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시적 넘겨주기,
설명1=7월 16일 이스라엘의 시리아 공격선언 및 시리아 수도 공습,문서명1=이스라엘의 시리아 침공 )]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자유 시리아 집권 전의 시리아}}}에 대한 내용은 [[바트주의 시리아]]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바트주의 시리아#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바트주의 시리아#|]]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자유 시리아 집권 전의 시리아: }}}[[바트주의 시리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바트주의 시리아#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바트주의 시리아#|]]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007a3d> 상징 | <colcolor=#000,#fff>국가 · 국기 · 국장 |
역사 · 국가 | 역사 전반 · 메소포타미아 문명 · 미탄니 · 아람 · 신바빌로니아 · 알렉산드로스 제국 · 셀레우코스 제국 · 팔미라 제국 · 우마이야 왕조 · 아바스 왕조 · 아이유브 왕조 · 시리아 아랍 왕국 · 시리아-레바논 · 아랍 연합 공화국 · 바트주의 시리아 · 시리아 민주화 운동 · 시리아 내전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시리아 대통령 | |
외교 |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
경제 | 경제 전반 · 시리아 파운드 | |
국방 | 자유 시리아군 | |
문화 | 문화 전반 · 메소포타미아 신화 · 메소포타미아 음악 · 쐐기 문자 · 만다야교 · 아람어 ·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 시리아 정교회 · 시리아 가톨릭 · 요리 · 시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아랍어 방언 | |
인물 | 제노비아 · 이븐 타이미야 · 이븐 카시르 · 라시드 리다 · 미셸 아플라크 · 하페즈 알 아사드 · 바샤르 알 아사드 · 수헤일 알 하산 · 마헤르 알아사드 | |
지리 | 유프라테스강 · 골란 고원 · 로자바 · 레반트 | |
민족 | 시리아인(아르메니아계) · 시리아계 브라질인 · 시리아계 아르헨티나인 · 시리아계 멕시코인 · 쿠르드족 · 아시리아인 |
<nopad> | ||||||||||
| | |||||||||
국기 | 국장 | |||||||||
상징 | ||||||||||
국가 | في سبيل المجد 영광을 위하여[3] | |||||||||
국화 | 재스민[4] | |||||||||
국조 | 수리[5] | |||||||||
역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920년 3월 8일 시리아 아랍 왕국 선포 1924년 12월 1일 프랑스의 식민지로 합병 1946년 4월 17일 시리아 공화국 독립 1961년 9월 28일 아랍 연합 공화국 탈퇴 1963년 3월 8일 바트당 정권 수립 2011년 3월 15일 시리아 내전 발발 2024년 12월 8일 바트당 정권 붕괴 2025년 3월 29일 신정부 구성 | }}}}}}}}} | ||||||||
지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면적 | 185,180km²# | 세계 87위 | ||||||||
수도 | 최대 도시 | 다마스쿠스(Damascus) | |||||||||
내수면 비율 | 1.1% | |||||||||
접경국 |
[이스라엘] | }}}}}}}}} | ||||||||
인문 환경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인구 | 총인구 | 25,620,427명(2025년) | 세계 57위 | |||||||
인구밀도 | 118.3명/km²(2020년) / 세계 70위 | |||||||||
민족 구성 | 아랍인 90.3%, 쿠르드족 6.3%, 기타 3.4% | |||||||||
출산율 | 세계은행 자료 2.70명(2020년)[7] CIA 자료 2.80명(2022년)[8] | |||||||||
HDI | 0.576(2019년) / 세계 151위 | |||||||||
공용 언어 | 아랍어 | |||||||||
공용 문자 | 아랍 문자 | |||||||||
종교 | 국교 | 없음 | ||||||||
분포 | 이슬람교 87% - 수니파 72% - 알라위파 13% - 시아파 2% 기독교 10% - 정교회 8% - 개신교 2% - 드루즈 3% | |||||||||
군대 | 시리아군 | }}}}}}}}} | ||||||||
하위 행정구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주 | 14개 | ||||||||
구 | 60개 | }}}}}}}}} | ||||||||
정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정치체제 | 대통령제, 공화제, 과도정부 | ||||||||
민주주의 지수 | 1.32점, 권위주의 (2024년) (167개국 중 163위)[바트주의시리아] | |||||||||
임시 대통령 | 아흐메드 알샤라 | }}}}}}}}} | ||||||||
경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경제체제 | 시장경제 | ||||||||
GDP | 명목 GDP | $155억(2020년) / 세계 167위 | ||||||||
GDP(PPP) | $502억 8,000만(2015년) / 세계 162위 | |||||||||
1인당 GDP | 명목 GDP | 1,331달러[10] | ||||||||
GDP(PPP) | 5,040달러 | |||||||||
국부 | $210억 / 세계 120위(2019년) | |||||||||
통화 | 시리아 파운드 | }}}}}}}}} | ||||||||
단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시간대 | UTC+3:00 | ||||||||
도량형 | SI 단위 | }}}}}}}}} | ||||||||
외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한수교현황 | 대한민국 : 2025년 4월 10일[11] 북한 : 1966년 7월 25일 | ||||||||
국제연합 가입 | 1945년 10월 24일 | |||||||||
무비자 입국 | 15일간 도착비자 (USD 33) (여행금지 국가) | |||||||||
주한대사관 | 6 Chome-19-45 Akasaka, Minato City, Tokyo 107-0052 〒107-0052 東京都港区赤坂6丁目19-45[겸임] | }}}}}}}}} | ||||||||
ccTLD | ||||||||||
.sy, سوريا. | ||||||||||
국가 코드 | ||||||||||
760, SYR, SY | ||||||||||
국제전화 코드 | ||||||||||
+963 | ||||||||||
여행경보 | ||||||||||
여행금지 | 전 지역 | |||||||||
공식 계정 | ||||||||||
|
위치 |
|
<nopad> |
1. 개요
시리아 아랍 공화국(الجمهورية العربية السورية) 통칭 시리아(سوريا)는 서아시아의 지중해 연안에 위치해 있는 공화국이다. 수도는 다마스쿠스이다.면적 185,180km²고 북쪽에는 튀르키예, 동쪽 - 동남쪽에는 이라크, 남쪽 - 서남쪽에는 요르단, 서남쪽에 이스라엘, 서쪽에 레바논과 육지로 연결되어 있고 서쪽에 지중해와도 접해 있어서 지중해를 건너면 키프로스와 남유럽 국가들이 나온다.
인구는 내전 발발 전 약 22,000,000명 내외였으나 2011년 내전 발발 이후 인구 유출이 많기 때문에 이후 출생자를 합해 20,000,000명 미만으로 추산한다. 이 중에 거주지가 확실한 사람은 인구의 50% 정도로, 이들은 비교적 상황이 안정적인 수도 다마스쿠스와 라타키아, 타르투스 등 서부 지중해 해안지역에서 산다. 2024년 12월, 바트주의 정권 붕괴 이후로 일부 난민들이 귀환하고 있으므로 다시 증가할 확률이 높다.
한국의 194번째 수교국이다. 북한을 제외한 유엔 회원국 중에는 가장 늦게 수교하였다.
2. 상징
2.1. 국호
'시리아'란 국명은 고대 아시리아의 지명이자 수도였던 아수르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아시리아 내에서 쓰인 아카드어로 아시리아는 '아슈라유(Aššūrāyu)'라고 하는데, 이는 아시리아의 첫번째 수도이자 최고신을 뜻하는 아슈르(Aššūr), 통칭 아수르가 어원이다. 고대 그리스어에서 국가 아슈라유는 '아시리아(Ἀσσυρία)', 수도 아슈르는 시로스(Σύρος) 및 지명 형태인 '시리아(Συρία)'라고 하였는데, 이를 다시 라틴어로 전사한 것이 '아시리아(Assyria)'와 '시리아(Syria)'이다. y는 라틴어를 쓰던 로마인들이 그리스어의 υ를 전사하기 위한 외래어 표기 전용 문자로 만든 문자이다. 이 때문에 υ를 y로 전사하면서 Syria라는 표기가 생겼는데 이 과정에서 y 발음이 i 발음으로 변하는 바람에 한글 표기 또한 이를 따라 시리아라고 표기를 하였다.원래 '아시리아(Ἀσσυρία)'는 아시리아인들이 거주하는 메소포타미아 북부만 가리키고 현대 시리아가 위치한 레반트 일대는 별개의 지역이었다. 그런데 헬레니즘 시대에 이르러 아시리아가 가리키는 지역이 레반트 일대까지 의미가 확장되었다. 이후 이 일대에 시리아 속주를 설치한 로마 제국 치하를 거쳐 행정구역지명으로 차용된 시리아가 가리키는 지역은 최종적으로 레반트 일대로 정착되었다. 이를 기점으로 지역명으로서 아시리아의 사용 빈도는 메소포타미아에 밀려 점차 줄게 된다.
현대 표준 아랍어로는 '수리야(سُورِيَا / Sūriyā)' 또는 '수리야(سُورِيَّة / Sūriyya)'로 표기하며 전자가 주로 쓰이는 방식이다. 북한에서는 이 표기법을 따라 '수리아'로 표기하고 있다.
친서방 반정부 단체 시리아 국민연합과 이후 시리아 과도정부는 1961년 제2공화정 이래로 쓰인 시리아 아랍 공화국(اَلْجُمْهُورِيَّةُ ٱلْعَرَبِيَّةُ ٱلْسُوْرِيَّة / al-Jumhūriyyah al-ʿArabiyyah as-Sūriyyah)이란 국호를 사용한다.
2.2. 국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시리아/국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시리아/국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3. 국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시리아/국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시리아/국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4. 국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시리아/국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시리아/국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자연
중동은 모두 사막이라는 인식과 다르게 지형과 기후가 다양하다. 시리아 사막과 같이 사막성 기후와 지형을 띠는 지역도 있지만, 초원 지대, 눈이 내리는 산악 지역도 있고 지중해와 맞닿는 곳은 곡창지대이다.포유류 125종, 조류 394종, 파충류 127종, 양서류 16종, 민물고기 157종이 시리아에 서식한다. 인기 애완동물인 골든햄스터가 이 나라에서 포획되어 이후 실험, 애완용으로 널리 길러지게 되었다.
3.1. 기후
위도는 북위 32도에서 37도 사이로 남한과 비슷하다. 그러나 대륙의 서부에 위치하므로 대륙의 동부에 위치하여 시베리아 기단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한국에 비해 기온이 높다. 해안 지방은 지중해성 기후며, 내륙 지방은 스텝 기후와 사막 기후에 속한다. 전반적으로 겨울철은 대륙 동부에 비해 기온이 상당히 높아 크게 춥지는 않고 강수량이 많은 편이고, 여름철은 사막의 영향으로 기온이 많이 올라가나 강수량이 매우 적어 건조하다.수도인 다마스쿠스는 제주특별자치도의 제주시, 일본 후쿠오카와 거의 비슷한 위도에 있고 해발 약 700m의 고지대에 위치한 점에도 불구하고 제주시, 후쿠오카보다 더 온화한 기후를 보인다. 다마스쿠스의 겨울 평균기온은 후쿠오카와 유사하고, 여름철에는 건조하여 최저기온은 낮지만 평균 최고기온은 35°C 이상으로 상당히 덥다.
북쪽의 찬 공기가 종종 내려오기도 한다. 이럴 때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고 때때로 눈까지 내리는 것이다. 그렇지만 다마스쿠스나 알레포에 눈이 자주 오는 것은 아니다. 매년 오는 것은 아니며, 수년에 한차례씩 온다. 다만 지중해성 기후에 가까워 겨울철 강수량이 많고 가끔 폭설이 되어 내려 눈 때문에 큰 소동이 일어나고는 한다. #
3.2. 물부족
시리아는 원래부터 국토의 75%가 사막인 척박한 땅이다. 특히 경작가능한 땅은 그나마 물이 있는 유프라테스 강 연안과 지중해 해안가, 골란고원밖에 없었다. 그러다보니 시리아는 예나 지금이나 인구의 대부분이 이 지역들에 몰려 있다.중동의 급격한 사막화에서 시리아도 예외는 아니다. 시리아는 내전과 가뭄이 발생하기 전부터 인구 증가로 인한 물 수요 증가, 정부의 수자원 보존 정책 실패로 수자원 관리 시스템이 붕괴된 상황이었다. 특히 내전으로 수도 시설이 많이 파괴되다보니 식수난이 심각해지고 있다. 물 부족이 심각해지면서 수도인 다마스쿠스에서조차 제한 급수가 실시되었고 물값이 크게 올랐다고 한다. 또한 물을 불법적으로 밀거래하는 워터 마피아까지 등장해 정부에서 단속에 나서는 상황이다.#
4. 행정구역
{{{#!wiki style="color:#000,#ddd;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수도 | |||
다마스쿠스주(دمشق) | ||||
주(ولایت) | ||||
리프디마슈크주(دمشق) · 쿠네이트라주(القنيطرة) · 다라주(درعا) · 수와이다주(السويداء) · 홈스주(حمص) · 타르투스주(طرطوس) · 라타키아주(اللاذقي) · 하마주(حماة) · 이들리브주(إدلب) · 알레포주(حلب) · 라카주(الرقة) · 데이르에조르주(دير الزور) · 하사카주(الحسكة) | }}}}}}}}} |
5. 인구
시리아 인구의 다수는 아랍인으로, 소수민족에는 쿠르드인, 아르메니아인, 아시리아인, 드루즈등이 있다.5.1. 이민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중반까지 이민붐이 일어서 상당수 시리아인들, 특히 기독교도인들이 브라질이나 아르헨티나, 베네수엘라 등 중남미 국가로 대거 이주했으며, 당시 오스만 제국령이었기에 남미에서는 이들을 투르크인이라는 뜻에서 투르코(turco)라고 불렸다. 이들은 주로 상업에 종사하며 성공적으로 정착했다. 유명인으로는 아르헨티나 대통령 카를로스 메넴, 마우리시오 마크리, 브라질 대통령 미셰우 테메르, 멕시코의 통신 재벌 카를로스 슬림등이 있다.2010년대 와서는 내전이 벌어져서 튀르키예나 레바논, 이라크, 요르단, 유럽, 캐나다 등 해외로 이민이 급증하여 19세기 후반-20세기 초반 시기를 훨씬 넘어서는 이민붐이 불고 있다.
6. 역사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0.92em" | 상고대 | ||||||
헬레니즘 / 시리아 전쟁 | |||||||
기독교화 / vs이란 | |||||||
이슬람 제국 | |||||||
이집트 vs 이라크 | |||||||
대십자군 전선 | |||||||
대몽골 전선 | |||||||
근대 | |||||||
현대 | |||||||
내전 |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시리아/역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시리아/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 정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바트주의 시리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바트주의 시리아#정치|정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서아시아의 정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그리스 i | 남오세티야 ii, iii | 레바논 | 바레인 | ||
| | | | ||
북키프로스 ii, iii | 사우디아라비아 | 시리아 | 아랍에미리트 | ||
| | | | ||
아르메니아 iii | 아제르바이잔 iii | 압하지야 ii, iii | 예멘 | ||
| | | | ||
오만 | 요르단 | 이라크 | 이란 | ||
| | | | ||
이스라엘 | 이집트iv | 조지아 iii | 카타르 | ||
| | | | ||
쿠웨이트 | 키프로스iii | 튀르키예iii | 팔레스타인 | ||
i: 도데카니사 제도만 서아시아에 속함. ii: 미승인국 iii: 기준에 따라 유럽으로 분류될 때도 있다. iv: 시나이반도만 서아시아에 속함. | }}}}}}}}} |
|
시리아 대통령궁 |
시리아의 정치 정보 | ||
부패인식지수 | 12점 | 2024년, 세계 177위 |
언론자유지수 | 15.82점 | 2025년, 세계 177위 |
민주주의지수 | 1.32점 | 2024년, 세계 163위 |
1946년 프랑스의 식민통치에서 독립 이래 쿠데타와 반란, 종교 갈등이 극에 달했고, 1970년에 군부 쿠데타로 집권한 하페즈 알아사드 대통령과 그의 둘째 아들 바샤르 알아사드 대통령이 대통령직을 세습해 연속으로 집권하면서 무려 53년 동안 철권 통치를 펼친 독재국가였다. 그러나 2011년에 내전이 발발하고 10년 넘게 반군과 아사드 독재정권의 정부군과의 내전이 지속되어오다가 하야트 타흐리르 알샴(HTS)이 주도한 이슬람 반군 주도의 공세로 2024년 12월 10일 수도 다마스쿠스가 함락되고 바샤르 알아사드 대통령이 러시아로 망명하면서 반군이 승리했다. 자국을 해방했다고 선언한 반군은 과도정부를 수립하였고, 2025년 3월 1일자로 새 정부를 출범시키겠다고 선포했다.
과거 HTS의 지도자였던 아부 무함마드 알줄라니는 내전에서 승리한 뒤, 예상 외로 기존 이슬람 근본주의적인 면모를 버리거나 자제하는 듯한 행보를 걸었다. 본명인 아흐메드 알샤라라는 이름으로 과도정부의 실세가 되었으며 이에 영향을 받아 과도정부 역시 2024년 시점에는 온건 이슬람주의 성향으로 개혁되고 있다. 반군의 다마스쿠스 장악 이후 승전 선언에 지하디스트가 아닌 시민들을 방송에 내보냄으로써 이번 반군의 공세가 시민혁명임을 어필하려 하고 있으며, 소수종교 박해 금지, 시아파 성지 보호#, 여성에 대한 히잡 및 복장 강요 금지#, 구정부군 징집병 사면#, 언론인 박해 금지#, 공공교통 인프라 복원# 등 튀르키예나 인도네시아, 나세르 정권 시절의 이집트와 비슷한 수준으로 온건한 이슬람주의 정책을 내세운다. 또한, 여성부도 세워 여성 인권신장의 의지를 빈말이 아니고 확고하게 보이고 있다. #
한편, 신정부에 새로 취임한 아사드 하산 시바니 외무장관은 이스탄불 대학교에 재학중이었는데 담당교수였던 하산 악사칼은 그가 2주 동안 결석이어서 왜 그런지 궁금해하다가 장관에 임명된 것을 들었다며, '"제가 장관 일 때문에 바빠서..."같은 핑계로 기말 빠지지 말라. 는 농담이고 그의 가정과 나라에 평화가 함께하길 바란다'고 재치있는 농담섞인 격려를 보냈다. #
2025년 1월 2일, 과도정부는 그간 극도로 억압되었던 언론과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겠다고 발표했다. 그간 아사드 체제 하에서 북한보다도 낮았던 언론자유지수가 얼마나 개선될지가 관건이다. #
3월 13일 헌법 선언이 발표되었다. 표현, 출판, 언론의 자유와 삼권분립이 명시되었으나, 대통령이 국회의원의 1/3을 임명하도록 하는 유신정우회 비슷한 조항이 있어 껍데기만 민주주의인 독재국가가 되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가 있다.#
3월 29일, 개각을 했는데 시리아 첫 여성 각료가 나왔다. 힌드 카바왓 사회노동부 장관이 그 주인공으로 시리아 소수 기독교 종파 출신으로 오랫동안 아사드 정권에 저항해온 야권 정치인이다. 여성에 소수종파 장관을 임명함으로써 서방에 유화적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관측된다.#
8. 군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시리아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시리아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9. 경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시리아/경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시리아/경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0. 문화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시리아/문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시리아/문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1. 외교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시리아/외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시리아/외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2. 출신 인물
시리아의 유명 인물이라면 킹덤 오브 헤븐에서 살라흐 앗 딘 역을 맡았던 시리아 배우 겸 영화 제작자인 가산 마수드가 알려져 있다. 10년간 시리아에서 무대 예술학 교수로 재직하기도 했다.#하기도 했다. 또 스티브 잡스의 (생물학적) 아버지인 압둘파타존 잔달리가 이 나라 출신이다. 앤트워스 밀러도 하프 시리안이다. 시리아 내전이 벌어지고부터는 독재 대통령 하페즈 알 아사드-바샤르 알 아사드 부자와 타이거 대령으로 잘 알려진 수헤일 알 하산 소장이 유명해졌다.13. 교육
- 이 나라는 중학교 없이 초등학교를 9년 다니고 3년 동안 고등학교에 다닌다. 우리나라의 중1은 현지 초등학교 7학년, 중2는 초등학교 8학년, 중3은 초등학교 9학년이 되는 셈.
- 아직도 PBT TOEFL이 존재한다.
- 아사드 체제 종식 이후 수립된 과도정부가 교과서를 지나치게 이슬람주의적으로 개정하려다가 사람들에게 반발을 사 전문적인 위원회가 구성될 때까지 기존 교육과정을 그대로 유지하겠다고 발표했다. #
14. 관광
| |
팔미라 유적 | 십자군 전쟁기에 구호 기사단에 의해 지어진 크라크 데 슈발리에 |
| |
알레포 성채 | 다마스쿠스의 우마이야 모스크 |
| |
부스라 로마 유적 |
역사가 오래된 나라이기 때문에 자연 관광 자원과 옛 그리스, 로마 시대 유적, 그리스도교 유적지들도 많거니와 이슬람 제국 전성기 때 만들어진 멋들어진 모스크나 성채도 많이 남아있기 때문에 관광대국이 될 가능성은 충분하다. 자유진영과 적대관계인데다 내정이 워낙 불안정해 이런 가능성을 살리지 못할 뿐인 상황. 팔미라를 위시한 로마 유적지들도 규모가 크고 보존도 잘 된 게 많았다. 그 밖에 중세 유적지인 마시아프 요새(어쌔신 크리드의 주요 배경으로 등장) 등 볼 만한 곳들이 많다. 그러나 팔미라 유적은 IS의 반달리즘으로 파괴되었고, 남은 유적들도 내전으로 인해 파괴 위기인 것들이 많다.
바트주의 시리아, 특히 하페즈 알아사드 시절엔 알 아사드 정권을 수호하기 위해 깔아놓은 비밀 경찰과 사복 경찰들이 쫙 깔려있어서 오히려 중동 국가 중에 치안이 좋기로 소문이 나있었다. 때문에 이곳에서는 한국어로 말하더라도 아사드라는 단어 자체를 거론하지 않는 게 좋았었다. 알아듣고 사복 경찰이 따라오기도 했다. 그런데 2011년부터 시작된 시리아 내전 때문에 치안이 소말리아나 아프가니스탄 수준으로 악화되고 말았다.
물가는 요르단, 튀르키예, 이집트에 비해 상당히 싼 편이었다. 거기다 바가지요금으로 악명 높은 이집트에 비해 관광객 바가지도 적고 학생이면 입장 할인 폭도 컸다. 시설 입장 요금이 150 시리아 파운드(한화 1000원)인데 학생증 지참시 10파운드(한화 70원 가량)으로 할인해준다. 또 반미, 친북 국가라는 편견과 다르게 여행하기 좋았다. 동양인을 접할 기회가 흔치 않아서 관광하다 보면 시선을 한 몸에 받는 건 기본이요 몰래 사진을 찍거나 아님 같이 찍자고 다가온다. 물론 이는 내전이 일어나기 전의 얘기이고 최근에는 물가가 갈수록 오르고 있다. 특히 물부족이 심해져서 물값이 이전보다 굉장히 많이 올랐다.
특히 2011년 사태 이래 여행금지국가로 지정되었다. 게다가,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가 한 차례 휩쓸고 간 일 때문에 치안은 더 최악이다. 이로 인해 에미레이트 항공, 카타르항공 등 시리아 영공을 마음대로 지나다니던 항공사들도 이란 서부 ~ 튀르키예 중부를 거쳐서 유럽, 미주로 향한다. 내전이 터지기 전에는 중동을 여행하는 한국인들이 튀르키예에서 시작해서 시리아를 지나 레바논 요르단 등지로 국경을 넘나드는 여행 루트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지금은 내전으로 여행금지크리에 국경이 다 폐쇄되었고 난민 수용소가 밀집된 상태라 비행기를 이용할 수밖에 없다.
# 그런데 내전 중인 상황에서 시리아 관광부가 시리아 관광을 홍보하여 논란이 되었다.
한편 다마스쿠스를 비롯한 정부군이 장악한 지역들은 안전하다고 알려졌지만 정부군의 감시가 심하다고 한다. 어느 일본인 기자가 다마스쿠스를 방문하면서 촬영했을 때도 정부군 쪽의 경찰들에게 잠깐 붙잡히다가 자신이 관광객이라고 속인 후에 겨우 풀려났다고 했을 정도였다. 근데 그렇게 해서 풀려나서 다행이지 그러지 않고 돌아다녔다면 죽었을 수도 있었다. 게다가 한국과는 미수교국이었기 때문에 여행금지령이 가장 늦게 풀릴 듯이 보였으나, 아사드 독재정권이 붕괴한 이후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2025년 4월 11일에 수교가 성사됨으로써 얼떨결에 여행금지령이 풀릴 가능성이 올라간 국가가 되었다.
2024년 말에 시리아 반군이 내전에서 승리하고 정권을 교체시켰지만, 신정부가 어떻게 변할지는 아무도 모르고 내전도 아직 끝난 게 아니기 때문에 여전히 시리아는 여행하기에 너무 위험한 국가다.
15. 여담
- 한국과 영미권의 iPhone 앞에서 이 나라 이름을 말하면 Siri와 발음이 비슷해 높은 확률로 반응한다. 그래서 시리아와 축구경기 할 때는 애플 전자제품을 꺼야 한다는 우스갯소리가 있다.
- 중국, 북한, 크림 반도, 러시아와 더불어 넷플릭스가 서비스가 안 되는 5개 지역 중 하나이다. 하지만 2024년 바트주의 시리아가 붕괴하면서 외교 기조에 변화가 생겨 시리아에서 넷플릭스가 다시 서비스를 시작할 가능성이 있다.
- 이란과 더불어 라이엇 게임즈의 접속이 불가능한 국가들 중 하나이다. 앞서 언급하였듯 반미국가라서 접속불가 사례.
- 이 나라의 고유종 코끼리와 야생 당나귀가 서식하기도 했으나 전자는 기원전 700년경, 후자는 1927년에 멸종했다.
- 2023년 2월 6일 튀르키예 지진으로 수천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 넷플릭스 드라마 하우스 오브 카드에 시즌 3부터 종종 언급되는데 현실 역사와 마찬가지로 내전으로 막장이 된 듯하다. 마지막 회에서는 핵 공격까지 언급된다.
- 가장 오래 계엄령을 유지한 국가다. 1963년부터 2011년까지 무려 48년 동안 계엄령을 시행하여 기네스북에도 등재되었다. #
1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0.92em" | 상고대 | ||||||
헬레니즘 / 시리아 전쟁 | |||||||
기독교화 / vs이란 | |||||||
이슬람 제국 | |||||||
이집트 vs 이라크 | |||||||
대십자군 전선 | |||||||
대몽골 전선 | |||||||
근대 | |||||||
현대 | |||||||
내전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그리스[1] | 튀르키예[A] | 압하지야[B] | 남오세티야[B] | 조지아[B] | |
키프로스[A] | 북키프로스[A] | 아크로티리 데켈리아 | 아르메니아[B] | 아제르바이잔[B] | |
레바논 | 시리아 | 이라크 | 쿠웨이트 | 이란 | |
이스라엘 | 팔레스타인 | 요르단 | 사우디아라비아 | 바레인 | |
이집트[11] | 예멘 | 오만 | 아랍에미리트 | 카타르 | }}} }}}}}} |
셈족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colbgcolor=#f4f4f4,#5c5c5c> 동셈족† | 아카드인† | 바빌로니아인† | 고대 아시리아인† | 에블라† | 딜문(추정)*† | |
북서셈족(서북셈족) | 히브리인(유대인 | 사마리아인 | 이스라엘인) | 현대 아시리아인 | 페니키아† | 모압† | 암몬† | 에돔† | 아람†(팔미라인†) | 아모리인†(우가리트†) | 칼데아인† | 힉소스(추정)**† | |
남서셈족 또는 아랍족 (아랍인) | 베두인 | 아랍계 기독교인 | 나바테아인† | 사우디인(히자즈인) | 현대 이집트인 | 마그레브 아랍인(몰타인) | 레반트 아랍인(팔레스타인인(이스라엘 아랍인) | 요르단인 | 시리아인 | 레바논인) | 예멘인(하드라미인) | 오만인 | 걸프 아랍인 | 이라크인 | 호라산 아랍인 | 중앙아시아 아랍인 | 아랍 흑인(예멘 흑인(아크담족) | 이라크 흑인 | 수단 아랍인(바까라족)) | 무어인(하라틴인) | |
※남셈족 | 에티오피아 셈족(암하라인 | 티그라이인 | 티그리냐인 | 티그레인) | 고대 남아라비아인(사바인† | 마간(추정)***†) | 현대 남아라비아인(소코트라인 | 마흐라인) | |
† 표시가 된 것은 사라진 민족 | ||
독립국 비아랍권 | ||
독립국 아랍권 | ||
자치 지역 및 다수 거주지 | 아라비스탄 | 하타이 | 잔지바르 | 소코트라섬 | 코모로다수 거주국가 | |
해당 지리적 인종 | 서아시아인 | 아프리카인 | 북아프리카인 | 유럽인 | |
언어 및 문화 | ||
언어 | 셈어파 | |
사상 | 범셈족주의 | 아랍 내셔널리즘(범아랍주의) | 시오니즘 | |
신화 | 아랍 신화 | 유대 신화 | 메소포타미아 신화(아카드 신화 | 바빌로니아 신화(칼데아 신화) | 아시리아 신화) | 가나안 신화 (아람 신화 | 페니키아 신화 (카르타고 신화)) | }}}}}}}}} |
[[아랍 연맹| 아랍 연맹{{{#!wiki style="margin: -4px 0px"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6233><colcolor=#fff>회원국 | |
참관국 | }}}}}}}}} |
[[이슬람 협력기구| 이슬람 협력기구 ]]منظمة التعاون الاسلامي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 정회원국 | ||||
아프가니스탄 | 알제리 | 차드 | 이집트 | 기니 | |
인도네시아 | 이란 | 요르단 | 쿠웨이트 | 레바논 | |
리비아 | 말레이시아 | 말리 | 모리타니 | 모로코 | |
니제르 | 파키스탄 | 팔레스타인 | 사우디아라비아 | 세네갈 | |
소말리아 | 수단 | 튀니지 | 튀르키예 | 예멘 | |
바레인 | 오만 | 카타르 | 아랍에미리트 | 시에라리온 | |
방글라데시 | 가봉 | 감비아 | 기니비사우 | 우간다 | |
부르키나파소 | 카메룬 | 코모로 | 이라크 | 몰디브 | |
지부티 | 베냉 | 브루나이 | 나이지리아 | 아제르바이잔 | |
알바니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 모잠비크 | |
카자흐스탄 | 우즈베키스탄 | 수리남 | 토고 | 가이아나 | |
코트디부아르 | |||||
시리아 | |||||
참관국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북키프로스 | 태국 | 러시아 | |
탈퇴국 | |||||
잔지바르 | |||||
회원 가입 시도 국가 | |||||
벨라루스 | 브라질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중국 | 콩고민주공화국 | |
인도 | 케냐 | 라이베리아 | 모리셔스 | 네팔 | |
필리핀 | 세르비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스리랑카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 정회원국 | ||||
러시아 | 벨라루스 | 아르메니아 | 카자흐스탄 | 키르기스스탄 | |
참관국 | |||||
몰도바 | 우즈베키스탄 | 쿠바 | |||
자유무역지대 | |||||
베트남 | 세르비아 | 싱가포르 | 이란 | 중국 | |
유력 가입 후보국 | |||||
몽골 | 시리아 | 타지키스탄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40%; min-height: 1em" {{{#!folding [ 회원국 목록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word-break: keep-all;" | [[러시아| 러시아]] | [[우즈베키스탄| 우즈베키스탄]] | [[이란| 이란]] | [[인도| 인도]] | [[중국| 중국]] | |||||
[[카자흐스탄| 카지흐스탄]] | [[키르기스스탄|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타지키스탄]] | [[벨라루스| 벨라루스]] | [[파키스탄| 파키스탄]]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40%; min-height: 2em" {{{#!folding [ 파트너 국가 ] {{{#!wiki style="margin:-5px 0 -10px" | 참관국 | ||||
몽골 | 아프가니스탄 | |||||||||
대화 동반자 | ||||||||||
스리랑카 | 튀르키예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캄보디아 | ||||||
네팔 | 이집트 | 카타르 | 사우디아라비아 | 쿠웨이트 | ||||||
몰디브 | 미얀마 | 아랍에미리트 | 바레인 | |||||||
초청국 및 기구 | ||||||||||
투르크메니스탄 | 독립국가연합 | ASEAN | UN | |||||||
가입 신청국 | ||||||||||
방글라데시 | 라오스 | 알제리 | 시리아 | 이라크 | }}}}}}}}}}}} |
대한민국 외교부 지정 여행금지 지역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margin-bottom: -20px" | 여권법에 의한 여행금지 국가 이 국가들은 영주(永住), 취재ㆍ보도, 긴급한 인도적 사유, 공무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목적의 여행으로서 외교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 받아야 예외적 여권사용 허가를 받고 방문ㆍ체류를 허가할 수 있다. | ||||||||||||||
이라크1 | 소말리아1 | 아프가니스탄1 | |||||||||||||
2004.4.9 ~ 2026.1.31 | 2007.8.7 ~ 2026.1.31 | 2007.8.7 ~ 2026.1.31 | |||||||||||||
예멘 | 시리아 | 리비아 | |||||||||||||
2011.6.28 ~ 2026.1.31 | 2011.8.20 ~ 2026.1.31 | 2014.8.4 ~ 2026.1.31 | |||||||||||||
우크라이나2 | 수단3 | 아이티 | |||||||||||||
2022.2.13 ~ 2026.1.31 | 2023.4.29 ~ 2026.1.31 | 2024.5.1 ~ 2026.1.31 | }}}}}} {{{#!wiki style="margin-bottom: -20px"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일부 지역이 여행금지로 지정된 국가 | |||||||||||
필리핀 | 러시아 | 벨라루스 | |||||||||||||
2015.12.1 ~ 2026.1.31 | 2022.3.8 ~ 2026.1.31 | 2022.3.8 ~ 2026.1.31 |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이스라엘-팔레스타인 | |||||||||||||
2023.4.15 ~ 2026.1.31 | 2023.4.15 ~ 2026.1.31 | 2023.8.1 ~ 2026.1.31 | |||||||||||||
미얀마 | 라오스 | 레바논 | |||||||||||||
2023.11.25 ~ 2026.1.31 | 2024.2.1 ~ 2026.1.31 | 2024.8.7 ~ 2026.1.31 | |||||||||||||
콩고민주공화국 | |||||||||||||||
2025.2.1 ~ 2026.1.31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상세 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9em" | 국가·지역·지정일자 | 지도 | |||||||||||||
| <colbgcolor=#656565,#2b2b2b> | ||||||||||||||
민다나오의 잠보앙가, 술루‧바실란‧타위타위 군도 | |||||||||||||||
2015.12.1 | |||||||||||||||
| | ||||||||||||||
우크라이나 접경지역(쿠르스크주 전체 및 로스토프·벨고로드·보로네시·브랸스크 지역 내 우크라이나 국경에서 30km 구간) | |||||||||||||||
접경지역 : 2022.3.8 쿠르스크주 : 2024.11.22 | |||||||||||||||
| | ||||||||||||||
벨라루스 브레스트·고멜 지역 내 우크라이나 국경에서 30km | |||||||||||||||
2022.3.8 | |||||||||||||||
| | ||||||||||||||
아제르바이잔 접경 10km 구간 | |||||||||||||||
2025.07.01 | |||||||||||||||
| | ||||||||||||||
아르메니아 접경 5km 구간 | |||||||||||||||
2023.4.15 | |||||||||||||||
| | ||||||||||||||
가자지구, 이스라엘 북부 레바논 접경지역 4km | |||||||||||||||
가자지구 : 2023.8.1 접경지역 : 2024.8.7 | |||||||||||||||
| | ||||||||||||||
샨주 북부 및 동부, 까야주, 라카인주, 미야와디 지역 | |||||||||||||||
샨주 북부 및 동부, 까야주 : 2023.11.25 라카인주 : 2024.5.1 미야와디 지역 : 2024.12.27 | |||||||||||||||
| | ||||||||||||||
골든트라이앵글 경제특구 | |||||||||||||||
2024.2.1 | |||||||||||||||
| | ||||||||||||||
남부 이스라엘 접경지역(블루라인으로부터 5km), 남부 주, 나바티예 주 | |||||||||||||||
접경지역 : 2024.8.7 남부 주, 나바티예 주 : 2024.10.12 | |||||||||||||||
| | ||||||||||||||
북키부주, 남키부주 | |||||||||||||||
북키부주 : 2025.2.1 남키부주 : 2025.2.19 |
||<-14><bgcolor=#232323><tablebgcolor=#666><tablewidth=100%> 여권법 이외의 법률로 여행이 금지된 지역 ||
북한 | 남극 | ||||||||||||
《국가보안법》·《남북교류협력에 관한 법률》 참고 | 《남극활동 및 환경보호에 관한 법률》 참고 |
||<tablebgcolor=#999><tablewidth=100%>윗첨자1: 2007. 8. 7 부터 입국시 처벌 도입. ||
}}}}}}}}} ||여행금지국가 · 출국권고국가 · 여행자제국가 · 여행유의국가 |
[1] 외교부에서 인지하고 있는 명칭.[2] 현재 시리아 과도정부는 아사드 정권 시절과 동일하게 시리아 아랍 공화국이란 국호를 사용한다. 외교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별표 1의 재외공관 목록에서는 '시리아아랍공화국'으로 명시하고 있다. 해당 시행령에서는 모든 국가의 국호를 일괄적으로 이름 첫 부분부터 끝 부분까지 붙여서 쓴 것으로 표기하고 있다.[3] 아사드 정권이 무너지기 전 국가는 조국의 파수꾼이었다. 자세한 사항은 시리아 국가 참고[4] 공식적으로 정부가 지정한 국화는 아니지만 시리아인들은 재스민을 사실상의 국화로 본다.[5] 아사드 정권이 무너지기 전 국장은 매였다. 자세한 사항은 시리아 국장 참고[이스라엘] 정확하게는 골란 고원에 위치해있는 UN 관할지역이 사이를 가로막고 있다.[7] 출처[8] 출처[바트주의시리아] 아사드 정권 당시의 민주주의 지수[10] 원래는 4,000달러 정도였으나 내전 발발으로 급감했다. 1,000달러보다 낮다는 통계가 나오기도 한다.[11] 한국-시리아 수교[겸임] 주일본 대사관 겸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