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군대 (지역별 가나다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시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colbgcolor=#eee,#000>동아시아 | 대만 · 대한민국 · 몽골 · 북한 · 일본 (준군사조직) · 중국 | ||
동남아시아 | 동티모르 · 라오스 · 말레이시아 (조호르군) · 미얀마 · 베트남 · 브루나이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캄보디아 · 태국 · 필리핀 | |||
남아시아 | 네팔 · 몰디브 · 방글라데시 · 부탄 · 스리랑카 · 아프가니스탄 · 인도 · 파키스탄 | |||
중앙아시아 | 우즈베키스탄 · 카자흐스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 |||
서아시아 | 레바논 · 바레인 · 사우디아라비아 · 시리아 · 아랍에미리트 · 아프가니스탄 · 오만 · 요르단 · 예멘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카타르 · 쿠웨이트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유럽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colbgcolor=#eee,#000>서유럽 | 네덜란드 · 룩셈부르크 · 모나코 · 벨기에 · 영국 · 아일랜드 · 프랑스 | ||
남유럽 | 구호기사단 · 그리스 · 루마니아 · 몬테네그로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불가리아 · 세르비아 · 스페인 · 알바니아 · 이탈리아 · 키프로스 · 크로아티아 · 튀르키예 · 포르투갈 | |||
중부유럽 | 독일 · 오스트리아 · 스위스 ·슬로베니아 · 슬로바키아 · 체코 · 폴란드 · 헝가리 | |||
북유럽 | 노르웨이 · 덴마크 · 라트비아 · 리투아니아 · 스웨덴 · 아이슬란드 · 에스토니아 · 핀란드 | |||
동유럽 | 러시아 · 몰도바 · 벨라루스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우크라이나 · 조지아 · 트란스니스트리아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메리카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colbgcolor=#eee,#000>북아메리카 | 멕시코 · 미국 · 캐나다 | ||
카리브 |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바베이도스 · 아이티 · 자메이카 · 쿠바 · 트리니다드 토바고 | |||
중앙아메리카 | 과테말라 · 니카라과 · 엘살바도르 · 온두라스 · 벨리즈 · 코스타리카 · 파나마 | |||
남아메리카 | 가이아나 · 베네수엘라 · 볼리비아 · 브라질 · 수리남 · 아르헨티나 · 에콰도르 · 우루과이 · 칠레 · 콜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colbgcolor=#eee,#000>북아프리카 | 리비아 · 모로코 · 수단 · 알제리 · 이집트 · 튀니지 | ||
남아프리카 | 나미비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레소토 · 말라위 · 모리셔스 · 모잠비크 · 보츠와나 · 앙골라 · 에스와티니 · 잠비아 · 짐바브웨 | |||
서아프리카 | 가나 · 감비아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이지리아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말리 · 모리타니 · 베냉 · 부르키나파소 · 세네갈 · 시에라리온 · 적도 기니 · 카보베르데 · 코트디부아르 · 토고 | |||
동아프리카 | 남수단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부룬디 · 세이셸 · 소말리아 · 소말릴란드 · 에리트레아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지부티 · 코모로 · 케냐 · 탄자니아 | |||
중앙아프리카 | 가봉 · 상투메 프린시페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차드 · 카메룬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오세아니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colbgcolor=#eee,#000>오스트랄라시아 | 뉴질랜드 · 호주 | ||
멜라네시아 | 바누아투 · 솔로몬 제도 · 파푸아뉴기니 · 피지 | |||
미크로네시아 | 나우루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키리바시 · 팔라우 | |||
폴리네시아 | 사모아 · 통가 · 투발루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4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d52b12 70%, #d52b12 80%, #FFFFFF 80%, #FFFFFF 90%, #0038a9 90%, #0038a9);"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colbgcolor=#0038a9> 상징 | 국기 · 국장 · 국가 |
역사 | 역사 전반 · 파라과이 전쟁 | |
지리 | 행정구역 · 그란 차코 · 파라과이강 · 파라나강 · 필코마요강 · 이타이푸 댐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파라과이 대통령 | |
외교 | 외교 전반 · 파라과이 여권 · 이베로아메리카 공동체 · TIAR | |
경제 | 경제 전반 · 파라과이 과라니 | |
국방 | 파라과이군 | |
교통 | 교통 전반 · 국도 · 실비오 페티로시 국제공항 · 과라니 국제공항 · 차코전쟁영웅대교 | |
문화 | 문화 전반 · 관광 · 요리 · 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 · 과라니어 · 파라과이 스페인어 | |
인물 | 호세 가스파르 로드리게스 데 프란시아 · 카를로스 안토니오 로페스 · 프란시스코 솔라노 로페스 | |
민족 | 파라과이인 · 과라니족 · 파라과이 백인 · 스페인계 파라과이인 · 독일계 파라과이인 · 이탈리아계 파라과이인 · 우크라이나계 파라과이인 · 폴란드계 파라과이인 · 한국계 파라과이인 · 일본계 파라과이인 · 중국계 파라과이인 | |
기타 | 파라과이 시간대 |
파라과이군 Fuerzas Armadas de Paraguay Armed Forces of Paraguay | |
[1957-2013] | |
상비군 | 20,000 명 (2012년) |
예비군 | 160,000 명 (2012년) |
전차 | 13 대 (2018년) |
장갑차(APCs/IFVs) | 55 대 (2019년) |
견인포 | 문 (2021년) |
자주포 | 대 (2021년) |
MLRS | 대 (2021년) |
헬리콥터 | 기 (2021년) |
전투기 | 기 (2021년) |
공군기 총합 | 기 (2021년) |
GFP 기준 호위함(프리깃) | 척 (2021년) |
초계함(고속정) | 척 (2021년) |
잠수함 | 척 (2021년) |
전투함 총합 | 척 |
1. 개요
1811년에 창설된 파라과이의 군대이며 대만과의 수교관계여서 장교의 대다수가 대만의 푸싱캉대학에서 훈련을 받는다. 3국 동맹 전쟁까지 치른 전적이 있다.
일단 징병제이며, 시민권자는 무조건 1년간 복무해야하지만 이런 나라가 다 그렇듯 돈주면 안가도 된다.
2. 통수권
최고 통수권자는 대통령 산티아고 페냐이다.국방부 장관은 디오게네스 마르티네스(Diogenes Martínez)이다.
3. 육군
편제는 아래와 같다.- 대통령경호연대 (Presidential Guard Regiment): 아순시온에 주둔 중이다.
3.1. 보병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color=#373a3c><colbgcolor=#CE1126> 현대의 파라과이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color=#373a3c><colbgcolor=#0038A8> 돌격소총 | FN FAL, CQ-A 카빈*, M16A1*, T65K2, M4A1 | |||
저격소총 | M24 SWS, M107A1 | ||||
기관단총 | MP5, UZI, KRISS Vector^ | ||||
권총 | 브라우닝 HP35, 베레타 92, PT92, VP70Z | ||||
지원화기 | 기관총 | 네게브, FN MAG, HK21E, M1919A4, M2 브라우닝, Vz.26 brno | |||
유탄발사기 | M79, M203 | ||||
대전차화기 | M40 무반동포, M20 무반동포, M72 LAW, M18 무반동포, M20 | ||||
박격포 | 브랑 Mle 27/31, M30, M120 BMS | ||||
예비용 화기 | G3 | ||||
*: 소수만 채용되어 운용중 ^:경찰특공대에서 사용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구식무기들은 노후화가 심해지고 있어서 조금씩 교체되고 있으며 여러 국가의 소총을 사용하는데 대만의 T65K2와 중국의 CQ 5.56을 둘다 사용하기도 한다.[2] CQ는 우회하여 들여온것으로 추정되는데, 파라과이는 중화민국만을 인정하기에 노린코사에서 직접 구매할 수가 없기 때문.
3.2. 장갑차량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373a3c><colbgcolor=#CE1126> 현대의 파라과이군 기갑차량 | |||
전차 | <colcolor=#373a3c><colbgcolor=#0038A8> 경전차 | M3A1L, SK-105A3 | ||
중형전차 | 셔먼 레포텐시아도L/R,셔먼 하이브리드 레포텐시아도L/R | |||
윗첨자L*: 공여 차량 윗첨자 R:퇴역 차량 | ||||
※둘러보기 : | }}}}}}}}} |
이름 | 대수 | 비고 |
M4A3 셔먼(cn-75-50) | 3 | 2018년 퇴역 |
셔먼 레포텐시아도 | - | 전량퇴역 |
SK-105a2 | 12 | |
EE-9 카스카벨 | 정찰장갑차 | |
EE-11 | 보병수송차 | |
M3A1 스튜어트 | - | 전량퇴역 |
파라과이는 지반이 약해서 40톤이 넘는 전차를 운용하기 힘들기에 경전차 위주로 운영한다. 셔먼 레포텐시아도는 1985년에 아르헨티나한테서 수입해왔으나 현재는 퇴역했다.
4. 해군
내륙국임에도 파라과이강을 통해 대서양에 접근할 수 있어 해군을 가지고 있다. 해병대를 포함해 인원은 5천명 수준으로 이들은 모두 해병 보병 사령부를 담당하는 3개의 여단으로 나뉜다. 군함들 중 일부는 미국과 대만에서 공여받았으나 기령이 오래되 노후화된 함들이 대부분이다. 전투함들 중 제일 큰 파라과이(C-1.C-2)급 두 함정은 636톤의 포함으로 1930년 이탈리아에서 건조되었으며 2019년에 대대적인 수리 작업을 거쳐 아직도 운용하고있다. 초계정은 17척을 운용 중이다.5. 공군
이름 | 대수 | 비고 |
UH-1H | 13 | 헬리콥터 |
EMB 312 | 6 | 경공격기/훈련기 |
ENAER T-35 | 9 | 기본훈련기 |
6. 기타
[1957-2013] 과거에 사용함[2] 예시를 들자면 제3국에서 북한제 m16과 k2를 같이 운용하는 것이다.