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bb8a02, #d8a002 20%, #d8a002 80%, #bb8a0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 | | | | ||||||
베드로 | 안드레아 | 마르코 | 베드로 | 야고보 | ||||||
| | | | | ||||||
| | | | |||||||
| | | | |||||||
| | | ||||||||
| | |||||||||
| ||||||||||
<keepall>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 | | | | ||||||
| ||||||||||
<keepall>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 | | | |||||||
| | | | |||||||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fff,#fff> | | |||||||
| | |||||||||
| | |||||||||
| | |||||||||
| }}}}}}}}}}}} |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8af00 0%, #ffce01 20%, #ffce01 80%, #d8af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000000,#000000>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 | | | |
<rowcolor=#000000,#000000>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
| | | | | |
<rowcolor=#000000,#000000> 제11대 | (총대주교좌 폐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
| | | | ||
<rowcolor=#000000,#000000> 제15대 | 제16대 | 제17대 | |||
| | | }}}}}}}}}}}} |
러시아 정교회 Russian Orthodox Church Русская православная церковь[1] | ||
<colbgcolor=#ffc224> 규모 | 약 1억 명 | |
모스크바 총대주교 | 키릴 (제17대) |
1. 개요
모스크바 총대주교좌를 보유하는 정교회의 지역 교회. 세계 정교회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크다. 러시아의 기독교 교단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신자 수는 약 9천만 명에서 1억 명 수준으로 추정한다.러시아 제국의 국교(國敎)[2]로서 전세계 정교회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큰 자치 교회였고 한국 정교회도 19세기 무렵 선교가 이루어진 러시아 정교회가 시초였다.
2018년 정교회 분열[3]로 인하여 세계 총대주교좌와 성사 교류가 단절되었으나, 예루살렘, 세르비아, 안티오키아, 조지아, 루마니아 등 여타 세계 정교회의 지역 교회들과는 여전히 완전한 상통 관계를 맺고 있다.
2018년 정교회 분열 이전 정교회 자치교회 서열은 콘스탄티노폴리스,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 예루살렘 총대주교구에 이어 5번째 총대주교 관할교회였다.
2. 역사
988년 그리스 정교회의 선교로 블라디미르 1세가 세례를 받으면서[4] 그 역사가 시작되었다. 다만 블라디미르 1세는 그리스도교를 공식적으로 공인했을 뿐 키예프의 올가의 사례처럼 그리스도교 신앙은 하층민과 고위층을 막론하고 이미 광범위하게 퍼져 있었다는 것이 정설이다. 때문에 오히려 러시아 정교회의 시초를 실질적으로 그리스도교를 퍼뜨린 불가리아 정교회로부터 여기는 경우도 있다. 초창기에는 평민들이 슬라브 다신교와 그리스도교가 혼합된 이중신앙을 가졌는데, 때문에 이런 슬라브 이교적 전통이 아직까지도 남아있다. 1589년에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로부터 독립교회의 지위를 인정받았다. 현재의 총대주교좌(總大主敎座)는 모스크바에 있다.17세기 중반에는 토착화된 전례를 비잔티움 전례 양식을 참고해서 바꾼 니콘 총대주교의 급진적인 전례 개혁에 반발한 세력이 구 전례를 따르는 고의식파(古儀式派)로 독립했다.[5] 표트르 대제 치세에서는 신성통치종무원[6]에서 총대주교좌 업무를 대신하다가 러시아 혁명 때 신성통치종무원이 폐지되면서 성 티혼이 총대주교로 선출되어 착좌했다. 하지만 곧바로 소련이 정교회를 박해하면서 러시아 정교회는 소련의 박해를 피해 해외로 탈출한 해외 러시아 정교회와 소련에 남은 러시아 정교회로 분리되었다.
소련 치하에서는 수많은 아름다운 성당들이 파괴되거나 무신론 박물관 등으로 개조되는 수모를 겪고, 성직자들과 수도자들이 고초를 겪는 등 박해를 받았다. 이는 역으로 소련 붕괴 후 들어선 신 러시아 정부와 교회가 더욱 밀착하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으며, 특히 블라디미르 푸틴 정부는 교회를 정치에 적극 활용하고 교회 역시 이에 순응하면서 비판과 논란이 벌어지기도 했다.
2018년 우크라이나 정교회 독립교회 인정 문제로 일방적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등과 성사 교류 단절을 선언함으로 인해 정교회의 분열이 시작되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계기로 러시아 정교회 내 우크라이나 정교회마저 본교와의 관계 단절을 선언했다. # 2024년 우크라이나 의회가 러시아 정교회의 활동을 금지하는 법안을 의결하고 대통령이 서명했다.# 다만 이 법안은 우크라이나 내에서 과도하다는 논란이 있어 일부 반대표가 나왔다.
3. 특징
정교회권 밖에서는 그레고리력을 따라 크리스마스를 12월 25일로 정했지만 러시아에서는 율리우스력을 기준으로 잡는 정교회 전례력에 따라 1월 7일이다. 다른 나라와 차이가 나지만 러시아 정교회는 바꾸지 않겠다고 밝혔다. # 러시아 정교회 외에 율리우스력을 유지하기로 결정한 교회로는 예루살렘 정교회, 조지아 정교회, 세르비아 정교회, 마케도니아 정교회, 폴란드 정교회, 아토스 성산의 수도원들이 있다.러시아 정교회의 관할지역은 구 동구권 지역뿐만 아니라 미국이나 서유럽 등 과거 제1세계 지역에 속했던 나라들까지도 포함하는데, 소련 성립 직후 많은 정교회 성직자들과 신자들이 망명했기 때문이다.
4. 비판
2022년에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자 키릴 총대주교가 러시아의 '특별군사작전'을 지지하고 러시아의 침공을 적그리스도에 대항하는 성스러운 투쟁이라는 논평을 내놓자 바르톨로메오스 1세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프란치스코 교황을 비롯한 세계 기독교 지도자들 다수로부터 비판에 직면했다. 2018년 정교회 분열 사태에서 사실 러시아 정교회의 우군은 적지 않았는데 세계총대주교는 정교회에서 어디까지나 대표적인 인물이지 로마 교황처럼 실질적 수위권을 행사하는 존재는 아니었고 러시아 정교회 관할에 속하는 우크라이나 정교회 관구를 환수하고 독립시킨다는 행동을 다른 정교회에서 긍정적으로 보지 않았기 때문이다.그러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후 러시아 정교회가 러시아 정부 및 군부를 지지하며 이 전쟁을 성전으로 포장하기 시작하자 모스크바를 지지하던 다른 정교회들이 돌아서서 비판적인 스탠스를 취하기 시작했다. 이후 러시아 정교회에서 연쇄적으로 모스크바로부터의 이탈을 준비하는 움직임이 발생했는데 러시아에 인접한 교구들은 모두 독립을 준비 중이고 라트비아 정교회는 일방적으로 독립을 선언했다.
5. 같이 보기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 세계 교회 협의회 회원교단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감리회 | |||
아프리카 감리교 감독교회 | 아프리카 감리교 감독 시온교회 | 기독교 감리교 감독교회 | 볼리비아 복음주의 감리회 | |
이탈리아 복음주의 감리회 | 필리핀 복음주의 감리회 | 아르헨티나 복음주의 감리회 | 통가 자유 웨슬리안교회 | |
기독교대한감리회 | 영국 감리회 | 가나 감리회 | 브라질 감리회 | |
피지와 로투마 감리회 | 인도 감리회 | 인도네시아 감리회 | 아일랜드 감리회 | |
케냐 감리회 | 말레이시아 감리회 | 싱가포르 감리회 | 카리브해와 아메리카 감리회 | |
짐바브웨 감리회 | 나이지리아 감리회 | 칠레 감리회 | 멕시코 감리회 | |
뉴질랜드 감리회 | 페루 감리회 | 푸에르토리코 감리회 | 사모아 감리회 | |
남부아프리카 감리회 | 토고 감리회 | 우루과이 감리회 | 시에라리온 감리회 | |
스리랑카 감리회 | 상(上)미얀마 감리회 | 베냉 개신교 감리회 | 연합감리교회 | |
코트디부아르 감리회 | ||||
개혁교회 | ||||
아프리카 개신교회 | 부르키나파소 복음주의 개혁교회 협회 | 중앙 술라웨시 기독교 교회 | 숨바 기독교 교회 | |
미나하사 기독교 복음주의 교회 | 상이헤 탈라우드 기독교 복음주의 교회 | 중앙아프리카 장로회 블랜타이어 시노드 |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콩고 복음주의 공동체 | |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콩고 장로회 공동체 |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킨샤사 장로회 공동체 | 태국 그리스도의 교회 | 마다가스카르 예수 그리스도 교회 | |
북인도 교회 | 파키스탄 교회 | 스코틀랜드 교회 | 남인도 교회 | |
미국령 사모아 회중 기독교 교회 | 니우에 회중 기독교 교회 | 투발루 회중 기독교 교회 | 체코슬로바키아 후스파 교회 | |
네덜란드 개혁교회 [[남아프리카 공화국| | 동자바 기독교 교회 | 리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 바바리아와 북서부 독일 복음주의 개혁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 |
할마헤라 복음주의 기독교 교회 | 타나 파푸아 복음주의 기독교 교회 | 뉴칼레도니아와 로열티 제도 복음주의 교회 | 카메룬 복음주의 교회 | |
콩고 복음주의 교회 | 체코형제복음교회 | 가봉 복음주의 교회 | 그리스 복음주의 교회 | |
오스트리아 아우크스부르크 복음주의 교회와 오스트리아 헬베티아 신앙고백 복음주의 교회 | 리버 플레이트 복음주의 교회 | 앙골라 복음주의 회중교회 | 가나 복음주의 장로회 | |
남아프리카 복음주의 장로회 | 이집트 복음주의 장로회 나일강 시노드 | 이란 복음주의 장로회 | ||
포르투갈 복음주의 장로회 | 토고 복음주의 장로회 | 앙골라 복음주의 개혁교회 | 중국 그리스도의 교회 홍콩 협의회 | |
미국 헝가리 개혁교회 | 브라질 독립 장로회 | 인도네시아 기독교 교회 | 자바 기독교 교회 | |
칼리만탄 복음주의 교회 | 카로 바탁 개신교 교회 | 키리바시 연합교회 | 재일대한기독교회 | |
레소토 복음주의 교회 | 마오히 개신교회 | 마라 복음주의 | 시리아와 레바논 전국 복음주의 시노드 | |
파순단 기독교 교회 | 카메룬 장로회PCC | 캐나다 장로교회 | 르완다 장로회 | |
대만기독장로교회 | 한국기독교장로회 | 아프리카 장로회 | 아오테아로아 뉴질랜드 장로회 | |
카메룬 장로회EPC | 콜롬비아 장로회 | 동아프리카 장로교회 | 가나 장로회 | |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 라이베리아 장로회 | 모잠비크 장로회 | 나이지리아 장로교회 | |
파키스탄 장로회 | 남수단 장로회 | 트리니다드 토바고 장로회 | 바누아투 장로교회 | |
웨일스 장로회 | 미국 장로교(PCUSA) | 쿠바 장로교개혁교회 | 발리 개신교 기독교 교회 | |
인도네시아 개신교회 | 남동 술라웨시 개신교회 | 스위스 개신교회 | 몰루카스 개신교회 | |
네덜란드 개신교회 | 티모르 로로사에 개신교회 | 서부 인도네시아 개신교회 | 알제리 개신교회 | |
티모르 개신교 복음주의 교회 | 세르비아&몬테네그로 개혁 기독교 교회 | 슬로바키아 개혁 기독교 교회 | 미국 개혁교회 | |
헝가리 개혁교회 | 루마니아 개혁교회 | 잠비아 개혁교회 | 짐바브웨 개혁교회 | |
국가를 위한 개혁 그리스도의 교회 | 적도 기니 개혁 장로회 | 항의 형제단 | 스페인 복음주의 교회 | |
토라자 교회 | ||||
동방정교회 | ||||
키프로스 교회 | 그리스 교회 | 세계 총대주교청 | 알렉산드리아와 전 아프리카의 총대주교구 | |
안티오키아와 전 동방의 총대주교구 | 예루살렘 총대주교구 | 알바니아 정교회 독립교회 | 아메리카 정교회 | |
일본 정교회 | 체코 땅과 슬로바키아의 정교회 | 핀란드 정교회 | 폴란드 독립 정교회 | |
루마니아 정교회 | 러시아 정교회(모스크바 총대주교청) | 세르비아 정교회 | ||
루터교회 | ||||
바탁 기독교 공동체 교회 | 볼리비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 기독교 개신교 앙콜라 교회 | 인도네시아 기독교 개신교회 | |
노르웨이 교회 | 스웨덴 교회 | 중부 독일 복음주의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 뷔르템베르크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 |
바이에른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 브런즈윅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 북부 독일 복음주의 루터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 올덴부르크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 |
하노버 복음주의 루터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 작센 복음주의 루터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 샴부르크-리페 복음주의 루터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 에스토니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 |
에티오피아 메카네예수스 복음교회 | 폴란드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복음주의 교회 | 루마니아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복음주의 교회 | 슬로바키아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복음주의 교회 | |
브라질 루터교 신앙고백 복음주의 교회 | 미국복음주의루터교회 | 캐나다복음주의루터교회 | 칠레 복음주의 루터교회 | |
콩고 복음주의 루터교회 | 덴마크 복음주의 루터교회 | 헝가리 복음주의 루터교회 | 요르단과 성지의 복음주의 루터교회 | |
나미비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 남부아프리카 복음주의 루터교회 | 탄자니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 나미비아 공화국 복음주의 루터교회 | |
짐바브웨 복음주의 루터교회 | 핀란드 복음주의 루터교회 | 가나 복음주의 루터교회 | 아이슬란드 복음주의 루터교회 | |
라트비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 파푸아뉴기니 복음주의 루터교회 | 루마니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 인도네시아 기독교 교회 | |
케냐 복음주의 루터교회 | 해외 라트비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 라이베리아 루터교회 | 말라가시 루터교회 | |
니아스 기독교 개신교회 | 개신교 기독교 바탁 교회 | 사바 개신교회 | 엘살바도르 루터교회 시노드 | |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실레시아 복음주의 교회 | 시말룽군 개신교 기독교 교회 | 세르비아&몬테네그로의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슬로바키아 복음주의 교회 | 연합 복음주의 루터교회 | |
인도 연합 복음주의 루터교회 | ||||
마르 토마 교회 | ||||
말라바르 마르 토마 시리아 교회 | ||||
모라비아 교회와 역사적 평화 교회 | ||||
독일 메노나이트 회중 협회 | 친구들의 종교 협회 캐나다 연례 모임(퀘이커) |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콩고 메노나이트 공동체 | 형제단 교회 | |
나이지리아 형제단 교회 | 네덜란드 메노나이트 교회 | 동·서인도 제도 지방 모라비아 교회 | 미국 모라비아 교회 | |
자메이카 모라비아 교회 | 니카라과 모라비아 교회 | 남아프리카 모라비아 교회 | 수리남 모라비아 교회 | |
탄자니아 모라비아 교회 | 서유럽 모라비아 교회 | 필리핀 독립 교회 | 폴란드 전국 가톨릭교회 | |
친구들의 종교 협회: 친구 총회 | 친구들의 종교 협회: 친구 연합 모임 | |||
복고 가톨릭교회 | ||||
독일 복고 가톨릭 교구 | 오스트리아 복고 가톨릭교회 | 네덜란드 복고 가톨릭교회 | 스위스 복고 가톨릭교회 | |
폴란드 마리아비테 복고 가톨릭교회 | 폴란드의 폴란드 가톨릭교회 | |||
복음주의 교회 | ||||
남수단과 수단의 아프리카 내륙 교회 | 라오스 복음주의 교회 | |||
성공회 | ||||
아오테아로아 뉴질랜드와 폴리네시아 성공회 | 일본성공회 | 호주 성공회 | 부룬디 성공회 | |
캐나다 성공회 | 케냐 성공회 | 대한성공회 | 남아메리카 성공회 | |
남아프리카 성공회 | 탄자니아 성공회 | 웨일스 교회 | 실론 교회 | |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콩고 성공회 공동체 | 잉글랜드 국교회 | 아일랜드 교회 | 멜라네시아 교회 | |
나이지리아 교회 | 중앙아프리카관구 교회 | 미얀마 교구 교회 | 인도양 교구 교회 | |
서아프리카 교구 교회 | 우간다 교회 | 브라질 성공회 | 예루살렘과 중동 성공회 | |
필리핀 성공회 | 포르투갈 루시타니아 교회 | 르완다 성공회 교구 | 남수단 성공회 교구 | |
수단 성공회 교구 | 스코틀랜드 성공회 | 스페인 개혁 성공회 | 알렉산드리아 성공회 교구 | |
미국성공회 | ||||
아시리아 교회 | ||||
아시리아 동방교회 | ||||
아프리카 토착교회 | ||||
아프리카 형제단 교회 | 아프리카 기독교 교회 & 학교 | 성령의 아프리카 교회 | 아프리카 이스라엘 니느웨 교회 | |
그리스도의 교회 - 해리스 선교(해리스 교회) | 성령의 빛 그리스도의 교회 | 남부아프리카 아프리카 토착교회 협의회 | 아프리카 교회 | |
전세계 주의 교회(기도 동역회) | 제일 아프리카 교회 선교 | |||
연합교회 | ||||
중국기독교협의회 | 방글라데시 교회 | 브레멘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 베를린-브란덴부르크-실레시아 오버라우지츠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 |
바덴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 라인란트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 안할트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 쿠르헤센-발데크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 |
팔츠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 베스트팔렌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 헤센과 나사우 개신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 독일 복음주의교회 | |
공동체 교회 국제 협의회 | 알자스와 로렌 연합 개신교회 | 근동 아르메니아 복음주의 교회 연합 | 웨일스 독립 연합 | |
자메이카와 케이맨 제도 연합교회 | 파푸아뉴기니 연합교회 | 솔로몬 제도 연합교회 | 캐나다 연합교회 | |
그리스도연합교회 | 그리스도연합교회 - 마셜 제도 회중 | 일본기독교단 | 필리핀 그리스도연합교회 | |
짐바브웨 그리스도연합교회 | 잠비아 연합교회 | 남부아프리카 연합회중교회 | 스코틀랜드 연합자유교회 | |
브라질 연합장로교회 | 벨기에 연합개신교회 | 퀴라소 연합개신교회 | 프랑스연합개신교회 | |
호주 연합교회 | 스웨덴 연합교회 | 남부아프리카 연합장로교회 | 남부아프리카 연합개혁교회 | |
발도파 교회 | ||||
오리엔트 정교회 | ||||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킬리키아 성좌) |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성지 에치미아진의 모교구) | 콥트 정교회 | 에리트레아 테와히도 정교회 | |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 | 말랑카라 시리아 정교회 | 시리아 정교회 안티오키아와 전 동방의 총대주교구 | ||
오순절교회 | ||||
하나님의 교회 협회 | 기독교 성경 교회 | 앙골라 복음주의 오순절 선교 | 칠레 자유 오순절 선교 교회 | |
국제 복음주의 교회 | 칠레 오순절교회 | 오순절 선교 교회 | 남아프리카 사도적 믿음 선교 | |
제자회 / 그리스도의 교회 | ||||
크리스천 교회(제자회) 캐나다 | 크리스천 교회(제자회) 미국 | 뉴질랜드 크리스천 교회 |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콩고 제자회 공동체 | |
호주 그리스도의 교회 | 아르헨티나 제자회 복음주의 교회 | 연합개혁교회 | ||
침례회 | ||||
미국 침례회 | 르완다 침례회 협회 | 방글라데시 침례회 상가 | 엘살바도르 침례회 협회 | |
아이티 침례회 총회 | 니카라과 침례회 총회 | 덴마크 침례회 연합 | 영국 침례회 연합 | |
헝가리 침례회 연합 | 뉴질랜드 침례회 연합 |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콩고 침례회 공동체 |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아프리카 개신교 침례회 / 아프리카 감독제 침례회 공동체 | |
중앙아프리카 침례회 공동체 | 필리핀 침례회 총회 | 북동 인도 침례회 협의회 | 앙골라 복음주의 침례회 | |
이탈리아 복음주의 침례회 연합 | 자메이카 침례회 연합 | 미얀마 침례회 | 전국침례교총회(NBCA) | |
전국침례교총회(NBCUSA) | 카메룬 원주민 침례회 | 나이지리아 침례회 총회 | 진보전국침례교총회 | |
텔루구 침례회 사마베삼 | 카메룬 침례회 연합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 유럽 교회 회의 회원교단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가 | 교단 | |
알바니아 | |||
아르메니아 | |||
오스트리아 | |||
벨기에 | |||
불가리아 | 불가리아 오순절교회 · 불가리아 복음주의 침례교회 연합 | ||
크로아티아 | |||
키프로스 | |||
체코 | 체코슬로바키아 후스파 교회 · | ||
덴마크 | 덴마크 침례회 연합 · | ||
에스토니아 | 에스토니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 | ||
핀란드 | |||
프랑스 | 프랑스 복음주의 침례교회 연맹 · 프랑스 마다가스카르 개신교회 · 알자스와 로렌 개신교 연합 · | ||
조지아 | 조지아 복음주의 침례회 | ||
독일 | 독일 구가톨릭 교구 · | ||
그리스 | |||
헝가리 | 헝가리 침례회 연합 · 헝가리 복음주의 루터교회 · | ||
아이슬란드 | |||
아일랜드 | |||
이탈리아 | 이탈리아 기독교 복음주의 침례회 연합회 · 이탈리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 이탈리아 복음주의 감리교회 · 이탈리아 발도파 교회 | ||
라트비아 | 라트비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 해외 라트비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 ||
리히텐슈타인 | 리히텐슈타인 공국 복음주의 루터교회 | ||
리투아니아 | 리투아니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 ||
룩셈부르크 | 룩셈부르크 개신교 교회 | ||
네덜란드 | 네덜란드 메노나이트 교회 · 네덜란드 구가톨릭 교회 · | ||
북마케도니아 | |||
노르웨이 | |||
폴란드 | 폴란드 침례회 연합 · 폴란드 아우크스부르크 고백 교회 · 폴란드 복음 개혁교회 · 폴란드 구가톨릭 마리아비테 교회 · 폴란드 독립 정교회 · 폴란드 가톨릭 교회(구가톨릭) · | ||
포르투갈 | 포르투갈 복음주의 감리회 · 포르투갈 복음주의 장로회 · 루시타니아 가톨릭 사도적 복음주의 교회 | ||
루마니아 | 루마니아 아우크스부르크 복음주의교회 · 루마니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 루마니아 개혁교회(키랄리고멜릭 지구) · | ||
러시아 | 러시아 복음주의 기독교인-침례회 연합 · 러시아 잉그리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 | ||
세르비아 | 세르비아 개혁교회 · | ||
슬로바키아 | 슬로바키아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교회 · 체코와 슬로바키아 정교회 · 슬로바키아 개혁교회 | ||
슬로베니아 | 슬로베니아 공화국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복음주의교회 | ||
스페인 | 스페인 복음주의교회 · 스페인 개혁 성공회 | ||
스웨덴 | |||
스위스 | |||
우크라이나 | 트란스카르파티아 개혁교회 | ||
영국 | |||
국제 조직 | |||
}}}}}}}}} |
[1] Rússkaja pravoslávnaja cérkovʹ. 약칭: 에르페체(РПЦ).[2] 다만 최상위 국교는 정교회였지만 제2 국교로서 여러 종교들이 존재했다.[3] 2018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바르톨로메오스 1세가 본디 러시아 정교회 산하에 있던 우크라이나 정교회에 러시아 정교회와 상의를 거치지 않고 독립교회 지위를 부여한 것에 모스크바 총대주교좌가 반발하여 일방적으로 세계총대주교좌와의 성사 교류 단절을 선언한 사건이다.[4] 같은 역할을 한 콘스탄티누스 1세가 진심으로 그리스도교 신앙을 가졌다는데 중점을 맞추는 것과는 달리 블라디미르 1세가 진심으로 그리스도인이었는지는 확실치 않다. 그러나 어쨌든 그리스도교 공인의 목적은 비잔티움 전제정 체제를 이식하는 정치적 이유었다는게 정설이다. 실제로 그리스도교 개종을 거부하는 호족들을 제거했다.[5] 고의식파는 성직 인정파와 성직 부정파로 다시 분리되었고 일부는 20세기 후반에 다시 러시아 정교회와 일치했다.[6] Святейший правительствующий синод (1721–1918). 소련 붕괴 후에 신설된 신성종무원과 달리 신성통치종무원은 총대주교 없이 황제가 직접 관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