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10 23:41:08

러시아계 루마니아인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D1D1D,#e2e2e2
<colcolor=#fcd116><colbgcolor=#ce1126>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국호 · 국기 · 국장
역사 역사 전반 · 로마 제국 · 다키아 · 왈라키아 공국 · 몰다비아 공국 · 몰다비아 왈라키아 연합공국 · 루마니아 왕국 ·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정치 정치 전반 · 루마니아 대통령 · 루마니아 총리 · 루마니아 의회(루마니아 원로원 · 루마니아 대의원)
외교 외교 전반 · 유럽연합
경제 경제 전반 · 루마니아 레우
교통 헨리 코안더 국제공항, 부쿠레슈티 아우렐블라이쿠 국제공항, 철도 환경 · 부쿠레슈티 지하철
국방 루마니아군 · 육군 · 해군 · 공군 · NATO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 루마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 루마니아 정교회
언어 루마니아어 · 라틴 연합 · 프랑코포니
사회 루마니아 마피아 · 행정구역
민족 루마니아인(헝가리계 · 독일계 · 러시아계) · 루마니아계 미국인 · 루마니아계 우크라이나인 · 루마니아계 러시아인 · 루마니아계 캐나다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C23729> 유럽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


1. 개요2. 이민사3. 현대사4. 현황5. 참고 문헌6. 실존 인물7. 관련 문서

1. 개요

러시아어: русско-румынский 루마니아어: ruso-român

러시아계 루마니아인러시아계 혈통을 이어받은 루마니아인을 지칭한다.

2. 이민사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초반 러시아 정교회니콘 총대주교의 개혁 이후 이에 반발하는 집단 상당수가 생겨났는데 이들을 이른바 고의식파 혹은 구교도라고 부른다. 고의식파 신도들은 러시아 제국 정부의 탄압을 받았다. 고의식파 일부는 러시아 제국 국경을 넘어 여러 이웃 국가들로 흩어졌는데 이들 중 일부 이른바 리포반 러시아인들은 오스만 제국 영토나 봉신국에 해당하는 몰다비아 공국을 너머 도브루자(오늘날 루마니아와 불가리아 일대에 해당하는 지역)로 망명하였다. 1733년 오스트리아 측 문서에서 이들에 대한 언급을 확인할 수 있다. 합스부르크 제국은 1775년부로 부코비나 일대를 장악하였고 이들 리보판 러시아인들은 합스부르크의 신민이 되었다.

합스부르크 측은 가톨릭이 아닌 이들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이들에게 군복무를 면제하였는데, 부코비나 일대에서 인구가 증가한 이들 리보판 공동체는 다시 도브루자 지역으로 이동하였다.

3. 현대사

제2차 세계 대전 과정에서 소련군이 부코비나와 루마니아를 점령하는 과정에서 상당수의 리보판 러시아인들은 소련의 국가 무신론 탄압을 피해 브라질로 이민하였다. 이들은 브라질 내에서 러시아계 브라질인으로 분류될 때도 있고, 루마니아계 브라질인으로 분류될 때도 있다.

루마니아 인민공화국 시절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는 이들에 대한 강제동화 정책을 실시하였고, 이로 인하여 러시아계 루마니아인 공동체는 상당한 타격을 입었다. 물론 소련이 오늘날 중화인민공화국같은 우마오당 백만대군을 운영하는 국가도 아니도, 같은 러시아인이지만 국가 무신론에 위협이 되는 러시아 구교회 소속 신도들은 굴라크에 보내는 것이 당연시되던 시대였던 만큼, 차우셰스쿠의 리포반 러시아인 탄압에 별다른 항의를 하지는 않았다.

4. 현황

오늘날 루마니아에는 공식 통계에 따르면 리포반족이 3만 7천 명, 비공식 통계에 따르면 10만여 명의 러시아계 루마니아인들이 거주하고 있다. 차우셰스쿠 실각 및 루마니아의 민주화 이후 리보판 러시아인 사회 내에서 언어(리보판 러시아어 방언) 및 문화 부흥 운동이 벌어지고는 있으나 구교회 전통 부흥은 젊은 층 사이에서는 인기를 얻지는 못하고 있다

5. 참고 문헌

6. 실존 인물

  • 파벨 코즐로프
  • 비카 지그리나
  • 카테리나 토도로비치
  • 키라 무라토바
  • 미하일 모르조프
  • 안나 레스코

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