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Президентские выборы в России러시아에서 실시되는 대통령 선거. 러시아 대통령의 임기는 당초에는 4년이었으나 2008년 헌법 개정을 통해 6년으로 중임[1]이 가능하며 러시아 국민이 직접 선거를 통해 선출한다.
2. 세부 규정
직접 선거를 통해서 러시아 대통령을 선출한다. 결선투표제를 채택하며, 1차에서 과반을 득표한 후보자가 있다면 그 후보자가 당선되고, 과반을 득표한 후보자가 없다면 1차 투표의 상위 2명으로 다시 결선 투표를 실시한다. 현재까지 결선투표가 치러진 대선은 1996년 대선 뿐이다.피선거권은 25년 이상 러시아에서 상주하는 35세 이상으로, 외국 국적이나 영주권을 가진 적이 없는 시민만이 가능하며 100,000명 이상의 러시아 유권자의 서명을 받아야 한다.[2]
3. 역대 선거
3.1. 1991년
1991년 | ||
| | |
후보 | 보리스 옐친 | 니콜라이 리시코프 |
당적 | 무소속 | 소련 공산당 |
득표수 | 45,552,041 | 13,359,335 |
득표율 | 58.6% | 17.2% |
당락 | 당선 | 낙선 |
3.2. 1996년
1996년 | ||
| | |
후보 | 보리스 옐친 | 겐나디 주가노프 |
당적 | 무소속 | 러시아 연방 공산당 |
득표수 | 40,203,948 | 30,102,288 |
득표율 | 54.40% | 40.73% |
당락 | 당선 | 낙선 |
3.3. 2000년
2000년 | ||
| | |
후보 | 블라디미르 푸틴 | 겐나디 주가노프 |
당적 | 무소속 | 러시아 연방 공산당 |
득표수 | 39,740,467 | 21,928,468 |
득표율 | 53.44% | 29.49% |
당락 | 당선 | 낙선 |
3.4. 2004년
2004년 | ||
| | |
후보 | 블라디미르 푸틴 | 니콜라이 하리토노프 |
당적 | 무소속 | 러시아 연방 공산당 |
득표수 | 49,563,020 | 9,514,224 |
득표율 | 71.9% | 13.8% |
당락 | 당선 | 낙선 |
3.5. 2008년
2008년 | ||
| | |
후보 |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 겐나디 주가노프 |
당적 | 통합 러시아 | 러시아 연방 공산당 |
득표수 | 52,530,712 | 13,243,550 |
득표율 | 71.3% | 18.0% |
당락 | 당선 | 낙선 |
3.6. 2012년
2012년 | ||
| | |
후보 | 블라디미르 푸틴 | 겐나디 주가노프 |
당적 | 통합 러시아 | 러시아 연방 공산당 |
득표수 | 45,602,075 | 12,318,353 |
득표율 | 64.35% | 17.38% |
당락 | 당선 | 낙선 |
3.7. 2018년
2018년 | ||
| | |
후보 | 블라디미르 푸틴 | 파벨 그루지닌 |
당적 | 무소속 | 러시아 연방 공산당 |
득표수 | 56,430,712 | 8,659,206 |
득표율 | 77.53% | 11.90% |
당락 | 당선 | 낙선 |
3.8. 2024년
2024년 | ||
| | |
후보 | 블라디미르 푸틴 | 니콜라이 하리토노프 |
당적 | 무소속 | 러시아 연방 공산당 |
득표수 | 76,277,708 | 3,768,470 |
득표율 | 87.28% | 4.31% |
당락 | 당선 | 낙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