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리아 내전|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808080,#555><colcolor=#fff> 경과 | 시리아 민주화 운동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
| 원인과 분석 | 시리아 내전 발발 원인 · 분석과 전망 | ||
| 주요 세력 | | 지원세력 | 러시아 연방군 · 바그너 그룹 · 이란군 (이슬람 혁명 수비대) · 헤즈볼라 · 인민동원군 (카타이브 헤즈볼라 · 하라카트 헤즈볼라 알누자바) · 팔레스타인 무장 단체 (팔레스타인 해방군 · 알 쿠드스 여단) | |
시리아 이슬람 저항 전선 | |||
| 자유 시리아군[A] | | ||
지원세력 | 미군 | |||
지원세력 | 튀르키예군 | |||
| 쿠르디스탄 | 셀주크 여단 · 순교자 누바르 오자냔 여단 · 여성방위대 · 인민방위대 · 북부민주여단 · 라카 혁명여단 · 혁명주의자군 · 유프라테스 자라불루스 부대 지원세력 | 합동임무군 - 내재된 결단 작전 | ||
| 드루즈 | |||
| 알카에다 | 아즈나드 알카우카즈 · | ||
| | |||
| | |||
| 전투 목록 | 2011년 | 홈스 전투 | |
| 2012년 | |||
| 2013년 | 알레포 전투 | ||
| 2014년 | 코바니 포위전 · 데이르에조르 포위전 | ||
| 2015년 | |||
| 2016년 | 팔미라 전투 | ||
| 2017년 | |||
| 2018년 | 하샴 전투 | ||
| 2019년 | 알바구즈 전투 | ||
| 2020년 | |||
| 2021년 | |||
| 2022년 | |||
| 2023년 | 2023년 북동시리아 분쟁 | ||
| 2024년 | 2024년 시리아 반군 공세 (알레포 전투 · 다마스쿠스 함락) · 동알레포 공세 · 자유의 새벽 작전 | ||
| 2025년 | 아사드 충성파의 반란 · 수와이다 분쟁 | ||
| 전쟁범죄 | 훌라 학살 · 구타 화학 무기 공격 참사 · IS의 해외 민간인 납치 살해 · IS의 요르단 조종사 분살 사건 | ||
| 사건사고 | 한국 청소년 이슬람 국가 가담 사건 · 2015 러시아 공군기 Su-24 격추사건 · 2023년 홈스 드론 공격 · 이스라엘의 주시리아 이란영사관 공습 | ||
| 외국의 개입 | 미국의 역할 · 러시아의 개입 · 헤즈볼라의 역할 · 대IS 군사 개입 · 2019년 튀르키예 쿠르드 침공 · 케일라 뮬러 작전 · 이스라엘의 공습 · 2024년 미국의 이라크·시리아 공습 · 자유의 새벽 작전 · 이스라엘의 침공 | ||
| 관련 창작물 | 논스톱: 다마스커스 타겟 · 사마에게 | ||
| 기타 | 난민과 참상 · 유럽 난민 사태 · 화이트 헬멧 · 통 폭탄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nt-size: 0.90em" {{{#!folding [ 각주 보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상고대 | ||||||
| 헬레니즘 / 시리아 전쟁 | |||||||
| 기독교화 / vs이란 | |||||||
| 이슬람 제국 | |||||||
| 이집트 vs 이라크 | |||||||
| 대십자군 전선 | |||||||
| 대몽골 전선 | |||||||
| 근대 | |||||||
| 현대 | |||||||
| 내전 | |||||||
| 시리아 구국정부 حكومة الإنقاذ السورية | Syrian Salvation Government | |||||
| | | ||||
| {{{#ffffff 국기}}} | {{{#white 국장}}} | ||||
| 2017년~2024년 | |||||
| <colbgcolor=#000><colcolor=#ffffff> 수도 | 이들리브 | ||||
| 정치체제 | 임시정부, 공화제 | ||||
| 국가원수 | 총리 | ||||
| 언어 | 아랍어 | ||||
| 종교 | 이슬람(수니파) | ||||
| 인구 | 400만명 | ||||
| 주요사건 | 2017년 설립 2024년 과도정부 재편 | ||||
| 통화 | 튀르키예 리라, 미국 달러 | ||||
| 링크 | |||||
1. 개요
시리아의 반군연합체인 하야트 타흐리르 알샴(HTS)가 설립한 정부.자유 시리아군에 의해 수도 다마스쿠스가 함락된 이후, 구국정부 산하의 무장 단체인 하야트 타흐리르 알샴의 주도 하에 과도정부가 세워졌다.
2. 행정구역
- 이들리브
- 중앙주
- 아리하주
- 알지스르주
- 하렘주
- 사르마다주
- 아트마흐주
- 북부주
3. 정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하야트 타흐리르 알샴#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하야트 타흐리르 알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군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알누스라 전선#s-4|4]]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알누스라 전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