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 != null
문서의 [[https://namu.wiki/acl/루마니아인|{{{#!html <span style="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을 확인하세요.
로망스계 민족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민족 | ||
<colbgcolor=#fafafa,#1a1a1a> 서로망스 | 이베리아 로망스 | 스페인인 (카스티야인 | 갈리시아인 | 레온인 | 아라곤인 | 아스투리아스인) | 포르투갈인 | 모사라베인 † | |
오크로망스 | 남부 프랑스인 (옥시타니인) | 카탈루냐인 | ||
갈로로망스 | 북부 프랑스인 | 노르만인 | 왈롱인 | 프랑스계 스위스인 | ||
레토로망스 | 로망슈인 | 라딘인 | 프리울리인 | ||
갈로이탈리아 | 북부 이탈리아인 | 이탈리아계 스위스인 | 산마리노인 | ||
이탈리아달마티아 | 중남부 이탈리아인 | 코르시카인 | 달마티아인 † | ||
동로망스 | 루마니아인 (몰도바인) | 아로마니아인 | 메글레노루마니아인 | 이스트로루마니아인 | ||
남로망스 | 사르데냐인 | 아프리카 로마인 † | ||
지역 | |||
유럽의 로망스계 국가 | |||
유럽 외 로망스어권 지역 | |||
자치 지역 및 다수 거주지 | |||
언어 및 문화 | |||
언어 | 라틴어 | 로망스어군 | 로마자 | ||
신화 | 그리스 로마 신화 | 로마 신화 | ||
사상 | 범라틴주의(라틴 연합)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D1D1D,#e2e2e2 | <colcolor=#fcd116><colbgcolor=#ce1126> 상징 | <colcolor=#000,#fff>국가 · 국호 · 국기 · 국장 |
역사 | 역사 전반 · 로마 제국 · 다키아 · 왈라키아 공국 · 몰다비아 공국 · 몰다비아 왈라키아 연합공국 · 루마니아 왕국 ·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 |
정치 | 정치 전반 · 루마니아 대통령 · 루마니아 총리 · 루마니아 의회(루마니아 원로원 · 루마니아 대의원) | |
외교 | 외교 전반 · 유럽연합 | |
경제 | 경제 전반 · 루마니아 레우 | |
교통 | 헨리 코안더 국제공항, 부쿠레슈티 아우렐블라이쿠 국제공항, 철도 환경 · 부쿠레슈티 지하철 | |
국방 | 루마니아군 · 육군 · 해군 · 공군 · NATO | |
문화 | 문화 전반 · 요리 · 루마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 루마니아 정교회 | |
언어 | 루마니아어 · 라틴 연합 · 프랑코포니 | |
사회 | 루마니아 마피아 · 행정구역 | |
민족 | 루마니아인(헝가리계 · 독일계 · 러시아계) · 루마니아계 미국인 · 루마니아계 우크라이나인 · 루마니아계 러시아인 · 루마니아계 캐나다인 |
- Romanians.
- Vlachs.(역사적)
1. 개요
|
동유럽(중유럽과 남유럽)에 거주하는 라틴계 민족이다. 루마니아에 1천 6백만여 명, 몰도바에 2백만 여명이 거주하며, 이웃국가 우크라이나에 40만여 명, 세르비아에 6~7만여명이 거주한다. 이 외에도 알바니아, 불가리아, 북마케도니아, 그리스, 튀르키예에 전통적인 루마니아인 공동체가 존재한다.
1990년 이후로 더 높은 임금과 풍요로운 삶을 위해 해외이민을 가는 경우가 많아 같은 로망스어권인 스페인에 90만여 명, 이탈리아에 140만여 명 가까이 루마니아계 이민자들과 그 후손들이 거주하고 있으며, 영국에도 40만여 명, 독일에는 113만여 명의 이민자와 그 후손들이 거주하고 있고 그외에도 미국, 캐나다, 러시아, 카자흐스탄에도 루마니아인, 몰도바인들이 거주하고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독일계 루마니아인들도 경제적인 풍요를 찾아 대부분 독일로 이주해버려서 남아있는 독일계 인구는 5만명에도 못미칠 정도이다. 또한 해외이민은 활발한데 출산율은 별로 높지 않다보니 루마니아 시골과 중소도시에 빈집이 넘쳐날 정도로 인구감소로 심각한 골머리를 앓고 있다. 합계 출산율 자체는 1.7명대로 유럽에서도 비교적 높은 수준이지만, 인구유출이 이를 상쇄하고 있다는 것이다.
슬라브족이 가득한 동유럽에서 특이하게도 루마니아인들은 라틴계 민족에, 언어도 라틴계 언어를 쓴다. 로마 제국이 지금의 루마니아 일대인 다키아에 로마군을 파견하면서 이 일대에 로마인들이 존재했으나 얼마 안 되어 이동해온 게르만들에 의해 로마인들은 전부 철수하였다. 하지만 로마인들이 쫓겨나고 다키아에 들어온 게르만인과 슬라브인들이 다른 슬라브 국가들과는 다르게 라틴어 사용을 더 많이 하였고 루마니아 지역에 비잔틴 제국의 영향도 다른 곳보다 많았기 때문에 스페인, 프랑스와 마찬가지로 루마니아인들은 로망스어군, 동부 라틴어를 사용하는 라틴어계이다.
하지만 루마니아인들 스스로를 제외한 유럽의 대다수 민족들은 이들을 '블라흐(Vlach)'라고 불렀는데 이는 원시 게르만어 발하즈(Walhaz)에서 유래한 단어[1]로 원래 '발하즈'는 이방인이라는 뜻으로 켈트족을 가리키는 단어였으나 게르만족이 접한 로마 제국의 로마화된 켈트족, 나아가 로망스어군 언어를 구사하는 사람들 전체를 가리키게 되었는데 루마니아인들이 주로 거주하는 남동유럽 일대에서 로망스어군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루마니아인들 밖에 없었기에 이들을 가리키는 단어로 '발하즈'의 변형인 '블라흐'가 자리잡게 되었다.그래서인지 동유럽에 위치하고 있으면서도 로망스어를 사용하는 나라들에 심정적으로 동조하고 있다.
루마니아인들이 현재 라틴계 언어를 사용하지만 대이동하는 게르만들에 의해 로마인들이 로마로 전부 철수하고 게르만, 슬라브 등이 루마니아에 정착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외모가 슬라브 및 게르만과 비슷하다. 하지만 이것은 갈라티아어가 로망스어군이지만 갈라티아인들이 그리스인 외모와 거의 비슷한 것과 유사한 사례다.
공산권 붕괴 이후 인구 유출이 극심했던 루마니아였지만 2020년 코로나 19 범유행 이후 서유럽(특히 영국)에서 루마니아로 귀환한 루마니아인 인구가 무려 130만여 명에 달한다고 한다.# 여기에는 코로나 19 외에도 브렉시트 같은 요인도 적지 않았다.
이탈리아에 루마니아계 이민자들이 많이 사는데, 이에 대해서는 고향으로 돌아온 로마인들이라는 우스갯소리도 있다.
루마니아인들은 어족이 같은 여타 유럽인들과 마찬가지로 영어를 좀 잘하는 편이다.
2. 종교
종교적으로는 루마니아 정교회를 믿는 비중이 높은 편이다. 그 외에 정교회 전례의 동방 가톨릭 교회인 루마니아 그리스 가톨릭을 믿는 이들도 있으며, 루마니아계 유대인들도 있다. 오스만 제국 치하에서 이슬람교로 개종한 루마니아인의 후손들은 이슬람교를 믿기도 한다.3. 작명
작명에서 스페인인들처럼 성씨 앞에 데(de)가 붙는 경우가 존재한다. 또 ~스쿠(-scu)로 끝나는 성씨가 많은 것도 특징4. 루마니아인의 국가(지역)
4.1. 과거
- 왈라키아 공국
- 몰다비아 공국
- 부자크
- 트란실바니아 공국[2]
- 트란실바니아 대공국[3]
- 부코비나 공국
- 베사라비아
- 몰다비아 왈라키아 연합공국
- 루마니아 왕국
- 몰다비아 민주 공화국
-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4.2. 현재
5. 디아스포라
6. 출신 인물
-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
- 게오르게 드라고미르
- 게오르게 하지
- 나디아 코마네치
-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 다비드 포포비치
- 라몬 가스파르
- 로베르트 룹사
- 마리우스 마린
- 미하이 에미네스쿠
- 블라드 가시공
- 비르질 게오르기우 - 소설 25시 작가이다.
- 세바스찬 스탠 - 현재의 국적은 미국이다.
- 슈테판 3세
- 아드리안 무투
- 안드레이 드라고미르
- 안드레이 파스쿠
- 에네스 살리
- 엘레나 차우셰스쿠
- 이아니스 하지
- 이오시프 이바노비치
- 이온 안토네스쿠
- 제오르제 에네스쿠
- 치프리안 타타누사누
- 카롤 2세, 미하이 1세 부자
- 크리스티안 문지우
- 페트레 두미트레스쿠
- Roxen
- 루파스쿠 미하이
7. 대중매체
7.1. 한국 작품
- 두치와 뿌꾸 - 큐라, 큐라의 아버지, 큐라의 어머니, 큐라의 외삼촌
- 안녕, 프란체스카 - 프란체스카, 소피아, 엘리자베스, 켠, 안드레 대교주, 빅토리아, 그 이외의 여러 트란실바니아 출신 흡혈귀들[5]
- 퇴마록 - 코제트, 그라쉬, 크로커스
7.2. 일본 작품
- 바이오하자드 빌리지 - 알치나 드미트리스쿠: 흡혈귀 캐릭터인데 성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루마니아계 귀족 인물이다.
- 악마성 시리즈 - 벨몬드 일족, 마리아 라넷드, 사이파 베르난데스, 그랜트 다나스티, 샤노아, 알버스, 마티어스 크론크비스트(드라큘라 블라드 체페슈), 아드리안 파렌하이츠 체페슈/알루카드, 맥심 키신, 리날도 간돌피, 발터 베른하르트, 요아힘 암스터
- 쥬로링 동물탐정 - 하토리 카논, 하토리 미사 : 블러드니아라는 가상의 국가에서 왔다. 블러드니아는 루마니아를 본뜬 나라로 블러드니아어도 루마니아어에서 소재를 따왔다.
- 탑블레이드 - 블러드, 하울링
- 헬싱 - 아카드
- D.Gray-man - 알레이스터 크로울리 3세[6]
7.3. 미국 작품
7.4. 기타 국가 작품
- 영국 작품
- 드라큘라 - 드라큘라 백작, 드라큘라의 세 신부 : 아마 가장 유명한 루마니아 출신 캐릭터일 것이다. 다만 소설이 발표될 당시 트란실바니아 지역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을 구성하는 헝가리 영토였다.[8]
8. 둘러보기
남유럽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스페인인 | 포르투갈인 | 바스크인 | 이탈리아인 | 루마니아인 | |
불가리아인 | 그리스인 | 알바니아인 | 튀르키예인 | 슬로베니아인 | ||
크로아티아인 | 세르비아인 | 몬테네그로인 | 마케도니아인 | 보스니아인 | ||
몰타인 | 보슈냐크인 | 세케이인 | 산마리노인 | 사르데냐인 | ||
※ 현존 민족만을 표기 | ||||||
※ 다른 지역·국가의 민족 둘러보기 | }}}}}}}}} |
중부유럽인·동유럽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체코인 | 슬로바키아인 | 헝가리인 | 폴란드인 | 독일인 | |
러시아인 | 우크라이나인 | 벨라루스인 | 코미인 | 우드무르트인 | ||
셀쿠프인 | 카렐인 | 사미족 | 마리인 | 모르드바인 | ||
칼미크인 | 카라임 | 세케이인 | 집시 | 가가우즈인 | ||
타타르인 | 루신인 | 소르브인 | 몰도바인 | 카슈브인 | ||
오스트리아인 | 바시키르인 | 추바시인 | 크림 타타르인 | 러시아계 우크라이나인 | ||
러시아계 폴란드인 | 고려인 | |||||
※ 현존 민족만을 표기 | ||||||
※ 다른 지역·국가의 민족 둘러보기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D1D1D,#e2e2e2 | <colcolor=#ffd200><colbgcolor=#cc092f> 상징 | <colcolor=#000,#fff>국가 · 국기 |
역사 | 역사 전반 · 로마 제국 · 다키아 · 왈라키아 공국 · 몰다비아 공국 · 몰다비아 왈라키아 연합공국 · 루마니아 왕국 · 소련(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
정치 | 정치 전반 | |
외교 | 외교 전반 · 몰도바 여권 | |
경제 | 경제 전반 · 몰도바 레우 | |
국방 | 몰도바군 | |
문화 | 문화 전반 · 요리 · 몰도바 축구 국가대표팀 · 루마니아어 | |
민족 | 몰도바인(러시아계) · 루마니아계 미국인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5px 0" | ※ 2006년 루마니아 공영방송 TVR이 루마니아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가장 위대한 루마니아인 100명'을 선정 | ||||||||
TOP 10 |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슈테판 3세 | 카롤 1세 | 미하이 에미네스쿠 | 미하이 2세 | 리하르트 부름브란트 | |||||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이온 안토네스쿠 | 미르체아 엘리아데 | 알렉산드루 이오안 쿠자 | 콘스탄틴 브랑쿠시 | 나디아 코마네치 | |||||
11위~100위 | |||||||||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 블라드 3세 | 조지 비칼리 | 헨리 코안더 | 게오르게 하지 | |||||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이온 루카 카라지알레 | 니콜라에 이오르가 | 콘스탄틴 브랑코비아누 | 제오르제 에네스쿠 | 그레고리안 비볼라루 | |||||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미렐 러도이 | 코르넬리우 젤레아 코드레아누 | 니콜라에 티툴레스쿠 | 페르디난드 1세 | 미하이 1세 | |||||
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데케발루스 | 트라이안 버세스쿠 | 게오르그 뮤레산 | 이온 I. C. 브라티아누 | 러즈반 루체스쿠 | |||||
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니콜라에 파울레스쿠 | 이울리우 마니우 | 이울리우 호수 | 에밀 시오랑 | 아브람 이안쿠 | |||||
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부레비스타 | 에든버러의 마리 공녀 | 페트레 투테아 | 코르넬리우 코포수 | 아우렐 블라이쿠 | |||||
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이오시프 트리파 | 니키타 스터네스쿠 | 이온 크레안거 | 마델리나 마놀 | 코르넬리우 바딤 투도르 | |||||
46위 | 47위 | 48위 | 49위 | 50위 | |||||
트라이안 부이아 | 루치안 블라가 | 조지 에밀 퍼레이드 | 아나 아슬란 | 아드리안 무투 | |||||
51위 | 52위 | 53위 | 54위 | 55위 | |||||
플로린 피에르시크 | 미하일 코갈리차누 | 야노스 코뢰시 | 디미트리에 칸테미르 | 일리에 너스타세 | |||||
56위 | 57위 | 58위 | 59위 | 60위 | |||||
게오르그 잠피르 | 기카 페트레스쿠 | 엘리사베타 리제아 | 불라 | 암자 펠라 | |||||
61위 | 62위 | 63위 | 64위 | 65위 | |||||
마차시 1세 | 미르체아 1세 | 티투 마이오레스쿠 | 토마 카라지우 | 미하이 트라이스타리우 | |||||
66위 | 67위 | 68위 | 69위 | 70위 | |||||
안드레아 마린 | 에밀 라코비차 | 빅터 바베슈 | 니콜라에 발체스쿠 | 호리아로만 파타피에비치 | |||||
71위 | 72위 | 73위 | 74위 | 75위 | |||||
이온 일리에스쿠 | 마린 프레다 | 외젠 이오네스코 | 두미트루 스타닐로아 | 알렉산드루 토데아 | |||||
76위 | 77위 | 78위 | 79위 | 80위 | |||||
투도르 게오르게 | 이온 티리아크 | 일리에 클레오파 | 아르세니 보카 | 바넬 니콜리타 | |||||
81위 | 82위 | 83위 | 84위 | 85위 | |||||
두미트루 코르닐레스쿠 | 그리고레 모이실 | 클라우디우 니쿨레스 | 플로렌틴 페트레 | 마리우스 모가 | |||||
86위 | 87위 | 88위 | 89위 | 90위 | |||||
니콜라에 스타인하트 | 로라 스토이카 | 커털린 흘단 | 안겔 살리그니 | 이반 피차이진 | |||||
91위 | 92위 | 93위 | 94위 | 95위 | |||||
마리아 터나세 | 세르지우 니콜라에스쿠 | 옥타비안 팔러 | 무명용사 | 치프리안 포룸베스쿠 | |||||
96위 | 97위 | 98위 | 99위 | 100위 | |||||
니쿠 코바시 | 두미트루 프루나리우 | 후녀디 야노시 | 콘스탄틴 노이카 | 바데아 카르탕 | |||||
※ 출처 | |||||||||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
[1] 골, 웨일스, 콘월, 왈롱 등과 어원을 공유한다. 이탈리아를 뜻하는 폴란드어 Włochy, 헝가리어 olaszorág 역시 동일한 어원.[2] 단, 지배층은 헝가리인이었고 특권층은 헝가리계 민족으로 주로 군대에서 활약한 세케이인과 상공시민계층이었던 독일인이었다. 안타깝게도 트란실바니아 공국에서 루마니아인은 농노로서 살아있으니까 그냥 존재가 용인되는 취급을 받았으며 오스만 제국과 헝가리인에게 이중으로 수탈당하는 신세였다. 트란실바니아에서 루마니아인의 처지와 막되먹은 대우는 1920년 트리아농 조약이 체결되어 트란실바니아가 루마니아 왕국으로 할양되기 전까지 무려 1,000년 가까이 계속되었다.[3] 헝가리인을 견제하려던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가문 덕분에 루마니아인의 처지가 그나마 나아졌다.[4] 완전히 루마니아인이 다수인 타 지역과 달리 헝가리인, 헝가리계 루마니아인, 세케이인 등 헝가리계 인구가 소수민족으로 남아있다.[5] 전원이 한국인 배우가 연기했으므로 외견 상 동아시아인이지만, 일단 설정 상으로는 루마니아인이다. 역사적으로 트란실바니아는 루마니아령이었던 기간이 고작 100년 남짓 밖에 안되지만, 오랫동안 루마니아인들이 인구의 대다수를 이루었던 곳이라서 프란체스카 일행도 이쪽 출신으로 설정되어있다.[6] 흡혈귀 컨셉인 캐릭터.[7] 소련군 7번째 미션 오프닝에서 로마노프가 유리가 트란실바니아의 가문들을 모집하고 있다고 알려준다, 다만, 루마니아인들은 유리라는 이름을 안쓰고, 게오르게(Gheorghe)라고 쓴다. 설정 오류거나, 루마니아계 러시아인이라는 설정일 가능성이 있다.[8] 애초에 트란실바니아 자체가 헝가리 영토였다. 트란실바니아가 루마니아 영토가 된 것은 이제 갓 100년을 겨우 넘겼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