재한다.[6] 이슬람 근본주의에서는 음악과 미술을 금기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