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2 01:35:02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알렉산드리아 전례 <colbgcolor=#FFF,#1c1d1f>콥트 정교회 ·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 · 에리트레아 테와히도 정교회
아르메니아 전례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서시리아 전례 시리아 정교회 · 말랑카라 시리아 정교회
같이 보기: 기독교의 종파 }}}}}}}}}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bb8a02, #d8a002 20%, #d8a002 80%, #bb8a0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if 줄간격="style=\"margin: 0 -10px; font: 1em/1 monospace; font-family: revert\"", 별표2="style=\"word-break: keep-all; display: inline\""
#!wiki 
'''펜타르키아'''[br]{{{-3 Πενταρχία}}}
#!wiki 
[[교황|로마[br]교황]]
#!wiki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콘스탄티노폴리스[br]총대주교]]
#!wiki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알렉산드리아[br]총대주교]]
#!wiki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안티오키아[br]총대주교]]
#!wiki 
[[예루살렘 총대주교|예루살렘[br]총대주교]]
베드로 안드레아 마르코 베드로 야고보
#!wiki 
[[교황|가톨릭]]
#!wiki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정교회]]
#!wiki 
[[콥트 교황|콥트 정교회]]
#!wiki 
[[안티오키아 총대주교(마론파)|마론파]]
#!wiki 
[[안티오키아 총대주교(멜키트 그리스 가톨릭)|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wiki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wiki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콥트 가톨릭)|콥트 가톨릭]]
#!wiki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정교회)|정교회]]
#!wiki 
[[예루살렘 총대주교(정교회)|정교회]]
#!wiki 
--[[라틴 총대주교|라틴]]--{{{#!wiki 
^^**^^}}}
#!wiki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정교회)|정교회]]
#!wiki 
[[안티오키아 총대주교(멜키트 그리스 가톨릭)|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wiki 
[[예루살렘 라틴 총대주교|라틴]]
#!wiki 
[[안티오키아 총대주교(멜키트 그리스 가톨릭)|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wiki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시리아 정교회)|시리아 정교회]]
#!wiki 
[[예루살렘 총대주교(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wiki 
--[[라틴 총대주교|라틴]]--{{{#!wiki 
^^**^^}}}
#!wiki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시리아 가톨릭)|시리아 가톨릭]]
#!wiki 
--[[라틴 총대주교|라틴]]--{{{#!wiki 
^^**^^}}}
<keepall>}}}{{{#!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정교회의 독립 총대주교좌'''
#!wiki 
[[모스크바 총대주교|모스크바]]^^*^^
#!wiki 
[[세르비아 총대주교|세르비아]]
#!wiki 
[[루마니아 총대주교|루마니아]]
#!wiki 
[[불가리아 총대주교|불가리아]]
#!wiki 
[[조지아 카톨리코스-총대주교|조지아]]
#!wiki 
[[정교회]]
<keepall>}}}{{{#!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오리엔트 지역의 총대주교좌'''
#!wiki 
[[아르메니아 카톨리코스|아르메니아]]
#!wiki 
[[킬리키아 카톨리코스|킬리키아]]
#!wiki 
[[에티오피아 총대주교-카톨리코스|에티오피아]]
#!wiki 
[[에리트레아 총대주교-카톨리코스|에리트레아]]
#!wiki 
[[아르메니아 카톨리코스|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wiki 
[[킬리키아 카톨리코스(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wiki 
[[에티오피아 총대주교-카톨리코스|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
#!wiki 
[[에리트레아 총대주교-카톨리코스|에리트레아 테와히도 정교회]]
#!wiki 
[[킬리키아 카톨리코스(아르메니아 가톨릭)|아르메니아 가톨릭]]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rowcolor=#fff,#fff>
#!wiki 
'''아시리아의 총대주교좌'''
#!wiki 
'''인도의 카톨리코스좌'''
#!wiki 
[[동방 교회의 카톨리코스|아시리아]]
#!wiki 
동방-말랑카라
#!wiki 
[[아시리아 동방교회 카톨리코스-총대주교|아시리아 동방교회]]
#!wiki 
[[동방 카톨리코스(말랑카라 시리아 정교회)|말랑카라 시리아 정교회]]
#!wiki 
[[바그다드 총대주교|칼데아 가톨릭]]
#!wiki 
[[동방 카톨리코스(시리아 정교회)|시리아 정교회]]
#!wiki 
[[동방 고대교회 카톨리코스-총대주교|동방 고대교회]]
}}}}}}}}}}}}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Armenian Apostolic Church
Հայաստանյայց Առաքելական Սուրբ Եկեղեցի
[1]
파일:0909B2D2-E394-4B99-9D42-4F778DF80AAB.jpg 에치미아진 대성당
<colbgcolor=#ffc224> 규모 약 900만 명
아르메니아 총대주교 카레킨 2세 (제132대)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텔레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3. 아르메니아 총대주교4. 교회 문화의 교차점5. 성찬예배6. 기타7. 둘러보기

1. 개요

기독교, 그 중에서도 오리엔트 정교회의 한 교파. 아르메니아에 기원을 두고 있다.

2. 상세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의 공존과 속성의 교류[2]를 인정한 칼케돈 신경을 부정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단성론파로 불리지만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는 단성론파로 취급되는 것을 부정하는데 그 이유는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에서도 단성론(Monophysitism)의 기반으로 취급되는 에우티케스의 주장을 부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에서는 그리스도가 "신성과 인성을 모두 지닌 하나의 본성"을 가지고 있다는 합성론(Miaphysitism)을 따르고 있다고 말한다.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측은 칼케돈 신경을 부인하는 것은 단지 문장상의 문제라고 주장하고 있으며 20세기 이후에는 가톨릭이나 정교회에서도 기존에 단성론으로 여겨지던 교회와의 대화가 진행되어 쌍방의 차이가 결정적인 것이 아니고 표현의 문제라는 주장이 고려되고 있다.[3]

전례는 대체로 시리아 정교회콥트 교회와 유사하다. 전례 언어로는 아르메니아어를 사용한다. 신자 수는 전 세계적으로 약 900만 명으로 추정된다.

로마 제국이 그리스도교를 국교로 선포(392년)하기 90년 전(아르메니아 측 주장으론 서기 301년)부터 이미 아르메니아의 국교로서 존재했던 교회니 다분히 전통 있는 교회다. 계몽자 그레고리오에 의해 세계 최초로 그리스도교를 국교화했다는 사실에 대해 아르메니아인들의 자부심은 엄청나다. 덕분에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를 믿는 아르메니아인을 개종시키는 일은 엄청나게 어렵기로 소문이 자자하다.[4]

동로마 제국이 몰락하고 이슬람 세력 치하에서 극도로 탄압받으면서도 끝까지 신앙을 포기하지 않은 아르메니아인들 덕분에 지금까지 살아남았으며 튀르키예(오스만 제국) 치하에서도 살아남았는데 동서 대분열 이전에 떨어져 나간 종파가 다 그러하듯 이슬람과 그리스도교의 충돌 속에서 고통 받으면서도 끝까지 신앙을 포기하지 않으며 그리스도교 세계의 방파제가 되어 주었기 때문에 그리스도교 세계 전체가 이들에게 빚을 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데 자신들이 노아의 직계 후손이라고 주장하는 점 때문에 이스라엘이 무슨 너희들이 유대인이냐? 하고 반발하니 둘이 많은 충돌을 벌여 아제르바이잔이나 튀르키예와의 여러 문제에 이스라엘이 노골적으로 아제르바이잔과 튀르키예 편을 들어주며 적국인 아제르바이잔과 정치, 외교, 군사적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그래도 예루살렘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교구가 있긴 하지만, 종교적인 예외를 둘 뿐. 이스라엘의 강력한 지원 아래에 아제르바이잔군에게 참패해 수만여명 사상자를 내가며 3년이 넘는 전쟁을 벌여 얻어낸 나고르노카라바흐를 2023년에 몇 달만에 전쟁으로 패하여 모조리 잃어버렸다. 이로 인하여 2024년 4월, 나고르노카라바흐에 100년 넘게 남아있던 아르메니아 교회외 문화재 10여개가 철거 및 파괴된 것으로 나타났다.#

정작 아르메니아 본토의 신자 수는 소련의 영향으로 급감했다가 아르메니아가 독립한 1990년대부터 늘어났다.

아르메니아에서 성탄절이 12월 25일이 아니라 1월 6일인 것은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의 영향이다.

3. 아르메니아 총대주교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49006d, #660099 20%, #660099 80%, #49006d); word-break: norma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전기 에치미아진 시대 ]
{{{#!wiki style="margin: -5px -1px"
<rowcolor=#49006d,#49006d> 사도계승
#!if 주교명="style=\"margin: 0 -10px; font: 1em/1 monospace; font-family: revert\""
#!wiki 
[[유다 타대오|타데보스]] ᛭ [[사도 바르톨로메오|바르두기메오스]]
<rowcolor=#49006d,#49006d>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wiki 
[[계몽자 그레고리오|크리코르 1세 계몽자]]
#!wiki 
아리스타케스 1세
#!wiki 
브르타네스 1세
#!wiki 
후시크 1세
#!wiki 
다니엘 1세
<rowcolor=#49006d,#49006d>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wiki 
파렌 1세
#!wiki 
네르세스 1세
#!wiki 
샤하크 1세
#!wiki 
자벤 1세
#!wiki 
아스푸라케스 1세
<rowcolor=#49006d,#49006d>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wiki 
사하크 1세
#!wiki 
호브세프 1세
#!wiki 
멜리테 1세
#!wiki 
모브세스 1세
#!wiki 
귀트 1세
<rowcolor=#49006d,#49006d>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wiki 
호브하네스 1세
#!wiki 
바브켄 1세
#!wiki 
사므벨 1세
#!wiki 
무셰 1세
#!wiki 
사하크 2세
<rowcolor=#49006d,#49006d>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제25대
#!wiki 
크리스타포르 1세
#!wiki 
게본드 1세
#!wiki 
네르세스 2세
#!wiki 
호브하네스 2세
#!wiki 
모브세스 2세
<rowcolor=#49006d,#49006d> 제26대 제27대 제28대 제29대 제30대
#!wiki 
아브라함 1세
#!wiki 
코미타스 1세
#!wiki 
크리스타포르 2세
#!wiki 
예즈르 1세
#!wiki 
네르세스 3세
<rowcolor=#49006d,#49006d> 제31대 제32대 제33대 제34대 제35대
#!wiki 
아나스타스 1세
#!wiki 
이스라엘 1세
#!wiki 
사하크 3세
#!wiki 
예기야 1세
#!wiki 
호브하네스 3세
<rowcolor=#49006d,#49006d> 제36대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wiki 
다비트 1세
#!wiki 
트르다트 1세
#!wiki 
트르다트 2세
#!wiki 
시온 1세
#!wiki 
예사이 1세
<rowcolor=#49006d,#49006d>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제45대
#!wiki 
스테파노스 1세
#!wiki 
호바브 1세
#!wiki 
소고모노 1세
#!wiki 
게보르크 1세
#!wiki 
호브세프 2세
<rowcolor=#49006d,#49006d> 제46대 제47대 제48대 제49대 제50대
#!wiki 
다비트 2세
#!wiki 
호브하네스 4세
#!wiki 
자카리아 1세
#!wiki 
게보르크 2세
#!wiki 
마쉬토츠 1세
<rowcolor=#49006d,#49006d> 제51대 제52대 제53대 제54대 제55대
#!wiki 
호브하네스 5세
#!wiki 
스테파노스 2세
#!wiki 
테오도로스 1세
#!wiki 
예기셰 1세
#!wiki 
아나니아 1세
<rowcolor=#49006d,#49006d> 제56대 제57대 제58대 제59대 제60대
#!wiki 
바한 1세
#!wiki 
스테파노스 3세
#!wiki 
하치크 1세
#!wiki 
사르기스 1세
#!wiki 
페트로스 1세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킬리키아 시대 ]
{{{#!wiki style="margin: -5px -1px"
<rowcolor=#49006d,#49006d> 제61대 제62대 제63대 제64대 제65대
#!wiki 
하치크 2세
#!wiki 
크리코르 2세
#!wiki 
바르세흐 1세
#!wiki 
크리코르 3세
#!wiki 
네르세스 4세
<rowcolor=#49006d,#49006d> 제66대 제67대 제68대 제69대 제70대
#!wiki 
크리코르 4세
#!wiki 
크리코르 5세
#!wiki 
크리코르 6세
#!wiki 
호브하네스 6세
#!wiki 
콘스탄틴 1세
<rowcolor=#49006d,#49006d> 제71대 제72대 제73대 제74대 제75대
#!wiki 
하코브 1세
#!wiki 
콘스탄틴 2세
#!wiki 
스테파노스 4세
#!wiki 
크리코르 8세
#!wiki 
콘스탄틴 3세
<rowcolor=#49006d,#49006d> 제76대 제77대 제78대 제79대 제80대
#!wiki 
콘스탄틴 4세
#!wiki 
하코브 2세
#!wiki 
므히타르 1세
#!wiki 
메스로프 1세
#!wiki 
콘스탄틴 5세
<rowcolor=#49006d,#49006d> 제81대 제82대 제83대 제84대 제85대
#!wiki 
포고스 1세
#!wiki 
테오도로스 2세
#!wiki 
카라페트 1세
#!wiki 
하코브 3세
#!wiki 
크리코르 7세
<rowcolor=#49006d,#49006d> 제86대 제87대 제88대
#!wiki 
포고스 2세
#!wiki 
콘스탄틴 6세
#!wiki 
크리코르 9세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후기 에치미아진 시대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49006d,#49006d> 제89대 제90대 제91대 제92대 제93대
#!wiki 
키라코스 1세
#!wiki 
크리코르 10세
#!wiki 
사르기스 2세
#!wiki 
호브하네스 7세
#!wiki 
사르기스 3세
<rowcolor=#49006d,#49006d> 제94대 제95대 제96대 제97대 제98대
#!wiki 
자카리아 2세
#!wiki 
사르기스 4세
#!wiki 
크리코르 11세
#!wiki 
스테파노스 5세
#!wiki 
미카엘 1세
<rowcolor=#49006d,#49006d> 제99대 제100대 제101대 제102대 제103대
#!wiki 
크리코르 12세
#!wiki 
다비트 4세
#!wiki 
모브세스 3세
#!wiki 
필리포스 1세
#!wiki 
하코브 4세
<rowcolor=#49006d,#49006d> 제104대 제105대 제106대 제107대 제108대
#!wiki 
예기야자르 1세
#!wiki 
나하페트 1세
#!wiki 
알렉산드르 1세
#!wiki 
아스드바차투르 1세
#!wiki 
카라페트 2세
<rowcolor=#49006d,#49006d> 제109대 제110대 제111대 제112대 제113대
#!wiki 
아브라함 2세
#!wiki 
아브라함 3세
#!wiki 
가자르 1세
#!wiki 
미나스 1세
#!wiki 
알렉산드르 2세
<rowcolor=#49006d,#49006d> 제114대 제115대 제116대 제117대 제118대
#!wiki 
하코브 5세
#!wiki 
시메온 1세
#!wiki 
구카스 1세
#!wiki 
다비트 5세
#!wiki 
다니엘 1세
<rowcolor=#49006d,#49006d> 제119대 제120대 제121대 제122대 제123대
#!wiki 
예프렘 1세
#!wiki 
호브하네스 8세
#!wiki 
네르세스 5세
#!wiki 
맛테보스 1세
#!wiki 
게보르크 4세
<rowcolor=#49006d,#49006d> 제124대 제125대 제126대 제127대 제128대
#!wiki 
마카르 1세
#!wiki 
므크르티치 1세
#!wiki 
맛테보스 2세
#!wiki 
게보르크 5세
#!wiki 
호렌 1세
<rowcolor=#49006d,#49006d> 제129대 제130대 제131대 제132대
#!wiki 
게보르크 6세
#!wiki 
바즈겐 1세
#!wiki 
카레킨 1세
#!wiki 
[[카레킨 2세]]
}}}}}}}}}}}}}}}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1c2f74, #2d4497 20%, #2d4497 80%, #1c2f7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fff>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if 주교명="style=\"margin: 0 -10px; font: 1em/1 monospace; font-family: revert\""
#!wiki 
카라페트 1세
#!wiki 
스테파노스 1세
#!wiki 
호브하네스 1세
#!wiki 
호브하네스 2세
#!wiki 
호브하네스 3세
<rowcolor=#fff,#fff>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wiki 
시메온 1세
#!wiki 
가자르 1세
#!wiki 
토로스 1세
#!wiki 
하차투르 1세
#!wiki 
하차투르 2세
<rowcolor=#fff,#fff>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wiki 
아자리아 1세
#!wiki 
호브하네스 4세
#!wiki 
미나스 1세
#!wiki 
시메온 2세
#!wiki 
네르세스 1세
<rowcolor=#fff,#fff>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wiki 
토로스 2세
#!wiki 
하차투르 3세
#!wiki 
사하크 1세
#!wiki 
그리고르 1세
#!wiki 
아스드바차투르 1세
<rowcolor=#fff,#fff>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제25대
#!wiki 
맛테보스 1세
#!wiki 
호브하네스 5세
#!wiki 
크리코르 2세
#!wiki 
호브하네스 6세
#!wiki 
구카스 1세
<rowcolor=#fff,#fff> 제26대 제27대 제28대 제29대 제30대
#!wiki 
미카엘 1세
#!wiki 
가브리엘 1세
#!wiki 
예프렘 1세
#!wiki 
토로스 3세
#!wiki 
키라코스 1세
<rowcolor=#fff,#fff> 제31대 제32대 제33대 제34대 제35대
#!wiki 
예프렘 2세
#!wiki 
미카엘 2세
#!wiki 
키라코스 2세
#!wiki 
므크르티치 1세
#!wiki 
사하크 2세
<rowcolor=#fff,#fff> 제36대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wiki 
페트로스 1세
#!wiki 
카레킨 1세
#!wiki 
자레 1세
#!wiki 
호렌 1세
#!wiki 
카레킨 2세
<rowcolor=#fff,#fff> 제41대
#!wiki 
[[아람 1세]]
}}}}}}}}}}}}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270737, #490d67 20%, #490d67 80%, #270737); word-break: norma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제1-60대 ]
{{{#!wiki style="margin: -5px -1px"
<rowcolor=#fff,#fff>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if 주교명="style=\"margin: 0 -10px; font: 1em/1 monospace; font-family: revert\""
#!wiki 
호바킴 1세
#!wiki 
니코가요스 1세
#!wiki 
카라페트 1세
#!wiki 
마르티로스 1세
#!wiki 
크리코르 1세
<rowcolor=#fff,#fff>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wiki 
아스드바차투르 1세
#!wiki 
스테파노스 1세
#!wiki 
티라두르 1세
#!wiki 
하코브 1세
#!wiki 
호브하네스 1세
<rowcolor=#fff,#fff>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wiki 
토브마스 1세
#!wiki 
사르기스 1세
#!wiki 
호브하네스 2세
#!wiki 
아자리아 1세
#!wiki 
사르기스 2세
<rowcolor=#fff,#fff>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wiki 
멜키세데크 1세
#!wiki 
호브하네스 3세
#!wiki 
크리코르 2세
#!wiki 
자카리아 1세
#!wiki 
다비트 1세
<rowcolor=#fff,#fff>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제25대
#!wiki 
키라코스 1세
#!wiki 
하차투르 1세
#!wiki 
토브마스 2세
#!wiki 
예기야자르 1세
#!wiki 
호브하네스 4세
<rowcolor=#fff,#fff> 제26대 제27대 제28대 제29대 제30대
#!wiki 
마르티로스 2세
#!wiki 
가자르 1세
#!wiki 
호브하네스 5세
#!wiki 
스테파노스 2세
#!wiki 
호브하네스 6세
<rowcolor=#fff,#fff> 제31대 제32대 제33대 제34대 제35대
#!wiki 
안드레아스 1세
#!wiki 
카라페트 2세
#!wiki 
사르기스 4세
#!wiki 
토로스 1세
#!wiki 
예프렘 1세
<rowcolor=#fff,#fff> 제36대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wiki 
하차투르 2세
#!wiki 
맛테보스 1세
#!wiki 
멜키세데크 2세
#!wiki 
므히타르 1세
#!wiki 
아베티크 1세
<rowcolor=#fff,#fff>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제45대
#!wiki 
갈루스트 1세
#!wiki 
네르세스 1세
#!wiki 
마르티로스 3세
#!wiki 
미카엘 1세
#!wiki 
사하크 1세
<rowcolor=#fff,#fff> 제46대 제47대 제48대 제49대 제50대
#!wiki 
호브하네스 7세
#!wiki 
호브하네스 8세
#!wiki 
호브하네스 9세
#!wiki 
하코브 2세
#!wiki 
프로호론 1세
<rowcolor=#fff,#fff> 제51대 제52대 제53대 제54대 제55대
#!wiki 
미나스 1세
#!wiki 
게보르크 1세
#!wiki 
크리코르 3세
#!wiki 
자카리아 2세
#!wiki 
호브하네스 10세
<rowcolor=#fff,#fff> 제56대 제57대 제58대 제59대 제60대
#!wiki 
다니엘 1세
#!wiki 
호브하네스 11세
#!wiki 
크리코르 4세
#!wiki 
아브라함 1세
#!wiki 
포고스 1세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제61대 이후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fff> 61대 제62대 제63대 제64대 제65대
#!wiki 
카라페트 3세
#!wiki 
스테파노스 3세
#!wiki 
하코보스 3세
#!wiki 
아스드바차투르 2세
#!wiki 
맛테보스 2세
<rowcolor=#fff,#fff> 제66대 제67대 제68대 제69대 제70대
#!wiki 
게보르크 2세
#!wiki 
사르기스 5세
#!wiki 
포고스 2세
#!wiki 
이그나티오스 1세
#!wiki 
므크르티치 1세
<rowcolor=#fff,#fff> 제71대 제72대 제73대 제74대 제75대
#!wiki 
네르세스 2세
#!wiki 
하루티운 1세
#!wiki 
호렌 1세
#!wiki 
맛테보스 3세
#!wiki 
마가키아 1세
<rowcolor=#fff,#fff> 제76대 제77대 제78대 제79대 제80대
#!wiki 
예기셰 1세
#!wiki 
호브하네스 12세
#!wiki 
자벤 1세
#!wiki 
메스로프 1세
#!wiki 
카레킨 1세
<rowcolor=#fff,#fff> 제81대 제82대 제83대 제84대
#!wiki 
슈노르크 1세
#!wiki 
카레킨 2세
#!wiki 
메스로프 2세
#!wiki 
[[사하크 2세]]
}}}}}}}}}}}}}}}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171e4c, #233090 20%, #233090 80%, #171e4c); word-break: norma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제1-60대 ]
{{{#!wiki style="margin: -5px -1px"
<rowcolor=#e2c57e,#e2c57e>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if 주교명="style=\"margin: 0 -10px; font: 1em/1 monospace; font-family: revert\""
#!wiki 
아브라함 1세
#!wiki 
크리코르 1세
#!wiki 
게보르크
#!wiki 
므크르티치 1세
#!wiki 
호브하네스 1세
<rowcolor=#e2c57e,#e2c57e>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wiki 
스테파노스
#!wiki 
예기야
#!wiki 
아브라함 2세
#!wiki 
크리코르 2세
#!wiki 
아르센
<rowcolor=#e2c57e,#e2c57e>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wiki 
메스로프 1세
#!wiki 
시메온 1세
#!wiki 
모브세스
#!wiki 
예사이 1세
#!wiki 
사하크
<rowcolor=#e2c57e,#e2c57e>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wiki 
아브라함 3세
#!wiki 
미나스 1세
#!wiki 
아브라함 4세
#!wiki 
아라켈
#!wiki 
호브하네스 2세
<rowcolor=#e2c57e,#e2c57e>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제25대
#!wiki 
카라페트 1세
#!wiki 
하코보스
#!wiki 
사르기스 1세
#!wiki 
테오도로스 1세
#!wiki 
다비트 1세
<rowcolor=#e2c57e,#e2c57e> 제26대 제27대 제28대 제29대 제30대
#!wiki 
포고스 1세
#!wiki 
바르탄
#!wiki 
호브하네스 3세
#!wiki 
파르세흐
#!wiki 
크리코르 3세
<rowcolor=#e2c57e,#e2c57e> 제31대 제32대 제33대 제34대 제35대
#!wiki 
므크르티치 2세
#!wiki 
호브하네스 레하치
#!wiki 
크리코르 4세
#!wiki 
예사이 2세
#!wiki 
사르기스 2세
<rowcolor=#e2c57e,#e2c57e> 제36대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wiki 
포고스 2세
#!wiki 
마르티로스 1세
#!wiki 
예사이 3세
#!wiki 
호브하네스 4세
#!wiki 
아브라함 5세
<rowcolor=#e2c57e,#e2c57e>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제45대
#!wiki 
메스로프 2세
#!wiki 
페트로스 1세
#!wiki 
므크르티치 3세
#!wiki 
아브라함 6세
#!wiki 
호브하네스 5세
<rowcolor=#e2c57e,#e2c57e> 제46대 제47대 제48대 제49대 제50대
#!wiki 
마르티로스 2세
#!wiki 
페트로스 2세
#!wiki 
사르기스 3세
#!wiki 
호브하네스 6세
#!wiki 
테오도로스 2세
<rowcolor=#e2c57e,#e2c57e> 제51대 제52대 제53대 제54대 제55대
#!wiki 
필리포스
#!wiki 
안드레아스
#!wiki 
다비트 2세
#!wiki 
크리코르 5세
#!wiki 
테오도로스 3세
<rowcolor=#e2c57e,#e2c57e> 제56대 제57대 제58대 제59대 제60대
#!wiki 
마르티로스 3세
#!wiki 
호브하네스 8세
#!wiki 
호브하네스 9세
#!wiki 
시메온 2세
#!wiki 
미나스 2세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제61대 이후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e2c57e,#e2c57e> 61대 제62대 제63대 제64대 제65대
#!wiki 
크리코르 6세
#!wiki 
하코브
#!wiki 
테오도로스 4세
#!wiki 
카라페트 2세
#!wiki 
포고스 3세
<rowcolor=#e2c57e,#e2c57e> 제66대 제67대 제68대 제69대 제70대
#!wiki 
호브하네스 10세
#!wiki 
페트로스 3세
#!wiki 
테오도로스 5세
#!wiki 
가브리엘
#!wiki 
자카리아
<rowcolor=#e2c57e,#e2c57e> 제71대 제72대 제73대 제74대 제75대
#!wiki 
키라코스
#!wiki 
호브하네스 11세
#!wiki 
예사이 4세
#!wiki 
하루티운
#!wiki 
예기셰 1세
<rowcolor=#e2c57e,#e2c57e> 제76대 제77대 제78대 제79대 제80대
#!wiki 
토르콤 1세
#!wiki 
메스로프 3세
#!wiki 
키브레흐
#!wiki 
예기셰 2세
#!wiki 
토르콤 2세
<rowcolor=#e2c57e,#e2c57e> 제81대
#!wiki 
[[누르항 마누키앙|누르항]]
}}}}}}}}}}}}}}}

특정 민족 교회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음에도 세계에 의외로 많이 퍼진 아르메니아인 디아스포라 덕분에 은근히 넓은 교세와 교계제도를 가지고 있다. 당장 아르메니아 교회에는 총대주교가 넷이나 있다.
  • 전 아르메니아의 카톨리코스-총대주교
    현재 실질적인 교회 최고 의장 주교의 역할을 수행한다. 현 총대주교좌는 에치미아진이지만, 시대에 따라 여러 번 총대주교좌를 옮겼고 1058년에는 아르메니아 총대주교좌를 킬리키아로 완전히 옮기기까지 했다. 1441년에 다시 아르메니아 본토로 돌아왔지만 킬리키아 총대주교 자리는 계속 유지시키고 있다.
  • 킬리키아의 카톨리코스-총대주교
    동로마 제국 마케도니아 왕조 시절 아르메니아인들은 동로마 제국과 긴밀한 관계를 맺었고 그 연으로 점차 원래 살던 캅카스 땅에서 지금의 튀르키예 동남부 지역의 킬리키아 지방으로 많이 내려와 살았다. 만지케르트 전투 - 십자군 전쟁으로 아나톨리아 반도가 어수선하던 시절에는 여기에 아르메니아인의 왕국을 세우기도 했다. 이곳에 아르메니아인이 점점 많아지자 아예 아르메니아 본토의 총대주교좌가 이곳으로 이전했고 아르메니아 교회의 수장 역할을 했으며 지금도 그 전통적인 권위에 힘입어 무시할 수 없는 세력을 가지고 있다. 문제는 아르메니아인 대학살로 인해 근대 튀르키예에서 교회가 완전히 무너지다시피 했다는 점이다. 총대주교좌는 레바논 안텔리아스로 옮겨가 버렸다.
  •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아르메니아 총대주교
    전술한 아르메니아인 대학살로 튀르키예 동쪽 옛 아르메니아 땅의 아르메니아인들은 씨가 마르다시피 했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지금 튀르키예에서 가장 큰 그리스도교 공동체는 다름 아닌 아르메니아 교회다. 가장 융성했던 정교회가 전체 튀르키예의 3~4천 명으로 쪼그라들다시피 한 것에 비하면 엄청난 규모다. 신자 수는 총 4만 5천 명이다. 이스탄불에서 아르메니아인들은 쿠르툴루시(Kurtuluş) 지역에 많이 모여 사는데 많은 이들이 장의사업에 종사하거나 이슬람 국가에서 그리스도교식 장례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 예루살렘의 아르메니아 총대주교

4. 교회 문화의 교차점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는 지리적으로나 교리적으로는 동방에 속해 있으면서도 전례적, 실천적 측면에서 서방교회의 모습이 매우 강하게 나타난다. 특히 아르메니아 교회의 전례를 보면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를 단순히 '동방교회'라는 카테고리로만 묶기에는 힘들 정도로 서방교회의 문화가 많이 녹아 있는데 이는 중세부터 동로마 제국과 이슬람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서방 세력과 많이 제휴했기 때문이다. 심지어 십자군 전쟁 시절에는 십자군 국가들과 동맹을 맺어 잠시 가톨릭으로 귀일했던 적도 있다.

예를 들면 첫 번째, 기도손 전통. 서방 교회에서는 기도손을 하지 않고 기도하는 걸 정말 매우 이상하게 보지만 동방 교회에서는 원래부터 그런 거 없다. 제대 앞에선 성직자들 모두 서서 차렷 자세를 하거나 손을 가지런히 앞으로 모으는 정도다.[5] 하지만 아르메니아 교회에는 기도손 전통이 존재한다.

파일:external/www.stsarkis.org/1420521763.png

두 번째, 성체성사 때 동방교회로서는 드물게 무교병을 사용한다.[6] 즉, 가톨릭에서 사용하는 하얀 제병이 성체성사의 봉헌물로 바쳐지는 것이다. 단, 여기도 다른 동방교회들처럼 양형 영성체를 고수하고 있기는 하다.

파일:external/www.armenianchurch.org/29-11.jpg

세 번째, 제대나 전례복이 서방과 거의 비슷하다. 제대도 제대를 탁자처럼 꾸미는 정교회와 달리 가톨릭의 전통적인 벽제대 형태를 취함은 물론 층까지 쌓음이 기본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가톨릭 교회와 조금 다르기는 하지만 닫집(천개, 天蓋)까지 있기도 한다.[7] 물론 이러한 특징은 시리아 정교회에서도 찾아볼 수 있기 때문에 단순한 서방 교회 문화라고만 하기에도 힘들다.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의 주교관은 세로로 좀 더 길쭉하고 뒤에 술이 없을 뿐 서방 교회 주교관과 완전한 판박이다!

네 번째,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의 전례는 트리엔트 미사와 성찬기도(전문典文, Anaphora) 부분을 제외하고는 초입경(입당송), 층계경 및 고백기도 등 전례요소에서 공통점이 있다. 시편 42편을 외우며 층계경을 하고 동방교회에서 따로 찾을 수 없는 Confiteor(고백기도)를 한다. 심지어 트리엔트 미사처럼 미사가 끝난 후 마침 복음경(요한 복음서 1장)을 낭독하는 전통도 있다. 물론 핵심부분인 성찬기도에서 동로마 전례나 콥트 전례처럼 성찬제정사를 한 뒤 성령청원기도 후 성체성사가 이루어진다는 점에서는 동방 전통 전례로 분류함이 맞다.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전례도 안티오키아 전례에서 유래하여 동로마 전례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5. 성찬예배


성찬예배 모습. 동방교회 성찬예배답게 짤막한 전례의 길이가 이 정도다.

6. 기타

  • 아르마니아계 이민자 집안인 카다시안 가문이 이 교회의 신자이다. 킴 카다시안의 경우 개신교 신자인 칸예 웨스트와의 결혼, 또한 여러 기행들로 인해 더 이상 출석하지 않는 것 아니냐는 말도 나왔으나 공식적으로는 여전히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를 자신의 종교로 밝히고 있다.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세계 교회 협의회 원형 로고.svg세계 교회 협의회
회원교단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감리회
아프리카 감리교 감독교회 아프리카 감리교 감독 시온교회 기독교 감리교 감독교회 볼리비아 복음주의 감리회
이탈리아 복음주의 감리회 필리핀 복음주의 감리회 아르헨티나 복음주의 감리회 통가 자유 웨슬리안교회
기독교대한감리회 영국 감리회 가나 감리회 브라질 감리회
피지와 로투마 감리회 인도 감리회 인도네시아 감리회 아일랜드 감리회
케냐 감리회 말레이시아 감리회 싱가포르 감리회 카리브해와 아메리카 감리회
짐바브웨 감리회 나이지리아 감리회 칠레 감리회 멕시코 감리회
뉴질랜드 감리회 페루 감리회 푸에르토리코 감리회 사모아 감리회
남부아프리카 감리회 토고 감리회 우루과이 감리회 시에라리온 감리회
스리랑카 감리회 상(上)미얀마 감리회 베냉 개신교 감리회 연합감리교회
코트디부아르 감리회
개혁교회
아프리카 개신교회 부르키나파소 복음주의 개혁교회 협회 중앙 술라웨시 기독교 교회 숨바 기독교 교회
미나하사 기독교 복음주의 교회 상이헤 탈라우드 기독교 복음주의 교회 중앙아프리카 장로회 블랜타이어 시노드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콩고 복음주의 공동체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콩고 장로회 공동체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킨샤사 장로회 공동체 태국 그리스도의 교회 마다가스카르 예수 그리스도 교회
북인도 교회 파키스탄 교회 스코틀랜드 교회 남인도 교회
미국령 사모아 회중 기독교 교회 니우에 회중 기독교 교회 투발루 회중 기독교 교회 체코슬로바키아 후스파 교회
네덜란드 개혁교회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
동자바 기독교 교회 리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바바리아와 북서부 독일 복음주의 개혁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할마헤라 복음주의 기독교 교회 타나 파푸아 복음주의 기독교 교회 뉴칼레도니아와 로열티 제도 복음주의 교회 카메룬 복음주의 교회
콩고 복음주의 교회 체코형제복음교회 가봉 복음주의 교회 그리스 복음주의 교회
오스트리아 아우크스부르크 복음주의 교회와 오스트리아 헬베티아 신앙고백 복음주의 교회 리버 플레이트 복음주의 교회 앙골라 복음주의 회중교회 가나 복음주의 장로회
남아프리카 복음주의 장로회 이집트 복음주의 장로회 나일강 시노드 이란 복음주의 장로회
포르투갈 복음주의 장로회 토고 복음주의 장로회 앙골라 복음주의 개혁교회 중국 그리스도의 교회 홍콩 협의회
미국 헝가리 개혁교회 브라질 독립 장로회 인도네시아 기독교 교회 자바 기독교 교회
칼리만탄 복음주의 교회 카로 바탁 개신교 교회 키리바시 연합교회 재일대한기독교회
레소토 복음주의 교회 마오히 개신교회 마라 복음주의 시리아와 레바논 전국 복음주의 시노드
파순단 기독교 교회 카메룬 장로회PCC 캐나다 장로교회 르완다 장로회
대만기독장로교회 한국기독교장로회 아프리카 장로회 아오테아로아 뉴질랜드 장로회
카메룬 장로회EPC 콜롬비아 장로회 동아프리카 장로교회 가나 장로회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라이베리아 장로회 모잠비크 장로회 나이지리아 장로교회
파키스탄 장로회 남수단 장로회 트리니다드 토바고 장로회 바누아투 장로교회
웨일스 장로회 미국 장로교(PCUSA) 쿠바 장로교개혁교회 발리 개신교 기독교 교회
인도네시아 개신교회 남동 술라웨시 개신교회 스위스 개신교회 몰루카스 개신교회
네덜란드 개신교회 티모르 로로사에 개신교회 서부 인도네시아 개신교회 알제리 개신교회
티모르 개신교 복음주의 교회 세르비아&몬테네그로 개혁 기독교 교회 슬로바키아 개혁 기독교 교회 미국 개혁교회
헝가리 개혁교회 루마니아 개혁교회 잠비아 개혁교회 짐바브웨 개혁교회
국가를 위한 개혁 그리스도의 교회 적도 기니 개혁 장로회 항의 형제단 스페인 복음주의 교회
토라자 교회
동방정교회
키프로스 교회 그리스 교회 세계 총대주교청 알렉산드리아와 전 아프리카의 총대주교구
안티오키아와 전 동방의 총대주교구 예루살렘 총대주교구 알바니아 정교회 독립교회 아메리카 정교회
일본 정교회 체코 땅과 슬로바키아의 정교회 핀란드 정교회 폴란드 독립 정교회
루마니아 정교회 러시아 정교회(모스크바 총대주교청) 세르비아 정교회
루터교회
바탁 기독교 공동체 교회 볼리비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기독교 개신교 앙콜라 교회 인도네시아 기독교 개신교회
노르웨이 교회 스웨덴 교회 중부 독일 복음주의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뷔르템베르크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바이에른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브런즈윅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북부 독일 복음주의 루터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올덴부르크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하노버 복음주의 루터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작센 복음주의 루터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샴부르크-리페 복음주의 루터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에스토니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에티오피아 메카네예수스 복음교회 폴란드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복음주의 교회 루마니아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복음주의 교회 슬로바키아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복음주의 교회
브라질 루터교 신앙고백 복음주의 교회 미국복음주의루터교회 캐나다복음주의루터교회 칠레 복음주의 루터교회
콩고 복음주의 루터교회 덴마크 복음주의 루터교회 헝가리 복음주의 루터교회 요르단과 성지의 복음주의 루터교회
나미비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남부아프리카 복음주의 루터교회 탄자니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나미비아 공화국 복음주의 루터교회
짐바브웨 복음주의 루터교회 핀란드 복음주의 루터교회 가나 복음주의 루터교회 아이슬란드 복음주의 루터교회
라트비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파푸아뉴기니 복음주의 루터교회 루마니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인도네시아 기독교 교회
케냐 복음주의 루터교회 해외 라트비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라이베리아 루터교회 말라가시 루터교회
니아스 기독교 개신교회 개신교 기독교 바탁 교회 사바 개신교회 엘살바도르 루터교회 시노드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실레시아 복음주의 교회 시말룽군 개신교 기독교 교회 세르비아&몬테네그로의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슬로바키아 복음주의 교회 연합 복음주의 루터교회
인도 연합 복음주의 루터교회
마르 토마 교회
말라바르 마르 토마 시리아 교회
모라비아 교회와 역사적 평화 교회
독일 메노나이트 회중 협회 친구들의 종교 협회 캐나다 연례 모임(퀘이커)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콩고 메노나이트 공동체 형제단 교회
나이지리아 형제단 교회 네덜란드 메노나이트 교회 동·서인도 제도 지방 모라비아 교회 미국 모라비아 교회
자메이카 모라비아 교회 니카라과 모라비아 교회 남아프리카 모라비아 교회 수리남 모라비아 교회
탄자니아 모라비아 교회 서유럽 모라비아 교회 필리핀 독립 교회 폴란드 전국 가톨릭교회
친구들의 종교 협회: 친구 총회 친구들의 종교 협회: 친구 연합 모임
복고 가톨릭교회
독일 복고 가톨릭 교구 오스트리아 복고 가톨릭교회 네덜란드 복고 가톨릭교회 스위스 복고 가톨릭교회
폴란드 마리아비테 복고 가톨릭교회 폴란드의 폴란드 가톨릭교회
복음주의 교회
남수단과 수단의 아프리카 내륙 교회 라오스 복음주의 교회
성공회
아오테아로아 뉴질랜드와 폴리네시아 성공회 일본성공회 호주 성공회 부룬디 성공회
캐나다 성공회 케냐 성공회 대한성공회 남아메리카 성공회
남아프리카 성공회 탄자니아 성공회 웨일스 교회 실론 교회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콩고 성공회 공동체 잉글랜드 국교회 아일랜드 교회 멜라네시아 교회
나이지리아 교회 중앙아프리카관구 교회 미얀마 교구 교회 인도양 교구 교회
서아프리카 교구 교회 우간다 교회 브라질 성공회 예루살렘과 중동 성공회
필리핀 성공회 포르투갈 루시타니아 교회 르완다 성공회 교구 남수단 성공회 교구
수단 성공회 교구 스코틀랜드 성공회 스페인 개혁 성공회 알렉산드리아 성공회 교구
미국성공회
아시리아 교회
아시리아 동방교회
아프리카 토착교회
아프리카 형제단 교회 아프리카 기독교 교회 & 학교 성령의 아프리카 교회 아프리카 이스라엘 니느웨 교회
그리스도의 교회 - 해리스 선교(해리스 교회) 성령의 빛 그리스도의 교회 남부아프리카 아프리카 토착교회 협의회 아프리카 교회
전세계 주의 교회(기도 동역회) 제일 아프리카 교회 선교
연합교회
중국기독교협의회 방글라데시 교회 브레멘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베를린-브란덴부르크-실레시아 오버라우지츠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바덴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라인란트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안할트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쿠르헤센-발데크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팔츠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베스트팔렌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헤센과 나사우 개신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독일 복음주의교회
공동체 교회 국제 협의회 알자스와 로렌 연합 개신교회 근동 아르메니아 복음주의 교회 연합 웨일스 독립 연합
자메이카와 케이맨 제도 연합교회 파푸아뉴기니 연합교회 솔로몬 제도 연합교회 캐나다 연합교회
그리스도연합교회 그리스도연합교회 - 마셜 제도 회중 일본기독교단 필리핀 그리스도연합교회
짐바브웨 그리스도연합교회 잠비아 연합교회 남부아프리카 연합회중교회 스코틀랜드 연합자유교회
브라질 연합장로교회 벨기에 연합개신교회 퀴라소 연합개신교회 프랑스연합개신교회
호주 연합교회 스웨덴 연합교회 남부아프리카 연합장로교회 남부아프리카 연합개혁교회
발도파 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킬리키아 성좌)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성지 에치미아진의 모교구) 콥트 정교회 에리트레아 테와히도 정교회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 말랑카라 시리아 정교회 시리아 정교회 안티오키아와 전 동방의 총대주교구
오순절교회
하나님의 교회 협회 기독교 성경 교회 앙골라 복음주의 오순절 선교 칠레 자유 오순절 선교 교회
국제 복음주의 교회 칠레 오순절교회 오순절 선교 교회 남아프리카 사도적 믿음 선교
제자회 / 그리스도의 교회
크리스천 교회(제자회) 캐나다 크리스천 교회(제자회) 미국 뉴질랜드 크리스천 교회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콩고 제자회 공동체
호주 그리스도의 교회 아르헨티나 제자회 복음주의 교회 연합개혁교회
침례회
미국 침례회 르완다 침례회 협회 방글라데시 침례회 상가 엘살바도르 침례회 협회
아이티 침례회 총회 니카라과 침례회 총회 덴마크 침례회 연합 영국 침례회 연합
헝가리 침례회 연합 뉴질랜드 침례회 연합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콩고 침례회 공동체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아프리카 개신교 침례회 / 아프리카 감독제 침례회 공동체
중앙아프리카 침례회 공동체 필리핀 침례회 총회 북동 인도 침례회 협의회 앙골라 복음주의 침례회
이탈리아 복음주의 침례회 연합 자메이카 침례회 연합 미얀마 침례회 전국침례교총회(NBCA)
전국침례교총회(NBCUSA) 카메룬 원주민 침례회 나이지리아 침례회 총회 진보전국침례교총회
텔루구 침례회 사마베삼 카메룬 침례회 연합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유럽 교회 회의 로고.png유럽 교회 회의
회원교단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가 교단
알바니아 파일:알바니아 정교회 상징.svg 알바니아 정교회
아르메니아 파일: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로고.svg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오스트리아 파일:오스트리아 아우크스부르크 복음교회 상징.png 오스트리아 아우크스부르크 복음주의교회 · 파일:오스트리아 H.C. 복음주의 교회 상징(바탕).jpg 오스트리아 H.C. 복음주의 교회 · 파일:오스트리아 구가톨릭 교회 상징.png 오스트리아 구가톨릭 교회 · 파일:연합감리교회 상징.svg 오스트리아 연합감리교회
벨기에 파일:벨기에 연합 개신교회.png 벨기에 연합개신교회
불가리아 불가리아 오순절교회 · 불가리아 복음주의 침례교회 연합
크로아티아 파일:크로아티아 침례회 연합 상징.png 크로아티아 침례회 연합 · 크로아티아 하나님의 교회[1] · 크로아티아 공화국 복음주의 교회 · 크로아티아 복음 오순절교회 · 크로아티아 개혁 기독교(칼뱅주의) 교회
키프로스 파일:키프로스 정교회 상징.png 키프로스 정교회
체코 체코슬로바키아 후스파 교회 · 파일:체코형제복음교회 상징.svg 체코형제복음교회 · 체코 공화국 구가톨릭 교회 · 체코와 슬로바키아 정교회 · 체코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실레지아 복음교회 · 파일:연합감리교회 상징.svg 체코 연합감리교회
덴마크 덴마크 침례회 연합 · 파일:덴마크 교회 로고.svg 덴마크 교회
에스토니아 에스토니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 파일:에스토니아 사도 정교회 상징.png 에스토니아 사도 정교회
핀란드 파일:핀란드 복음주의 루터교회 상징.svg 핀란드 복음주의 루터교회 · 파일:핀란드 정교회 로고.svg 핀란드 정교회
프랑스 프랑스 복음주의 침례교회 연맹 · 프랑스 마다가스카르 개신교회 · 알자스와 로렌 개신교 연합 · 파일:프랑스연합개신교회 상징.png 프랑스연합개신교회
조지아 조지아 복음주의 침례회
독일 독일 구가톨릭 교구 ·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독일 복음주의교회 · 독일 복음주의 자유 교회 연합(침례회 연합) · 파일:연합감리교회 상징.svg 독일 연합감리교회
그리스 파일:그리스 교회 상징.svg 그리스 교회 · 그리스 복음주의 교회
헝가리 헝가리 침례회 연합 · 헝가리 복음주의 루터교회 · 파일:팔각별.svg 헝가리 개혁교회 · 파일:연합감리교회 상징.svg 헝가리 연합감리교회
아이슬란드 파일:아이슬란드 복음주의 루터교회 상징.png 아이슬란드 복음주의 루터교회
아일랜드 파일:아일랜드 성공회 로고.png 아일랜드 교회[I] · 파일:브리튼 영국 감리회 로고.png 아일랜드 감리회[I] · 파일:아일랜드 장로회 로고.png 아일랜드 장로회[I] · 파일:구세군 방패(영문).svg 영국-아일랜드 구세군[UK-I]
이탈리아 이탈리아 기독교 복음주의 침례회 연합회 · 이탈리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 이탈리아 복음주의 감리교회 · 이탈리아 발도파 교회
라트비아 라트비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 해외 라트비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리히텐슈타인 리히텐슈타인 공국 복음주의 루터교회
리투아니아 리투아니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룩셈부르크 룩셈부르크 개신교 교회
네덜란드 네덜란드 메노나이트 교회 · 네덜란드 구가톨릭 교회 · 파일:네덜란드 개신교회 상징.svg 네덜란드 개신교회 · 항의 교회
북마케도니아 파일:연합감리교회 상징.svg 연합감리교회 마케도니아
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민교회 상징.svg 노르웨이 교회
폴란드 폴란드 침례회 연합 · 폴란드 아우크스부르크 고백 교회 · 폴란드 복음 개혁교회 · 폴란드 구가톨릭 마리아비테 교회 · 폴란드 독립 정교회 · 폴란드 가톨릭 교회(구가톨릭) · 파일:연합감리교회 상징.svg 폴란드 연합감리교회
포르투갈 포르투갈 복음주의 감리회 · 포르투갈 복음주의 장로회 · 루시타니아 가톨릭 사도적 복음주의 교회
루마니아 루마니아 아우크스부르크 복음주의교회 · 루마니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 루마니아 개혁교회(키랄리고멜릭 지구) · 파일:루마니아 정교회 상징.png 루마니아 정교회 · 트란실바니아 개혁교회
러시아 러시아 복음주의 기독교인-침례회 연합 · 러시아 잉그리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 파일:Cross_of_the_Russian_Orthodox_Church_01.svg.png 러시아 정교회[6]
세르비아 세르비아 개혁교회 · 파일:세르비아 정교회 십자가.svg 세르비아 정교회 · 세르비아 아우크스부르크 복음주의교회 · 파일:연합감리교회 상징.svg 세르비아 연합감리교회
슬로바키아 슬로바키아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교회 · 체코와 슬로바키아 정교회 · 슬로바키아 개혁교회
슬로베니아 슬로베니아 공화국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복음주의교회
스페인 스페인 복음주의교회 · 스페인 개혁 성공회
스웨덴 파일:스웨덴 교회 로고.svg 스웨덴 교회 · 스웨덴 연합교회
스위스 파일:스위스 개신교회 로고(영어).svg 스위스 개신교회 · 스위스 구가톨릭 교회 · 파일:연합감리교회 상징.svg 스위스 연합감리교회
우크라이나 트란스카르파티아 개혁교회
영국 파일:영국침례회연합로고.png 영국 침례회 연합 · 파일:웨일스관구문장.png 웨일스 교회 · 파일:영국 국교회 세로 로고.png 잉글랜드 국교회 · 파일:스코틀랜드 국민교회 상징.svg 스코틀랜드 교회 · 파일:회중연합로고.png 회중 연합회 · 파일:아프리카 및 아프리카-카리브해 교회 협의회 로고.png 아프리카 및 아프리카-카리브해 교회 협의회 · 파일:브리튼 영국 감리회 로고.png 영국 감리회 · 파일:웨일즈장로교로고.png 웨일스 장로회 · 파일:구세군 방패(영문).svg 영국-아일랜드 구세군[UK-I] · 파일:스코틀랜드 성공회 로고.png 스코틀랜드 성공회 · 파일:실로 전 세계 그리스도 사도 연합교회 로고.png 실로 전 세계 그리스도 사도 연합교회 · 파일:영국연합개척교회로고.png 연합개혁교회 · 파일:아일랜드 성공회 로고.png 아일랜드 교회[I] · 파일:브리튼 영국 감리회 로고.png 아일랜드 감리회[I] · 파일:아일랜드 장로회 로고.png 아일랜드 장로회[I]
국제 조직 파일:Coat_of_Arms_of_the_Ecumenical_Patriarchate_Constantinople_(St._George's_Cathedral,_Istanbul).svg 정교회 세계 총대주교청 · 유럽 침례회 연맹 · 러시아 및 기타 국가의 복음주의 루터교회 연맹 · 유럽 대륙 관구 모라비안 교회 · 파일:구세군 휘장.svg 구세군 국제본영 · 파일:연합감리교회 상징.svg 북유럽 및 발트 지역 연합감리교회

[1] 오순절운동의 일파인 정통 개신교 교단.[I] 아일랜드 - 북아일랜드 통합 관할[I] [I] [UK-I] 영국 - 아일랜드 통합 관할[6] 2009년 회원 자격 정지[UK-I] [I] [I] [I]
}}}}}}}}}

[1] Hayastaniayts Aṙak̕elakan Surb Yekeghetsi[2] 이 뜻은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 두 본성이 공존을 함과 동시에 같이 붙어다니며 각 속성은 서로의 특징을 공유해 그리스도가 참 하느님인 동시에 우리와 같은 인간이라는 뜻이다. 칼케돈 공의회는 그리스도의 본성에 대한 논쟁이었지, 결코 니케아 공의회에서 의결된 삼위일체론에 대한 논쟁이 아니었다. 다시 말해 이들은 삼위일체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3] 사실 이는 오리엔트 정교회들이 모두 견지하고 있는 관점이다. 때문에 현대 신학에서는 오리엔트 정교회들의 그리스도론을 위와 같은 단어로 표현하는 용례가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당사자들도 자신들을 단성론이라고 지칭하는 것에 대해 크게 반발한다. 그리고 사실 칼케돈파(양성론)과 합성론이 별로 큰 차이가 있는 교리도 아니다. 자세한 내용은 단성론을 참고.[4] 이는 비슷한 역사를 가지고 있는 시리아, 에티오피아, 이집트 콥트 정교회 신자들도 마찬가지다.[5] 기도손 전통서유럽봉건제에서 봉신이 주군에게 충성을 바칠 것을 맹세할 때 취하는 자세에서 비롯된 전통이다. 따라서 서방 교회 계통이 아닌 교파에서는 기도손을 보기 힘들다.[6] 정교회와 오리엔트 정교회, 동방 가톨릭 교회 통틀어서 오직 아르메니아 전례 교회들과 마론파, 시로말라바르 가톨릭만이 무교병을 사용한다.[7] 아이러니한 일이지만 되려 가톨릭 교회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1970년대부터는 탁자형 제대를 사용하는 일이 많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