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군대 (지역별 가나다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시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colbgcolor=#eee,#000>동아시아 | 대만 · 대한민국 · 몽골 · 북한 · 일본 (준군사조직) · 중국 | ||
동남아시아 | 동티모르 · 라오스 · 말레이시아 (조호르군) · 미얀마 · 베트남 · 브루나이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캄보디아 · 태국 · 필리핀 | |||
남아시아 | 네팔 · 몰디브 · 방글라데시 · 부탄 · 스리랑카 · 인도 · 파키스탄 | |||
서아시아 | 레바논 · 바레인 · 사우디아라비아 · 시리아 · 아랍에미리트 · 아프가니스탄 · 오만 · 요르단 · 예멘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카타르 · 쿠웨이트 | |||
중앙아시아 | 우즈베키스탄 · 카자흐스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유럽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colbgcolor=#eee,#000>서유럽 | 네덜란드 · 룩셈부르크 · 모나코 · 벨기에 · 영국 · 아일랜드 · 프랑스 | ||
남유럽 | 구호기사단 · 그리스 · 몬테네그로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스페인 · 슬로베니아 · 알바니아 · 이탈리아 · 키프로스 · 크로아티아 · 튀르키예 · 포르투갈 | |||
중유럽 | 독일 · 오스트리아 · 스위스 · 슬로바키아 · 체코 · 폴란드 · 헝가리 | |||
북유럽 | 노르웨이 · 덴마크 · 라트비아 · 리투아니아 · 스웨덴 · 아이슬란드 · 에스토니아 · 핀란드 | |||
동유럽 | 러시아 · 루마니아 · 몰도바 · 벨라루스 · 불가리아 · 세르비아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우크라이나 · 조지아 · 트란스니스트리아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메리카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colbgcolor=#eee,#000>북아메리카 | 멕시코 · 미국 · 캐나다 | ||
카리브 |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바베이도스 · 아이티 · 자메이카 · 쿠바 · 트리니다드 토바고 | |||
중앙아메리카 | 과테말라 · 니카라과 · 벨리즈 · 엘살바도르 | |||
남아메리카 | 가이아나 · 베네수엘라 · 볼리비아 · 브라질 · 수리남 · 아르헨티나 · 에콰도르 · 우루과이 · 칠레 · 콜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colbgcolor=#eee,#000>북아프리카 | 리비아 · 모로코 · 수단 · 알제리 · 이집트 · 튀니지 | ||
남아프리카 | 나미비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레소토 · 말라위 · 모리셔스 · 모잠비크 · 보츠와나 · 앙골라 · 에스와티니 · 잠비아 · 짐바브웨 | |||
서아프리카 | 가나 · 감비아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이지리아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말리 · 모리타니 · 베냉 · 부르키나파소 · 세네갈 · 시에라리온 · 적도 기니 · 카보베르데 · 코트디부아르 · 토고 | |||
동아프리카 | 남수단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부룬디 · 세이셸 · 소말리아 · 소말릴란드 · 에리트레아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지부티 · 코모로 · 케냐 · 탄자니아 | |||
중앙아프리카 | 가봉 · 상투메 프린시페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차드 · 카메룬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오세아니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colbgcolor=#eee,#000>오스트랄라시아 | 뉴질랜드 · 호주 | ||
멜라네시아 | 바누아투 · 솔로몬 제도 · 파푸아뉴기니 · 피지 | |||
미크로네시아 | 나우루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키리바시 · 팔라우 | |||
폴리네시아 | 사모아 · 통가 · 투발루 | |||
}}}}}}}}}}}} |
이란군 관련 틀 | |||||||||||||||||||||||||||||||||||||||||||||||||||||||||||||||||||||||||
|
이란 이슬람 공화국군 ارتش جمهوری اسلامی ایران Armed Forces of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 |
상비군 | 670,000명 (2023년) |
예비군 | 350,000명[1] (2020년) |
3세대 전차 | ? 대 |
2세대 전차[2] | 705+ 대[3] |
1세대 전차 | 808대 |
전차 총합 | 1,593대 (2018년) |
장갑차(APCs/IFVs) | 1,250 대 (2018년) |
견인포 | 2,030+문 (2018년) |
박격포 | 3,000문 (2018년) |
자주포 | 292문 (2018년) |
MLRS | 1,476문 (2018년) |
수송 차량 | 12,000대 |
4세대 전투기[4][5] | 79기(+19기)[6][7] |
3세대 전투기[8] | 190 기 |
지상 전용 공격기 | 39기[9] |
훈련기 | 151기 |
조기경보관제기(AWACS) | 0기 |
전자전기(SIGINT/ISTAR) | 0기 |
공중급유기 | 3기 |
공군기 총합 | 500기 |
헬리콥터 | 357기 (2011년) |
항공기 총합 | 1,030기 (2011년) |
항공모함 | 0척 |
GFP 기준 구축함[10] | 3 척 |
GFP 기준 호위함[11] | 5척 |
초계함(고속정) | 198척[12] |
잠수함 | 19척 |
전투함 총합 | 261척 |
<rowcolor=#fff> 군기 | 행사용 군기 |
[clearfix]
1. 개요
이란의 군대는 이슬람공화국군, 이슬람 혁명 수비대, 경찰[13]로 나뉘어져 있으며, 현대에 한 국가가 이원화된 군대를 가진 흔치 않은 사례다.[14] 이 중, 이란군이라 하면 이란이슬람공화국군을 말한다.[15] 이란군은 이집트군, 튀르키예군, 이스라엘군과 함께 중동 지역에서 4대 군사강국이다. 다만 이란군은 장비가 상당히 노후화되어 있고[16] 최근 의외로 발루치족, 쿠르드족 반군들에게도 게릴라전으로 공격당하여 고전하고 있는 반면 사우디군은 예멘 등지에서 조금씩 경험을 축적하고 있기에 오히려 사우디가 격차를 좁히고 있다는 분석도 많다.2. 역사
이란은 역사가 오랜 나라로 전통적인 군대는 옛날부터 있었지만, 현대적인 군 조직이 출현한 것은 1921년, 팔레비 왕조의 시조인 레자 샤 팔라비가 실권을 잡은 때였다. 그부터가 군인이었기에 이란군은 팔레비 왕조 시대에 급속히 성장했다. 팔레비 왕조 시대에는 Imperial Iranian Armed Force(약칭 IIAF) 즉 이란 제국군으로 불렸으며, "알라, 샤, 조국(خدا، شاه، ميهن)"을 표어로[17] 내걸었다. 당시 이란군은 1962~1975년 사이에는 오만의 도파르 반란을 진압하는 데 1,500여 명을 파병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절반에 가까운 719명이 전사하는 큰 피해를 입었으나 반란 진압에 큰 공을 세워 오만은 이란에 우호적인 외교국가가 되기도 했다.1971년에는 샤르자(현 아랍에미리트의 구성국)가 점유하고 있던 세 무인도(아부 무사 섬과 大小 툰브스 섬)를 점령하였다. 현재까지도 이란군은 팔레비 왕조 시절의 조직체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 당시 이란군의 계급장. 현재 이란군도 장성급 장교 계급장의 왕관 마크가 대체된 걸 빼면 사실상 그대로 사용중이다. 다만 샤가 겸임했던 원수 계급장(당시 이란 국장)은 나와있지 않다.
왕조 시절에는 미국의 동맹국으로 중동 최강의 군사력을 보유했지만 이란 혁명 이후에는 서방과의 군사 교류가 단절됨과 동시에 이란-이라크 전쟁으로 엄청난 피해를 입고, 핵개발에 따른 미국과 국제사회의 경제제재로 이전의 군사력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3. 근황
미국이 상정한 악의 축이었던 국가 중 군사력은 강하며, 중국과 러시아와의 협력으로 최신 무기 제조기술도 가지고있다. 후술할 UAV 개발이라든지, AR-15를 불펍식으로 개조한 소총인 KH-2002의 존재를 감안하면 무기 개조 및 개발에도 일가견이 있다. 미국의 경제제재로 해외에서 무기를 도입하기가 어려워지자 자체 군사기술 개발에 집중하게 되어 전투기를 비롯해 각종 무기를 자체 생산해낼 수 있는 기술력을 확보했다.[18] 그 다음은 북한이지만 북한은 경제문제가 심하기때문에 최신 무기는 꿈도 못꾸고 냉전시대 모델을 개량하는 수준인지라 전망이 어둡다. 부시 미국 대통령이 악의 축으로 꼽은 여러 국가들 중에선 이란이 가장 안정적이고 군사력도 순조롭게 유지되고 있다. 이라크, 시리아, 리비아는 나라 상황이 혼란스럽고 내전 상태이며, 쿠바나 북한은 국가 국력이나 규모 면에서 한계가 있다. 물론 이란이 강하다고는 하지만 미국이나 러시아와 전쟁할 수준은 절대 안 된다. 특히 이란은 경제력에 비하면 지나치게 많은 규모의 국방력을 유지하며[19] 미국의 군사 분야 제재로 인해 군사력 강화에 한계가 있는 처지다. 2015년에 핵협상이 최종 타결되면서 러시아에서 S-300 방공미사일을 도입하려 했으나 이란의 군사강국화는 이란 주변의 친미 국가들한테 큰 위협이 될 것이 분명하기에 미국에게 이란의 주무기인 탄도 미사일을 포함한 국방에 대한 제재는 여전히 받고 있다.이란은 국토 전체에 걸쳐 높은 산악/산맥 지대가 많아 침략하거나 전쟁을 벌이기 쉽지 않은 지형이고 중동에서는 튀르키예 다음가는 강한 군대를 가지고 있어서 미국도 후세인 시대의 이라크처럼 쉽게 이란을 상대로 전쟁을 벌이기 어렵다. 남서쪽 유전시대는 침략이 쉽지만 거기서 수도인 테헤란이 있는 북부까지는 가는 것은 첩첩산맥 산중이다. 한때 중동 제일의 군사력을 가졌던 후세인 시대의 이라크가 이란을 침공 이란-이라크 전쟁에서도 이란의 주요부는 안전하였다.
이란군은 사이버전 부대도 운영중이다. 법적으로는 징병제이며 이란 국민은 2년간 정규군에 복무해야하지만 여러 이유로 연기나 불응이 가능해 징집률 자체는 별로 높지 않다.
그렇지만 이란 내 수니파인 발루치인과 쿠르드인들이 반란을 일으켜 전투를 벌이고 있기도 하다. 수니파인 발루치 반군과 쿠르드 반군은 IED와 헬 캐논 등의 사제무기를 이용한 공격으로 이란군을 심하게 골탕먹이고 있어 진압이 쉽지가 않지만 그렇다고 이란 전체적으로 큰 위기 정도는 아니다. 발루치 반군같은 경우, 파키스탄 국경과 근처에서 독립을 주장하는데 파키스탄도 협조하면서 같이 싸우고 있다. 쿠르드 반군은 극히 일부 지역에서만 세력을 겨우 유지할 수준이라 이라크나 시리아 같은 자치구역 독립이 이뤄지기도 어려운 상황.
2020년 1월, 우크라이나 국제항공 752편 추락 사고의 원인이 이란군의 미사일 오발로 밝혀지면서 이는 이란군 역사상 최고의 실책으로[20] 남게 되었으며 복수를 부르짖는 캐나다와 우크라이나의 뜻을 받들어 미군 전력과 심지어 대한민국 청해부대까지 교민 보호를 이유로 호르무즈 해협으로 바글바글 몰려들고 있는 상황이다.
2020년 5월, 이번에는 자국의 보급지원용 군함에 미사일을 쏴서 자국군 승조원이 최소 19명이 사망하고 15명이 부상당했다.
4. 수뇌부
수뇌부 | ||
최고지도자 | 총참모장[21] | 국방장관 |
알리 하메네이 | 소장 모하마드 바게리[22] | 육군 준장 모하메드 아슈티아니 |
이슬람공화국군(Islamic Republic of Iran Army) | ||||
총사령관 | 육군사령관 | 해군사령관 | 공군사령관 | 방공군사령관 |
육군 소장 압둘라힘 무사비 | 준장 키우마르스 헤이다리 | 준장 샤람 이라니 | 준장 하미드 바헤디 | 준장 알리레자 사바히파르드 |
이슬람 혁명 수비대(Islamic Revolutionary Guard Corps) | |||||
총사령관 | 육군사령관 | 해군사령관 | 공군사령관 | 특수부대[23]사령관 | 민병대[24]사령관 |
소장 호세인 살라 | 준장 모하마드 팍푸르 | 준장 알리레자 탕시리 | 준장 아미르 알리 하지자데 | 준장 이스마일 가니 | 준장 골람레자 솔레이마니 |
이란은 최고지도자 아래에 군사조직으로 이슬람 공화국군, 이슬람 혁명 수비대, 경찰을 두고 있으며, 이란군과 혁명수비대는 별개의 조직으로 각각 총사령부와 육해공군을 두고 있다. 그중 이란군은 보통 이슬람 공화국군을 가리킨다.
원래 이란군과 혁명수비대는 명령체계가 분리된 별개의 조직이었으나, 이란-이라크 전쟁 이후 이들을 통합 지휘하기 위한 1989년부터 최고지도자 아래에 최고사령부를 두고 있다. 최고사령관이 군대와 경찰을 통합 지휘하며, 합동참모의장은 혁명수비대와 경찰을 제외한 이란군만을 지휘한다. 총참모장은
특기할 만한 것은 타국군의 대장과 중장에 상당하는 계급이 존재하기는 하지만 마치 타국군의 원수처럼 이 계급으로 진급하는 현역 장성은 없이 상징적인 계급으로서 유지하고 있으며 현직 군 수뇌부 인사들의 계급은 최대 소장이다. 이란 혁명이후 이 이상의 계급을 가진 군인은 사후 추서받은 중장 두 명 밖에 없으며, 이 중 하나가 미군 공습에 의해 사망한 카셈 솔레이마니이다. 물론 그 이전 제국군 시절에는 대장이 많이 배출되었다.
5. 이란군
이란군은 의무 복무제를 운용하며 육해공군-방공군 모두 사병은 18개월을 복무해야한다.5.1. 육군
현대 이란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현대의 이란군 보병장비 | ||||
<colbgcolor=white,#191919> 개인화기 | <colbgcolor=white,#191919> 소총 | <colbgcolor=white,#191919> 돌격소총 | KL-7.62, AKM, 56식 자동소총, 사야드 5'56, KH-2002, 줄피카르, G3A6, HK53, AK-103, 파지르 224 | ||
저격소총 | 나흐지르, 타헤르, 사야드, 아라시, 샤헤르, 바헤르-23 | ||||
기관단총 | UZI, MPT-9, Z84, K7 | ||||
권총 | M1911A1, 브라우닝 하이파워, PC-9 | ||||
지원화기 | 기관총 | RPK, MGA3, PKM-T80, 아흐가르, MGD, 무하람 | |||
유탄발사기 | 나시르 | ||||
로켓발사기 | RPG-7, 69식 화전통, 사에게, RPG-29 | ||||
미사일발사기 | 라아드, 9K111, 9M113, 9K115-2, 데흘라비, 사에게 1/2, 투판 | ||||
무반동총 | SPG-9, M40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란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
현대 이란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5px -0px -11px;" | <colbgcolor=#99cc99,#336633> 이란 이슬람 공화국군(1979~현재) ارتش جمهوری اسلامی ایران | ||||
기타 전차 | M4A1 (76) WL/R/이란 제국, M4A3 (105) HVSSL/R/이란 제국 | ||||
MBT | <colbgcolor=#99cc99,#336633> 1세대 | T-54, T-55, 59식 전차, M47, M48 | |||
2세대 | FV4201 치프틴 Mk.(2K, 3, 5), 모바레즈M, M60, 천마호 가형, 69식 전차, 사피르-74M*, T-72(M1/S), Sabalan, 줄피카-1/2 | ||||
3세대 | 줄피카-3, KarrarM | ||||
경전차 | M24 채피, FV101 스콜피온, Tosan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BRDM-2, BTR-40, BTR-60PB, BTR-82, EE-9 Aghareb, Rakhsh, Sarir, Haweize | |||
궤도장갑차 | BTR-50PK, OT-62B, BMP-1 · Boragh, BMP-2, M113, FV107 시미터 | ||||
차량 | 소형 | M38R, KM410, KM414, M151R, Safir | |||
트럭 | MAZ-543, Ural-4320, ZiL-130 · 131 · 135, M548, KrAZ-5233 벤츠 악트로스 · L 시리즈, Neynava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M107, M110, M109A3, 알-라으드2, 곡산포, 2S1, 알-라으드1 | |||
자주박격포 | Boragh 자주박격포형 | ||||
대전차 자주포 | M18 헬캣L/R/이란 제국, M36B2L/R/이란 제국, A-36L/R/이란 제국 | ||||
대공 차량PADAJA | 자주대공포 | ZSU-57-2 · Bahman, ZSU-23-4 쉴카, 판치르-S1 | |||
단거리 대공미사일 | Herz-9, Shahab Saqeb · Ya Zahra | ||||
다연장로켓 | 63식 다연장로켓, BM-11, BM-21, BM-13, BM-24, M-1989, Fajr-3/5 | ||||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참자PADAJA: 이란 이슬람 공화국 방공군 소속 차량 ※ 윗첨자R: 퇴역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윗첨자L: 공여 차량 *: 59식 전차, T-54, T-55의 현대화 개수 모델. ※ 윗첨자이란 제국: 1979년 이전까지 이란 제국에서 운용한 차량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란군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미사일 전력 | }}} }}}}}} |
이란 육군의 전차, 장갑차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수량 | 추가 도입 | 기타 |
Zulfiqar 줄피카 | MBT | 이란 | 150 대 | T-72와 M48 패튼,M60 전차을 참조한 자체생산 전차 | |
치프틴 | MBT | 영국 | 100 대 | ||
M60 패튼 | MBT | 미국 | 150 대 | A1 사양 | |
M48 Patton | MBT | 미국 | 150 대 | ||
M47 패튼 Patton | MBT | 미국 | 170 대 | ||
T-62 | MBT | 소련 | 75 대 | ||
T-72S | MBT | 소련/폴란드 | 480 대 | ||
Type-72Z Safir-74 | MBT | 이란 | 75 대 | T-55를 현대화 개량한 버전 | |
59식 전차 | MBT | 중국 | 220 대 | ||
69식 전차 | MBT | 중국 | 200 대 | ||
천마호 전차 | MBT | 북한 | 250 대 | T-62 카피형과 이를 현대화 개량한 전차 | |
카라르 전차 | MBT | 이란 | ? 대 | T-72 의 최신 개량버전 |
반미 국가인지라 러시아, 중국제 장비를 운용하지만 팔레비 왕조 시절 들여온 서방제 장비도 역설계 등을 통해 운용한다. 전차 수량은 많지만 전부 다 구식으로[25] 현대 전장에선 명함도 못 내밀 것들 뿐이라 신형 전차가 절실한 상황이다. 튀르키예군, 사우디군과 비교하면 더더욱 안 좋은 상황인데 튀르키예군도 장비가 안 좋아서 나을게 없는 상황이긴 했지만 여긴 미국과 친한 편이기에 이란군보다 무기 업그레이드가 한결 쉬운 편이라 이란이 경계하고 있다. 하지만 이란이 자체 개발한 전차 줄피카는 M1 에이브람스를 닮은 외형 등 제3세대 전차 수준은 된다고 평가받고 있다.
러시아에서 사들인 S-300을 퍼레이드에서 공개하기도 했다. # 그 외에 군사 퍼레이드에서 무기들을 공개했다. #
상위편제들이나 기본 구성편제는 거의 공개가 되지 않고 있으나 2006~2008년까지의 제인스(Jane's) 분석 편제로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한다.
3개 야전군 12개 군단 15개 사단[26] (5개 기갑사단 7개 보병사단 2개 특공(코만도)사단) 1개 특수전 여단 1개 공수여단 6개 포병여단 그외 수~수십개 독립혼성여단으로 편성되어있었으나 2010년부터 Thamen alaeme 일반 구조 계획(Thamen alaeme general structure plan)(طرح جامع ساختاری ثامن الائمه),2012년 기점으로 사단 직할 여단을 빼서 독립혼성여단을 늘려 최대 31개 독립혼성여단을 운용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이란 육군에서 제일 정예로 이름높은 부대로는 제23특수전사단 / 제55공수사단 / 제92기갑사단으로 알려져 있다.
5.1.1. 개별 문서로 만들어지지 않은 차량
- 이란군/차량 문서 참조.
5.1.2. 개별 문서로 만들어지지 않은 기갑차량
- 이란군/기갑차량 문서 참조.
5.2. 해군
- 이란 해군 문서 참고.
5.3. 공군
- 이란 공군 문서 참고.
5.4. 방공군
- 이란 방공군 문서 참고.
6. 핵개발
이란은 핵개발에 상당한 시간을 들여왔으며 스페이스 클럽에 이미 가입한 국가인 만큼 핵무기의 운반체도 어느 정도 준비된 것 같다.이란의 핵개발은 어찌 보면 북한의 핵개발만큼 위험하다. 적대국이자 핵보유국인 이스라엘이 자국 안보에 조금이라도 위협이 되면 선제공격도 불사하는 특성상, 이란이 핵을 보유해버리면 이란과 이스라엘의 핵전쟁이 일어날 수도 있는 것이다.[27] 이 외에도 이란이 핵무기를 보유하게 되면 주변의 친미 국가들의 안보에 위협이 되며[28] 사우디아라비아 등도 당장 핵개발에 착수할 것이고 중동 지역에 핵개발 도미노가 일어날 우려 때문에 미국은 물론 국제사회에서도[29] 이란의 핵개발을 절대 용인할 수가 없다. 이란은 미국과 이란 주변의 친미 국가들에 대한 적대노선을 경제 제재가 해제된 이후에도 버리지 않고 있어 미국은 이란을 좋게 볼 수가 없는 상황이다.
미국의 경제 제재로 인한 경제력 약화를 해결하려고 2015년에 핵 협상이 잠정 타결되기로 하여 장기적으로 포기하는 자세를 취할 듯 하다. 이스라엘 역시 핵 사용은 정치적 자살행위에다 미국이 가만두지 않기에 핵무기를 사용할 엄두는 못낸다. 이란 입장에선 핵보유국인 이스라엘, 미국과의 전쟁 상황이 되면 경제 제재건 뭐건 나라를 지키거나, 최소한 상호간에 피해를 입히는 것이 우선이기 때문에 다시 핵개발에 착수할 게 뻔하다. 그러다보니 미국도 이걸 모를리가 없어 항상 이란을 경계하고 있지만 사실 이란이 핵개발을 재개하는 것이 불가능에 가깝다. 핵개발을 다시 재개한다면 미국에게 경제제재보다 더 높은 단계인 경제봉쇄를 당할것이 분명하기에[30] 이란은 핵개발을 할 엄두를 못내는 상황이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2018년 5월 핵협정을 파기하고 이란에 강화된 경제 제재를 실행하고 이란이 반발하면서 핵개발을 재개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7. 계급
구분 | 나토 계급코드 | 육군 | 공군 | 방공군 | 해군[31] | 혁명수비대 | 경찰[32] |
장 성 급 장 교 | OF-9 | ||||||
대장 | 수호대장 | 치안총감 | |||||
ارتشبد General | دریابد Admiral of the Fleet | ارتشبد پاسدار Guardian General of the Army | ارتشبد General of the Army | ||||
OF-8 | |||||||
중장 | 수호중장 | 치안정감 | |||||
سپهبد Lieutenant General | دریاسالار Admiral | سپهبد پاسدار Guardian Lieutenant General | سپهبد Lieutenant General | ||||
OF-7 | |||||||
소장 | 수호소장 | 치안감 | |||||
سرلشکر Major General | دریابان Vice Admiral | سرلشگر پاسدار Guardian Major General | سرلشکر Major General | ||||
OF-6 | |||||||
준장 | 수호준장 | 경무관 | |||||
سرتیپ Brigadier General | دریادار Rear Admiral | سرتیپ پاسدار Guardian Brigadier General | سرتیپ Brigadier General | ||||
이등준장 | 수호이등준장 | 이등경무관 | |||||
سرتیپ دوم 2nd Brigadier General | دریادار2 Flotilla Admiral | سرتیپ دوم پاسدار Guardian 2nd Brigadier General | سرتیپ دوم 2nd Brigadier General | ||||
영 관 급 장 교 | OF-5 | ||||||
대령 | 수호대령 | 총경 | |||||
سرهنگ Colonel | ناخدا یکم Captain | سرهنگ پاسدار Guardian Colonel | سرهنگ Colonel | ||||
OF-4 | |||||||
중령 | 수호중령 | 일등경정 | |||||
سرهنگ دوم Lieutenant Colonel | ناخدا دوم Commander | سرهنگ دوم پاسدار Guardian Lieutenant Colonel | سرهنگ دوم Lieutenant Colonel | ||||
OF-3 | |||||||
소령 | 수호소령 | 경정 | |||||
سرگرد Major | ناخدا سوم Lieutenant Commander | سرگرد پاسدار Guardian Major | سرگرد Major | ||||
위 관 급 장 교 | OF-2 | ||||||
대위 | 수호대위 | 경감 | |||||
سروان Captain | ناوسروان Senior Lieutenant | سروان پاسدار Guardian Captain | سروان Captain | ||||
OF-1 | |||||||
상위 | 수호상위 | 일등경위 | |||||
ستوان یکم 1st Lieutenant | ناوبان یکم Lieutenant | ستوان یکم پاسدار Guardian 1st Lieutenant | ستوان یکم 1st Lieutenant | ||||
중위 | 수호중위 | 이등경위 | |||||
ستوان دوم 2nd Lieutenant | ناوبان دوم Junior Lieutenant | ستوان دوم پاسدار Guardian 2nd Lieutenant | ستوان دوم 2nd Lieutenant | ||||
소위 | 수호소위 | 삼등경위 | |||||
ستوان سوم 3rd Lieutenant | ناوبان سوم Ensign | ستوان سوم پاسدار Guardian 3rd Lieutenant | ستوان سوم 3rd Lieutenant | ||||
사 관 생 도 | OF(D) | ||||||
생도 4학년 | 경찰대 4학년 | ||||||
생도 3학년 | 경찰대 3학년 | ||||||
생도 2학년 | 경찰대 2학년 | ||||||
생도 1학년 | 경찰대 1학년 | ||||||
사 병 | OR-9 | ||||||
원사 | 일등상사 | 원사 | |||||
استوار یکم Sergeant Major | استوار یکم Chief Master Sergeant | ناواستوار یکم Master Chief Petty Officer | رزمدار یکم Sergeant Major | استوار یکم Sergeant Major | |||
OR-8 | |||||||
상사 | 이등상사 | 상사 | |||||
استوار دوم Master Sergeant | استوار دوم Senior Master Sergeant | استوار دوم Master Sergeant | ناواستوار دوم Senior Chief Petty Officer | رزمدار دوم Master Sergeant | استوار دوم Master Sergeant | ||
OR-7 | |||||||
중사 | 일등중사 | 일등경사 | |||||
گروهبان یکم Sergeant First Class | گروهبان یکم Master sergeant | گروهبان یکم Sergeant First Class | مهناوی یکم Chief Petty Officer | رزمآور یکم Sergeant First Class | گروهبان یکم Sergeant First Class | ||
OR-6 | |||||||
하사 | 일등하사 | 이등중사 | 경사 | ||||
گروهبان دوم Staff Sergeant | گروهبان دوم Technical sergeant | گروهبان دوم Staff Sergeant | مهناوی دوم Petty Officer First Class | رزمآور دوم Staff Sergeant | گروهبان دوم Staff Sergeant | ||
OR-5[33] | |||||||
병장 | 이등하사 | 하사 | 경장 | ||||
گروهبان سوم Sergeant | گروهبان سوم Staff Sergeant | گروهبان سوم Sergeant | مهناوی سوم Petty officer second class | رزمآور سوم Sergeant | گروهبان سوم Sergeant | ||
OR-4 | |||||||
상병 سرجوخه Corporal | 선임항공병 سرجوخه Senior airman | 상병 سرجوخه Corporal | 삼등하사 سرناوی Petty Officer Third Class | 상병 سرجوخه Corporal | 순경 سرجوخه Corporal | ||
OR-3 | |||||||
일병 سرباز یکم Private First Class | 일등항공병 سرباز یکم Airman first class | 일병 سرباز یکم Private First Class | 수병 ناوی یکم Seaman | 일병 سرباز یکم Private First Class | 일등경관 سرباز یکم Policeman First Class | ||
OR-2 | |||||||
이병 سرباز دوم Private (E-2) | 항공병 سرباز دوم Airman | 이병 سرباز دوم Private (E-2) | 이등수병 ناوی دوم Seaman Apprentice | 이병 سرباز دوم Private (E-2) | 선임경관 سرباز دوم Senior Policeman | ||
OR-1 | |||||||
훈련병 سرباز Private | 항공훈련병 سرباز Airman basic | 훈련병 سرباز Private | 견습수병 ناوی Seaman recruit | 훈련병 سرباز Private | 경관 سرباز Policeman |
8. 대중매체
9. 관련 문서 및 외부 링크
- 이란군 전반에 대한 정보
- 편제 변천사
- 제국군
- 현재
- 이란군 vs 이스라엘군
[1] 최대 11,000,000명 동원 가능[2] 세대별 전차 구분[3] 이란 전차보유 수량[4] 4세대 전투기 분류법 참고.[5] 4세대 전투기 분류법(2)[6] 이란 공군 항공기 보유수량[7] 이란 해군 항공기[8] 3세대 전투기 분류법 참고.[9] 이슬람 혁명 수비대 공군기[10] GFP는 한국이나 통상적인 기준보다 더 큰 배수량의 배를 기준으로 삼는다.[11] GFP는 호위함이란 단어를 한국 보다 더 큰 배수량의 배를 부를 때 사용한다. 한국은 이 기준에 들어가지 못하는 1,000~2,000 톤급의 배도 호위함으로 부른다.[12] 1,500톤 미만인 초계함이나 고속정은 특수작전부대(특작부대) 제압, 기습전, 해안방어용을 목적으로 제작되었기에 각종 병기의 위력이 낮은 편이라 5,000~10,000톤급 이상의 함정이 여럿 투입되는 대규모 함대전에 쓸 수 있는 유효한 전력이라고 볼 수 없다. 적군 측에 혼란을 주거나 해당국의 최대 함정이 초계함 혹은 고속정이라는 해괴한 상황이 아니라면 대형 함정들의 함포 및 어뢰에 의해 순식간에 파괴될 수 있어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투입하지 않는다.[13] 헌병대에서 출발했으며, 군사경찰 기능도 한다.[14] 이슬람혁명수비대는 이란군의 일부가 아닌 별개의 군대이며 자체적인 육해공군을 가지고 있다.[15] 다만 혁명수비대 또한 이란의 헌법에 명시된 엄연한 정규군이다. 절대 준군사조직이 아니다.[16] 이는 이란군이 최신 장비를 갖추면 주변 친미 국가들(특히 사우디, 이스라엘, 바레인)에 안보 위협을 줄 것이 분명하기에 미국에서 기를 쓰고 이란군의 장비 구매를 막기 때문이다.[17] 이슬람 혁명 후에는 "그리고 알라의 군대는 정복할 것이니(وَإِنَّ جُنْدنَا لَهُمْ الْغَالِبُونَ)(코란 37:173)로 바뀌었다.[18] 여담으로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 미제 무기로 재미를 여러 번 봐서인지 미국산 카피가 꽤 많이 보인다. 군복도 자체적인 위장무늬를 사용하긴 하지만 간혹 혁명수비대 병사가 ACU를 쓰는 걸 볼 수 있다.[19] 특히 경제난이 심각한데도 불구하고 미사일 개발 예산과 같은 국방비를 증액하고 있다.[20] 이란에서 이란군이 이란인이 탄 항공기를 격추한 것이다.[21] 군과 혁명수비대를 통합지휘한다.[22] 혁명수비대 출신이다.[23] 알 쿠드스로 불린다.[24] 바시지로 불린다.[25] 이란의 경제 사정이 안 좋은것과 미국의 제재로 신형 전차를 구입할 수 없다.[26] 사단별로 여단은 총 3개 여단으로 구성[27] 이스라엘은 실제로 이란의 핵개발 시설을 폭격할 것을 계획한 적이 있으나 이란이 1981년 이스라엘이 시행한 이라크 오시라크 원자로 공습을 교훈삼아 이라크보다 훨씬 넓은 국토에 가짜 시설을 워낙에 많이 만들어둬서 실행하지 못한 적이 있다. 그 미국조차도 한 번에 이 많은 곳을 폭격하자면 엄청난 규모의 공군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군사력이 한정된 이스라엘이 모든 시설을 폭격하는 것은 무리에 가깝다. 아무리 인공위성으로 봐도 도무지 어디가 진짠지 구별을 못하기 때문이다. 다만 폭격을 당하면 이란의 피해가 상상을 초월하기에 폭격만으로도 이란에게 충분히 타격을 입힐수 있다.[28] 특히 이스라엘은 이란이 국가로 인정하지 않으며 기회만 되면 이스라엘을 멸망시키려하기 때문에 이란의 정권 교체가 되지 않는 한 이란은 신뢰할 수 없는 적국이다. 이스라엘이 이란에 대한 경제 제재 해제를 강력 반대하며 기회만 되면 미국에 이란을 공격하자고 제안하는 것도 이것 때문이다.[29] 러시아와 중국도 이란의 핵개발을 반대하고 있다.[30] 아예 이를 구실로 이란은 이라크처럼 미국한테 침공을 당할 가능성도 있다. 가능성이 있기야 하지만 높진 않다. 당장 시리아 내전에서만 70억 달러가 넘는 돈을 날렸다며 군사적 지원을 검토하겠다고 트럼프 정부가 아우성거리는 판국. 이라크 전쟁이나 아프가니스탄 전쟁도 미국이 아주 손을 떼지 않은 상황이다.[31] 상급 장교의 존재로 수장이 타국 해군의 동계급보다 한 단계 정도 높다[32] 헌병대에서 출발하여 일반 경찰과 헌병이 통합되었기에 함께 기재[33] 여기서부터 부사관으로 대우한다.[34] 역대 편제[35] 전술항공사령부, 방공사령부, 훈련사령부[36] 상세 편제[37] 미사일여단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