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bb8a02, #d8a002 20%, #d8a002 80%, #bb8a0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 | | | | ||||||
| 베드로 | 안드레아 | 마르코 | 베드로 | 야고보 | ||||||
| | | | | ||||||
| | | | |||||||
| | | | |||||||
| | | ||||||||
| | |||||||||
| ||||||||||
<keepall>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 | | | | ||||||
| ||||||||||
<keepall>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 | | | |||||||
| | | | |||||||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fff,#fff> | | |||||||
| | |||||||||
| | |||||||||
| | |||||||||
| }}}}}}}}}}}} | |||||||||
|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8af00 0%, #ffce01 20%, #ffce01 80%, #d8af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000000,#000000>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 | | | |
| <rowcolor=#000000,#000000>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
| | | | | |
| <rowcolor=#000000,#000000> 제11대 | (총대주교좌 폐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
| | | | ||
| <rowcolor=#000000,#000000> 제15대 | 제16대 | 제17대 | |||
| | | }}}}}}}}}}}} | ||
| 모스크바와 전 루스의 총대주교 Патриарх Московский и всея Руси | |
| | |
| <colbgcolor=#ffce01,#ffce01><colcolor=#000000,#000000> 현직 | <colbgcolor=#FFF,#1F2023>키릴(Кирилл) |
| 선출 | 2009년 1월 27일 |
| 착좌 | 2009년 2월 1일 |
1. 개요
1. 개요
모스크바 총대주교는 러시아 정교회의 수장이다.총대주교의 공식 직함은 시대와 정치적 배경에 따라 여러 형태로 변화해 왔다. '모스크바 및 전 러시아의 총대주교(Patriarch of Moscow and all Russia)', '모스크바 및 대(大)·소(小)·백(白)러시아의 총대주교(Patriarch of Moscow and all Great and Little and White Russia)'등 다양한 명칭이 사용된 바 있다.
현재 통용되는 '모스크바 및 전 루스의 총대주교'라는 표현은 1589년에 최초로 사용되었으며,1700년부터 대주교좌가 공석이었다가 1721년 표트르 대제에 의해 폐지되었고 1917년 총대주교좌 복원 시 공식적으로 부활되었다. 그러나 소련 당국의 탄압으로 1925년 다시 중단되었고, 1943년 세르기 대주교의 총대주교 선출과 함께 재도입되었다.
현 총대주교는 17대인 키릴 총대주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