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에스토니아 육군 Eesti maavägi | 에스토니아 해군 Eesti merevägi | 에스토니아 공군 Eesti õhuvägi | ||
| 에스토니아 방위군 Eesti Kaitsevägi Estonian Defence Forces | ||||
| | ||||
| <colbgcolor=#0072ce> 국가 | <colbgcolor=#ffffff,#1c1d1f> | |||
| 상비군 | 7,200명 | |||
| 예비군 | 230,000명 | |||
| 병역제도 | 징병제 | |||
| 방위군 사령관 | 안드루스 메릴로 중장 | |||
| 육군력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072ce><colcolor=#fff> 장갑차 (APCs/IFVs) | 207대 | ||
| 자주포 | 48문 | |||
| 다연장로켓 | 6문 | |||
| 수송 차량 | - | }}}}}}}}} | ||
| 해군력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072ce><colcolor=#fff> 해군 전투함 총합 | 6척 | ||
| 주력 수상함 | ||||
| 초계함 | 3척 | }}}}}}}}} | ||
| 공군력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072ce><colcolor=#fff> 항공기 총합 | 7기 | }}}}}}}}} | |
| 링크 | ||||
| | ||||
1. 개요
에스토니아의 군대.2. 역사
1918년 11월 12일 에스토니아 독립전쟁 기간 중 창설되었으며, 이후 소련 점령 기간을 거쳐 소련 붕괴 직전인 1991년 9월 3일 재창설되었다.1991년 소련 붕괴 과정에서 에스토니아 공화국은 다른 구성국들과는 달리 자국 내 소련군 병력을 인수하지 않고 점령군으로 간주하여 러시아 정부에 전원 철수를 요구했다. 당시 러시아는 경제난 등 여러 사정을 이유로 1990년대 중반 에스토니아에서 전원 철수했다.[1] 따라서 에스토니아군은 군사적으로 소련군이 아닌 독자적인 군대로서 출발했다.[2]
오늘날 에스토니아군은 징병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비군 병력은 7200명이다. 약 3200명이 매년 군에 징집되어 8개월간 복무하지만, 초급 부사관, 헌병, 운전병을 비롯한 기술특기병의 최소 복무 기간은 11개월이다. 공군은 징병제가 아니다. 2022년 기준 예산은 GDP의 2.35%로 7억 7060만 유로이다. 2026년에는 GDP의 5%까지 올린다.#
에스토니아군은 국가 특성상 이웃 국가들과 비슷한 규모의 군대를 운영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전차를 아예 운용하지 않는 등[3] 전반적인 군대 규모는 크지 않다. 대신 시민들로부터 자원봉사자를 받아 예비군과 비슷하게 방위연맹(Defence League)를 운영하는 등, 민방위를 강화시키려 노력하고 있다.
에스토니아는 2004년 북대서양 조약기구 가입 이후 회원국들과 활발한 국방협력 및 군사교류 관계를 증진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영국군과 미군 기갑여단이 에스토니아에 주둔하는 등 확실한 수혜를 입고 있다. 북대서양 조약기구 회원국 외에도 역사적으로 우방국이었던 핀란드와 활발히 교류하며, 핀란드군에서 여러 육군 장비를 도입하기도 했다. 2020년대에는 한국에서 K-9 자주곡사포를 도입했다.
3. 수뇌부
| | |||
| 통수권자 | 국방장관 | 방위군 총사령관 | 방위군 부사령관 |
| | | 파일: | |
| 크리스텐 미할 총리 | 한노 페브쿠르 장관 | 안드루스 메릴로 육군 중장 | 베이코-벨로 팜 육군 소장 |
| 방위군 총참모장 | 해군사령관 | 공군사령관 | 방위연맹 사령관 |
| | | | |
| 엔노 모츠 육군 소장 | 위리 사스카 준장 | 토마스 수시 준장 | 리호 위테기 육군 준장 |
4. 구성
4.1. 육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에스토니아 육군#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에스토니아 육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2. 해군
| | |
6척의 취역함으로 구성되는 연안해군이다.
4.3. 공군
| | |
소수의 수송기와 정찰헬기, 공격기 정도로 구성된 간략한 공군이다. 현재 국가 규모 및 국방예산을 감안하여 자체 전투기 병력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 대신 NATO 회원국 공군 전투기들이 돌아가면서 영공을 순찰하는 발트해 항공순찰(Baltic Air Policing)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현재 L-39 제트 훈련기 2대, PZL M28 프로펠러 수송기 2대, 로빈슨 R44 경헬리콥터 3대를 운용하고 있다.
5. 장비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에스토니아군|]]''' | |||
| <colbgcolor=#0072CE><colcolor=#FFF> 개 인 화 기 | <colcolor=#FFF><colbgcolor=#0072CE> '''[[소총| 소총 ]]''' | <colcolor=#000,#e5e5e5><colbgcolor=#0072CE> '''[[돌격소총| 돌격소총 ]]''' | Ak 4 | G3A4 | AG-3F2 | LMT R20 RAHE | 갈릴 (AR/ARM/SAR) | |
|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 LMT MARS-H | 갈라츠 | M14-TP2 | G3A3ZF | |||
| '''[[저격소총| 저격소총 ]]''' | FR F2 | NM149-F1 | PGM 에카트 II | |||
| 기관단총 | MP5A2 | 미니 우지 | m/45B | |||
| 산탄총 | 베넬리 M3T | |||
| 권총 | USP | M1911A1 | 마카로프 PM | |||
| 수류탄 | DM61 | SplHGr 85 A2 | OffHGr 85 A2 | m/56 | RGD-5 | F1 | |||
| 지 원 화 기 | '''[[기관총| 기관총 ]]''' | '''[[경기관총| 경기관총 ]]''' | 네게브 | |
| '''[[다목적 기관총| 다목적 기관총 ]]''' | 네게브 NG-7 | Ksp 58B | MG3 | PK · PKM | |||
| '''[[중기관총| 중기관총 ]]''' | M2 브라우닝 | |||
| 유탄발사기 | GL06 | GLM | HK79N | M203 | |||
| '''[[대전차화기| 대전차 화기 ]]''' | '''[[무반동총| 무반동포 ]]''' | 칼 구스타프 (M2/M3/M4) | AT4 | M40A1 | C90-CR | Pvpj 1110 | ||
| 로켓 | B-300 | M-69 | |||
| 미사일 | 참고: 틀:현대전/에스토니아 유도무기 | |||
| 맨패즈 | ||||
| 박격포 | L16A1 | M252 MERM | 2B11 | m/41D | |||
| 견인포 | FH70 | D-30 | |||
| '''[[특수부대| 특 ]]''' 수 전 화 기 | '''[[소총| 소총 ]]''' | '''[[돌격소총| 돌격소총 ]]''' | HK416 | G36K | |
|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 HK417 | |||
| '''[[저격소총| 저격소총 ]]''' | TRG-42 | TRG M10 | |||
| 기관단총 | MP7 | |||
| 권총 | 글록 19 | |||
| 기관총 | MG4 | |||
| 유탄발사기 | 밀코 MGL | |||
| 의장용 화기 | M14 | |||
| ※ 갈색 글자: 퇴역 장비 | ||||
| ※둘러보기: |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0072CE> '''[[에스토니아군| 에스토니아 방위군 (1991~현재) ]]''' Eesti Kaitsevägi | ||
| '''[[장갑차| 장갑차 ]]''' | <colbgcolor=#0072CE> '''[[차륜형 장갑차| 차륜형 ]]''' | 아르마 | XA-180EST · XA-188 "파시" | M1224 맥스프로 | 맘바 Mk.2 EE | Tgb m/42 KP | BTR-80 | BRDM-2 EST | BTR-60 | BTR-152 | |
| '''[[궤도형 장갑차| 궤도형 ]]''' | CV9035EE Mk.III · {CV90 Mk.II ISV} | Bv 206A MT | GT-T | ||
| 차량 | ''' 초소형 ''' | 이륜차 허스크바나 258A MT | |
| 소형 | IMV {마키나 NMS 4×4} | 벤츠 G바겐 | VW 일티스 | 볼보 C303/304민수용 벤츠 스프린터 | VW 트랜스포터 | CUCV | ||
| 트럭 | 군용 시수 E13TP | 벤츠 유니목 | MAN KAT1 | DAF YA 4440 | 볼보 C306 | 자우허 2DM/2DV | IFA W50 · L60 | 로부르 LO/LD | KrAZ-255상용 벤츠 아록스 · 아테고 · NG | DAF F218 시리즈 | MAN TGA | 볼보 FMX | 스카니아 G360 · G410 | ||
| '''[[자주포| 자주포 ]]''' | '''[[자주곡사포| 자주곡사포 ]]''' | K-9EST 코우 | {CAESAR 6×6 Mk.I} | |
| 다연장로켓 | M142 HIMARS | ||
| 무인 차량 | UGV | 테미스 | |
| 지원차량 | 구난차량 | BPz 2 | 벤츠 악트로스 타이탄 견인차 | 립헬 FKL 4×4 크레인 | |
| 공병차량 | 닥스 AEV | ||
| 교량차량 | 비버 AVLB | KrAZ-63221 TMM-3M 교량트럭 | ||
| 건설기계 | 코마츠 WA250 로더 | JCB 4CXt 백호로더 | JCB JS 굴착기 | 코마츠 PC240 · PW148-8 굴착기 | ||
| ※ 갈색 글자: 퇴역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
| ※둘러보기 : |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에스토니아군| 에스토니아 해군 (1991~현재) ]]''' Eesti Merevägi | ||
| <colbgcolor=#0072CE><colcolor=#FFF> '''[[초계정| 초계정 ]]''' | <colbgcolor=#0072CE><colcolor=#FFF> PB | 라주급 | 롤란드급 | 토름급 | 그리프급 | 리스트나급 | 아티 | |
| '''[[초계함| 초계함 ]]''' | ''' PCE ''' | 킨드랄 쿠르비츠 | 어드미럴 피트카 | |
| 기뢰부설함 (MLS) | 타수야급 | ||
| '''[[소해함| 소해함 ]]''' | ''' MHC ''' | 어드미럴 코완급 | 왐볼라급 | 린다우급 | |
| ''' MSI ''' | 칼레브급 | ||
| 지원정 | 잠수지원정 루드 | ||
| ※ 갈색 글자: 퇴역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
| ※둘러보기 : |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에스토니아 방위군 (1991~현재) Eesti Kaitsevägi | ||
| <colbgcolor=#000><colcolor=#FFF> | <colbgcolor=#000><colcolor=#FFF> | FGM-148 재블린 | 스파이크-SR | 밀란 F2R | MAPATSR | RBS 56 BILLR | |
탑재형 | 기갑차량 스파이크-LR2 | ||
| 유도로켓 | 지대지 | {M30A2 · M31A2 GMLRS} (227mm, HIMARS) | {XM403 · XM404 ER-GMLRS} (227mm) | |
| 배회폭탄 | ''' 지대지 ''' | {IAI 하롭} | |
| {MGM-164 ATACMS 2000} | |||
| '''[[대함 미사일| 대함 미사일 ]]''' | ''' 지대함 ''' | {블루 스피어} | |
| 미스트랄 M3 | PPZR 피오룬 | |||
중거리 | {IRIS-T SLM} | ||
|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 |||
| {{{#!wiki style="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 | ||
6. 관련 문서
- 마르틴 헤렘
- 편제
7. 여담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우크라이나에 지원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는데, GDP의 1%이다.
- 에스토니아군의 구성은 크게 방위군과 방위연맹으로 나뉘는데 방위군은 국군(육해공)에 해당되고 방위연맹은 방위 준군사조직에 해당되는데 사실상 민병대이다.
- 에스토니아군은 ~사령관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으며, 해군과 공군과 달리 육군사령관이라는 직위는 별도로 존재하지 않으며 총참모부에서 관할하고 있다.
8. 둘러보기
| 세계의 군대 (지역별 가나다순)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시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colbgcolor=#eee,#000>동아시아 | 대만 · 대한민국 · 몽골 · 북한 · 일본 (준군사조직) · 중국 | ||
| 동남아시아 | 동티모르 · 라오스 · 말레이시아 (조호르군) · 미얀마 · 베트남 · 브루나이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캄보디아 · 태국 · 필리핀 | |||
| 남아시아 | 네팔 · 몰디브 · 방글라데시 · 부탄 · 스리랑카 · 아프가니스탄 · 인도 · 파키스탄 | |||
| 중앙아시아 | 우즈베키스탄 · 카자흐스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 |||
| 서아시아 | 레바논 · 바레인 · 사우디아라비아 · 시리아 · 아랍에미리트 · 오만 · 요르단 · 예멘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카타르 · 쿠웨이트 |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유럽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colbgcolor=#eee,#000>서유럽 | 네덜란드 · 룩셈부르크 · 모나코 · 벨기에 · 영국 · 아일랜드 · 프랑스 | ||
| 남유럽 | 구호기사단 · 그리스 · 루마니아 · 몬테네그로 · 몰타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불가리아 · 산마리노 · 세르비아 · 스페인 · 알바니아 · 이탈리아 · 키프로스 · 크로아티아 · 튀르키예 · 포르투갈 | |||
| 중부유럽 | 독일 · 오스트리아 · 스위스 ·슬로베니아 · 슬로바키아 · 체코 · 폴란드 · 헝가리 | |||
| 북유럽 | 노르웨이 · 덴마크 · 라트비아 · 리투아니아 · 스웨덴 · 아이슬란드 · 에스토니아 · 핀란드 | |||
| 동유럽 | 러시아 · 몰도바 · 벨라루스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우크라이나 · 조지아 · 트란스니스트리아 |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메리카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colbgcolor=#eee,#000>북아메리카 | 멕시코 · 미국 · 캐나다 | ||
| 카리브 | 그레나다 ·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바베이도스 · 바하마 · 세인트루시아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 세인트키츠 네비스 · 아이티 · 앤티가 바부다 · 자메이카 · 쿠바 · 트리니다드 토바고 | |||
| 중앙아메리카 | 과테말라 · 니카라과 · 엘살바도르 · 온두라스 · 벨리즈 · 코스타리카 · 파나마 | |||
| 남아메리카 | 가이아나 · 베네수엘라 · 볼리비아 · 브라질 · 수리남 · 아르헨티나 · 에콰도르 · 우루과이 · 칠레 · 콜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colbgcolor=#eee,#000>북아프리카 | 리비아 · 모로코 · 수단 · 알제리 · 이집트 · 튀니지 | ||
| 남아프리카 | 나미비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레소토 · 말라위 · 모리셔스 · 모잠비크 · 보츠와나 · 앙골라 · 에스와티니 · 잠비아 · 짐바브웨 | |||
| 서아프리카 | 가나 · 감비아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이지리아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말리 · 모리타니 · 베냉 · 부르키나파소 · 세네갈 · 시에라리온 · 적도 기니 · 카보베르데 · 코트디부아르 · 토고 | |||
| 동아프리카 | 남수단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부룬디 · 세이셸 · 소말리아 · 소말릴란드 · 에리트레아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지부티 · 코모로 · 케냐 · 탄자니아 | |||
| 중앙아프리카 | 가봉 · 상투메 프린시페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차드 · 카메룬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오세아니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colbgcolor=#eee,#000>오스트랄라시아 | 뉴질랜드 · 호주 | ||
| 멜라네시아 | 바누아투 · 솔로몬 제도 · 파푸아뉴기니 · 피지 | |||
| 미크로네시아 | 나우루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키리바시 · 팔라우 | |||
| 폴리네시아 | 사모아 · 통가 · 투발루 | |||
| }}}}}}}}}}}} | ||||
[[에스토니아| 에스토니아 관련 문서 | ||
| {{{#!wiki style="min-height(1.5em + 5px);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color=#000><colbgcolor=#fff> 상징 | 국호 · 국기 · 국장 · 국가 |
| 역사 | 역사 전반 · 에스토니아 공국 · 리보니아(리보니아 검의 형제기사단) · 러시아 제국 · 에스토니아 제1공화국 · 소련(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대통령 · 총리 · 입법부 · 스텐보크 하우스 | |
| 외교 | 외교 전반 · 발트 3국 · 유럽연합 | |
| 경제 | 경제 전반 · | |
| 국방 | 에스토니아군 · 독립 전쟁 · 여름 전쟁 | |
| 문화 | 문화 전반 · 에스토니아 신화 · 에스토니아 요리 · 에스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 에스토니아 영화 · 에스토니아어 | |
| 지리 | 탈린 · 타르투 · 행정구역(틀) | |
| 인물 | 루이스 칸 · 콘스탄틴 패츠 · 파울 케레스 · 카르멘 카스 · 케르스티 칼률라이드 · 카야 칼라스 · 알라르 카리스 | |
| 민족 | 에스토니아인 · 러시아계 에스토니아인 · 세투인 · 에스토니아계 러시아인 · 에스토니아계 미국인 · 리보니아인 | |
| 기타 | e-Residency · 에스토니아 과학한림원 · Skype · Bolt · 스카이로드 |
[1] 우크라이나와 같이 에스토니아 주둔 소련군의 중장비와 기지 설비 등을 그대로 인수인계 받을 수도 있었지만 명분을 이유로 거부한 것. 후에 소신이 있는 결정이라고 평가를 받았다.[2] 에스토니아군은 독립 이후로도 1990년대 말에서 2000년대 중반까지 AK-74와 같은 소련제 장비를 이용하기도 했지만, 오늘날 대부분 서방제 장비로 교체하였다.[3] 훈련을 위해 루마니아로부터 T-55 전차를 빌린 적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