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마니아 왕국 Regatul României Kingdom of Romania | ||
국기 | 국장 | |
Nihil Sine Deo 하느님 없이는 아무것도 없다 | ||
상징 | ||
국가 | Trăiască Regele (루마니아어: 국왕 만세) | |
1914년 당시 루마니아 왕국 | ||
1939년 당시 루마니아 왕국 | ||
지도 | ||
1881년~1947년 | ||
성립 이전 | 멸망 이후 | |
몰다비아 왈라키아 연합공국 |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 |
지리 | ||
위치 | 왈라키아, 몰다비아 | |
수도 | 부쿠레슈티(1881~1916, 1918~1947) 이아시(1916~1918)[1] | |
인문환경 | ||
언어 | 루마니아어 | |
종교 | 루마니아 정교회(국교) | |
민족 | 루마니아인 | |
군대 | 루마니아 왕국군 | |
정치 | ||
정치체제 | 입헌군주제 전제군주제(1938~1940)[2] | |
국가원수 | 왕 | |
주요 국왕 | 카롤 1세 카롤 2세 미하이 1세 | |
주요 수상 | 이온 안토네스쿠 | |
경제 | ||
통화 | 루마니아 레우 |
[clearfix]
1. 개요
카롤 1세가 1881년 3월 13일에 즉위함으로서 생긴 왕국. 치열한 독립 전쟁 후에 독립하였으며, 프랑스를 모델로 삼았다고 한다.2. 역사
2.1. 독립 과정
근대에 이르러, 루마니아는 인접한 오스트리아 제국[3] 덕분에 발칸 국가들 중에서 가장 일찍 서구화된 사상을 받아들일 수 있었다. 그 결과 1848년 혁명의 물결 속에서 분열되어 반목하던 독일 연방과 이탈리아 반도가 통일을 지향하는 대세에 동참해 몰다비아 공국과 왈라키아 공국 역시 통일을 도모하기 시작하였고, 11년이 지난 1859년, 오스만 제국에게 러시아 제국이 패한 크림 전쟁의 뒷처리 과정에서 왈라키아와 몰다비아는 알렉산드루 이오안 쿠자를 공동 군주로 모시는 동군연합을 이루어 몰다비아 왈라키아 연합공국이 탄생하였다. 이후 1862년 루마니아 공국으로 재편되었다.쿠자는 열악한 상태의 루마니아를 근대화하기 위한 각종 개혁을 실시하였으나 토지 개혁에서 발목이 붙잡혀 1866년 쿠데타로 축출되었다. 축출된 쿠자의 뒤를 이어 카롤 1세[4]가 다음 군주로 추대되었다. 1877년 러시아 제국과 오스만 제국 사이에 제11차 러시아-튀르크 전쟁이 발발하자 카롤은 루마니아의 명목상 종주국이던 오스만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고 러시아 편을 들어 참전하여 승전국이 되었다. 그리고 1878년 같은 오스만의 속국이던 세르비아 공국, 몬테네그로 공국과 함께 독립을 얻었고 도나우강 하류의 북도브루자를 전리품으로 얻었다.
독립한 루마니아는 화약고 같은 발칸 정세 속에서 자연스럽게 전쟁에 뛰어들었다. 제1차 발칸 전쟁으로 얻은 마케도니아 지역을 둘러싼 세르비아와 불가리아의 갈등이 폭발, 제2차 발칸 전쟁으로 비화하자 불가리아와의 영토 분쟁 지역인 남도브루자를 노린 루마니아는 세르비아와 동맹을 맺고 불가리아의 뒤통수를 날렸다. 결국 패전한 불가리아는 루마니아에게 남도브루자[5]를 할양하는 굴욕을 당해야 했다. 이때 루마니아는 큰 체급[6]과 카롤 치세 대의 국력 신장으로 발칸 반도에서는 거의 프랑스급 국가로 인식되었다.
2.2. 제1차 세계 대전
발칸 전쟁 1년 후인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터지자 루마니아는 일단 중립을 유지했다. 독일 출신으로 친독일 성향을 가진 카롤은 내심 동맹국으로 참전하기를 바랐으나 전쟁이 터진지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하고 조카인 페르디난드 1세가 왕위를 이었다. 페르디난드는 숙부와 마찬가지로 독일 출신이었지만 가문보다 국익이 중요하다고 생각한 페르디난드는 루마니아인이 많이 사는 트란실바니아와 부코비나를 차지하기 위해 협상국으로 참전하는 것이 옳다고 여겼다. 때마침 러시아가 브루실로프 공세로 일시적으로 오스트리아-헝가리를 박살내자 이에 고무되어 1916년 9월 27일 오스트리아-헝가리에게 선전포고하고 트란실바니아를 침공하면서 협상국에 가입했다.그러나 루마니아군의 공세가 카르파티아산맥을 넘어가자마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에게 저지되고 호응하던 러시아군 역시 공세종말점으로 공세를 중지, 독일 제국이 서부 전선의 병력 일부를 빼어 동부 전선을 보강한 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 불가리아군과 함께 겨울의 휴지기를 틈타 침공해 오자 순식간에 수도 부쿠레슈티를 포함한 왈라키아와 도브루자 전체를 털려버리고 몰다비아만 남은 상황에서 러시아의 도움으로 어렵게 버텼으나 러시아 혁명으로 러시아마저 나가리되면서 결국 종전이 얼마 남지 않은 1918년 5월 7일 동맹군에 항복하며 독일과 오스트리아-헝가리가 루마니아를 반쯤 지배한다는 내용의 부쿠레슈티 조약을 맺었다.
물론 금세 동맹국이 패전한 덕에 루마니아는 부쿠레슈티 조약을 무효화함과 동시에 생제르맹 조약으로 부코비나[7]를, 트리아농 조약으로 트란실바니아를, 그리고 러시아 제국이 가지고 있던 베사라비아[8]를 얻어 국토가 엄청난 크기로 불어났다. 본래 ┘ 형태였던 국토가 정육각형에 가까운 모습이 된 것이 이 때며, 이 시기를 가장 루마니아가 영토[9]가 넓었던 시기로 기록하고 있다.[10]
1918-1940년의 루마니아 왕국의 영토.
2.3. 양 대전 간의 루마니아
제1차 세계 대전 직후 독립 국가 루마니아는 국가적 희망에 크게 부푼 나라로 등장하였다. 인구와 영토 면에서는 2배로 증가하였고, 이러한 새로운 지역은 산업과 자연적 요건, 자원에서 풍부하였다. 전후 철저히 실시된 토지 개혁은 농민층의 번영과 사회 안정의 기대를 불러일으켰다. 그러나 1930년대에 루마니아는 발칸 국가에서 유대인 배척 운동을 가장 격렬하게 일으켰으며, 유일하게도 대중적 파시스트 운동을 벌인 나라가 되었다.[11] 경제적 측면에서 역시 동일한 문제, 즉 농촌의 저생산성, 과잉 농촌 인구, 낮은 산업화 수준으로 인한 갈등을 가져오게 되었고, 정치적 측면에서는 야심가였던 국왕 카롤 2세의 농간으로 독재 정부가 수립되었으며, 국제 문제에 있어서도 1930년대에 들어서면서 독일과 소련 양측으로부터 감당할 수 없는 압력을 받게 되었다.2.4. 자유주의적 통치
최초의 루마니아 정치 제도는 서유럽의 제도를 본뜬 것이었다. 1866년에 채택된 헌법은 벨기에의 것을 본떠 수정된 것이었지만, 실제 루마니아 정치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한 것은 아니었다. 선거는 부패한 것이었고, 그 결과는 쉽게 조작되었을 뿐만 아니라 정부는 민중의 소원대로 정권에 머무른 것이 아니라 비밀스러운 정치적 타협에 의해서 형성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직후의 루마니아 정치에 있어서 가장 두드러진 사건은 보수당이 사라지고 민족 농민당이 탄생한 것이었다. 지주층의 이익을 대변하던 보수당은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친독일적 경향 때문에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대영지의 분할 때문에 타격을 입지 않을 수 없었다. 그 결과로 1922년에서 1928년 기간 동안 자유주의자들이 득세하였다가 1928년에서 1930년의 짧은 기간 동안 농민당이 정권을 잡았으나, 인근 발칸 반도 국가들의 경우처럼 1930년에 거의 모든 정당은 해체되고 독재의 길을 걷게 되었다. 카롤 2세의 독재는 1940년에 그 절정에 다다랐다.사실, 전후 자유주의자들이 루마니아 정치를 주도할 수 있었던 것은 그들이 협상국을 지지하였고, 국왕 페르디난드 1세가 협상국의 신임을 받았기 때문이었다. 처음에는 군부 출신인 아베레스쿠(Averescu) 장군을 수상으로 임명하여 토지 개혁과 대규모의 파업(Strike)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받았으나, 파업이 유혈 사태 후 진압되자 자유주의자들은 장군을 해임시키고 자유주의자 계통의 이온 브러티아누(Ion Brătianu)를 수상으로 대치하였다. 루마니아의 자유당이 정권을 오래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이들이 민중의 광범위한 지지를 받았기 때문이 아니라 왕이 그들을 후원했기 때문이며, 야당이 분열되어 있었고, 대체로 선거 조작과 탄압적 경찰력에 의존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집권 기간 동안 언제나 농민당의 강한 반대와 부딪혀 싸워야 했다.
신정부는 선거 후 1923년 헌법을 채택하여 루마니아 왕국이 중앙집권적 국가임을 선포하였다. 이는 새로 통합된 모든 지역에서의 분리주의 경향을 거부할 것임을 뜻하였는 바, 가장 강한 반발은 트란실바니아(Transylvania)에서 나왔다. 특히, 이 반대는 부쿠레슈티 은행들이 이 지역의 산업계를 통제하려는 데서 더욱 커지게 되었다. 이 반대파에서 민족 농민당이 결성되었는데, 이것은 트란실바니아의 민족당과 구 왕국의 농민당이 융합된 것으로서, 그 지도자는 이울리우 마니우(Iuliu Maniu)였다. 페르디난드 1세의 죽음 이후 이들 농민당이 새 정부를 구성할 수 있으리라는 희망을 가지게 되었다. 부쿠레슈티에서 격렬한 시위 끝에 섭정들은 굴복하여 농민당이 새 정부를 구성하고 선거를 주재할 수 있게 양보하였다. 이때가 루마니아 역사에 있어서 가장 자유로운 정치 시기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2.5. 농민당의 집권
그러나 마니우 정부는 전후 루마니아의 농업 문제를 해결하지 못함으로써 농민층에게 큰 실망을 가져다 주었다. 처음에 그는 수출 농산물의 과중한 수출세를 철폐하고 국내 곡가를 올리면서 조합의 운용을 장려하였다. 또, 재분배받은 토지 매매를 허락하는 법률을 시행하였는데, 이로써 토지 집중 현상이 다시 일어나고 중산층 농민 계급이 생겨나게 되었다. 그러나 동시에 다수 농민들은 붕괴하고 농업 프롤레타리아로 전락하였다. 1930년에 찾아든 세계 대공황은 마니우 정부가 농산물 가격을 올려 농민을 보호하려는 계획을 좌절시켰으며, 농민 보조금을 충당하기 위한 각종 계획에 자금을 구할 수 없게 만들었다. 농민당이 외자 도입을 결정함으로써 농민층에 가한 국내 산업화의 부담을 완화하였으나, 대신 정부의 상당수 요인들이 서유럽 세계와의 암흑 거래에 연루되기 시작하였다. 설상가상으로 1928년의 수확은 흉작이었고 곡물 수출은 크게 뒤떨어졌다. 그런 와중에 카롤 왕자는 왕권을 요구하면서 섭정단과 왕위에 올라 있던 자신의 아들의 퇴위를 요구하였다.마니우의 실패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으나, 경제 정책, 특히 농업 정책에서 실패한 것 이외에 '루마니아 민족 농민당' 자체의 성격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민족 농민당은 트란실바니아의 민족당과 구 왕국의 농민당이 결합한 것이었는데, 트란실바니아 민족당은 농민당보다 훨씬 더 민족주의적인 색채가 농후하였고, 주로 마자르(Magyar) 지주층에게 적대적이었다. 이에 반해 농민당은 부르주아적인 자유주의자들을 지배층 이익의 대변자라고 비난하였다. 다시 말하여 농민당은 횡적인 조직이었으나, 민족당은 종적인 조직이었다. 이와 같이 2개의 상이한 집단의 융합은 필연적으로 정강의 모호함과 분열의 가능성을 내포하였던 것이다.
2.6. 카롤 2세의 정권 장악
카롤 2세는 정치적 권모술수가 뛰어난 인물이었다. 그는 각 정당 간의 불화를 조작하여 분열을 일으키게 한 후, 다시 하나씩 분쇄하였다. 농민당이 내분으로 흔들리고 있을 동안 그는 상당수의 젊은 농민 지도자를 끌어들여 마니우에게 등을 돌리게 하였다. 이 방법을 자유당에게도 적용하여 브라티아누를 고립시켰다. 농민당 정부의 몰락 후, 자유주의자들이 내각을 형성하고 있을 때, 파시스트 조직인 철위대가 급속도로 성장하였다. 이 새로운 움직임은 발칸 반도에서 유일하게 민중적인 지지를 얻었다. 철위대의 성공의 이유 중 하나는 루마니아가 슬라브인에게 둘러싸여 있는 도중에 느낀 소외감에서 비롯된 인종적 민족주의의 발생 때문이었다. 게다가 위협적인 공산 국가인 소련의 팽창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더욱 가중되었다.이 같은 파시스트적 운동을 위해서는 반유대주의가 절호의 분위기를 조성해 주었다. 공황에서 온 타격으로 절망감에 빠진 많은 루마니아 인들은 구 정당에서 돌아서서 철위대를 지지하였다. 카롤 2세는 은밀히 철위대의 성장에 상당한 자금을 대었다. 철위대의 창시자는 코르넬리우 젤레아 코드레아누(Corneliu Zelea Codreanu)로서, 1930년대에 들어와서 민중들에게 갖은 선전으로 그 지지를 확보하였다. 먼저 그는 기존 직업 정치가들의 실정에 종지부를 찍고 행정직 부패를 일소하며, 인기 없는 유대계 중산층을 제거하며, 모든 농민들에게 토지를 분배할 것을 약속하였다. 많은 루마니아 유권자들은 그의 약속에 현혹되었고, 과격한 젊은 학생 조직이 파시스트 대중 운동에 비례하여 성장하였다.
이리하여 루마니아의 기존 정당의 서열이 무너지고 군소 정당 간의 파벌 싸움이 계속되자, 카롤 2세는 의회 정치의 무능함을 핑계삼아 군주 독재정을 수립할 것을 선언하였다. 그는 1933년 헌법을 폐지하고 1938년 2월에 조합주의 헌법을 선포하였다. 이 새 문서는 그의 특권을 크게 부각시켰으며, 철위대를 비롯한 각 정당에게는 아무런 역할도 허락하지 않았다. 대신 민족 재건 전선이라는 그 자신의 조직을 만들어 권력 행사의 도구로 삼았다.
그러나 카롤 2세의 주위에는 무능하고 무정견한 정치가들밖에 남아 있지 않았다. 국제 정세가 나날이 위험해져 가고 있을 무렵에도 그의 부하들은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몰랐다. 덕분에 파시즘의 광풍으로 국가적 위기가 도래했을 때도 국민들의 응집력과 사기는 매우 낮았다.
2.7. 제2차 세계 대전
추축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cc | <colcolor=#fff> | 국가 | 지도자 |
유럽 | <colbgcolor=#838383,#191919> 나치 독일 | 아돌프 히틀러 · 헤르만 괴링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에리히 레더 · 빌헬름 카이텔 · 하인리히 힘러 이탈리아 왕국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 베니토 무솔리니 · 피에트로 바돌리오 살로 공화국 | 베니토 무솔리니 헝가리 왕국 | 호르티 미클로시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 살러시 페렌츠 루마니아 왕국 | 미하이 1세 · 이온 안토네스쿠 불가리아 왕국 | 보리스 3세 · 시메온 2세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 요제프 티소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 | 에밀 하하 비시 프랑스 | 필리프 페탱 크로아티아 독립국 | 안테 파벨리치 · 토미슬라브 2세 노르웨이 크비슬링 정권 | 비드쿤 크비슬링 모나코 공국 | 루이 2세 세르비아 구국정부 | 밀란 네디치 바르다르 마케도니아 | 이반 미하일로프 러시아 인민해방위원회 | 안드레이 블라소프 로코트 자치국 |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 벨라루스 중앙 라다 | 라다슬로 아스트로스키 핀란드 | 그리스국 | 알바니아 왕국 | 핀도스 공국 | 류블랴나 주 | 덴마크 보호령 | |
아시아 | 일본 제국 | 쇼와 천황 · 고노에 후미마로 (전쟁 이전) · 도조 히데키 · 고이소 구니아키 · 스즈키 간타로 만주국 | 아이신기오로 푸이 · 장징후이 몽강연합자치정부 | 데므치그돈로브 · 운왕 왕징웨이 정권 | 왕징웨이 · 천궁보 자유 인도 임시정부 | 찬드라 보스 베트남 제국 | 바오다이 황제 캄보디아 왕국 | 노로돔 시아누크 버마국 | 바 우 필리핀 제2공화국 | 호세 라우렐 라오스 왕국 | 시사방봉 이라크 왕국 | 태국 | |
이념 | 파시즘 · 전체주의 · 권위주의 · 군국주의 · 반공주의 | |
영토 확장 계획 | 레벤스라움 · 이탈리아 이레덴타 / 스파치오 비탈레 · 대동아공영권 | |
전쟁 도중 연합국으로 전향 간접적 지원 및 여부 논란 나치 독일의 괴뢰국 / 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 일본 제국의 괴뢰국 | ||
}}}}}}}}}}}}}}} |
1941년 루마니아 왕국의 영토
영토 문제는 1940년에 재발했다. 루마니아는 전쟁 발발 이후 영국과 프랑스에게 기대를 걸었고 폴란드에 가담할 생각이었으나 폴란드의 패망과 프랑스의 패전으로 루마니아도 불리한 형국에 놓인다. 심지어 독소 불가침조약을 맺고 한창 땅따먹기에 열을 올리던 소련의 침공으로 베사라비아를 반환하며 북부 부코비나까지 얹어줘야 했다. 결국 독일의 압박 끝에 헝가리, 불가리아와 추축국에 가담하게 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크라이오바 조약으로 남부 도브루자를 또 불가리아에 넘겨줘야 했고, 뒤이어 연합국에 우호적이었던 루마니아를 징벌하려는 나치 독일의 강압적인 중재(제2차 빈 중재)로 북부 트란실바니아까지 헝가리에 넘겨줘야 했다.[12]
결국 혼란한 사정에 1940년 9월 14일 쿠데타가 터져 권력을 잡은 이온 안토네스쿠 장군은 철위대와의 협상을 통해 카롤 2세를 퇴위시키고, 미하이 1세를 복위시킨다. 안토네스쿠는 국민군단국가(Statul National Legionar)[13]를 선포하고, 독일의 종으로 변신해 플로이에슈티 유전의 기름을 무상으로 퍼주는 것뿐만 아니라 바르바로사 작전으로 독일이 소련 침공을 개시하자 자국 병력을 대량으로 파견해 독소전쟁 내내 독일 국방군과 함께 소련군에 맞서 싸웠다. 그래서 한 때는 소련에게 빼앗겼던 베사라비아와 북부 부코비나를 수복하기도 했다.
안토네스쿠의 루마니아는 더 나아가 트란스니스트리아와 오데사, 미콜라이우를 비롯한 남부크강 서쪽의 소련 영토를 루마니아 영토로 병합하고 나치의 홀로코스트에 가담하여 전쟁터에서 유대인 등 소수민족 집단들에 대한 학살을 벌였다. 전쟁의 장기화로 병력들의 피로와 염전 현상이 심화되자 루마니아군은 소련 점령지의 민간인들을 상대로 많은 학살과 약탈을 자행했다. 스탈린그라드 전투 이후 승리의 가능성이 점점 낮아졌는데도 루마니아군은 대체로 전선을 사수했다. 전쟁에서 패배한다면 소련군의 보복으로 그동안 독일과 함께 소련 땅에서 저지른 범죄에 대한 대가를 처절히 치를 것이라는 두려움 때문이었다.
소비에트 군사정보국은 루마니아 제3군, 제4군의 상태에 대해 고무적인 보고서를 작성했다. 심문을 통해, 루마니아 징집병 사이에 '조국을 독일에 팔아버린 안토네스쿠 원수를 향한 증오가 만연해 있음이 드러났다. 사병 한 명이 하루에 지급받는 돈은 '우유 1리터를 살 수 있는 정도'에 지나지 않았다. 장교들은 사병들을 매우 거칠게 대했고, 구타할 때도 많았다. ... 독일 군대가 이들에게 자주 모욕적인 언행을 하면서 분란이 일어났고, 루마니아 군인들은 동료 두 명을 사살한 독일군 장교를 살해했다. NKVD의 포로 심문에서는 또한 루마니아군 소속 군인들이 스탈린그라드 서남쪽에 위치한 마을 곳곳에서 여성들을 닥치는 대로 강간하고 있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제2차 세계대전 / 앤서니 비버
제2차 세계대전 / 앤서니 비버
전쟁 기간 동안 전차 생산과 연구 능력에서는 추축국 내에서 가장 떨어지는 편에 속했다. 루마니아는 노획한 전차를 개조한 자주포 제작 이외에는 이렇다 할 자체 생산 기갑차량이 없었다. 2천만명에 달하는 주변국보다 우월한 인구수를 바탕으로 1941년 68만명을 동원한 것을 시작으로 전쟁 말기였던 1944년에 최대 122만명을 동원하는 등 추축국 내부에서는 양적으로 독일, 일본, 이탈리아 바로 다음인 4위였다. 동부전선에서는 독일 바로 다음가는 병력이자 독일을 제외한 나머지 추축 동맹국들의 파견 병력을 합친 것보다 더 많은 병력을 동원했다. 산업의 낙후성 때문에 만성적인 무기와 차량 부족 문제로 루마니아군의 전투력은 분전에도 불구하고 장비보단 인력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독일이 완전히 수세에 몰리고, 1944년 루마니아 본토로 소련군이 밀어닥치자 국왕 미하이 1세가 쿠데타를 시도해 정부가 전복, 추축국 전투서열에서 사라진지 몇 주 되지 않아 소련군 전투서열에 등장, 헝가리, 오스트리아, 체코슬로바키아 축선에서 소련군을 보조하였고 막대한 인명손실을 냈다. 하지만 종전 후 루마니아는 패전국으로 분류되었고, 소련의 위성국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독일에 그렇게나 충성하여 50만이 넘는 사망자를 냈지만 루마니아에게 돌아온 대가는 피폐한 국토였다. 그나마 헝가리에 빼앗겼던 북부 트란실바니아만큼은 전후 제2차 빈 중재가 무효화되며 되찾을 수 있었다.[14]
2.8. 공산화
1946년 치러진 의회 선거에서 루마니아 공산당이 70%의 의석을 차지했고, 이에 따라 1947년 12월 30일에 왕정 폐지가 결정되어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이 된다.3. 왕사
- 호엔촐레른 왕조 (슈바벤계)
4. 국가
Trăiască Regele(국왕 만세)가 루마니아 왕국의 국가였다. 이는 1947~1948년 루마니아 인민공화국이 건국되면서 폐지되었다.루마니아어 | 한국어 번역 |
1절 | |
Trăiască Regele În pace și onor De țară iubitor Și-apărător de țară. | 국왕 만세, 평화와 명예에! 그의 나라를 사랑하며, 그리고 방어하며! |
Fie Domn glorios Fie peste noi, Fie-n veci norocos În război. | 그가 영광스러운 군주이기를, 그가 우리 위에 군림하기를, 그에게 영원한 행운이 있기를, 전쟁에서! |
O! Doamne Sfinte, Ceresc părinte, Susține cu a Ta mână Coroana Română! | 오! 신성한 군주시여, 우리 하늘같은 아버지시여, 당신의 손으로 들어주시오, 루마니아의 왕관을! |
2절 | |
Trăiască Patria Cât soarele ceresc, Rai vesel pământesc Cu mare, falnic nume. | 조국 만세, 해가 하늘에 떠 있는 동안! 즐거운 지상낙원이여, 크고 높은 이름을 가진! |
Fie-n veci el ferit De nevoi, Fie-n veci locuit De eroi. | 그가 영원히 구제되기를, 필요할 때에, 그가 영원히 구성되기를, 영웅들으로! |
O! Doamne Sfinte, Ceresc Părinte, Întinde a Ta mână Pe Țara Română! | 오! 신성한 군주시여, 우리 하늘같은 아버지시여, 당신의 손으로 연장하소서, 루마니아의 땅 위에! |
5. 매체에서의 등장
- 문명 5: 모드로 구현되어 있다. 지도자는 카롤 1세로 고유 유닛 바나토르(Vanator)는 기관총을 대체한다.출처
- 문명 6: 모드 문명으로 구현되어 있다. 지도자는 블라드 가시공으로 고유 유닛은 5편 모드 문명에서 나온 바나토르(바나토리).#
- 하츠 오브 아이언 시리즈: 해당 시리즈의 최신작인 하츠 오브 아이언 4에서 Death or Dishonor DLC를 구매해야 고유 중점이 해금되었다. 2024년 해당 DLC가 본편과 통합되면서 본편만 구매해도 고유 중점을 사용할 수 있다. 시작시 지도자는 카롤 2세로 설정되어 있으며, 그의 암군스러운 행적이 이벤트로 구현되어 있다. 인게임 공략에 대해서는 항목 참조.
- 빅토리아 3: 몰다비아, 왈라키아가 형성할 수 있는 국가로 등장한다. 인게임 공략에 대해서는 항목 참조
[1]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부쿠레슈티가 동맹국에게 함락되자 동맹국에게 항복하기 전까지 임시수도였다.[2] 카롤 2세 시기 잠깐 전제군주제 국가가 되었다.[3] 오스트리아 제국 산하 트란실바니아 대공국은 본래 헝가리 왕국 영토로 기득권층은 헝가리인, 세케이인, 독일인이었으나 루마니아인 농노 인구가 절반을 넘어갔다. 또한 부코비나 공국은 원래 몰다비아 공국의 영토였다.[4] 독일을 통일한 프로이센 왕국 호엔촐레른 가문의 슈바벤계 분파다. 즉, 독일 태생 국왕으로 이후 루마니아의 친 독일적 성향에 큰 영향을 끼쳤다.[5] 한국어 위키백과의 관련 문서, 영어 위키백과의 관련 문서 참조.[6] 다른 발칸 국가들과 비교할 때 1914년 기준 몬테네그로가 50만 명, 알바니아가 80만 명, 세르비아와 그리스가 450만 명, 불가리아가 480만 명일 때 루마니아는 770만 명으로 발칸 국가들 중에서 가장 인구가 많았다.[7] 북부 부코비나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우크라이나 영토로 넘어간다. 현재의 체르니우치주의 서쪽 절반 정도. 남부 부코비나는 오늘날의 수체아바주.[8] 동맹국이 루마니아랑 부쿠레슈티 조약을 체결하는 대신 반대급부로 루마니아한테 대충 던져준 것인데 전후 협상국도 마찬가지로 루마니아의 베사라비아 영유를 인정하면서 한동안 루마니아 영토가 되었다. 하지만 러시아 제국 멸망 이후 들어선 소련은 루마니아의 베사라비아 영유를 인정하지 않고 베사라비아의 영유권을 주장했으며 결국 제2차 세계 대전 때 소련이 다시 뜯어낸다.[9] 약 13만 km²에서 295,649km²가 되었다. 현재는 238,397km².[10] 당장 위의 지도만 봐도 옆의 유고슬라비아는 물론이고 심지어 위쪽 폴란드에게도 꿀리지 않는 위엄을 자랑한다.[11] 농민, 지주, 노동자, 기업가 등 당시 루마니아 국민의 상당수가 계급을 막론하고 대천사 미카엘 군단을 지지할 정도로 루마니아의 상황은 혼란스러웠었다.[12] 다만 헝가리는 트란실바니아 전역을 노렸기 때문에 중재에 불만이 많았다고 한다.[13] 그러나 1941년 안토네스쿠와 철위대의 갈등이 심화되면서 철위대가 반란을 일으켰고, 안토네스쿠가 이를 진압하여 국민군단국가는 해체된다. 하지만 안토네스쿠의 독재는 1944년까지 계속된다.[14] 남부 도브루자는 소련이 아닌 불가리아에게 빼앗긴 땅임에도 돌려받지 못했다. 아마 소련의 의중이 반영된 듯 한데, 추축국임에도 소련과 적극적으로 적대하지 않은 불가리아와는 달리 수십만 대군을 보내 소련과 3년 넘게 싸운 루마니아가 소련에게 좋게 보일 리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