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0년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1899년 | 1900년 | 1901년 | 1902년 |
1903년 | 1904년 | 1905년 | 1906년 | |
1907년 | 1908년 | 1909년 | 1910년 → | }}}}}}}}} |
서기 | 1902년 MCMII 千九百二年 | 一九〇二年 | |||
← 1901년 | 1903년 → | |||
태세 | 임인년 壬寅年 | |||
← 1842년 | 1962년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기타 기년법에 따른 표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대한제국 | 광무 6년 | ||
단기 | 4235년 | |||
불기 | 2446년 | |||
청 | 광서 28년 | |||
일본 | 메이지 35년 (황기 2562년) | |||
베트남 | 타인타이 14년 | |||
이슬람력 | 1319년 ~ 1320년 | |||
히브리력 | 5662년 ~ 5663년 | |||
페르시아력 | 1280년 ~ 1281년 | |||
에티오피아력 | 1894년 ~ 1856년 | |||
인류세력 | 11902년 | |||
탄소측정연대 | BP[1] 48년 | }}}}}}}}} | ||
<colbgcolor=#1d1e23,#3d3e42><colcolor=#fff> 밀레니엄 | 제2천년기 | |||
세기 | 20세기 | |||
연대 | 1900년대 | |||
양력 1902년 | 음력 1901년 11월 22일 ~ 1902년 12월 2일 | |||
음력 1902년 | 양력 1902년 2월 8일 ~ 1903년 1월 28일 | |||
일수 | 365일(평년) |
1. 개요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토요일부터 시작하는 달력의 경우 이 경우에 2월이 딱 4주로 떨어진다.이 해 대한제국에서는 콜레라가 대유행하였다.
2. 사건
2.1. 실제
- 1월 23일: 핫코다 산 참사가 일어났다.
- 1월 30일: 제1차 영일동맹이 체결되었다.
- 3월 6일: 레알 마드리드 CF가 창단되었다.
- 4월 26일: 뉴턴 히스 LYR F.C.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로 구단명이 바뀌었다.
- 5월 8일: 몽펠레 화산폭발이 일어나 3만명이 넘는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 5월 20일: 쿠바가 미국으로부터 독립하였다.
- 5월 31일: 제2차 보어 전쟁이 끝났다.
- 6월 2일 : 미국 펜실베이니아에서 15만명이 참가한 대규모 석탄 노동자 파업이 시작되었다. 이후 미국 정부는 10% 임금인상과 9시간 노동을 인정하였고, 이는 노사관계에 정부가 적극 개입하여 중재한 첫 사례가 되었다.
- 6월 16일: 호주에서 뉴질랜드에 이어 세계 2번째로 모든 성인여성에게 참정권을 부여하였다.
- 12월 22일: 인천 제물포에서 하와이 사탕수수 계약 노동자를 실은 선박이 첫 출항하였다. 공식적인 최초의 미국이민 시작이자[2] 미국 이민 역사의 첫 이정표가 되었다.
- 스페인 철학자 미겔 우나무노의 에세이 <국수주의에 관하여>(En torno al casticismo)가 출판되었다.
2.2. 가상
- 겁스 무한세계 관련
- 가고일과 관계된 모든 일들이 끝나고, 세계는 완전히 평화를 되찾는다. - 신비한 바다의 나디아
3. 탄생
3.1. 실제
- 1월 8일 - 게오르기 말렌코프: 소련의 서기장
- 1월 23일
- 2월 2일 - 호셉 사미티에르: 스페인의 축구 선수
- 2월 8일 - 데므치그돈로브: 내몽골의 칸
- 2월 11일 - 아르네 야콥센: 덴마크의 건축가
- 2월 25일 - 비르지니오 로세타: 이탈리아 왕국의 전 축구 선수
- 3월 12일 - 박열: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 3월 19일 - 마누엘 세오아네: 아르헨티나의 전 축구감독
- 3월 23일 - 윤봉춘: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 4월 25일 - 이관술: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 5월 22일 - 닐스 로시엔: 스웨덴의 전 축구 선수
- 5월 24일 - 요코미조 세이시: 일본 제국의 소설가
- 6월 3일 - 손양원: 한국의 개신교 목사, 한센병 환자들의 천사
- 6월 20일 - 정지용: 대한민국의 시인
- 6월 25일 - 지치부노미야 야스히토 친왕: 다이쇼 덴노와 데이메이 황후의 차남
- 7월 7일 - 박세영
- 7월 21일 - 채만식: 대한민국의 소설가
- 7월 29일 - 다비드 아레야노: 칠레의 전 축구 선수
- 8월 8일 - 폴 디랙: 영국의 물리학자
- 8월 22일 - 레니 리펜슈탈: 독일의 영화감독
- 9월 7일 - 김소월: 대한민국의 시인
- 9월 22일 - 존 하우스먼: 루마니아 왕국 태생의 영국, 미국의 배우
- 9월 23일 - 아야톨라 루홀라 호메이니: 이란의 혁명가, 독재자
- 10월 2일 - 레오폴트 피글 : 오스트리아의 전 총리, 대통령
- 10월 11일 - 츠지 마사노부: 일본의 군인, 자칭 작전의
병신 - 10월 14일 - 페테르 서보 가보르: 헝가리의 전 축구선수
- 10월 17일 - 나운규: 일제강점기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겸 영화감독
- 11월 12일 - 루디 피어틀: 오스트리아의 전 축구선수
- 11월 20일 - 잔피에로 콤비: 이탈리아의 전 축구선수
- 11월 24일 - 주요섭: 대한민국의 소설가
- 12월 5일 - 스트롬 서먼드: 미국의 정치인이자 사상 최초 100세 상원의원(최고령)
- 12월 16일 - 유관순: 조선의 독립운동가
- 12월 19일 - 랠프 리처드슨: 영국의 배우
- 12월 29일 - 한경직: 대한민국의 종교인
- 일자 불명
3.2. 가상
4. 사망
4.1. 실제
- 3월 30일 - 줄리어스 코흐: 독일 역사상 최장신(246cm~256cm)이자 배우.
- 4월 17일 - 프란시스코 데 아시스: 이사벨 2세의 부군
- 5월 13일 - 조지 플로이드 더켓: 영국의 육군 장교
- 9월 29일 - 에밀 졸라: 프랑스의 자연주의 소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